KR200337450Y1 -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 - Google Patents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450Y1
KR200337450Y1 KR20-2003-0027516U KR20030027516U KR200337450Y1 KR 200337450 Y1 KR200337450 Y1 KR 200337450Y1 KR 20030027516 U KR20030027516 U KR 20030027516U KR 200337450 Y1 KR200337450 Y1 KR 200337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acking
blocking plate
main bod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철
Original Assignee
홍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철 filed Critical 홍성철
Priority to KR20-2003-0027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4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 본체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주는 진공 차단판과 패킹의 결합관계를 개선하여 패킹과 차단판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조립 방향성을 갖고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가 사각형이더라도 모서리부분에서 패킹이 완전 밀착되어 공기 유입이 차단되고, 특히 직사각형이더라도 긴 가로 부분이 벌어지지 않도록 본체 입구에 보강테를 만들어 진공도가 향상되도록 한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 본체 내부로 끼워지는 차단판과 차단판과 본체 사이를 막아 본체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주는 패킹으로 구성된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에 있어서, 차단판과 패킹에 다수개의 마킹을 형성하여 이들 마킹이 일치되도록 패킹과 차단판이 결합되고, 차단판을 본체에 끼워 넣으면 패킹의 모서리가 본체의 모서리와 일치되어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VACUUM INTERCEPTION PLATE APPARATUS OF VACUUM VESSEL}
본 고안은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용기 본체와 진공 차단판 사이의 틈새를 막아 용기 본체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주는 패킹의 결합 위치가 항상 일정하도록 하여 공기 유입이 방지되고 또한 패킹이 무리하게 꺾이지 않고 진공 차단판이 용기 본체 내부로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진공 차단판의 누르는 힘이 경감되어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용기의 진공 정도는 용기 내부를 막는 진공 차단판과 패킹에 의해 결정된다. 진공 차단판과 패킹의 결합위치가 맞지 않거나 패킹이 느슨하게 진공 차단판에 결합되었을 때 패킹과 용기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발생되어 공기가 용기 내부로 스며들게 되므로 진공 용기로써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용기가 원형일 경우 차단판과 패킹이 원형 이므로 조립 방향성이 없으나, 용기가 사각형일 경우에는 차단판과 패킹이 사각형으로 되어야 하므로 조립 방향성에 따라 패킹이 차단판에 틀어지게 결합되어 용기 내부로의 공기 유입을 완전 차단할 수 없게 되므로 주의해야 된다.
직사각형 용기는 길이가 긴 가로 부분과 길이가 짧은 세로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깊이가 있고 어느 정도 큰 용기 일수록 김치 등을 담을 때 눌러 담게 된다. 이때 짧은 세로 부분은 문제가 없으나 긴 가로 부분은 밖으로 밀려나서 벌어지므로 진공 차단판이 일정한 진공 차단력을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차단판을 용기 내부로 끼워 넣을 때 패킹이 용기 내벽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내려가는데 그 접촉 면적이 많을 경우 마찰력이 커져 차단판을 누르는 힘이 많이 드는 반면에 접촉 면적을 작게 하면 누르는 힘은 경감되나 기밀성이 떨어지므로 이들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기에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진공 용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주는 진공 차단판과 패킹의 결합관계를 개선하여 패킹과 차단판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조립 방향성을 갖고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가 사각형이더라도 차단판의 패킹의 모서리부분과 일치되어 패킹이 완전 밀착되고 공기 유입이 차단되도록 한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기 본체 내 벽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내려가는 패킹의 접촉 면적을 조절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차단판의 누르는 힘은 마찰력 감소로 경감되도록 차단판의 패킹 끼움구조를 개선하여 진공 용기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 본체가 직사각형일 때 긴 가로 부분이 벌어져 차단판의 패킹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본체의 입구에 보강테를 두껍게 형성하여 차단판을 누르는 동안 본체 입구가 벌어지지 않고 패킹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직사각형 제품의 진공도가 완전하게 유지되도록 한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 진공 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진공 용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진공 차단판의 일부 발췌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용기 본체 2 : 뚜껑
3 : 진공 차단판 4 : 패킹
5 : 보강테 6 : 걸림턱
7 : 고정편 8 : 걸림구멍
9 : 배기구 10 : 손잡이부
11 : 마킹 12 : 끼움홈
13 : 상부턱 14 : 하부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기 본체 내부로 끼워지는 차단판과 차단판과 본체 사이를 막아 본체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주는 패킹으로 구성된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에 있어서, 차단판과 패킹에 다수개의 마킹을 형성하여 이들 마킹이 일치되도록 패킹과 차단판이 결합되고, 차단판을 본체에 끼워 넣으면 패킹의 모서리가 본체의 모서리와 일치되어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진공 용기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 진공 용기의 결합상태 단면도 이다. 본 고안은 모서리를 갖는 사각형의 용기 본체(1)를 완벽하게 진공 상태로 만들어 주기 위한 것이다.
용기 본체(1) 내부로 끼워지는 진공 차단판(3)은 외주면에 패킹(4)이 구비된다. 패킹(4)은 연질이면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수지 계열이다.
진공 차단판(3) 상부에는 본체(1)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기키 위한 배기구(9)가 구비되며 그 주위로 울타리를 갖는 손잡이부(1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1) 상부를 덮는 뚜껑(2)에는 본체의 상단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6)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구멍(8)을 갖는 고정편(7)이 다수개 구비된다.
진공 차단판(3)과 패킹(4)에는 다수개의 마킹(11)이 형성된다. 이들 마킹(11)은 진공 차단판(3)과 패킹(4)의 사각형 모서리 부분을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패킹(4)은 진공 차단판(3)에 조립식으로 끼워지므로 청소할 때 분리하여 이들 틈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해야 된다. 따라서 분리 조립이 빈번하게 일어나므로 이들 패킹(4)과 차단판(3)의 조립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필요가 있다.
특히 차단판(3)과 패킹(4)은 사각형 모서리 부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모서리 부분을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본체(1)의 모서리 부분에 패킹(4)의 모서리 부분이 일치되어 밀착되고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고안 진공 차단판의 일부 발췌 단면도 이다. 차단판(3)의 외주면에는 패킹(4)의 내주면이 끼워지는 끼움홈(12)이 형성되고 그 상,하단에는 패킹(4)의 상부를 누르는 상부턱(13)과 하부를 누르는 하부턱(14)이 각각 형성된다.
상부턱(13)은 차단판(3)을 누를 때 패킹(4)의 내측 상부를 눌러 패킹(4)이 본체(1) 내 벽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내려가도록 해준다. 그리고 하부턱(14)은 차단판(3)을 당겨 본체(1)에서 분리시킬 때 패킹(4) 내측 하부를 당겨 본체(1) 내 벽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올라오도록 해준다.
본 고안은 상부턱(13)이 하부턱(14) 보다 본체(1) 내 벽면에서 간격(G) 만큼 떨어져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차단판(3)을 누르면 패킹(4) 내측 상부가 그 간격(G) 만큼 덜 꺾여 본체(1) 내 벽면과의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차단판(3)을 누르는 힘이 경감된다. 그리고 상부턱(13)과 하부턱(14)의 끝단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되어 사용자가 모서리에 긁혀 다치는 일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은 본체(1)가 직사각형으로 긴 가로 부분과 짧은 세로 부분으로 구성되었을 때에도 본체 상부의 벌어짐이 방지되도록 보강테(5)가 구비된다.
본체(1)에 내용물을 많이 담으면 긴 가로 부분이 밖으로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때 보강테(5)가 벌어지는 현상을 막아주어 패킹(4)과 본체(1)의 내 벽면과의 사이에 벌어짐이 방지되도록 해준다. 모든 용기는 보강테가 있으나 본 고안의 본체(1)는 진공 차단판(3)이 내재된 것이므로 본체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를 두껍게 하거나 또는 강한 재질로 해야 된다.
그러나 본체를 두껍거나 강한 재질로 할 경우 경제성이 없으므로 본 고안은 본체(1)의 일부인 입구에 두껍고 강한 재질의 보강테(5)를 두어 입구의 벌어짐을 차단하여 본체의 내 벽면과 패킹(4) 사이의 벌어짐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패킹(4)과 차단판(3)을 결합할 때 이들에 형성된 마킹(11)을 일치시키면 패킹과 차단판의 모서리 부분이 정확하게 일치되므로 결국 패킹(4)과 본체(1)의 모서리가 일치되고 많은 양을 눌러 담았을 때에도 긴 가로 부분으로 본체가 벌어지지 않아 일정한 진공도를 유지하면서 공기 유입이 차단되고 본체의 진공 정도가 향상된다.
본 고안의 진공 차단판(3)에는 배기구(9)가 형성되므로 차단판을 누르는 동안 본체(1) 내부의 공기가 배기된다. 그리고 차단판이 완전히 내려와 정지되면 배기구(9)를 막아 본체(1) 내부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시켜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다.
차단판(3)의 상부에는 배기구(9)를 감싸는 울타리형 손잡이부(10)가 구비되므로 차단판(3)을 누르는 과정에서 본체(1)의 내용물이 배기구(9)를 통하여 배출되더라도 손잡이부(10)에 고여 넘치는 일이 방지되므로 본체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의 상단에는 보강테(5)가 형성되므로 차단판(3)을 누르는 동안 본체가 벌어지지 않아 기밀이 유지된다. 보강테(5)는 본체가 직사각형일 때 긴 가로 부분과 차단판(3)의 패킹(4)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체를 강하고 두꺼운 재질로 하지 않더라도 보강테(5)에 의해 본체(1)의 내 벽면과 패킹(4) 사이가 벌어지지 않으므로 경제적이고 또한 진공도가 유지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차단판(3)에는 패킹(4)의 내측 상부를 누르는 상부턱(13)이 하부턱(14) 보다 간격(G)만큼 작게 형성되므로 차단판을 누르는 동안 패킹(4)의 내측 상부가 그 간격(G) 만큼 덜 꺾여 본체(1) 내 벽면과의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차단판(3)을 누르는 힘이 경감된다. 그리고 마찰력이 적게 작용하므로 차단판을 누르는 동안 패킹(4)이 차단판(3)에서 벗겨지는 일이 방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 내부로 끼워지는 차단판과 패킹의 결합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사각형의 모서리 부분이 정확하게 일치된 상태로 패킹과 차단판이 결합된다.
따라서 차단판을 본체 내부로 밀어 넣으면 패킹의 모서리 부분과 본체의 모서리 부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며 많은 양을 담았을 때 긴 가로 부분의 본체가 밖으로 벌어지지 않으므로 기밀성이 유지되어 본체의 진공 정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본체 입구에 두껍고 강한 재질의 보강테가 일부 형성되어 패킹과 본체 내 벽면 사이가 벌어지지 않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차단판에서 패킹을 잡아주는 상,하부턱의 간격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차단판을 누르면 상부턱에서 패킹이 벗겨지지 않으면서 충분한 진공도를 유지한 상태로 차단판을 누르는 힘이 경감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용기 본체(1) 내부로 끼워지는 차단판(3)과 차단판(3)과 본체(1) 사이를 막아 본체(1)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주는 패킹(4)으로 구성된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에 있어서,
    차단판(3)과 패킹(4)에 다수개의 마킹(11)을 형성하여 이들 마킹(11)이 일치되도록 패킹(4)과 차단판(3)이 결합되고,
    차단판(3)을 본체(1)에 끼워 넣으면 패킹(4)의 모서리가 본체(1)의 모서리와 일치되어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차단판(3)의 외주면에 패킹(4)이 끼워지는 끼움홈(12)을 갖는 상부턱(13)과 하부턱(14)이 형성되고,
    상부턱(13)은 하부턱(14) 보다 간격(G) 만큼 작게 돌출 형성되어 패킹(4)이 본체(1) 내 벽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내려갈 때 그 간격(G) 만큼 덜 꺾여 마찰력이 감소되어 패킹(4)이 벗겨지지 않고 차단판(3)의 누르는 힘이 경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1)는 세로가 짧고 가로가 긴 직사각형으로 구성되고,
    본체(1)의 긴 가로 부분의 내벽과 패킹(4) 사이가 벌어져 진공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두껍고 강한 재질의 보강테(5)가 본체(1)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
KR20-2003-0027516U 2003-08-27 2003-08-27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 KR200337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516U KR200337450Y1 (ko) 2003-08-27 2003-08-27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516U KR200337450Y1 (ko) 2003-08-27 2003-08-27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450Y1 true KR200337450Y1 (ko) 2004-01-07

Family

ID=4934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516U KR200337450Y1 (ko) 2003-08-27 2003-08-27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4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907B1 (ko) * 2007-02-26 2008-05-09 김용만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KR100837364B1 (ko) 2007-07-12 2008-06-12 홍성철 내부를 밀폐시키는 압착판을 갖는 밀폐용기
KR101625494B1 (ko) 2014-12-12 2016-05-31 주식회사 에어제로 진공 밀폐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907B1 (ko) * 2007-02-26 2008-05-09 김용만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KR100837364B1 (ko) 2007-07-12 2008-06-12 홍성철 내부를 밀폐시키는 압착판을 갖는 밀폐용기
KR101625494B1 (ko) 2014-12-12 2016-05-31 주식회사 에어제로 진공 밀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73488A1 (en) Vacuum receptacle lid for easy sealing
CA2325149A1 (en) Latch arrangement for a vacuum cleaner dirt receptacle
KR20120064058A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USD460545S1 (en) Air freshener
KR200337450Y1 (ko)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
KR20070120007A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200425701Y1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101090312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USD468567S1 (en) Moist wipes container
KR101063241B1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KR200406688Y1 (ko) 밀폐용기
KR102283157B1 (ko)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1820201B1 (ko) 감염성 폐기물용 밀폐용기
KR101082427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KR100828907B1 (ko)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KR20040081086A (ko) 음식물 보관용기
KR200261828Y1 (ko) 밀폐용기용 뚜껑
WO1990004339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ragrance containers
KR200286542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101927704B1 (ko) 뚜껑의 개폐 구조
CN210472334U (zh) 一种医疗骨科假体专用吸塑盒
KR200406687Y1 (ko) 밀폐용기
KR100655513B1 (ko) 가압방식 액체주출용 뚜껑
KR200318846Y1 (ko) 음식물 보관용기
KR100545248B1 (ko) 풀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