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233Y1 - 유아용 식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233Y1
KR200486233Y1 KR2020170004106U KR20170004106U KR200486233Y1 KR 200486233 Y1 KR200486233 Y1 KR 200486233Y1 KR 2020170004106 U KR2020170004106 U KR 2020170004106U KR 20170004106 U KR20170004106 U KR 20170004106U KR 200486233 Y1 KR200486233 Y1 KR 200486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arc
shaped guide
guide unit
table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문식
Original Assignee
함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문식 filed Critical 함문식
Priority to KR2020170004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2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2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 A47G2200/046For person with a handicap of holding or grasping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유아용 식기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유아용 식기는, 음식물이 담기는 음식물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식기 몸체, 상기 식기 몸체의 상단부에 일측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식기 몸체의 내벽에 홈(groove) 형태로 가공되되 상기 음식물 수용공간 내의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풀 수 있도록 숟가락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식기{Tableware for infant}
본 고안은, 유아용 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큰 요령이 없더라도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풀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아의 자립적인 성장에도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는 유아용 식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는 밥이나 국, 반찬 등의 음식물을 담는 그릇의 총칭이다. 사이즈에 따라 어른용과 유아용으로 구분되며, 재질적으로도 여러 종류의 것들이 공지되어 있다.
밥이나 국을 담는 용도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어른용 식기는 단순히 내부가 빈 보울(bowl) 형상을 갖는데 반해 유아용 식기는 여러 가지 독특한 형상을 갖는다. 이는 유아에게 호기심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이 좀 더 효과적으로 퍼질 수 있게끔 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은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유아용 식기가 제안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아들은 숟가락질이 익숙치 않기 때문에 음식물을 잘 푸지 못한다. 따라서 요령 없이 음식물을 푸다보면 번번이 흘리는 경우가 잦다.
이에,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유아용 식기가 제안되고 있기는 하지만 현존하는 유아용 식기의 경우, 구조 대비 효과가 다소 떨어진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유아용 식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2329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1180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0867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09387호
본 고안의 목적은, 큰 요령이 없더라도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풀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아의 자립적인 성장에도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는 유아용 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음식물이 담기는 음식물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식기 몸체; 상기 식기 몸체의 상단부에 일측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식기 몸체의 내벽에 홈(groove) 형태로 가공되되 상기 음식물 수용공간 내의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풀 수 있도록 숟가락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부는 선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홈부는 상기 손잡이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 벽체에 마련되며, 내면이 아크(arc) 형상의 가이드면을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 홈부를 따라 이동되는 숟가락을 최종적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음식물이 상기 숟가락 상에 올려져 배치되게 유도하는 아크형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형 가이드 유닛에는 착탈식 돌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 벽체에는 상기 착탈식 돌기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식 돌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큰 요령이 없더라도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풀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아의 자립적인 성장에도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평면 구조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평면 구조도, 도 2는 도 1의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100)는 큰 요령이 없더라도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풀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아의 자립적인 성장에도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유아용 식기(100)는 식기 몸체(1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도면을 보면 식기 몸체(110)가 바닥에서 상부의 개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다. 즉 식기 몸체(110)는 상부와 하부의 면적이 동일한 실린더 타입(cylinder type)일 수도 있다.
식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담기는 음식물 수용공간(111)이 형성된다. 음식물 수용공간(111)에 음식물, 즉 밥이나 국, 반찬 등의 음식물이 담겨 수용될 수 있다.
식기 몸체(110)의 일측에는 손잡이부(130)가 형성된다. 손잡이부(130)는 식기 몸체(110)의 상단부에 일측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유아가 잡는 부분으로 활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100)에는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가이드 홈부(120)가 마련된다.
가이드 홈부(120)는 식기 몸체(110)의 내벽에 홈(groove) 형태로 가공되되 음식물 수용공간(111) 내의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풀 수 있도록 숟가락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홈부(120)는 선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나 스트레이트 형상을 갖을 수 있으며, 손잡이부(130) 내에 배치된다.
이처럼 손잡이부(130) 내에 홈 형태의 가이드 홈부(120)가 형성되면 이 부분을 통해 숟가락을 가이드하면서 음식물을 푸면 되기 때문에 큰 요령이 없더라도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풀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큰 요령이 없더라도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풀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아의 자립적인 성장에도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200) 역시, 음식물 수용공간(111)이 내부에 형성되는 식기 몸체(110)의 상단부 일측에 손잡이부(130)가 형성되고, 손잡이부(130) 내에 숟가락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부(12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손잡이부(130)의 상단부 벽체에는 아크형 가이드 유닛(240)이 더 갖춰진다.
아크형 가이드 유닛(240)은 내면이 아크(arc) 형상의 가이드면(241)을 형성하되 가이드 홈부(120)를 따라 이동되는 숟가락을 최종적으로 가이드하여 음식물이 숟가락 상에 올려져 배치되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아크형 가이드 유닛(240)이 형성되면 음식물을 흘리지 않도록 하는 것에 더하여 음식물이 숟가락에 잘 올려지게끔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아크형 가이드 유닛(240)은 손잡이부(130)의 상단부 벽체에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큰 요령이 없더라도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풀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아의 자립적인 성장에도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300) 역시, 음식물 수용공간(111)이 내부에 형성되는 식기 몸체(110)의 상단부 일측에 손잡이부(130)가 형성되고, 손잡이부(130) 내에 숟가락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부(12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손잡이부(130)의 상단부 벽체에는 아크형 가이드 유닛(340)이 갖춰진다. 이때, 아크형 가이드 유닛(340)은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달리 착탈식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아크형 가이드 유닛(340)에는 착탈식 돌기부(341)가 마련되고, 손잡이부(130)의 상단부 벽체에는 착탈식 돌기부(34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식 돌기홈(34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아크형 가이드 유닛(340)이 착탈식으로 마련되면 필요할 때만 아크형 가이드 유닛(340)을 결합시켜 사용하면 되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 역시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큰 요령이 없더라도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풀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아의 자립적인 성장에도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400) 역시, 음식물 수용공간(111)이 내부에 형성되는 식기 몸체(110)의 상단부 일측에 손잡이부(130)가 형성되고, 손잡이부(130) 내에 숟가락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부(12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손잡이부(130)의 상단부 벽체에는 착탈식 구조의 아크형 가이드 유닛(440)이 갖춰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아크형 가이드 유닛(340)에는 아크형 길이 가변부재(450)가 더 마련된다. 아크형 길이 가변부재(450)는 마치 안테나와 같은 텔레스코픽 바아 형상을 가지며, 아크형 가이드 유닛(440) 내로 들어가거나 아크형 가이드 유닛(44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숟가락의 이동을 더 보조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큰 요령이 없더라도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풀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아의 자립적인 성장에도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500) 역시, 음식물 수용공간(111)이 내부에 형성되는 식기 몸체(110)의 상단부 일측에 손잡이부(130)가 형성되고, 손잡이부(130) 내에 숟가락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부(12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손잡이부(130)의 상단부 벽체에는 일체형 구조의 아크형 가이드 유닛(240)이 갖춰진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손잡이부(130)의 일측에는 고리부(550)가 형성된다. 고리부(550)는 손가락을 걸어 파지할 때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500)을 걸어둘 때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큰 요령이 없더라도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풀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아의 자립적인 성장에도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600) 역시, 음식물 수용공간(111)이 내부에 형성되는 식기 몸체(110)의 상단부 일측에 손잡이부(130)가 형성되고, 손잡이부(130) 내에 숟가락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부(12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손잡이부(130)의 상단부 벽체에는 일체형 구조의 아크형 가이드 유닛(240)이 갖춰진다.
도면을 참고하면, 식기 몸체(110)의 바닥은 가이드 홈부(120)의 반대편에서 가이드 홈부(120) 쪽으로 경사가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를 낮아지는 경사면(611)을 이루도록 구성하면 음식물 수용공간(111) 내의 음식물을 모아 퍼 담기에 유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큰 요령이 없더라도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풀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아의 자립적인 성장에도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도 10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700) 역시, 음식물 수용공간(111)이 내부에 형성되는 식기 몸체(110)의 상단부 일측에 손잡이부(130)가 형성되고, 손잡이부(130) 내에 숟가락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부(12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손잡이부(130)의 상단부 벽체에는 일체형 구조의 아크형 가이드 유닛(240)이 갖춰진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식기 몸체(110)의 측벽, 즉 손잡이부(130)가 위치되는 식기 몸체(110)의 측벽에는 내부 관찰을 위한 관찰창(712)이 형성된다. 관찰창(712)은 통공(711)에 투명 재질의 아크릴판이 결합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찰창(712)이 마련되면 숟가락이 이동되는 궤적을 외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큰 요령이 없더라도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풀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아의 자립적인 성장에도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다.
(제8 실시예)
도 11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평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800) 역시, 음식물 수용공간(811)이 내부에 형성되는 식기 몸체(810)를 구비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식기 몸체(810)에는 각각 한 쌍씩의 제1 및 제2 손잡이부(830a,830b), 그리고 제1 및 제2 가이드 홈부(820a,820b)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손잡이부(830a,830b)의 사이즈는 동일할 수 있으나 제1 및 제2 가이드 홈부(820a,820b)의 사이즈는 상이하다. 예컨대, 제1 가이드 홈부(820a)의 사이즈가 제2 가이드 홈부(820b)의 사이즈보다 크다.
본 실시예와 같은 경우에는 숟가락의 사이즈에 맞게 그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홈부(820a,820b)를 통해 음식물을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풀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큰 요령이 없더라도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풀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아의 자립적인 성장에도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유아용 식기 110 : 식기 몸체
111 : 음식물 수용공간 120 : 가이드 홈부
130 : 손잡이부

Claims (4)

  1. 삭제
  2. 음식물이 담기는 음식물 수용공간(111)이 내부에 형성되고, 바닥에서 상부의 개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는 형상의 식기 몸체(110);
    상기 식기 몸체(110)의 상단부에 일측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손잡이부(130);
    상기 손잡이부(130)의 내벽에 선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홈(groove) 형태로 가공되되 상기 음식물 수용공간(111) 내의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풀 수 있도록 숟가락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부(120);
    상기 손잡이부(130)의 상단부 벽체에 마련되며, 내면이 아크(arc) 형상의 가이드면(241)을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 홈부(120)를 따라 이동되는 숟가락을 최종적으로 가이드하여 음식물이 숟가락 상에 올려져 배치되게 유도하는 아크형 가이드 유닛(340)을 포함하되,
    상기 아크형 가이드 유닛(340)의 하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된 착탈식 돌기부(341)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130)의 상단부 벽체에는 상기 착탈식 돌기부(34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착탈식 돌기홈(342)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형 가이드 유닛(340) 상부에는 안테나와 같은 텔레스코픽 바아 형상을 가지며, 아크형 가이드 유닛(340) 내로 들어가거나 아크형 가이드 유닛(34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숟가락의 이동을 보조하는 아크형 길이 가변부재(450)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기.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4106U 2017-08-04 2017-08-04 유아용 식기 KR200486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106U KR200486233Y1 (ko) 2017-08-04 2017-08-04 유아용 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106U KR200486233Y1 (ko) 2017-08-04 2017-08-04 유아용 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233Y1 true KR200486233Y1 (ko) 2018-04-19

Family

ID=6207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106U KR200486233Y1 (ko) 2017-08-04 2017-08-04 유아용 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2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299Y1 (ko) 2021-12-14 2022-12-23 함문식 유아용 식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807A (ko) 1999-07-30 2001-02-15 윤종용 세탁기의 탈수조 발란스장치
KR20030008674A (ko) 2001-07-19 2003-01-29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광섬유 편광자
KR20040009387A (ko) 2002-07-23 2004-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 요크의 드리프트 방지 구조
KR20040023298A (ko) 2002-09-11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패드부 식각 방법
KR20120009055A (ko) * 2010-07-22 2012-02-01 박진서 용기의 국물 튐 방지용 보호막
KR101363988B1 (ko) * 2013-01-25 2014-02-20 김성훈 음식물 흘림 방지구
KR200472619Y1 (ko) * 2011-04-04 2014-05-09 장창빈 식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807A (ko) 1999-07-30 2001-02-15 윤종용 세탁기의 탈수조 발란스장치
KR20030008674A (ko) 2001-07-19 2003-01-29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광섬유 편광자
KR20040009387A (ko) 2002-07-23 2004-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 요크의 드리프트 방지 구조
KR20040023298A (ko) 2002-09-11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패드부 식각 방법
KR20120009055A (ko) * 2010-07-22 2012-02-01 박진서 용기의 국물 튐 방지용 보호막
KR200472619Y1 (ko) * 2011-04-04 2014-05-09 장창빈 식기
KR101363988B1 (ko) * 2013-01-25 2014-02-20 김성훈 음식물 흘림 방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299Y1 (ko) 2021-12-14 2022-12-23 함문식 유아용 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8641B1 (en) Holding assembly
US2979267A (en) Drinking tube
WO2006078413A2 (en) Container with measuring device holding means
JP2004503224A (ja) 動物の餌入れ容器
EP2474482A1 (en) Container with improved opening system
KR200486233Y1 (ko) 유아용 식기
KR200496299Y1 (ko) 유아용 식기
US20150265081A1 (en) Serving utensils
KR102181150B1 (ko) 파스타면 감김부가 구비된 다기능 젓가락
CN209376935U (zh) 一种便携套装餐具盒
US2503276A (en) Bait container
KR200424268Y1 (ko) 수저통
JP2020108755A (ja) キッチンツールホルダー
US20120145865A1 (en) Pot and utensil rest
US1108813A (en) Spoon.
KR200457212Y1 (ko) 탈부착의 냄비용 국물배출기
JP2018020034A (ja) 包丁収納部付小物入れかご
KR101908860B1 (ko)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TWM645819U (zh) 具有弧狀溝槽的湯匙
JP6888197B1 (ja) キッチンツールホルダー
KR101872849B1 (ko) 유아용 식기 보조장치
KR102084911B1 (ko) 주방용 조리기구의 손잡이 구조
KR200342168Y1 (ko) 계량스푼의 보관 및 거취 사용이 용이한 분유통
ES2541813A1 (es) Accesorio para envases que incorpora un utensilio desechable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