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619Y1 - 식기 - Google Patents

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619Y1
KR200472619Y1 KR2020120002347U KR20120002347U KR200472619Y1 KR 200472619 Y1 KR200472619 Y1 KR 200472619Y1 KR 2020120002347 U KR2020120002347 U KR 2020120002347U KR 20120002347 U KR20120002347 U KR 20120002347U KR 200472619 Y1 KR200472619 Y1 KR 200472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food
container
tableware
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058U (ko
Inventor
장창빈
Original Assignee
장창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창빈 filed Critical 장창빈
Priority to KR2020120002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61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0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6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나 간호가 필요한 자가 스푼, 포크, 젓가락 등을 사용하여 용기 내에 수용된 식품을 혼자서 능숙하게 건져 올리거나, 집어 올려 용이하게 식사를 할 수 있고, 집다 남기는 것이 지극히 적고, 세정이 용이하고, 게다가 학습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식기를 제공한다.
상방이 개구되고 바닥이 있는 형상을 이루고, 개구 가장자리부(8), 측부(6) 및 바닥부(22)를 가지는 식품 수용부(2)에는 상기 측부(6)의 일부의 평면 투영 형상이 V자 모양으로 형성된 협착 부위(21)를 가지는 식기이다.

Description

식기{Tableware}
본 고안은, 특히 유아 혹은 장애인, 노인 등 식기의 사용이 곤란한 사람의 사용에 적합한 접시 모양 내지 사발 모양의 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간호 시설이나 병원 등에서 식사용 식기로서 용기의 가장자리나 측벽을 용기의 안쪽으로 접어 구부려서 형성한 식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 07-275301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상부 개구부가 한쪽의 측으로 경사하고, 또한, 측벽부가 내측으로 경사지고, 또한, 바닥부의 하면이 미끄럼 방지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함으로써, 정상인은 물론, 특히 간호가 필요한 자 등이 사용하기 쉽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상부 개구부(1a)가 바닥부(2a)를 이루는 평면(L1)에 대해서 각(α1)만큼 경사지고, 내측으로 만곡한 날밑부(12a)를 구비하고, 또한, 측벽(3a)이 평면(L1)에 수직인 입면(V1)에 대해서 내측으로 각(β1)만큼 경사지고, 또한, 바닥부(2a)의 하부에 볼록 형성한 재치부(21a)에 미끄럼 방지 부재(22a)가 점착된 도자기제의 사발(S1)로 되어 있어, 식탁 등에 안정되게 재치하고, 스푼 등을 용이하게 넣어 구석으로 이동시켜, 내부의 음식인 스프 등을 용이하게 건질 수 있도록 한 식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2-240858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간호가 필요한 자나 유아가 스푼을 사용해 혼자서 용기 내의 식품을 건져 올리고 식사를 할 수 있는 저비용의 식사용 보조 용기와, 이 용기를 이용한 식품의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상방 개구한 용기 본체(1)의 주벽(3)이 적어도 한쪽을 용기 본체(1)의 안쪽에 원호 모양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고, 이 굴곡 주벽(3)은 그 외주의 접선이 수평 방향이 되는 위치까지 연장하고, 또한, 용기 본체(1)의 바닥부 이면에는 패인 부분(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용 보조 용기로 한다. 또한, 이 용기 본체(1)에 간호용 식품(2)을 수용하고 용기 본체(1)의 상방 개구부를 덮개재(7)로 박리 가능하게 접착한 덮개로 이루어지는 식품의 포장체(A)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6-271921호 공보(특허문헌 3)에는 유아나 노인, 신체장애자 중 손이 부자유스러운 사람이 식사를 할 경우에, 각각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스푼 등을 이용할 때, 복수 종류의 음식이 접시 위에서 섞이는 일 없이 재치할 수 있게 조합된 접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조합된 접시(1)는 큰 접시(2)와 작은 접시(4)를 포함한다. 큰 접시(2)는 주벽부(2b)와, 바닥면(2a)과, 주벽부(2b) 상부의 장착부(2c)에 장착되는 반R 형상 커버(3)를 포함한다. 작은 접시(4)는 큰 접시(2)의 바닥면(2a)과 주벽부(2b)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접시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실용등록 3003312호 공보(특허문헌 4)에는, 유아는 물론, 손끝이 부자유·서투른 사람이라도 용이하게 접시 위의 입상물 등을 건져 올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접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접시(1)의 가장자리부(2)에, 접시(1)의 내측으로 향하는 구부러진 가장자리(3)를 형성한다. 이에 의하여, 스푼 등을 이 구부러진 가장자리(3)의 경사에 따라 건져 올리면, 접시 위에 담긴 입상물 등은 이 구부러진 가장자리(3)의 경사에 따라 들어올릴 수 있어 자중(自重)에 의해서 스푼 안으로 굴러 떨어진다. 이 때문에, 유아는 물론, 손끝이 부자유·서투른 사람이라도 용이하게 접시 위의 입상물 등을 건져 올릴 수 있는 접시가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이러한 식기들은 단지 그 용기 주변벽을 안쪽으로 구부려 경사시킨 형상으로 하는 것에 그칠 뿐이므로, 스푼 등으로 식품을 건져 올릴 때의 건져 올리기의 보조로는 되지만, 식기 내의 식품을 깨끗이 집어 없애는 구조까지는 고려되지 않아서, 유아나 중증의 장애인 등과 같이 식기의 사용이 곤란한 사람에 대한 보조 효과로서는 불충분하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은 사람이 식사하는 경우에는 여전히 부모나 간병인이 보좌하지 않으면 식기 내의 식품을 깨끗이 먹을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일본국 특개 2010-240368호 공보(특허문헌 5)에는 큰 접시나 중간 접시로 다양한 식재를 함께 담았을 때 국물이 접시의 바닥부에 고여 전체를 국물에 젖게 하여 마른 식재까지 국물 같아져 식감을 나쁘게 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부채꼴 모양으로 경사를 주어 그 양측면을 높게 한 경사 접시 리시버를, 접시와 테이블 사이의 한 곳에 두어 접시를 경사시킴으로써 접시 전체를 기울게 하여 국물을 접시의 바닥부 일부에 모음으로써 국물과 마른 식재를 함께 담아도, 마른 식재가 국물 같이 되지 않아 식감을 해치지 않고 먹을 수 있는 경사 접시 리시버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실용등록 3162865호 공보(특허문헌 6)에는, 여분의 간장에 포함되는 염분이나 지방을 낮은 곳으로 흘려서, 고혈압, 고콜레스테롤을 방지하여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되는 경사진 접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접시에 음식을 얹는 곳을 비스듬하게 하는 경사진 접시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실용등록 3116777호 공보(특허문헌 7)에는 담아진 식재로부터 기름(또는 국물)을 다소 분리시키고,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보다 적은 유분(또는 국물)의 식재를 먹을 수 있는 접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접시 바닥의 형상을 수평이 아닌 비스듬한 약간의(약 5% 정도) 경사를 주는 접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5 내지 특허문헌 7에 개시된 접시는 고형분과 국물분을 분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식품을 건져 올릴 때의 보조 기능에 관해서는 일절 고려되어 있지 않다. 게다가, 특허문헌 5는 접시와는 별개로 경사 접시 리시버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어 사용하기에도 불편하다.
일본국 특개평 07-275301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2-240858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6-271921호 공보 일본국 실용등록 3003312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10-240368호 공보 일본국 실용등록 3162865호 공보 일본국 실용등록 3116777호 공보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나 간호가 필요한 자가 스푼, 포크, 젓가락 등을 사용하여 용기 내에 수용된 식품을 혼자서도 능숙하게 건져 올리거나, 집어 올리게 하여 용이하게 식사를 할 수 있어, 집다가 남기는 것이 지극히 적고, 세정이 용이하고, 게다가 학습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자들은, 식기 내에 수용된 식품을 능숙하게 떠올릴 수 있는 형상에 대해 여러 가지의 검토를 실시하여, 식기 측벽의 형상과 바닥부의 형상, 또한 개구부 가장자리의 형상을 최적화시키는 것이 유효한 것을 찾아내었다.
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으로 하였다.
(1) 상방이 개구되어 있고 바닥이 있는 형상을 이루고, 개구 가장자리부, 측부 및 바닥부를 가지는 식품 수용부에는 상기 측부 중 일부의 평면 투영 형상이 V자 모양으로 형성된 협착 부위를 가지는 식기.
(2) 상기 바닥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평면에 대해 구배를 가지고, 상기 협착 부위로 향하여 경사하는 상기 (1)의 식기.
(3) 상기 협착 부위에 있어서의 측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개구부 또는 그 근방에서 용기 내측으로 향한 경사 또는 만곡한 오버행 구조를 가지는 상기 (1) 또는 (2)의 식기.
(4) 상기 협착 부위는 개구부 부근의 제2 V자 영역과 안쪽 부분 근처의 제1 V자 영역을 조합한 V자 모양 영역에 있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식기.
(5) 상기 협착 부위에는, 표식이 부여된 상기 (1) ~ (4) 중 어느 식기.
본 고안에 의하면, 식기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없는 유아나 소아 혹은 노인, 장애인 등이라도 용이하게 면류 등의 얇고 긴 상태의 식품을 집을 수 있어 편하게 식사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의 식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의 식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의 식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의 식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의 식기를 나타낸 평면도로, V자 모양 영역의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의 식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고안의 식기는 상방으로 크게 개구되고 바닥이 있는 접시 모양 내지 사발 모양의 용기이며, 개구 가장자리부, 측부 및 바닥부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손잡이가 설치된다. 용기 전체의 평면 투영 형상, 즉 외주의 형상은 원형 내지 타원형 또는 이것들을 변형시킨 형상이며, 내부의 식품 수용부, 즉 용기 내부의 형상은 둥근 모양을 띄는 삼각형 또는 부채꼴형에 가까운 것이다. 즉, 용기 내부인 식품 수용부의 측부 일부가 평면 투영 형상이 V자 모양의 V자 모양 영역을 가진다. 이 V자 모양 영역은, 예를 들어 둥근 용기에 인접하는 2개소의 원호 부분이 내측으로 향해 오목하게 변형되어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V자 모양의 좁아진 안쪽 부분이 협착 부위가 되고, 이 부분에 식품을 모아 집적시킴으로써 식품의 건져 올리기가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건지다 남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식기는 바닥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평면에 대해 구배를 가지고 상기 V자 모양의 협착 부위로 향해 경사져 있다. 이러한 경사를 갖게 함으로써, 식품을 모으기 더욱 쉬워진다.
상기 V자 모양 영역은 개구부에 가까운 제2 V자 영역 부위와 안쪽 부분에 가까운 제1 V자 영역 부위로 구성하여도 좋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식품의 집적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협착 부위에 표식을 형성함으로써, 유아에게도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어, 식사 지도 시의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식기는 상기 V자 모양의 협착 부위의 측부 중 적어도 일부가 개구부 또는 그 근방에서 용기 내측을 향해 구부러지도록 경사 또는 만곡한 오버행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경사나 만곡에 의한 오버행을 가짐으로써, 식품을 건져 올리기가 더욱 쉬워진다. 오버행은 가장자리부 단면의 접선이 수평 방향 또는 그것보다 하방으로 향하는 구조로 하면 좋다.
(실시예 1)
다음으로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본 고안의 제 1 양태에 대응한다. 여기서, 도 1은 실시예 1의 식기의 평면, 도 2는 정면도, 도 3은 측면도, 도 4는 A-A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본 고안의 식기(1)는 약간 변형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외형을 이루고, 상방으로 크게 개방된 접시 모양 또는 사발 모양의 용기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외형은 주로 바깥 가장자리(7)에 의해 형성되고,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8)에서 바깥 가장자리(7)까지는 날밑 형상의 윗 가장자리부(9)를 형성한다. 개구 가장자리부(8)로부터 완만하게 내부로 향하여 만곡한 측부(6)가 바닥부로 향하여 형성되고, 또한, 연속 경사를 가지는 바닥부(6)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식품 수납부(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 가장자리(8)와 바깥 가장자리(7)의 형상은 이 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이하지만, 윗 가장자리부(9)의 폭에 의해 조정되어, 일반적인 접시 등의 식기와 같이 대칭성이 있는 외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측부(6)와 바닥부(22)에 의해 형성되는 식품 수용부(2)의 형상은 둥근 모양을 띄는 삼각형 또는 원형의 일부를 잘라낸 부채꼴형에 가깝다. 용기 측부의 인접하는 2개소는 원호가 내측으로 향해 오목하게 변형된 직선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것들 2개의 측부에 의해 V자 모양의 영역을 형성하고, 그 안쪽 부분이 협착 부위(21)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V자 모양의 영역은 도시한 예와 같이 2 단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V자 개구부에 가까운 부분을 제2 V자 영역(61)으로 하고, V자 안쪽 부분에 가까운 영역을 제1 V자 영역(62)에 형성하면 좋다. 이 경우 각각의 각도는 예각이 둔각보다 작은 각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V자 영역이 중심에 대한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θ2=35 ~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θ2=40 ~ 45°, 제1 V자 영역이 중심에 대한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θ1=15 ~ 34°, 보다 바람직하게는 θ1 = 20 ~ 30° 정도이다. 이와 같이 2 단계로 형성함으로써, 식품을 모으기가 보다 쉬워진다.
이 V자 모양의 영역은 2 단계로 형성되었을 경우, 그 개구각 θ2, θ1에 따라, 측부(61, 62)가 형성되고, 제2 V자 영역에 대응한 측부(61)보다 제1 V자 영역에 대응한 측부(62)가 보다 급경사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V자 모양 영역의 협착부(21)에 대응하는 측부를 급준한 경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식품의 건져 올리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V자 모양 영역의 가장 안쪽 부분 측면이 가장 급격한 각도, 혹은 큰 곡률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측부의 면 중에서 가장 수직에 가깝고, 단면이 곡선인 경우의 곡률은 30 ~ 50°정도이다.
V자 모양 영역의 가장 안쪽 부분의 측부(63)는 평면 투영 형상이 예각인 삼각형이 아니라, 곡선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선으로 함으로써 숟가락이나 포크, 젓가락 등의 식기를 이용하여 식품을 건지거나, 집거나 하는 조작이 용이하게 되어, 세정도 용이하고 잔반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이 V자 모양 영역의 가장 안쪽 부분의 측부(63)는 개구 가장자리부(8)에 있어 용기 내부 방향으로 경사 내지 만곡된다. 이와 같이 용기 내부로 향해 경사 내지 만곡시킴으로써, 식품의 건져 올리기 등의 섭취 조작이 더욱 용이하게 되어, 흘리는 것도 적게 된다. 이 경사 내지 만곡은 개구 가장자리부(8)이 용기 내부로 향해서 오버행하도록, 오버행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면 좋고, 특별히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평균 용기 두께의 2 ~ 6배 정도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좋고, 만곡시키는 경우에는 곡률 0.5 ~ 10 mm정도이다.
용기 바닥부(22)는 상기 협착부로 향하여 약간 경사진다. 이 경사는 단면을 나타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V자형 협착부(21)와 대향하는 측부(6)와 일체로 만곡하는 바닥부(22)로부터 완만한 곡선과 경사에 의해 점차 협착부(21)로 향해 깊어지도록 경사진다. 즉, V자형 협착부(21)와 대향하는 측부(6)로부터 협착부(21)로 향해 점차 경사율이 증가하도록 형성하면 좋다. 특히, 상기 단면에서 바닥부(22)의 중앙부로부터 V자형 협착부(21)와 대향하는 측부(6) 사이의 평균 경사각은 수평면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4 ~ 7°,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6°, 중앙부로부터 V자형 협착부(21) 사이의 평균 경사각은 수평면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7.5 ~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9°이다. 또한, 이것과 직각하는 방향의 바닥부(22) 경사각도 동일한 경사율로 형성하면 좋다.
상기 V자형 협착부(21)와 대향하는 측부(6)와 바닥부(22) 사이의 단면 곡선은 바람직하게는 곡률 20 ~ 4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곡률 25 ~ 35 mm 정도이다. 또한, 상기 협착부(21)와 측부(6) 사이의 단면 곡선은, 바람직하게는 곡률 10 ~ 19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곡률 13 ~ 16 mm 정도이다.
바닥부(22)의 일부나 측부(6)의 일부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복수의 볼록 구조(23a)나 요철 구조로 이루어진 요철부(23)를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요철부(23)를 형성함으로써, 식품을 갈아서 으깨거나, 식품의 덩어리를 분할하거나, 붕괴시키거나 해서 먹기 쉽게 할 수 있어서, 이유식이 필요한 유아나, 씹는 것이 곤란한 노인이나 장애인에게 극히 유효하다. 상기 요철부(23)는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예와 같이 협착부(21)와 대향하는 측의 바닥부 내지 측부의 일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넓이는 식품을 갈아 으깨는 등의 작업에 필요한 크기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식품 수납부(2)의 평면 투영 면적의 1/6 ~ 1/2 정도로 하면 좋다.
본 고안의 용기는 손잡이(3, 4)를 더 가지고 있어도 좋다. 손잡이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용기를 고정하여 식사하는 동작이 용이하게 된다. 손잡이(3, 4)는, 도시예에서는 상기 V자형 협착부(21)가 있는 측부(6)와, 이것과 대향하는 측부(6)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필요한 개소에, 필요한 수를 형성하면 좋다. 또한, 도시예의 손잡이(3, 4)의 형상은, 용기 윗 가장자리(9)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만곡부(31, 41)로 만곡하면서 하부로 늘어지고, 약간 재치면 위로부터 상방의 단부(32, 42)에서 종단하는 형상이다. 또한, 손잡이(3, 4)는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컵 등에 이용될 수 있는 바퀴형이어도 좋고, 하단이 접지하도록 하여 안정성을 높인 형상이어도 좋다.
용기(1)의 하부에는 사절 형상의 다리부(5)가 형성된다. 이 다리부(5)는 도시예에서는 하방으로 향해 확경하고, 하방으로 열린 원통형과 같은 형상이고, 용기 측부 외주와 같거나 약간 작은 외형 치수가 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용기는 상기 협착부(21)에 채색이나 모양 등의 표식을 부여하여도 좋다. 이러한 표식을 마련함으로써, 특히 유아가 이 표식을 의지하여 식품을 모으기 쉬워져, 식사 지도가 용이하게 되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인 표식으로써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동그라미, 사각, 삼각, 별 모양 등의 간단한 기하학적 형상 외, 물고기, 개, 고양이, 새, 벌레 등의 동물, 만화나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등 아이가 흥미를 가지기 쉬운 모양을 붙이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채색으로는 빨강이나 파랑, 초록 등, 다른 부위와 다른 색채를 부여하여 눈에 띄기 쉽게 하는 것으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용기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모양을 부여하여 의장적 효과를 높이고 아이 등이 즐거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용기의 채색 양태나 형상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 예에서는, 용기 윗 가장자리부에 채색 영역(11, 12)과 손잡이(3, 4)에 채색 영역(35, 45)이 형성되어, 의장 효과를 높여준다. 또한, 상기 협착부(21)에는 둥근 표식이 부여된다.
본 고안의 용기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지 재료 외, 금속, 도기, 세라믹스, 유리 등의 공지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유아, 소아 등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안전성이 높고, 양산에 의한 비용 저감 효과도 큰 수지 재료가 바람직하다. 수지 재료로서는, 통상 이런 종류의 식기에 이용되고 있는 재료이면 좋고,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염화비닐, ABS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양산성과 안전성의 면에서 폴리프로필렌(PP)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재료에 더하여 부분적, 예를 들면 바닥부나 손잡이에 실리콘 수지, 천연 또는 합성 엘라스토머를 이용해 미끄럼 방지나, 조작감, 입맛의 개선 등의 효과를 갖게 하여도 좋다.
본 고안의 식기는 발달 단계의 유아, 소아에게 적용했을 경우, 식품을 효율적으로 용기 안에서부터 섭취시키는 효과가 높고, 식사를 매우 효율이 좋게 효과적으로 실시하게 할 수 있어, 식기 취급 연습에도 적합하다. 또한, 식기의 취급이 곤란한 장애자나 노인 등에게도 매우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 : 용기
2 : 식품 수납부
3 : 손잡이
4 : 손잡이
5 : 다리부
6 : 측부
7 : 바깥 가장자리
8 : 개구 가장자리부
9 : 윗 가장자리부

Claims (5)

  1. 상방이 개구되고 바닥이 있는 형상을 이루고, 개구 가장자리부, 측부 및 바닥부를 가지는 식품 수용부에는 상기 측부의 일부의 평면 투영 형상이 V자 모양으로 형성된 협착 부위; 및
    복수의 볼록 구조나 요철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협착 부위와 대향하는 측의 바닥부 또는 측부 중 어느 하나의 일부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가지는 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평면에 대해 구배를 가지고, 상기 협착 부위로 향하여 경사져 있는 식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협착 부위에서의 측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개구부 또는 그 근방에서 용기 내측으로 향해 경사 또는 만곡한 오버행 구조를 가지는 식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협착 부위는 개구부 부근의 제2 V자 영역과 안쪽 부분 부근의 제1 V자 영역을 조합한 V자 모양 영역에 있는 식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협착 부위에는 표식이 부여되는 식기.
KR2020120002347U 2011-04-04 2012-03-23 식기 KR200472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347U KR200472619Y1 (ko) 2011-04-04 2012-03-23 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1-001853 2011-04-04
KR2020120002347U KR200472619Y1 (ko) 2011-04-04 2012-03-23 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058U KR20120007058U (ko) 2012-10-12
KR200472619Y1 true KR200472619Y1 (ko) 2014-05-09

Family

ID=4750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347U KR200472619Y1 (ko) 2011-04-04 2012-03-23 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6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33Y1 (ko) * 2017-08-04 2018-04-19 함문식 유아용 식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1203A (ja) * 2003-06-30 2005-01-27 Pigeon Corp 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1203A (ja) * 2003-06-30 2005-01-27 Pigeon Corp 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33Y1 (ko) * 2017-08-04 2018-04-19 함문식 유아용 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058U (ko) 201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93304A1 (en) Tableware for Specialized Persons
US11369221B2 (en) Placemat anchor and tether system
US11197565B2 (en) Flexible mat anchor and tether system and method
US20150090726A1 (en) Assisted eating aid
JP3168528U (ja) 食器
KR200472619Y1 (ko) 식기
JP4475626B2 (ja) 食器
JP3178009U (ja) 匙部の周辺に曲面のカール縁を設けた縁カールスプーン
KR200347137Y1 (ko) 유아용 이유용기
JPH0618549Y2 (ja) スプーン
JP3023052U (ja) スプーン
JP3068594U (ja) 陶磁器製食器
CN215738222U (zh) 一种婴幼儿用的层叠式餐碗
KR200470807Y1 (ko) 배식용 위생 주걱
JP3080323U (ja) 食事の食べやすい器
TWD184982S (zh) 奶瓶
KR20110010878U (ko) 수저 받침홈을 구비한 밥그릇 뚜껑
KR101908860B1 (ko)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KR20180111022A (ko)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JP6297185B1 (ja) 食事用容器
JP3061219U (ja) 食 器
JP3100608U (ja) 食器
FI126393B (en) Finger Food Container
JP6744743B2 (ja) カップ状の包装用容器
JP3186024U (ja) 食品保存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