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022A -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 Google Patents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022A
KR20180111022A KR1020170041345A KR20170041345A KR20180111022A KR 20180111022 A KR20180111022 A KR 20180111022A KR 1020170041345 A KR1020170041345 A KR 1020170041345A KR 20170041345 A KR20170041345 A KR 20170041345A KR 20180111022 A KR20180111022 A KR 20180111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late
adsorption pad
tray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8849B1 (ko
Inventor
최준혁
Original Assignee
최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혁 filed Critical 최준혁
Priority to KR1020170041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84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8Plate-holders
    • A47G19/10Devices for securing plates to the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6Butter or cheese dishes or covers, with or without cooling or heating devices; Protective covers for foo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판의 아래쪽에 착탈이 가능한 흡착패드부를 구성하여 사용상 실수나 장난에 의해 식판이 들려 움직일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자가 음식물을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도록 경사부와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다양한 직경과 깊이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음식물수용부를 구비한 판 형태의 식판부; 및 상기 식판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음식물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부면 일측이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단에 원형의 움푹 팬 형태의 수용결합부가 구비된 판 형태의 흡착패드부;가 포함하여 구성되어, 음식물수용부의 바닥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적은 양의 국을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고, 음식물수용부의 측면이 만곡되어 있어 음식물을 쉽게 숟가락을 퍼올릴 수 있으며, 식판부와 흡착패드부가 착탈이 가능하며, 개별적으로도 식판과 간식트레이의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흡착패드부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Baby food plate}
본 발명은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판의 아래쪽에 착탈이 가능한 흡착패드부를 구성하여 사용상 실수나 장난에 의해 식판이 들려 움직일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자가 음식물을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도록 경사부와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라 함은 밥 등을 비롯한 음식물을 담는 작은 그릇을 말하는 것으로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최근에는 유 아동용으로 환경 호르몬으로부터 안정성이 답보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고 있다.
신생아 단계를 지나 유아 단계에 오면 이유식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유식은 고형 상태의 음식물이 아니라 유아들의 목 넘김이 좋은 걸쭉한 상태의 음식물이 적당하다.
이러한 걸쭉한 상태의 음식물을 그릇에서 퍼 올리게 되는 경우 사용자는 음식물이 숟가락에 잘 담기도록 그릇 내측 벽을 의지하면서 숟가락을 이리저리 움직이면서(이 과정에서 음식물이 숟가락에 담겨진 상태가 정돈됨) 음식물을 뜨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을 깔끔하게 뜨는 것이 번거롭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 동작이 반복되다 보면 그릇 내측벽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측벽 중에서도 그릇의 상단 테두리 근처 부위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음식물이 그릇 내측벽에 말라붙으면서 이후 세척 과정 또한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기존 형태의 식기에서 음식물을 뜰 때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엄마가 유아에게 떠먹이는 경우만이 아니라 유아 또는 아동이 스스로 숟가락을 사용하면서 음식물을 떠먹을 때에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즉, 숟가락 사용이 불안정한 유아들은 주로 식기의 내측벽을 의지하여 음식물을 퍼올리게 되는데 이때 내측벽에 의지되어 음식물을 퍼올린 숟가락이 식기 상단 테두리에 도달시 음식을 가지런히 담지 못하고 그대로 밀고 올라와 숟가락을 퍼올려 지는 음식물이 식기 상단 테두리를 넘어 외부로 흘리게 된다. 이로 인해 식탁 주변이 지저분하게 되고 위생적이지 못하게 되며, 나아가 숟가락에 담겼던 음식물의 대부분을 흘리게 되어 유아들은 원하는 양의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물론 이러한 지저분해진 식탁을 청소해야하는 번거로움도 발생된다.
이러한 기존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소해보고자 다양한 형태의 식기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그중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38858호를 들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38858호는 용기 둘레판의 내부에 형성되어 음식물이 수납되는 수납부와, 상기 둘레판의 후방 양측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숟가락의 몸체가 삽입되는 전방과 상부가 개방된 숟가락 몸체 투입홈을 가지는 귀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구조만으로는 전술된 문제점 즉, 유아 스스로 내지 유아에게 떠먹이는 엄마들이 음식물을 숟가락에 쉽고 가지런히 담을 수 있고, 담겨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쉽게 걸쭉한 상태의 음식물을 퍼 올리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부족하다.
또한, 유아들의 대부분은 주의가 산만뿐만 아니라 젓가락질은 물론이고, 숟가락질이 서툴기 때문에 식사를 할 때 음식을 엎지르거나 흘리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음식이 흘러서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흔히 유아들에게 간식이나 식사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자기 스스로 식사를 수행하도록 유도하고 습관화 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주로 식판을 이용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종래 유아용 식판의 일례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7079호에는 "유아용 식판"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하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밥을 담도록 된 밥수용부, 상기 밥수용부의 일측에서 하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국을 담도록 된 국수용부, 상기 밥수용부 및 국수용부의 후방으로 위치되어 반찬을 수용하도록 하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다수개의 반찬수용부를 갖도록 PLA 또는 사탕수수바이오-PE로 사출성형되며; 좌우 양측에는 상향으로 돌출되거나 하향으로 함몰되는 촉감발달돌기 또는 촉감 발달홈이 상면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반찬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바닥에는 강판용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유아용 식판은, 밥수용부를 비롯해 국, 반찬수용부가 하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식판을 적층 보관시 음식물이 담기는 오목형태의 수용부내에 다른 식판의 볼록 형태의 바닥부가 들어가 서로 접촉하게 되어 위생상에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아울러 식판 바닥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마찰면적이 작아 약간의 힘을 가하는 정도만으로도 쉽게 식판이 이동되거나 엎어지게 되어 유아용 식판으로는 여전히 안전성 및 사용 편리성 면에서 유아들을 충족시키기에는 다소 역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유아용 식판은 대부분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시 식탁에서 약간의 힘을 가하는 정도만으로도 쉽게 미끄러짐으로써 식판 본래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한편 사용상에 많은 불편이 뒤따르고, 수저 등의 가격이나 식판들 상호 간에 충돌시에도 쉽게 깨지거나 금이 가 유아에게 치명적인 사고를 유발시키는 등 안전성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유아용 식판은 위생적인 면이나 안전성 및 사용 편리성 면에서 유아들을 충족시키기에는 다소 역부족한 면들이 많으므로 좀 더 위생적이면서도 유아들이 안전하게 사용하기에 한층 더 적합한 구성의 식판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38858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707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수용부의 바닥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적은 양의 국을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는 흡착패드가 구비된 유아용 식판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수용부의 측면이 만곡되어 있어 음식물을 쉽게 숟가락으로 퍼올릴 수 있는 흡착패드가 구비된 유아용 식판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판부와 흡착패드부가 착탈이 가능하며, 개별적으로도 식판과 간식 트레이의 기능을 할 수 있는 흡착패드가 구비된 유아용 식판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다양한 직경과 깊이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음식물수용부를 구비한 판 형태의 식판부; 및 상기 식판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음식물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부면 일측이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단에 원형의 움푹 팬 형태의 수용결합부가 구비된 판 형태의 흡착패드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식판부는, 밥이나 국을 담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1음식물수용부와, 반찬을 담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2음식물수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음식물수용부의 바닥부분은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음식물수용부의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상단부분의 직경보다 더 넓게 구성되어 측면이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패드부의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높이의 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패드부의 바닥면은 평평하되, 바닥부분과 밀착이 용이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흡착패드부의 바닥면 가장자리부분은 바닥에 밀착되되, 가운데 부분은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식판부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는 뚜껑부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음식물수용부의 바닥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적은 양의 국을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수용부의 측면이 만곡되어 있어 음식물을 쉽게 숟가락을 퍼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식판부와 흡착패드부가 착탈이 가능하며, 개별적으로도 식판과 간식트레이의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패드가 구비된 유아용 식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판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판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패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뚜껑부가 포함된 흡착패드가 구비된 유아용 식판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패드가 구비된 유아용 식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판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판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패드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뚜껑부가 포함된 흡착패드가 구비된 유아용 식판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착패드가 구비된 유아용 식판(100)은,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다양한 직경과 깊이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음식물수용부(220)를 구비한 판 형태의 식판부(200); 및 상기 식판부(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음식물수용부(2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부면 일측이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단에 원형의 움푹 팬 형태의 수용결합부(320)가 구비된 판 형태의 흡착패드부(3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패드가 구비된 유아용 식판은 기본적으로 두가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음식물을 담아 먹을 수 있는 다수개의 음식물수용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식판부(200)와, 상기 식판부(200)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기 식판부(200)와 착탈이 가능한 흡착패드부(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흡착패드부(300)가 식판부(200)의 하부 (혹은 아래쪽)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수용결합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결합부(320)는 흡착패드부(300) 상부면 일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단에 원형의 움푹 팬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움푹 팬 형태의 상기 수용결합부(320)에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 음식물수용부(2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음식물수용부(220)와 수용결합부(320)가 끼움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식판부(200)와 흡착패드부(300)가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착탈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식판부(200)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식판과 동일하게 판형태의 식판몸체(210)와 상기 식판몸체(210)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다수개의 음식물수용부(220)로 이루어져, 상기 흡착패드부(300)가 없이도 개별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흡착패드부(300)는 판형탱의 패드몸체(310)와 상기 패드몸체(310) 상부 일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단에 원형의 움푹 팬 형태의 수용결합부(3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부분에는 상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패드턱(330)과 평평한 패드바닥(3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식판부(200)와 결합되어 상기 식판부(200)의 받침대 역할도 하지만, 상기 패드턱(330)으로 인해 상기 패드몸체(310) 상부에 음식을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결합부(320)는 음료나 물병등을 결합 할 수 있어 간식용 트레이나 혹은 음식물 받침대와 같이 개별적으로도 사용도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상기 식판부(200)와 흡착패드부(300)의 각각의 구성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식판부(200)는, 밥이나 국과 같은 주식을 담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1음식수용부(221)와, 반찬과 같은 부식을 담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2음식물수용부(222)로 이루어진다.
이때, 밥이나 국을 담을 수 있는 상기 제1음식물수용부(221)의 바닥부분은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만약, 상기 경사부(223)가 없는 일반적인 식판(혹은 식기)의 경우에는 국을 먹다가 적은 양이 남아 있을 때 국을 먹기 위해서는 식판(혹은 식기)을 들어서 기울려 국이 한곳으로 모이게 해야 하지만, 사용자가 유아의 경우 이는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식판(혹은 식기)을 기울이려는 노력을 하다가는 식판(혹은 식기)를 엎을 수 있어 담겨있던 음식물을 다 쏟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224)를 형성하여, 상기 경사부(223)를 따라 국(이나 밥)이 경사 아래쪽으로 모이게 됨에 따라 식판을 들지 않더라도 국이 한곳에 모이게 되어 쉽게 떠먹을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음식물수용부(221)의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상단부분의 직경보다 더 넓게 구성되어 측면이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만곡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을 하면, 일반적으로 식판(혹은 식기)의 음식을 담을 수 있는 공간(본 발명의 음식물수용부(220)에 해당함)은 아래쪽부분의 직경이 가장 작고 위쪽으로 올라올수록 직경이 커지는 상광하협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간혹, 아래쪽 부분과 중간 부분 및 위쪽 부분의 직경이 동일한 경우도 있다.
이럴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기의 내측면을 의지하여 음식물을 퍼올리게 되는데 이때 내측면에 의지되어 음식물을 퍼올린 숟가락이 식기 상단 테두리에 도달시 음식을 가지런히 담지 못하고 그대로 밀고 올라와 숟가락을 퍼올려지는 음식물이 식기 상단 테두리를 넘어 외부로 흘리게 된다. 이로 인해 식탁 주변이 지저분하게 되고 위생적이지 못하게 되며, 나아가 숟가락에 담겼던 음식물의 대부분을 흘리게 되어 유아들은 원하는 양의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숟가락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취식하게 되는 상기 제1음식물수용부(221)의 형상을 변경하였다. 단면적으로 본다면 항아리 형태라고도 할 수 있듯이,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위쪽 부분( 및 아래쪽 부분)의 직경 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어,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면이 만곡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혹은 유아)가 숟가락을 사용하여 상기 식판부(200)(혹은 음식물수용부(220))에 담겨져 있는 음식을 퍼올릴 때, 바닥부분에 위치한 음식물을 퍼서 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올라오면서 이동하게 되며, 상부에 위치한 만곡부(224)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음식물이 숟가락에 올려짐에 따라 별도의 작업이나 행위가 없어도 음식물을 제대로 퍼올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숟가락질이 능숙하지 않는 유아의 경우에도 음식물을 용이하게 퍼올릴 수 있기에 숟가락에 담지 못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음식물을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것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음식물수용부(222)의 바닥부분도 역시나 경사부(223)와 만곡부(224)를 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음식물수용부(221)에 비하여 숟가락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취식하는 빈도가 적으며, 반찬의 경우 보호자가 집어주는 관계로 상기 제2음식물수용부(222)은 일반적인 형태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흡착패드부(300)는 상부면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의 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은 평평하되 바닥부분과 밀착이 용이하도록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흡착패드부(300)는 상기 식판부(200)와 결합하게 되면 식판부(200)의 받침대 역할을 하게 되지만, 개별적으로 사용할 경우 간식트레이나 접시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흡착패드부(300)의 상부면에 올려놓은 음식물이 외부로 흘러가지 않도록 일정한 높이의 턱인 패드턱(3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상기 흡착패드부(300)의 경우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되, 바닥부분과 밀착이 용이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왜냐하면, 유아의 경우 호기심이 많아 어떤 물체든 들거나 입으로 물어보고나 하는 습관이 있으며, 한창 장난을 많이 치게 됨에 따라 식판이 책상 위나 탁자 위에 있더라도 뒤엎거나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식판에 담겨있던 음식물을 흘릴 수 있게 되고 혹여나 뜨거운 국이나 음식물이 담겨져 있을 경우 화상의 위험도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100)은 책상 위나 탁자위 등에 상기 식판을 올려놓은 바닥부분과 잘 밀착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흡착패드부(300)의 바닥부분은 평평하게 형성하고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게 되면, 상기 흡착패드부(300)를 바닥에 놓게 되면 바닥부분과 패드바닥(340) 사이에 진공압이 생기게 되어 위에서 당기는 힘으로는 이 진공압 보다 큰 힘을 주기가 어려움에 따라 고정된다. 다만, 상기 패드바닥(340)의 일측부터 들게 되면, 바닥부분과 패드바닥(340) 사이에 진공압이 생기지 않아 손쉽게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단순한 구조이지만 사용자(혹은 유아)가 장난을 치거나 힘을 가한다고 하여 상기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100)이 책상이나 탁자 위를 벗어나는 일은 쉽게 발생하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흡착패브부(300)의 바닥면 가장자리부분은 바닥에 밀착되되, 가운데부부은 바닥과 일정거리를 이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흡착패드부(30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런 형태는 우리가 흔히 보는 큐방 혹은 압착고무라고 형태로 상기와 같이 바닥면에 고정하여 위와 같이 사용자(혹은 유아)가 장난을 치거나 힘을 가한다고 하여 상기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100)이 책상이나 탁자 위를 벗어나는 일은 쉽게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식판부(200)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는 뚜껑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서 상기 식판부(200)에 담겨있는 음식물에 이물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국과 같은 내용물도 쉽게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200 : 식판부
210 : 식판몸체
220 : 음식물수용부
221 : 제1음식물수용부
222 : 제2음식물수용부
223 : 경사부
224 : 만곡부
300 : 흡착패드부
310 : 패드몸체
320 : 수용결합부
330 : 패드턱 (혹은 턱)
340 : 패드바닥
400 : 뚜껑부

Claims (8)

  1.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다양한 직경과 깊이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음식물수용부를 구비한 판 형태의 식판부; 및
    상기 식판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음식물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부면 일측이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단에 원형의 움푹 팬 형태의 수용결합부가 구비된 판 형태의 흡착패드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판부는,
    밥이나 국을 담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1음식물수용부와, 반찬을 담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2음식물수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음식물수용부의 바닥부분은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음식물수용부의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상단부분의 직경보다 더 넓게 구성되어 측면이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패드부의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높이의 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패드부의 바닥면은 평평하되, 바닥부분과 밀착이 용이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패드부의 바닥면 가장자리부분은 바닥에 밀착되되, 가운데부분은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8. 제 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판부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는 뚜껑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KR1020170041345A 2017-03-31 2017-03-31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KR101908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345A KR101908849B1 (ko) 2017-03-31 2017-03-31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345A KR101908849B1 (ko) 2017-03-31 2017-03-31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022A true KR20180111022A (ko) 2018-10-11
KR101908849B1 KR101908849B1 (ko) 2018-10-16

Family

ID=6386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345A KR101908849B1 (ko) 2017-03-31 2017-03-31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364A (ko) 2022-01-06 2023-07-13 김종석 보온기능을 가지는 흡착식 식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578U (ko) * 2007-04-18 2007-05-18 고경자 격벽에 의해 밀폐 기능을 가지는 식판 용기
KR20090012973U (ko) * 2008-06-16 2009-12-24 한제헌 식판
JP4475626B2 (ja) * 2003-06-30 2010-06-09 ピジョン株式会社 食器
KR20120038858A (ko) 2010-10-14 2012-04-24 오지선 유아용 식기
KR20150097079A (ko) 2014-02-18 2015-08-26 류수환 유아용 식판
KR101648691B1 (ko) * 2016-02-05 2016-08-16 주식회사 엘드 유아용 식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5626B2 (ja) * 2003-06-30 2010-06-09 ピジョン株式会社 食器
KR20070000578U (ko) * 2007-04-18 2007-05-18 고경자 격벽에 의해 밀폐 기능을 가지는 식판 용기
KR20090012973U (ko) * 2008-06-16 2009-12-24 한제헌 식판
KR20120038858A (ko) 2010-10-14 2012-04-24 오지선 유아용 식기
KR20150097079A (ko) 2014-02-18 2015-08-26 류수환 유아용 식판
KR101648691B1 (ko) * 2016-02-05 2016-08-16 주식회사 엘드 유아용 식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364A (ko) 2022-01-06 2023-07-13 김종석 보온기능을 가지는 흡착식 식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849B1 (ko)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0777B2 (en) Assisted eating aid
US20060266748A1 (en) Combined plate and cupholder
US20100001007A1 (en) Bowl with liquid drain
US20110232102A1 (en) Serving Placemat and Food Service Article
US9332884B2 (en) Toilet equipment
WO2015165362A1 (en) Tableware for specialized persons
WO2010058173A1 (en) Toilet equipment
KR101908849B1 (ko)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KR20120038858A (ko) 유아용 식기
US20060272589A1 (en) Device and assembly for removably securing a dish to a tray
US8690002B1 (en) Bowl with spill-catching body
KR101648691B1 (ko) 유아용 식판
JP3226254U (ja) 木製食器
CN210063893U (zh) 食品托盘及食品容器
KR101908860B1 (ko)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WO2010094104A1 (en) Drinking vessel with receptacle for drippings
JP3012306U (ja) 食 器
TWM557564U (zh) 輔助嬰幼兒學習擷取食物的盛裝容器
FI126393B (en) Finger Food Container
US11685578B2 (en) Container lid
KR20110010878U (ko) 수저 받침홈을 구비한 밥그릇 뚜껑
JP2709704B2 (ja) 転倒防止機能付食器具
KR101872849B1 (ko) 유아용 식기 보조장치
KR20160003398U (ko) 사용의 편의성이 강조된 식기
KR20220003022U (ko) 수저세트를 포함하는 유아동용 실리콘 식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