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268Y1 - 수저통 - Google Patents

수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268Y1
KR200424268Y1 KR2020060014242U KR20060014242U KR200424268Y1 KR 200424268 Y1 KR200424268 Y1 KR 200424268Y1 KR 2020060014242 U KR2020060014242 U KR 2020060014242U KR 20060014242 U KR20060014242 U KR 20060014242U KR 200424268 Y1 KR200424268 Y1 KR 200424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chopsticks
pedestal
st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형
Original Assignee
유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대형 filed Critical 유대형
Priority to KR2020060014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2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2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8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 A47F1/10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having mechanical dispensing means, e.g. with buttons o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8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 A47F1/10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having mechanical dispensing means, e.g. with buttons or handles
    • A47F2001/103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having mechanical dispensing means, e.g. with buttons or handles for cutlery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 소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갖는 몸체와 이 몸체의 개구된 부위를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몸체 내부에 탈착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숟가락과 젓가락을 지지함과 아울러 숟가락과 젓가락을 나누는 구획판이 돌출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저통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그 상부에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을 고정하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고정블럭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숟가락의 몸체부가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로 숟가락을 정열하여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지지하는 수저통의 받침대를 개선하여 그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수저통 내부에 담겨진 숟가락 및 젓가락의 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의 정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수저통, 받침대, 숟가락, 젓가락

Description

수저통{A box of spoon and chopstick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저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저통의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의 숟가락 꽂이용 블럭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저통에 수저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저통 10 : 몸체
20 : 덮개 30 : 받침대
31 : 구획판 32 : 고정블럭
32a : 고정홈 32b : 지지홈
33 : 지지부재 34 : 리브
34a : 인출홈 35 : 가이드부재
S : 숟가락
C : 젓가락
본 고안은 다수의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을 보관하는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숟가락의 가지런한 보관이 가능함과 아울러 숟가락 및 젓가락의 인출을 편리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저통은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것으로, 소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갖는 몸체와 이 몸체의 개구된 부위를 개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저통의 내부에는 숟가락과 젓가락에서 발생하는 물기의 배수와 숟가락과 젓가락의 구획을 위하여 받침대가 탈착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저통은 필요에 따라 목재나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되어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수저통은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을 나누어 보관하는 기능 이외에는 별도의 기능이 없기 때문에 보관된 숟가락이 흩어지거나 숟가락 및 젓가락의 인출이 불편한 단점이 있고, 상기 수저통에 보관된 숟가락과 젓가락을 고정하는 수단이 미흡하기 때문에 수저통의 운반시 내부의 숟가락과 젓가락의 움직임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수저통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숟가락의 가지런한 보관이 가능함과 아울러 숟가락 및 젓가락의 인출을 편리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기능이 향상된 수저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갖는 몸체와 이 몸체의 개구된 부위를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몸체 내부에 탈착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숟가락과 젓가락을 지지함과 아울러 숟가락과 젓가락을 나누는 구획판이 돌출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저통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그 상부에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을 고정하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고정블럭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숟가락의 몸체부가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로 숟가락을 정열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젓가락의 후방부가 위치하는 부위에 지지부재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지지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리브가 돌출되어 젓가락의 인출을 위한 인출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젓가락의 전방부가 위치하는 부위에 가이드부재가 형성되어 젓가락의 유동을 막아준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고정블럭은 상기 고정홈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고정되는 숟가락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정열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식당이나 가정에서 다수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넣어 보관하는 수저통을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수저통(1)은 크게 소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갖는 몸체(10)와, 이 몸체(10)의 개구된 부위를 개폐하는 덮개(20) 및, 상기 몸체(10) 내부에 탈착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받침대(30)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저통(1)은 상기 받침대(30)에 그 특징이 있는 바, 상기 받침대(30)는 수저통(1)의 바닥에서 숟가락과 젓가락을 지지함과 아울러 숟가락과 젓가락에서 발생되는 물기를 배수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상기 받침대(30)의 판면에 구획판(31)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을 나누어 수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저통(1)의 받침대(30)는 그 상부에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을 고정하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고정블럭(3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32)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홈(32a)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숟가락의 몸체부가 고정홈(32a)에 삽입된 상태로 숟가락을 정열하여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블럭(32)은 일정 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받침대(30) 상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숟가락 뿐만아니라 젓가락도 지지하면서 숟가락과 젓가락이 받침대(3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막아준다.
상기 고정블럭(32)의 일측에는 다수의 젓가락을 지지할 수 있도록 라운딩 처리된 지지홈(32b)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32)의 타측에는 상기 고정홈(32a)을 통해 다수의 숟가락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30)는 상기 젓가락의 후방부가 위치하는 부위에 지지부재(33)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지지부재(33)와 일정 간격을 두고 리브(34)가 돌출되어 젓가락의 인출을 위한 인출홈(34a)이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수저통(1) 내부에 손을 넣어 젓가락을 쉽게 인출할 수 있 도록 상기 리브(34)에 의한 인출홈(34a)이 형성되는 바, 사용자가 상기 인출홈(34a)을 통해 수용된 젓가락의 후방을 잡고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젓가락은 상기 받침대(30)에 형성된 고정블럭(32)과 지지부재(33)를 통해 보다 안정된 상태로 상기 수저통(1) 내부에 놓여 진다.
한편, 상기 수저통(1)의 받침대(30)에는 상기 젓가락의 전방부가 위치하는 부위에 가이드부재(35)가 형성되어 젓가락의 선단부와의 거리를 좁혀 젓가락의 유동으로 인한 소음 및 젓가락의 흩어짐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30)에 형성된 고정블럭(32)을 도 3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블럭(32)은 상기 고정홈(32a)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고정되는 숟가락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정열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홈(32a)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숟가락의 고정 및 인출이 용이하고, 상기 고정홈(32a)에 삽입되는 다수의 숟가락을 보다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받침대(30)의 고정블럭(32)에 젓가락(C)은 올려진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숟가락(S)은 상기 고정블럭(32)의 고정홈(32a)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젓가락(C)의 후방부는 상기 지지부재(33)에 올려져 고정되고, 상기 젓가락(C)의 전방부쪽에는 젓가락(C)의 유동을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부재(3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받침대(30)를 통해 수저통(1) 내부에 보관되는 숟가락(S)과 젓가락(C)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저통에 의하면, 다수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지지하는 수저통의 받침대를 개선하여 그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수저통 내부에 담겨진 숟가락 및 젓가락의 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의 정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소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갖는 몸체(10)와 이 몸체(10)의 개구된 부위를 개폐하는 덮개(20) 및 상기 몸체(10) 내부에 탈착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숟가락(S)과 젓가락(C)을 지지함과 아울러 숟가락(S)과 젓가락(C)을 나누는 구획판(31)이 돌출형성된 받침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저통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는 그 상부에 상기 숟가락(S)과 젓가락(C)을 고정하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고정블럭(3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32)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홈(32a)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숟가락(S)의 몸체부가 고정홈(32a)에 삽입된 상태로 숟가락(S)을 정열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는 상기 젓가락(C)의 후방부가 위치하는 부위에 지지부재(33)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지지부재(33)와 일정 간격을 두고 리브(34)가 돌출되어 젓가락(C)의 인출을 위한 인출홈(3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는 상기 젓가락(C)의 전방부가 위치하는 부위에 가이드부재(35)가 형성되어 젓가락(C)의 유동을 막아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의 고정블럭(32)은 상기 고정홈(32a)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고정되는 숟가락(S)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정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
KR2020060014242U 2006-05-26 2006-05-26 수저통 KR200424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242U KR200424268Y1 (ko) 2006-05-26 2006-05-26 수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242U KR200424268Y1 (ko) 2006-05-26 2006-05-26 수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268Y1 true KR200424268Y1 (ko) 2006-08-17

Family

ID=4177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242U KR200424268Y1 (ko) 2006-05-26 2006-05-26 수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2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593Y1 (ko) 2010-11-11 2012-11-13 차창식 위생 수저받침대
KR20150123043A (ko) * 2014-04-24 2015-11-03 에센시아주식회사 숟가락 및 젓가락 살균기
US11759036B1 (en) * 2022-09-21 2023-09-19 V Nives, Llc Storage box for knife and fork with knife sharpe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593Y1 (ko) 2010-11-11 2012-11-13 차창식 위생 수저받침대
KR20150123043A (ko) * 2014-04-24 2015-11-03 에센시아주식회사 숟가락 및 젓가락 살균기
KR101688044B1 (ko) * 2014-04-24 2016-12-20 에센시아주식회사 숟가락 및 젓가락 살균기
US11759036B1 (en) * 2022-09-21 2023-09-19 V Nives, Llc Storage box for knife and fork with knife sharpe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0894B1 (en) Outdoor table organizer assembly
US8464868B2 (en) Toothbrush holder
US20100059460A1 (en) Dish rack with removable grate
US4071212A (en) Implement rack
KR200424268Y1 (ko) 수저통
KR101023619B1 (ko) 식기 건조대
KR101005818B1 (ko)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JP2010148788A (ja) フライパンラック
US7588153B2 (en) Utensil organizer
KR20210001373A (ko) 주방용품 정리대
KR20100011337U (ko) 위생수저통
JP3121019U (ja) 鍋蓋収納ラック
KR20170003639U (ko) 수저 수납용 서랍
KR200386822Y1 (ko) 구획판이 구비된 수저통
JP2007111449A (ja) 棒体整理容器
KR200211623Y1 (ko) 비치수단이 구비된 수납식 주방용품 비치함
KR101323635B1 (ko) 다용도 용기구조
US9693646B2 (en) Shadow projecting device
CN209629306U (zh) 一种餐具盛放设备
KR200331815Y1 (ko) 식칼 및 도마의 보관용 받침대
KR101426405B1 (ko) 파티션용 수납함
KR101378105B1 (ko) 칼을 수납할 수 있는 도마
KR200353908Y1 (ko) 종이컵 인출기
US20240074621A1 (en) Utensil crock
KR20240079512A (ko) 음료용기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