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639U - 수저 수납용 서랍 - Google Patents

수저 수납용 서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639U
KR20170003639U KR2020160001988U KR20160001988U KR20170003639U KR 20170003639 U KR20170003639 U KR 20170003639U KR 2020160001988 U KR2020160001988 U KR 2020160001988U KR 20160001988 U KR20160001988 U KR 20160001988U KR 20170003639 U KR20170003639 U KR 201700036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plate
storage
ord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현
박중국
Original Assignee
박승현
박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현, 박중국 filed Critical 박승현
Priority to KR2020160001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639U/ko
Publication of KR201700036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6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75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repositionable 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2031/003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drawers, tray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47B2095/024Drawer handles

Abstract

본 고안은 수저 수납용 서랍에 관한 것으로, 수저 수납용 서랍의 전면판에 수납 서랍의 인출도 쉽고, 수저 수납용 서랍이 식탁 하부에 설치됨을 고객들이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전면판에 손잡이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 주문판을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편의성을 더욱 개선한 수저 수납용 서랍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손잡이가 전면판에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고객이 수저 수납용 서랍인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서랍의 전면판에는 주문판을 넣어서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별도로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편의성이 더 높다. 다른 예로, 손잡이에 주문판을 삽입하여 늘어뜨릴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전면판에 별도의 주문판 삽입공을 만들 필요도 없고, 수납서랍 하부에 별도의 주문판 수납통을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성이 높고, 고객이 식사를 마치고 점포를 나가려고 할 때, 주문판이 더 쉽게 눈에 띌 수 있으므로 주문판을 가지러 가기 위해서 다시 식탁으로 돌아오지 않아도 된다는 추가적인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수저 수납용 서랍{DRAWER FOR SPOON CASE}
본 고안은 수저 수납용 서랍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수저 수납용 서랍의 전면판에 수납 서랍의 인출도 쉽고, 수저 수납용 서랍이 식탁 하부에 설치됨을 고객들이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전면판에 손잡이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 주문판을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편의성을 더욱 개선한 수저 수납용 서랍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수저통은 수저와 젓가락을 수납하기 위한 통으로서, 식탁의 상면에 올려놓게 되면 식탁위에 물건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해지므로 식당과 같이 공간이 비용과 직결되는 장소에서는 수저통이나, 티슈를 식탁 하부에 넣어 둘 수 있는 수저 수납용 서랍이 매우 유용하여 최근에는 활발하게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식탁 하부에 설치된 수저 수납용 서랍은 일반 서랍과 마찬가지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어져 있어서 인출시 내부에 수납된 수저와 젓가락 및 티슈를 빼낼 수 있게 구성된 서랍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수저 수납용 서랍은 실제로 식탁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고 동일한 무늬나 디자인으로 제작되어져 있어서 식탁과의 일체감은 줄 수 있지만, 그로인해 식탁 하부에 수저 수납용 서랍이 존재하는 지를 알지 못하는 고객들도 상당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저 수납용 서랍은 주문판을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없으므로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저 수납용 서랍의 전면판에 수납 서랍의 인출도 쉽고, 수저 수납용 서랍이 식탁 하부에 설치됨을 고객들이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전면판에 손잡이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 주문판을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편의성을 더욱 개선한 수저 수납용 서랍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식탁 상판의 하부 소정부에 'ㄷ' 자 형태로 설치된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4)의 내벽면과 그 양측판에 각각 설치되어 인출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8)과;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장착되어 인출입되며, 내부에 수저를 수납하는 수저수납부(8)와, 젓가락을 수납하는 젓가락 수납부(10) 및 티슈를 수납하는 티슈 수납부(20)가 구성된 수납 서랍(6)과; 상기 수납서랍(6)의 전면에 부착된 전면판(16)과; 상기 전면판(16)의 전면 소정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된 손잡이(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수납용 서랍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판(16)은 그 하부 소정부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주문판을 넣을 수 있게 된 주문판 삽입공(14)과; 상기 수납서랍(6)의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주문판 삽입공(14)과 연결되어 주문판을 수납할 수 있게 된 주문판 수납통(22)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수납용 서랍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는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4)가 형성되고, 그 상면 소정부에 길이방향으로 주문판을 삽입할 수 있는 주문판 삽입공(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수납용 서랍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저 수납용 서랍은 손잡이가 전면판에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고객이 수저 수납용 서랍인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서랍의 전면판에는 주문판을 넣어서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별도로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편의성이 더 높다. 다른 예로, 손잡이에 주문판을 삽입하여 늘어뜨릴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전면판에 별도의 주문판 삽입공을 만들 필요도 없고, 수납서랍 하부에 별도의 주문판 수납통을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성이 높고, 고객이 식사를 마치고 점포를 나가려고 할 때, 주문판이 더 쉽게 눈에 띌 수 있으므로 주문판을 가지러 가기 위해서 다시 식탁으로 돌아오지 않아도 된다는 추가적인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수납용 서랍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수납용 서랍의 하면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수납용 서랍에 포함된 손잡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손잡이에 주문판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수납용 서랍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수납용 서랍의 하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수납용 서랍(2)은 수저 수납용 서랍의 전면판에 수납 서랍의 인출도 쉽고, 수저 수납용 서랍이 식탁 하부에 설치됨을 고객들이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전면판에 손잡이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 주문판을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편의성을 더욱 개선한 수저 수납용 서랍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수납용 서랍(2)은 식탁 상판의 하부 예컨대, 상판의 하부 가장자리 소정부에 설치되는 바, 바람직하게 식탁의 오른쪽이나 왼쪽 또는 양쪽의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수납용 서랍(2)은 식탁 상판의 하부 소정부에 'ㄷ' 자 형태로 설치된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장착되어 인출입되며, 내부에 수저를 수납하는 수저수납부(8)와, 젓가락을 수납하는 젓가락 수납부(10) 및 티슈를 수납하는 티슈 수납부(20)가 구성된 수납 서랍(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4)과 수납 서랍(6)의 내벽면과 그 양측판에 각각 설치되어 인출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8)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저수납부(8)와 젓가락 수납부(10) 및 티슈 수납부(20)는 각각 격막으로 구획되어져 있어서 각 물건들의 구분 수납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수납서랍(6)의 전면에 부착된 전면판(16)이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16)의 전면 소정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된 손잡이(12)가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식당에 찾아온 고객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수납용 서랍(2)의 전면판(16)에 구성된 손잡이(12)를 보면, 젓가락과 숟가락 및 티슈를 수납하고 있는 서랍임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수납용 서랍(2)은 주문판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바,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판(16)은 그 하부 소정부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주문판을 넣을 수 있게 된 주문판 삽입공(14)을 구성하며, 상기 수납서랍(6)의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주문판 삽입공(14)과 연결되어 주문판을 수납할 수 있게 된 주문판 수납통(22)이 더 구성된다.
즉, 상기 주문판 수납통(22)은 주문판을 삽입할 때 주문판이 틀어지게 수납되거나 또는 식탁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문판이 깊숙이 삽입될 수 있는 수납통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문판 삽입공(14)은 주문판은 삽입되고, 그 일단에 부착된 주문판 집게(미도시)는 그 주문판 삽입공(14)의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쉽게 파지하여 인출입하기 양호한 크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주문판 삽입공(14)은 매우 슬림하게 형성되어져 있어서 주문판은 삽입되되, 주문판 집게는 삽입되지 않게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수납용 서랍에 포함된 손잡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손잡이에 주문판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수납용 서랍(2)의 전면판(16)에 구성된 손잡이는 동 도면에 형성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4)가 형성되고, 그 상면 소정부에 길이방향으로 주문판(40)을 삽입할 수 있는 주문판 삽입공(38)이 형성된 주문판 삽입 손잡이(30)이다.
즉, 도 3, 4에 도시된 상기 주문판 삽입 손잡이(30)는 손가락을 밀착하는 손가락 밀착면(36)이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34)가 구성되는 바, 그 돌출부(34)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손가락 밀착면(36)에 손가락을 밀착시키고 사용자의 몸쪽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수납서랍(6)이 하우징(4)으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34)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주문판(40)을 삽입할 수 있는 주문판 삽입공(38)이 형성된 바, 그 주문판 삽입공(38)에 주문판을 삽입하면 주문판의 몸체는 삽입되고, 그 상단에 형성된 주문판 집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문판 삽입공(38)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종업원이나 고객은 쉽게 상기 주문판(40)을 주문판 삽입공(38)에 넣어 수납하거나 또는 인출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도 높을뿐더러, 상기 전면판(16)에 별도의 주문판 삽입공(14)을 만들 필요도 없고, 수납서랍(6) 하부에 별도의 주문판 수납통(22)을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성이 더 높은 구조이다.
또한, 고객이 식사를 마치고 점포를 나가려고 할 때, 상기 주문판(40)이 더 쉽게 눈에 띌 수 있으므로 주문판(40)을 가지러 가기 위해서 다시 식탁으로 돌아오지 않아도 된다는 추가적인 장점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저 수납용 서랍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수저 수납용 서랍, 4:하우징,
6:수납 서랍, 12:손잡이,
14,38:주문판 삽입공, 16:전면판,
18:가이드레일, 22:주문판 수납통,
30:주문판 삽입손잡이, 32:밀착판,
34:돌출부.

Claims (3)

  1. 식탁 상판의 하부 소정부에 'ㄷ' 자 형태로 설치된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4)의 내벽면과 그 양측판에 각각 설치되어 인출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8)과;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장착되어 인출입되며, 내부에 수저를 수납하는 수저수납부(8)와, 젓가락을 수납하는 젓가락 수납부(10) 및 티슈를 수납하는 티슈 수납부(20)가 구성된 수납 서랍(6)과;
    상기 수납서랍(6)의 전면에 부착된 전면판(16)과;
    상기 전면판(16)의 전면 소정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된 손잡이(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수납용 서랍.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6)은 그 하부 소정부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주문판을 넣을 수 있게 된 주문판 삽입공(14)과;
    상기 수납서랍(6)의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주문판 삽입공(14)과 연결되어 주문판을 수납할 수 있게 된 주문판 수납통(22)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수납용 서랍.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4)가 형성되고, 그 상면 소정부에 길이방향으로 주문판을 삽입할 수 있는 주문판 삽입공(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수납용 서랍.
KR2020160001988U 2016-04-12 2016-04-12 수저 수납용 서랍 KR201700036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88U KR20170003639U (ko) 2016-04-12 2016-04-12 수저 수납용 서랍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88U KR20170003639U (ko) 2016-04-12 2016-04-12 수저 수납용 서랍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639U true KR20170003639U (ko) 2017-10-20

Family

ID=6040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988U KR20170003639U (ko) 2016-04-12 2016-04-12 수저 수납용 서랍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63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60052A1 (en) Mail and related documents/items organizer
US9516991B2 (en) Removable dishwasher utensil basket that transforms into a utensil holder for a drawer
US20080211362A1 (en) Piece of Furniture With a Removable Container in a Drawer
US10988283B2 (en) Case for coin tissue
KR101350056B1 (ko) 냉장고
KR20170003639U (ko) 수저 수납용 서랍
US20070039636A1 (en) Device for placing silverware in dishwashers
JP2010148788A (ja) フライパンラック
JP2015112304A (ja) 収納装置
KR200424268Y1 (ko) 수저통
US7588153B2 (en) Utensil organizer
JP6078349B2 (ja) 包丁差し
KR20120071634A (ko) 냉장고 서랍
CN207075746U (zh) 一种碗篮
CN207561597U (zh) 办公室收纳架
TW202025959A (zh) 抽屜
JP3209086U (ja) ポケットティッシュ用ケース
US1521951A (en) Holder
CN112773236B (zh) 布制品收纳器
KR101378105B1 (ko) 칼을 수납할 수 있는 도마
KR200331815Y1 (ko) 식칼 및 도마의 보관용 받침대
KR200458821Y1 (ko) 다용도 양념 수납장
JP2016055124A (ja) キャビネット
KR200348319Y1 (ko) 서랍체를 구비한 냉테이블
KR200421478Y1 (ko) 냅킨 수납부가 일체로 형성된 수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