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747B1 - 헤드업 위생 젓가락 - Google Patents

헤드업 위생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747B1
KR102223747B1 KR1020180045686A KR20180045686A KR102223747B1 KR 102223747 B1 KR102223747 B1 KR 102223747B1 KR 1020180045686 A KR1020180045686 A KR 1020180045686A KR 20180045686 A KR20180045686 A KR 20180045686A KR 102223747 B1 KR102223747 B1 KR 102223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handle
food holding
food
hold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2042A (ko
Inventor
심규성
Original Assignee
심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규성 filed Critical 심규성
Priority to KR1020180045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74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구조의 획기적인 개선으로 식탁 상면에 식탁보(테이블보)를 깔거나 별도의 받침대나 접시 등에 올려 놓는 불편함이 없이 바로 내려 놓아도 음식을 집거나 입에 닿는 부위(음식물파지부)가 식탁 상면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고 위생적인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젓가락으로 인하여 식탁 상면에 있을지 모르는 세균에 감염될 확률을 현저히 감소시켜 줌은 물론,
위생적인 식사를 도울 뿐만 아니라 음식이 묻어 있는 젓가락 부위(음식물파지부)가 식탁 상면에 닿지 않음으로 인하여 식사를 하는 동안 청결하게 식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식탁 청소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식사에서의 라이프스타일은 물론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여 줄 수 있도록 한 헤드업 위생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후단에는 손잡이부(100)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음식물파지부(120)가 형성되는 스테인레스를 포함하는 금속재나 합성수지재 및 목재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젓가락(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10)의 끝단에 중량체(111)를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하여 무게중심이 후단부에 위치토록 하고,
상기 음식물파지부(12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게 형성하되,
상기 손잡이부(110)와 음식물파지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 중간에 상향만곡진 외향팽출부(130)를 형성하여서,
식탁에 안착시 외향팽출부(130)를 중심으로 손잡이부(110)는 중량체(111)에 의해 식탁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음식물파지부(120)는 외향팽출부(130) 형성 높이만큼 더 높이 들어올려져 식탁(21) 상면(21)으로부터 이격거리가 향상되도록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헤드업 위생 젓가락{Head-up hygienic chopsticks}
본 발명은 헤드업 위생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구조의 획기적인 개선으로 식탁 상면에 식탁보(테이블보)를 깔거나 별도의 받침대나 접시 등에 올려 놓는 불편함이 없이 바로 내려 놓아도 음식을 집거나 입에 닿는 부위(음식물파지부)가 식탁 상면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고 위생적인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젓가락으로 인하여 식탁 상면에 있을지 모르는 세균에 감염될 확률을 현저히 감소시켜 줌은 물론,
위생적인 식사를 도울 뿐만 아니라 음식이 묻어 있는 젓가락 부위(음식물파지부)가 식탁 상면에 닿지 않음으로 인하여 식사를 하는 동안 청결하게 식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식탁 청소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식사에서의 라이프스타일은 물론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여 줄 수 있는 헤드업 위생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젓가락은 식사나 요리시 음식등을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도구로서, 통상적으로 재질은 나무, 합성수지재, 금속재 등으로 비교적 가늘고 사용자가 잡고 사용하기 쉬운 길이로 형성되며,
이중 일회용인 나무젓가락이 아닌 가정이나 식당에서 주로 사용되는 금속재나 합성수지재 젓가락 중 금속재의 경우에는 스테인레스나 황동재질을 사용하게 되는바 이들은 가격이 비싸고 중량이 많이 나가므로 비용 절감과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도 1에 일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대부분 전체가 납짝하고 후단의 손잡이부(11)로 부터 선단의 음식물파지부(12)로 갈수록 뽀족하게 경사진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근자에는 속인 빈 종공 형태의 스테인레스재질의 젓가락이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재나 목재 젓가락의 경우에는 중량이 가벼운 대신 쉽게 휘어지거나 부러질 염려가 있어서 도 2에 일예로 도시한 바와같이 후단의 손잡이부로 부터 선단의 음식물파지부로 갈수록 뽀족하게 경사진 형태로 제작되는 것은 동일하고 전체가 원형 또는 각형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젓가락들은 젓가락을 식탁에 놓았을때 젓가락 후단의 손잡이부(11)와 선단의 음식물파지부(12) 전체가 식탁 상면에 밀착되도록 제작된 것이어서 식탁 위에 아무런 장치 없이 올려놓게 되면 식탁에 음식물이 묻게 되고, 다시 집어 사용할시 식탁에 묻어 있던 이물질 또는 유해세균이 입안으로 들어가는 등 비위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고급식당에서는 젓가락과 숟가락을 받치기 위한 받침대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젓가락과 숟가락을 받치기 위한 받침대를 사용하는 경우에 식탁세팅이 복잡해지고, 관리가 불편하며, 비용면에서도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손잡이부(11)는 경사지지 않게 형성하고 전방의 음식물파지부(12)는 뾰족하게 경사지게 형성하여 손잡이부(11)는 식탁(20) 상면(21)에 닿고 음식물파지부(12)는 식탁(20) 상면(21)과 이격되도록 제작된 젓가락들이 안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젓가락들은 손잡이부(11)의 단면 두께가 가늘기 때문에 음식물파지부(12)가 식탁(20) 상면(21)과 이격되도록 가공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실제로 사용시에는 조금만 전방으로 기울어져도 여전히 식탁(20) 상면(21)에 음식물이 묻게 되고, 다시 집어 사용할시에도 젓가락이 전방으로 손쉽게 기울어져 음식물파지부(12)가 식탁(20) 상면(21)에 닿으면서 식탁에 묻어 있던 이물질 또는 유해세균이 입안으로 들어가는 등 여전히 비위생적이었다.
따라서,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다 근본적이고 획기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젓가락의 안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0001: 국내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1-0001815호(출원일자 2011.03.04) 0002: 국내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1-0003467호(출원일자 2011.04.22) 0003: 국내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6-0005355호(출원일자 2017.09.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구조의 획기적인 개선으로 식탁 상면에 식탁보(테이블보)를 깔거나 별도의 받침대나 접시 등에 올려 놓는 불편함이 없이 바로 내려 놓아도 음식을 집거나 입에 닿는 부위(음식물파지부)가 식탁 상면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고 위생적인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젓가락으로 인하여 식탁 상면에 있을지 모르는 세균에 감염될 확률을 현저히 감소시켜 줌은 물론,
위생적인 식사를 도울 뿐만 아니라 음식이 묻어 있는 젓가락 부위(음식물파지부)가 식탁 상면에 닿지 않음으로 인하여 식사를 하는 동안 청결하게 식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식탁 청소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식사에서의 라이프스타일은 물론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여 줄 수 있는 획기적이고 고품격 고품질의 헤드업 위생 젓가락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된 본 발명의 헤드업 위생 젓가락은 후단에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음식물파지부가 형성되는 스테인레스를 포함하는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 젓가락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에 중량체를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하여 무게중심이 후단부에 위치토록 하고,
상기 음식물파지부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게 형성하되,
상기 손잡이부와 음식물파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중간에 상향만곡진 외향팽출부를 형성하여서,
식탁에 안착시 외향팽출부를 중심으로 손잡이부는 중량체에 의해 식탁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음식물파지부는 외향팽출부 형성 높이만큼 더 높이 들어올려져 식탁 상면으로부터 이격거리가 향상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중량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는 외향팽출부를 중심으로 하여 손잡이부 바깥쪽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납짝하면서도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하여, 손잡이부의 납짝한 면이 식탁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손잡이부가 납짝해져 무게중심이 하강한 만큼 음식물파지부 선단이 더 높이 들어 올려져 식탁 상면으로부터 이격거리가 더욱 더 극대화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향만곡진 외향팽출부의 상,하 높이보다 좌,우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한쌍의 젓가락의 세팅시 각각의 손잡이부의 납짝한 면의 모서리와 외향팽출부의 상,하측돌출면보다 돌출높이가 낮은 좌,우측돌출면 끼리 닿으면서 한쌍의 젓가락이 가지런히 모이면서 정렬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헤드업 위생 젓가락은 그 구조의 획기적인 개선으로 음식이 잘 집어지도록 설계되고 젓가락의 기본 기능 뿐만 아니라 위생의 기능이 결합된 기능성 젓가락이어서 위생적인 식사를 하기 위해서 식탁 상면에 식탁보(테이블보)를 깔거나 별도의 받침대나 접시 등에 올려 놓는 불편함이 없이 바로 내려 놓아도,
손잡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중량체가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기능을 하므로 식탁상면에 손잡이부 끝단부가 먼저 닿고 그 다음으로 외향팽출부가 식탁상면에 닿으면서 자연스럽게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게 형성된 음식물파지부가 들어 올려져 식탁 상면에 닿지 않게 되므로 음식을 집거나 입에 닿는 부위(음식물파지부)가 식탁 상면에 닿지 않기때문에 젓가락의 음식을 집거나 입에 닿는 부위(음식물파지부)가 식탁 상면에 내려 놓을 때 상면에 닿지 않음으로써 위생적인 식사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식탁 상면에 음식이 묻지 않아서 청결하게 식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량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외향팽출부를 중심으로 하여 손잡이부 바깥쪽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납짝하면서도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부의 납짝한 면이 식탁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기때문에 사용이 편리함과 동시에 손잡이부가 납짝해져 무게중심이 하강한 만큼 음식물파지부 선단이 더 높이 들어 올려져 식탁 상면으로부터 이격거리가 더욱 더 극대화되므로 더욱 더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젓가락으로 인하여 식탁 상면에 있을지 모르는 세균에 감염될 확률을 더욱 현저하게 낮춰줄 수 있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은 위생적인 식사를 도울 뿐만 아니라 음식이 묻어 있는 젓가락 부위(음식물파지부)가 식탁 상면에 닿지 않음으로 인하여 식사를 하는 동안 청결하게 식탁을 사용할 수 있기때문에 추후 식탁 청소 또한 매우 용이하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이러한 혁신적인 젓가락의 사용으로 인해 식사에서의 라이프스타일은 물론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여주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임이 분명하다.
도 1 내지 도3은 종래 일반적인 젓가락의 구성상태도.
도 4 내지 도 7b는 본 발명 헤드업 위생 젓가락의 일 구성상태도로서,
도 4는 사시도.
도 5a는 금속 재질의 젓가락 손잡이부 내부에 중량체를 형성하는 상태도.
도 5b는 합성수지 재질의 젓가락 손잡이부 끝단에 중량체를 형성하는 상태도.
도 5c는 목재 재질의 젓가락 손잡이부 끝단에 중량체를 형성하는 상태도.
도 6a는 손잡이부가 세워진 상태도.
도 6b은 식탁 상면에 젓가락이 올려 진 상태도.
도 7a은 손잡이부가 누워진 상태도.
도 7b는 한쌍의 젓가락이 가지런히 모아지도록 정렬시킨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 또는 공지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드업 위생 젓가락은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일반 젓가락과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를 포함하는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로 제작되는 것으로 후단에는 손잡이부(110)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음식물파지부(120)가 형성되어진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것은 상기 손잡이부(110)의 끝단에 중량체(111)를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하여 무게중심이 후단부에 위치토록 하고,
상기 음식물파지부(12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게 형성하되,
상기 손잡이부(110)와 음식물파지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 중간에 상향만곡진 외향팽출부(130)를 형성하여서,
식탁(21)에 안착시 외향팽출부(130)를 중심으로 손잡이부(110)는 중량체(111)에 의해 식탁(21) 상면(21)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음식물파지부(120)는 외향팽출부(130) 형성 높이만큼 더 높이 들어올려져 식탁(21) 상면(21)으로부터 이격거리가 향상되도록 이루어진 것에 있다.
여기서 상기 중량체(111)는 무게중심을 젓가락 후단부 즉 손잡이부(110)측으로 위치토록 할 수 있도록 중량체 역활을 할 수 있는 소재라면 금속이나 비철금속 또는 석재나 세라믹 등을 포함하는 비금속재 중에서 선택된 소재를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를 포함하는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로 또는 목재로 제작되는 것이어서 상기 손잡이부(110)의 끝단에 중량체(111)를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하여 무게중심이 후단부에 위치토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예로 먼저 도 5a와 같이 젓가락(100) 형성 재질이 금속인 경우에는 중공으로 형성된 손잡이부(110) 내부에 중량체(111)를 삽입설치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5b와 같이 젓가락(100) 형성 재질이 합성수지인 경우에는 중량체(111)를 일체로 인써트 사출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도 있으며,
도 5c와 같이 젓가락(100) 형성 재질이 목재인 경우에는 손잡이부(110) 후단에 구멍(미도시)을 형성하고 이에 중량체(111)에 형성한 결합부를 강제로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상기 일예에 국한된 방법으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중량체(111) 일체형 손잡이부(110)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그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중량체(11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110)를 외향팽출부(130)를 중심으로 하여 손잡이부(110) 바깥쪽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T)가 납짝하면서도 폭(D)이 넓어지도록 형성하여,
손잡이부(110)의 납짝한 면이 식탁(21) 상면(21)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손잡이부(110)가 납짝해져 무게중심이 하강한 만큼 음식물파지부(120) 선단이 더 높이 들어 올려져 식탁(21) 상면(21)으로부터 이격거리가 더욱 더 극대화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량체(11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110)를 외향팽출부(130)를 중심으로 하여 손잡이부(110) 바깥쪽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T)가 납짝하면서도 폭(D)이 넓어지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상향만곡진 외향팽출부(130)의 상,하측돌출면(130a)(130b) 높이보다 좌,우측돌출면(130c)(130d)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서,
한쌍의 젓가락(100)의 세팅시 각각의 손잡이부(110)의 납짝한 면의 모서리와 외향팽출부(130)의 상,하측돌출면(130a)(130b)보다 돌출높이가 낮은 좌,우측돌출면(130c)(130d) 끼리 닿으면서 한쌍의 젓가락(100)이 가지런히 모이면서 정렬되도록 이루어진다.(도 7b 참조)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외향팽출부(13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중량체(111) 일체형 손잡이부(110)의 중심선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여서,
젓가락(100)을 식탁(21) 상면(21)에 내려놓을시 손잡이부(110)가 세워지게 내려놓아도 중량체(111)가 일측으로 기울지면서 손잡이부(110)의 납짝한 면이 항상 식탁(21) 상면(21)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업 위생 젓가락은 식탁(21) 상면(21)에 올려 놓으면,
중량체(111)가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기능을 하므로 식탁(21) 상면(21)에 손잡이부(110) 끝단부가 먼저 닿고 그 다음으로 외향팽출부(130)가 식탁(21) 상면(21)에 닿으면서 자연스럽게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게 형성된 음식물파지부(120)가 들어 올려져 식탁(21) 상면(21)에 닿지 않게 된다.
이때, 음식물파지부(120)는 외향팽출부(130) 형성 높이만큼 더 높이 들어 올려져 식탁(21) 상면(21)으로부터 이격거리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헤드업 위생 젓가락은 상기 중량체(11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110)가 외향팽출부(130)를 중심으로 하여 손잡이부(110) 바깥쪽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T)가 납짝하면서도 폭(D)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손잡이부(110)의 납짝한 면이 식탁(21) 상면(21)에 안정적으로 안착됨은 물론 이와 동시에 손잡이부(110)가 납짝해져 무게중심이 하강한 만큼 음식물파지부(120) 선단이 더 높이 들어 올려지므로 식탁(21) 상면(21)으로부터 이격거리가 더욱 더 극대화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상향만곡진 외향팽출부(130)의 상,하측돌출면(130a)(130b) 높이보다 좌,우측돌출면(130c)(130d)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한쌍의 젓가락(100)의 세팅시 각각의 손잡이부(110)의 납짝한 면의 모서리와 외향팽출부(130)의 상,하측돌출면(130a)(130b)보다 돌출높이가 낮은 좌,우측돌출면(130c)(130d) 끼리 서로 닿으면서 한쌍의 젓가락(100) 특히 음식물파지부(120) 선단이 가지런히 모아지면서 정렬된다.
그러는 한편, 상기 외향팽출부(13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중량체(111) 일체형 손잡이부(110)의 중심선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한 경우에는 젓가락(100)을 식탁(21) 상면(21)에 내려놓을시 손잡이부(110)가 세워지게 내려놓아도 중량체(111)가 일측으로 기울지면서 손잡이부(110)의 납짝한 면이 항상 식탁(21) 상면(21)에 안착되므로 젓가락(100)의 세팅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며 한치의 흐트러짐이 없이 깔끔하고 위생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업 위생 젓가락은 음식이 잘 집어지도록 설계되고 젓가락의 기본 기능 뿐만 아니라 위생의 기능이 결합된 기능성 젓가락 이어서 위생적인 식사를 하기 위해서 식탁(21) 상면(21)에 식탁보(테이블보)를 깔거나 별도의 받침대나 접시 등에 올려 놓는 불편함이 없이 바로 내려 놓아도 음식을 집거나 입에 닿는 부위인 음식물파지부(120)가 식탁(21) 상면(21)에 닿지 않기때문에 위생적인 식사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식탁(21) 상면(21)에 음식이 묻지 않아서 청결하게 식사를 할 수 있다.
또한 젓가락(100)으로 인하여 식탁(21) 상면(21)에 있을지 모르는 세균에 감염될 확률이 현저히 줄어든다.
그러는 한편, 위생적인 식사를 도울 뿐만 아니라 음식이 묻어 있는 젓가락 부위 즉, 음식물파지부(120)가 식탁(21) 상면(21)에 닿지 않음으로 인하여 식사를 하는 동안 청결하게 식탁(21)을 사용할 수 있기때문에 추후 식탁(21) 청소 또한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이러한 혁신적인 젓가락(100)의 사용으로 인해 식사에서의 라이프스타일은 물론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여 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20:식탁 21:상면
100:젓가락 110:손잡이부
111:중량체 120:음식물파지부
130:외향팽출부 131a,131b:상,하측돌출면
131c,131d:좌,우측돌출면

Claims (7)

  1. 후단에는 손잡이부(110)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음식물파지부(120)가 형성되는 스테인레스를 포함하는 금속재나 합성수지재 및 목재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젓가락(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10)의 끝단에 중량체(111)를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하여 무게중심이 후단부에 위치토록 하고,
    상기 음식물파지부(12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게 형성하되,
    상기 손잡이부(110)와 음식물파지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 중간에 상향만곡진 외향팽출부(130)를 형성하여서 식탁에 안착시 외향팽출부(130)를 중심으로 손잡이부(110)는 중량체(111)에 의해 식탁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음식물파지부(120)는 외향팽출부(130) 형성 높이만큼 더 높이 들어올려져 식탁(21) 상면(21)으로부터 이격거리가 향상되도록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중량체(11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110)는 외향팽출부(130)를 중심으로 하여 손잡이부(110) 바깥쪽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T)가 납짝하면서도 폭(D)이 넓어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상향만곡진 외향팽출부(130)의 상,하측돌출면(130a)(130b) 높이보다 좌,우측돌출면(130c)(130d)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서 한쌍의 젓가락(100)의 세팅시 각각의 손잡이부(110)의 납짝한 면의 모서리와 외향팽출부(130)의 상,하측돌출면(130a)(130b)보다 돌출높이가 낮은 좌,우측돌출면(130c)(130d) 끼리 닿으면서 한쌍의 젓가락(100)이 가지런히 모이면서 정렬되도록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외향팽출부(13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중량체(111) 일체형 손잡이부(110)의 중심선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여서 젓가락(100)을 식탁 상면에 내려놓을시 손잡이부(110)가 세워지게 내려놓아도 중량체(111)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손잡이부(110)의 납짝한 면이 항상 식탁(21) 상면(21)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젓가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45686A 2018-04-19 2018-04-19 헤드업 위생 젓가락 KR102223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686A KR102223747B1 (ko) 2018-04-19 2018-04-19 헤드업 위생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686A KR102223747B1 (ko) 2018-04-19 2018-04-19 헤드업 위생 젓가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042A KR20190122042A (ko) 2019-10-29
KR102223747B1 true KR102223747B1 (ko) 2021-03-04

Family

ID=6842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686A KR102223747B1 (ko) 2018-04-19 2018-04-19 헤드업 위생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74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401U (ko) * 1994-04-29 1995-11-17 이재홍 젓가락
KR200456519Y1 (ko) 2009-08-17 2011-11-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인양용 가이드 장치
KR200457745Y1 (ko) 2009-09-30 2012-01-02 한국캠브리지필터 주식회사 기체 여과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개선된 여과필터 조립체
KR20140006236U (ko) * 2013-06-04 2014-12-12 이인섭 위생 젓가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042A (ko)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4490A1 (en) Eating Utensil
CA2856526A1 (en) Post on eating utensil
KR102223747B1 (ko) 헤드업 위생 젓가락
JP3161311U (ja) 食材支持具
JP2010172631A (ja) 鍋等用箸置き具及び箸置き付き食品用鍋等
KR102212761B1 (ko) 위생 숟가락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JP5408594B1 (ja) 表裏に梃子支点を有する両面衛生洋食具
KR200181207Y1 (ko) 위생수저
CN215502317U (zh) 一种磁吸碗
CN212261074U (zh) 一次性环保中西餐两用餐具
CN210810319U (zh) 一种无卷边碗具和碟具
JP3094030U (ja) 食べ物皿の補助具
KR102198098B1 (ko) 위생 숟가락
KR200287246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130011009A (ko) 수저 좌대그릇
KR200409126Y1 (ko) 블록 돌기가 형성된 식사도구
TW202233106A (zh) 食具結構
AU2015255653B2 (en) Spoon head device for use with chopsticks
KR20150030880A (ko) 위생용 식기도구
KR20150000463U (ko) 숟가락과 포크의 위생구조
KR20230000205U (ko) 젓가락
KR200432440Y1 (ko) 위생 취식 도구
KR200317777Y1 (ko) 지지대가 형성된 식사도구
KR200394596Y1 (ko) 위생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