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236U - 위생 젓가락 - Google Patents

위생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236U
KR20140006236U KR2020130004503U KR20130004503U KR20140006236U KR 20140006236 U KR20140006236 U KR 20140006236U KR 2020130004503 U KR2020130004503 U KR 2020130004503U KR 20130004503 U KR20130004503 U KR 20130004503U KR 20140006236 U KR20140006236 U KR 201400062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weight
accommodation space
chopsticks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섭
Original Assignee
이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섭 filed Critical 이인섭
Priority to KR2020130004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6236U/ko
Publication of KR201400062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23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젓가락의 집게부(110)가 테이블(300)의 상면과 비(非) 접촉하게 됨으로써, 집게부(110)의 음식물이 테이블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젓가락의 무게중심이 파지부(120)에 형성되어 사용 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위생 젓가락을 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젓가락은,
집게부(110),
상기 집게부(110)의 후방에 연결된 파지부(120),
상기 집게부(110)와 상기 파지부(120) 사이에 형성된 피벗부(130),
상기 파지부(12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부(140)
로 이루어진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의 수용공간부(140)에 삽입되는 중량체(200)
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위생 젓가락{ HYGIENIC CHOPSTICKS }
본 고안은 위생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젓가락을 테이블에 올려놓을 때 음식물을 집는 집게부가 테이블의 상면과 비(非) 접촉하게 됨으로써, 집게부의 음식물이 테이블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위생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 20-0214245(2000.12.8.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호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젓가락의 중심 하단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젓가락을 테이블에 올려놓을 때 상기 돌출부로 인해 젓가락의 집게부와 테이블의 상면이 비 접촉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해당 공보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돌출부가 집게부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젓가락 사용 시 상기 돌출부가 입이나 치아에 부딪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젓가락의 무게중심이 집게부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시 안정감이 감소하는 등 불편한 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젓가락의 집게부가 테이블의 상면과 비(非) 접촉하게 됨으로써, 집게부의 음식물이 테이블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젓가락의 무게중심이 파지부에 형성되어, 젓가락 사용 시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한 위생 젓가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위생 젓가락은,
집게부,
상기 집게부의 후방에 연결된 파지부,
상기 집게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형성된 피벗부,
상기 파지부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부
로 이루어진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부에 삽입되는 중량체
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위생 젓가락은,
상기 수용공간부에 삽입된 중량체에 의해 상기 집게부 및 상기 파지부가 상기 피벗부를 중심으로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젓가락의 집게부가 테이블의 상면과 비(非)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집게부의 음식물이 테이블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젓가락의 무게중심이 파지부에 형성되어, 젓가락 사용 시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다른 실시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젓가락은,
집게부(110),
상기 집게부(110)의 후방에 연결된 파지부(120),
상기 집게부(110)와 상기 파지부(120) 사이에 형성된 피벗부(130),
상기 파지부(12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부(140)
로 이루어진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의 수용공간부(140)에 삽입되는 중량체(200)
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몸체(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부(110), 파지부(120), 피벗부(130) 및 수용공간부(140)으로 이루어지는데, 몸체(100)의 재질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집게부(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110)의 단부에서 상기 피벗부(130)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집게부(110) 단면의 형상은 테이블(300)의 상면에서 구름을 방지하도록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 원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파지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부(110)와 마찬가지로 그 단면의 형상은 파지부(120)의 단부에서 상기 피벗부(130)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파지부(120) 단면의 형상은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 원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피벗부(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부(110)와 상기 파지부(120) 사이에 형성되는데, 집게부(110) 및 파지부(120)의 단부에서부터 상하 단면적이 점차 확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피벗부(130)는 상기 몸체(100)에서 상하 폭이 가장 넓은 부분을 형성하며, 몸체(100)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피벗부(130)의 중앙에는 융기부(131)가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10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융기부(131)는 상기 피벗부(130)의 최상단 및 최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공간부(14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20)의 내부에 형성되는데, 파지부(120)에서 후방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공간부(140)는 파지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그 단면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용공간부(140)의 폐쇄된 전방부는 상기 피벗부(130)의 중심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공간부(140)는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에 의하면, 두 개의 수용공간부(140)가 형성되되, 상기 몸체(100)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중량체(200)가 상기 수용공간부(140)에 각각 삽입됨에 따라 젓가락이 테이블(300)의 상면에서 쉽게 구르는 것을 방지하여 좀더 안정적인 사용을 할 수 있다.
중량체(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부(14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용공간부(140)에 삽입된다.
이때 후방 개방된 상기 수용공간부(140)의 단부에는 마개(201)가 삽입되어, 중량체(200)가 상기 수용공간부(1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중량체(200)의 재질은 상기 몸체(100)보다 무거운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100)의 무게중심이 상기 피벗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파지부(120)에 위치하도록 일정중량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와 상기 중량체(200)의 결합방식은, 금형을 이용하여 집게부(110), 파지부(120), 피벗부(130) 및 수용공간부(140)로 이루어진 몸체(100)를 먼저 사출한 후, 상기 수용공간부(140)에 중량체(200)를 삽입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와 상기 중량체(200)가 상호 결합되도록 인서트 사출하는 결합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중량체(200)가 몸체(100)의 내부에 매립되어, 몸체(100)의 외부로 비 노출된다.
따라서 몸체(100)의 수용공간부(140)와 중량체(200)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거나 수용공간부(140)로부터 중량체(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량체(2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형성된 위생 젓가락의 작용을 살펴보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수용공간부(140)에 삽입된 상기 중량체(200)로 인하여, 몸체(100)의 무게중심은 상기 피벗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파지부(120)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몸체(100)가 테이블(300)의 상면에 올려지면, 피벗부(130)를 중심으로 파지부(120)가 하방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파지부(120)는 테이블(300)의 상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융기부(131)로 인하여 좀더 원할한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파지부(120)가 하방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피벗부(130)를 중심으로 상기 집게부(110)는 상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집게부(110)는 테이블(300)의 상면과 비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집게부(110)에 묻어있는 음식물이 테이블(300)의 상면에 묻는 것을 방지하여 젓가락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수용공간부(140)에 삽입된 중량체(200)로 인하여 몸체(100)의 무게중심이 파지부(120)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 시 좀더 안정감 있는 사용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위생 젓가락"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몸체
110 : 집게부
120 : 파지부
130 : 피벗부
131 : 융기부
140 : 수용공간부
200 : 중량체
201 : 마개
300 : 테이블

Claims (5)

  1. 집게부(110), 상기 집게부(110)의 후방에 연결된 파지부(120), 상기 집게부(110)와 상기 파지부(120) 사이에 형성되되, 집게부(110) 및 파지부(120)의 단부에서부터 상하 단면적이 점차 확장되어 형성된 피벗부(130), 그리고 상기 파지부(120)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용공간부(140)를 갖는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의 수용공간부(140)에 삽입된 중량체(2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테이블(300)에 올려진 상기 몸체(100)는 상기 파지부(120)가 상기 중량체(200)에 의해 상기 피벗부(130)를 중심으로 하방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집게부(110)가 테이블(300)의 상면과 비(非)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젓가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부(140)는 상기 파지부(120)에서 후방 개방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젓가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량체(200)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100)와 상기 중량체(20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젓가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부(130)의 중앙에는 상기 몸체(10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융기부(131)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젓가락.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부(140)는 둘 이상이 형성되되, 상기 몸체(10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량체(200)는 상기 수용공간부(140)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젓가락.
KR2020130004503U 2013-06-04 2013-06-04 위생 젓가락 KR201400062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503U KR20140006236U (ko) 2013-06-04 2013-06-04 위생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503U KR20140006236U (ko) 2013-06-04 2013-06-04 위생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236U true KR20140006236U (ko) 2014-12-12

Family

ID=5246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503U KR20140006236U (ko) 2013-06-04 2013-06-04 위생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623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0966A (zh) * 2018-10-26 2018-12-28 潘换成 一种重力自适应防脏污筷子
KR20190122042A (ko) * 2018-04-19 2019-10-29 심규성 헤드업 위생 젓가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042A (ko) * 2018-04-19 2019-10-29 심규성 헤드업 위생 젓가락
CN109090966A (zh) * 2018-10-26 2018-12-28 潘换成 一种重力自适应防脏污筷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07306S1 (en)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animals
USD896748S1 (en) Battery charger
USD649643S1 (en) End effector with a rounded tip
USD839609S1 (en) Brush
USD617900S1 (en) End effector tip with undercut bottom jaw
USD617902S1 (en) End effector tip with undercut top jaw
USD617903S1 (en) End effector pointed tip
USD897148S1 (en) Multi-function tumbler lid
USD792661S1 (en) Foldable animal sustenance receptacle
USD857308S1 (en) Pets ergonomic feeder
USD758581S1 (en) Grasper
USD897824S1 (en) Cord handler
USD935789S1 (en) Golf club cleaner brush
USD895086S1 (en) Bidet
USD877464S1 (en) Shoe
USD933972S1 (en) Brush
USD795510S1 (en) Animal waste collecting tool
USD862396S1 (en) Switching device
US20110003273A1 (en) teaching aid for correct use of cutlery by children
KR20140006236U (ko) 위생 젓가락
USD833979S1 (en) Electrical contact pin
USD843500S1 (en) Exercise device
USD933959S1 (en) Electric toothbrush
USD839760S1 (en) Current clamp
USD858985S1 (en) Ball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