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991A - 파지가 용이한 젓가락 - Google Patents

파지가 용이한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991A
KR20050032991A KR1020040042015A KR20040042015A KR20050032991A KR 20050032991 A KR20050032991 A KR 20050032991A KR 1020040042015 A KR1020040042015 A KR 1020040042015A KR 20040042015 A KR20040042015 A KR 20040042015A KR 20050032991 A KR20050032991 A KR 20050032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gripping portion
food
gripping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재
Original Assignee
임석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석재 filed Critical 임석재
Publication of KR2005003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9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지가 용이한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을 집는 일측 단부에 확장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젓가락은 파지가 용이하게 되므로, 외국인이나 어린이, 신체가 불편한 환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토리묵과 같은 반유동물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단 파지된 음식물이 쉽게 빠져나가지 않아서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지가 용이한 젓가락{CHOPSTICKS BEING EASY TO CATCHING}
본 발명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측 단부에 확장파지부를 형성하여 파지가 용이한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젓가락은 두 개가 모여 1세트를 이루며, 사용시 두개의 젓가락을 각각 움직여 음식물을 집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젓가락은 음식물을 집는 일측 단부가 폭이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젓가락 사용이 익숙치 않은 어린이나 외국인, 또는 신체가 불편한 노약자나 수전증 환자들에게는 젓가락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집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음식물이 도토리묵이나, 젤리와 같은 반(半)유동물일 경우에는, 정상인이라 하더라도 젓가락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집기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일단 파지된 음식물도 자꾸 놓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을 집는 일측 단부에 소정형상의 확장파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음식물 파지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젓가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파지가 용이한 젓가락은, 음식물을 집는 일측 단부에 확장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한 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젓가락은, 일측 단부에 몸체부(1)보다 확장된 확장파지부(10)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확장'이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부(1)의 폭, 바람직하게는 몸체부의 최대폭(W1)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는 의미이다. 즉, 상기 확장파지부(10)의 최대폭(W2)과 몸체부의 최대폭(W1)은, W2 〉W1의 관계가 되므로, 상기 확장파지부(10)에 의하여 음식물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3은, 확장파지부의 두께를 한정한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젓가락 몸체부의 최소두께(T3)(즉, 확장파지부(10)와 몸체부(1)의 연결부위 두께)보다 상기 확장파지부(10)의 두께(T2)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음식물의 안정적인 파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장파지부(10)의 두께(T2)가 젓가락 몸체부(1)의 최대두께(T1)보다 두꺼울 경우에는, 확장파지부(10)의 무게나 부피가 과도하게 커져서 실용적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확장파지부의 두께(T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젓가락 몸체부와 이하의 식(1)과 같은 두께 관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3 ≤T2 ≤T1 …식(1)
도 4 및 도 5는, 확장파지부의 내측면이 오목한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확장파지부의 내측면은, 도 3과 같이 편평하게 하거나 도 4와 같이 오목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파지부 내측면(11)이 편평한 경우에는, 예컨대 콩과 같이 비교적 딱딱한 음식물을 파지하기 편리하다.
한편, 도 4와 같이 확장파지부(10)의 내측면이 오목한 경우에는, 음식물을 확장파지부(10)의 오목한 내측면(11) 사이에 위치시켜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피가 큰 음식물의 파지가 용이할 뿐 아니라, 도토리묵이나 젤리와 같은 반유동물도 일단 파지되면 쉽게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이 때, 상기 확장파지부(10)의 오목한 내측면(11)은 완만한 곡률을 가진 원호형상의 측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원호의 곡률을 급하게 하는 것보다는 완만하게 하는 쪽이, 음식물과 접하는 젓가락의 파지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음식물을 파지하는데 보다 편리하기 때문이다.
상기 여러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확장파지부(10)의 형상은 음식물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전제를 만족한다면, 원형, 장방형, 타원형 등 어떤 형태로 하여도 상관이 없으나, 음식물의 파지면적을 크게 한다는 측면에서는, 도 1과 같이 장방형에 가까운 원형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파지부(10)의 두께, 내측면(11) 및 외측면(12)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킴으로써, 크기나 반유동성 등 음식물의 특성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오목한 내측면(11)을 가지는 확장파지부(10)의 외측면(12)을 상기 도 2와 같이 만곡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외측면(12)을 내측면(11)의 오목한 정도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만곡되게 한다면, 확장파지부(12)의 두께가 과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오목한 내측면(11) 사이에서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상기 식(1)과 같이 확장파지부(10)의 두께를 구성함으로써, 더욱더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음식물을 파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젓가락은 파지가 용이하여, 외국인이나 어린이, 신체가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토리묵과 같은 반유동물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단 파지된 음식물이 쉽게 빠져나가지 않아서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한 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 및 도3은, 확장파지부의 두께를 한정한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확장파지부의 내측면이 오목한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몸체부,
10...확장파지부,
11...파지부 내측면,
12...파지부 외측면,
W1...젓가락 몸체부의 최대폭,
W2...확장파지부의 최대폭,
T1...젓가락 몸체부의 최대두께,
T3...젓가락 몸체부의 최소두께,
T2...확장파지부의 두께.

Claims (4)

  1. 음식물을 집는 일측 단부에 확장파지부(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젓가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파지부(10)의 두께(T2)는, 젓가락 몸체부(1)의 두께와 이하의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젓가락.
    T3 ≤T2 ≤T1
    T1: 젓가락 몸체부의 최대두께
    T3: 젓가락 몸체부의 최소두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파지부(10)의 내측면(11)이, 편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젓가락.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파지부(10)의 내측면(11)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젓가락.
KR1020040042015A 2003-10-02 2004-06-08 파지가 용이한 젓가락 KR200500329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8974 2003-10-02
KR1020030068974 2003-10-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991A true KR20050032991A (ko) 2005-04-08

Family

ID=3454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015A KR20050032991A (ko) 2003-10-02 2004-06-08 파지가 용이한 젓가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5111262A (ko)
KR (1) KR200500329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813B1 (ko) * 2008-07-09 2011-02-08 양건태 개량형 젓가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0280A (ja) * 2010-12-21 2012-07-12 Yasunari Sawai デトックス効果を有するグミ状食品
CN104223986A (zh) * 2013-11-30 2014-12-24 叶群 一种筷用煎炸物夹取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813B1 (ko) * 2008-07-09 2011-02-08 양건태 개량형 젓가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11262A (ja) 200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51327A1 (en) Choptstick of the pincers type
US3892435A (en) Eating utensil
CA2237560A1 (en) Ergonometric stethoscope chestpiece
KR20050032991A (ko) 파지가 용이한 젓가락
KR20100027941A (ko) 위생 핑거캡
JP2005111959A (ja) 手障害者用補助具
KR101012813B1 (ko) 개량형 젓가락
CN216723510U (zh) 一种便携式食物盒
KR200424009Y1 (ko) 집게용 위생장갑
USD459479S1 (en) Electronic muscle stimulator finger tip triplet
KR200340102Y1 (ko) 장애인용 수저
JP2000060711A (ja) スプーン,フォーク等のグリップ
KR200450867Y1 (ko) 학습용 젓가락
JP7121369B2 (ja) 把持補助具
JP3072349U (ja) 飯茶わん
KR200302870Y1 (ko) 장애인용 수저
JP3085138U (ja) 指穴付きスィムトレ−ニングパドル
JP2022010502A (ja) 両手保持飲料用容器
JP3061045U (ja)
JP2000240249A (ja) 手すり
KR200242027Y1 (ko) 봉지형 종이컵
JP3105881U (ja) 医療用弾性ストッキング装着補助具
JP3075887U (ja) 落下防止付庖丁用ハンドル
JP3761084B2 (ja) 草取り爪
JPS621604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