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481A -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 - Google Patents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5481A
KR20130105481A KR1020130026601A KR20130026601A KR20130105481A KR 20130105481 A KR20130105481 A KR 20130105481A KR 1020130026601 A KR1020130026601 A KR 1020130026601A KR 20130026601 A KR20130026601 A KR 20130026601A KR 20130105481 A KR20130105481 A KR 20130105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locking
groove
adapter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이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filed Critical 이영우
Publication of KR20130105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유아나 아동의 엄지와 검지 그리고 중기손가락을 끼워 사용하는 중에 자연스럽게 젓가락을 안정적이고 바르게 쥐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젓가락을 비사용중에 락킹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젓가락이 벌어지지 않게 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상단에는 끼움방식에 의해 캐릭터를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도록 하여 유아의 흥미를 끌어 지속적인 적가락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젓가락을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엄지와 검지 그리고 중지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에 대응되는 삽입링이 형성되어 상기 엄지와 검지 그리고 중지손가락을 움직이는 것에 의해 일단으로 음식을 잡을 수 있도록 제1,2젓가락으로 구성되어 구비되는 젓가락과, 상기 젓가락의 각 타단을 하부에 각각 고정 연결시키되, 제2젓가락은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어댑터의 일측 외부로 노출되게 돌출된 락킹조절부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젓가락이 어댑터에 대해서 회동되지 않거나 또는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Locking means having chopsticks}
본 발명은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나 아동의 엄지와 검지 그리고 중기손가락을 끼워 사용하는 중에 자연스럽게 젓가락을 안정적이고 바르게 쥐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젓가락을 비사용중에 락킹장치에 의해 젓가락이 벌어지지 않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상단에는 끼움방식에 의해 캐릭터를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젓가락을 스테인레스로 구성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반찬과 밥 또는 기타 음식물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젓가락을 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젓가락을 처음 사용하는 유아들의 경우 젓가락의 활용력이 부족하여 쉽게 포기하게 되는 바, 젓가락의 단부를 회동하여 젓가락을 이용하여 식사하는 방식은 일련의 훈련을 거치면서 습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아들이 젓가락을 보다 쉽고 빠르게 활용하고자 최근에는 상기 한 쌍의 젓가락 상측으로 별도의 힌지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재를 통하여 상기 젓가락이 회전되어지며 상기 젓가락의 몸체부 일측으로 손가락 파지구가 각각 형성되어 손가락을 상기 파지구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젓가락을 이용하여 유아들이 스스로 반찬이나 밥 또는 기타 음식물을 간편하게 섭취가능하게 제공한 유아용 젓가락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유아에게 젓가락 사용을 훈련시키기 위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0062408호와 같은 기술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젓가락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이것을 안정적으로 바르게 쥘 수 있는 젓가락용 보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즉, 종래기술의 젓가락용 보조구는, 젓가락 각각을 서로의 선단부가 후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개폐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어댑터와,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의 베이스 부근에 닿게 하여 어댑터를 그 베이스 위에 지지하는 서포터를 젓가락용 보조구에 설치한다. 그리고 어댑터에 대해 서포터를 착탈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젓가락용 보조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젓가락은 보관시 어려운 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젓가락용 보조구는 어댑터의 스프링부에 의해 선단부가 항상 벌림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인해 젓가락의 선단부가 벌어진 만큼의 공간부가 필요하게 되어 좁은 공간에서는 보관이 곤란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젓가락용 보조구는, 반찬이나 밥 또는 기타 음식물을 잡거나 뜨기 위한 젓가락이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어 있으므로, 유아들이 이(齒)로 물을 경우 깨지기 쉬워 음식물과 함께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뜨거운 밥이나 국에 닿을 경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나와 유아의 몸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0062408호, 특허출원일 2004년12월17일 발명의 명칭;젓가락용 보조구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아나 아동의 엄지와 검지 그리고 중기손가락을 끼워 사용하는 중에 자연스럽게 젓가락을 안정적이고 바르게 쥐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젓가락을 비사용중에 락킹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젓가락이 벌어지지 않게 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상단에는 끼움방식에 의해 캐릭터를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도록 하여 유아의 흥미를 끌어 지속적인 적가락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젓가락을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에 있어서, 엄지와 검지 그리고 중지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에 대응되는 삽입링이 형성되어 상기 엄지와 검지 그리고 중지손가락을 움직이는 것에 의해 일단으로 음식을 잡을 수 있도록 제1,2젓가락으로 구성되어 구비되는 젓가락과, 상기 젓가락의 각 타단을 하부에 각각 고정 연결시키되, 제2젓가락은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어댑터의 일측 외부로 노출되게 돌출된 락킹조절부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젓가락이 어댑터에 대해서 회동되지 않거나 또는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젓가락의 제1,2젓가락은 유아들이 이(齒)로 물을 경우 깨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배출되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어댑터의 상단부에는 캐릭터의 일단을 끼움방식으로 고정 및 분리가능하도록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으로부터 고정돌기가 더 돌출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에 따르면, 유아나 아동의 엄지와 검지 그리고 중기손가락을 끼워 사용하는 중에 자연스럽게 젓가락을 안정적이고 바르게 쥐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젓가락을 비사용중에 락킹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젓가락이 벌어지지 않게 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상단에는 끼움방식에 의해 캐릭터를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도록 하여 유아의 흥미를 끌어 지속적인 적가락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젓가락을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의 락킹수단을 분해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의 락킹수단을 결합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은, 엄지와 검지 그리고 중지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에 대응되는 삽입링(113a,114a,114b)이 형성되어 상기 엄지와 검지 그리고 중지손가락을 움직이는 것에 의해 일단으로 음식을 잡을 수 있도록 제1,2젓가락(111,112)으로 구성되어 구비되는 젓가락(110)과, 상기 젓가락(110)의 각 타단을 하부에 각각 고정 연결시키되, 제2젓가락(112)은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어댑터(130)와, 상기 어댑터(130)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어댑터(130)의 일측 외부로 노출되게 돌출된 락킹조절부재(153)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젓가락(112)이 어댑터(130)에 대해서 회동되지 않거나 또는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락킹수단(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젓가락(110)의 제1,2젓가락(111,112)은 유아들이 이(齒)로 물을 경우 깨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배출되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성형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어댑터(130)의 상단부에는 캐릭터(A)의 일단을 끼움방식으로 고정 및 분리가능하도록 바닥면에 고정돌기(D)가 돌출된 삽입홈(H)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의 젓가락(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와 검지 그리고 중지손가락이 삽입되어 이들 손가락이 움직이는 것에 대응되게 일단으로 음식을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젓가락(110)은, 유아들이 이(齒)로 물을 경우 깨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배출되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성형된 제1젓가락(111)에 엄지손가락을 끼움시킬 수 있는 엄지손가락삽입링(113a)이 형성된 제1고정편(113)이 구비되고, 스테인레스 재질로 성형된 다른 하나 즉, 제2젓가락(112)에는 검지와 중지 손가락을 각각 삽입시킬 수 있는 검지손가락삽입링(114a)과 중지손가락삽입링(114b)이 일체로 형성된 제2고정편(11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한 제1,2고정편(113,114)은 제1,2젓가락(111,112)을 관통시켜 제1,2젓가락(111,112)상에 고정되도록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성형되되, 중앙부에는 제1,2젓가락(111,112)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각각 홀(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되며, 상기 제1,2고정편(113,114)이 각각 끼움되는 상기 제1,2젓가락(111,112)의 외주면에는 제1,2고정편(113,114)이 제1,2젓가락(111,112)으로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축경된 걸림면(111a,112a)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어댑터(130)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젓가락(110)의 제1,2젓가락(111,112) 타단은 각각 연결시키되, 제1젓가락(110)은 고정되게 연결시키고 제2젓가락(112)은 음식을 잡을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어댑터(130)는 일면에 다수의 홈(131a,131a',131a")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홈(131a)에 각각 삽입가능하게 다수의 돌기(132a,132a',132a")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면에는 캐릭터(A)를 수용할 수 있도록 삽입홈(H)이 형성되되, 상기 홈(131a")은 락킹수단(150)의 코일스프링(151)을 수용하여 일단을 걸림시킬 수 있도록 걸림홈(131b)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31b)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회동되는 각도의 범위를 제한가능하도록 형성된 각도범위제한용홈(131c)을 갖는 연결편(131d)에 수용되어 구비되는 제1,2몸체(131,132)와, 상기 제1몸체(131)의 하부 일측에 하향 연장 돌출되어 제1젓가락(111)의 타단을 삽입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고정홈(미도시함)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고정연결편(133)과, 상기 제1몸체(131)의 하부 타측에 일단이 연결편(131d)을 수용하여 일정 각도 만큼만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링(134a)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링의 내주면에는 코일스프링(151)의 타단을 걸림시키면서 각도범위제한용홈(131c)에 삽입되어 회동각도가 제한가능하도록 회동각도제한용돌기(134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각도제한용돌기(134b)가 형성된 외주면에는 락킹수단(150)의 일단을 수용가능하도록 락킹수용홈(134c)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제2젓가락(112)의 타단을 내측으로 삽입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2고정홈(미도시함)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2고정연결편(134)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락킹수단(150)은 어댑터(130)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어댑터(130)의 일측 외부로 노출되게 돌출된 락킹조절부재(153)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젓가락(112)이 어댑터(130)에 대해서 회동되어 사용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회동되지 않아 사용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한 락킹수단(15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130)의 제1몸체(131)에 형성된 연결편(131d)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일단은 걸림홈(131b)에 걸림되고 타단은 제2고정연결편(134)의 연결링(134a) 내주면에 돌출된 회동각도제한용돌기(134b)에 걸림되어 항상 제2고정연결편(134)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코일스프링(151)과, 상기 어댑터(130)의 제1몸체(131) 내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일단은 제2고정연결편(134)의 연결링(134a) 외주면에 형성된 락킹수용홈(134c)에 걸림가능하게 구비되는 락킹부재(152)와, 상기 락킹부재(152)의 타단을 걸림시켜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락킹부재(152)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제1,2몸체(131,132)가 결합됨에 따른 외부로 회전가능하게 노출되도록 돌기(132a)를 중앙부로 관통시켜 구비되는 락킹조절부재(15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이 락킹수단에 의해 락킹된 상태에서, 락킹해제시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어댑터(130)의 일측에 외부로 노출된 락킹수단(150)의 락킹조절부재(153) 외주면을 상방향으로 밀게 되면, 어댑터(130)의 제1,2(131,132)에 회동가능하게 내설된 락킹부재(152)가 회동하게 된다.
상기한 락킹부재(152)가 회동하는 것에 의해 제2고정연결편(134)의 연결링(134a)에 형성된 락킹수용홈(134c)에 삽입되어 걸림된 부분이 걸림해제 된다.
상기 락킹부재(152)가 락킹수용홈(134c)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므로 인하여 제2고정연결편(134)은 코일스프링(151)의 스프링력에 의해 회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고정연결편(134)이 회동하므로 인해 젓가락(110)의 제1,2젓가락(111,112)은 사용이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
110 ; 젓가락
130 ; 어댑터
150 ; 락킹수단

Claims (5)

  1.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에 있어서,
    엄지와 검지 그리고 중지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에 대응되는 삽입링(113a,114a,114b)이 형성되어 상기 엄지와 검지 그리고 중지손가락을 움직이는 것에 의해 일단으로 음식을 잡을 수 있도록 제1,2젓가락(111,112)으로 구성되어 구비되는 젓가락(110)과;
    상기 젓가락(110)의 각 타단을 하부에 각각 고정 연결시키되, 제2젓가락(112)은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어댑터(130)와;
    상기 어댑터(130)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어댑터(130)의 일측 외부로 노출되게 돌출된 락킹조절부재(153)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젓가락(112)이 어댑터(130)에 대해서 회동되지 않거나 또는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락킹수단(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어댑터(130)는 일면에 다수의 홈(131a,131a',131a")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홈(131a)에 각각 삽입가능하게 다수의 돌기(132a,132a',132a")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면에는 캐릭터(A)를 수용할 수 있도록 삽입홈(H)이 형성되되, 상기 홈(131a")은 락킹수단(150)의 코일스프링(151)을 수용하여 일단을 걸림시킬 수 있도록 걸림홈(131b)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31b)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회동되는 각도의 범위를 제한가능하도록 형성된 각도범위제한용홈(131c)을 갖는 연결편(131d)에 수용되어 구비되는 제1,2몸체(131,132)와, 상기 제1몸체(131)의 하부 일측에 하향 연장 돌출되어 제1젓가락(111)의 타단을 삽입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고정홈(미도시함)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고정연결편(133)과, 상기 제1몸체(131)의 하부 타측에 일단이 연결편(131d)을 수용하여 일정 각도 만큼만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링(134a)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링의 내주면에는 코일스프링(151)의 타단을 걸림시키면서 각도범위제한용홈(131c)에 삽입되어 회동각도가 제한가능하도록 회동각도제한용돌기(134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각도제한용돌기(134b)가 형성된 외주면에는 락킹수단(150)의 일단을 수용가능하도록 락킹수용홈(134c)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제2젓가락(112)의 타단을 내측으로 삽입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2고정홈(미도시함)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2고정연결편(134)으로 구성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110)의 제1,2젓가락(111,112)은 유아들이 이(齒)로 물을 경우 깨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배출되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어댑터(130)의 상단부에는 캐릭터(A)의 일단을 끼움방식으로 고정 및 분리가능하도록 삽입홈(H) 및 상기 삽입홈(H)의 바닥면으로부터 고정돌기(D)가 더 돌출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110)의 제1젓가락(111)에는 엄지손가락을 끼움시킬 수 있는 엄지손가락삽입링(113a)이 형성된 제1고정편(113)이 구비되고, 제2젓가락(112)에는 검지와 중지 손가락을 각각 삽입시킬 수 있는 검지손가락삽입링(114a)과 중지손가락삽입링(114b)이 일체로 형성된 제2고정편(114)이 구비되며, 상기 제1,2젓가락(111,112)의 외주면에는 제1,2고정편(113,114)이 제1,2젓가락(111,112)으로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축경된 걸림면(111a,112a)이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30)는 일면에 다수의 홈(131a,131a',131a")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홈(131a)에 각각 삽입가능하게 다수의 돌기(132a,132a',132a")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면에는 캐릭터(A)를 수용할 수 있도록 삽입홈(H)이 형성되되, 상기 홈(131a")은 락킹수단(150)의 코일스프링(151)을 수용하여 일단을 걸림시킬 수 있도록 걸림홈(131b)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31b)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회동되는 각도의 범위를 제한가능하도록 형성된 각도범위제한용홈(131c)을 갖는 연결편(131d)에 수용되어 구비되는 제1,2몸체(131,132)와, 상기 제1몸체(131)의 하부 일측에 하향 연장 돌출되어 제1젓가락(111)의 타단을 삽입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고정홈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고정연결편(133)과, 상기 제1몸체(131)의 하부 타측에 일단이 연결편(131d)을 수용하여 일정 각도 만큼만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링(134a)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링의 내주면에는 코일스프링(151)의 타단을 걸림시키면서 각도범위제한용홈(131c)에 삽입되어 회동각도가 제한가능하도록 회동각도제한용돌기(134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각도제한용돌기(134b)가 형성된 외주면에는 락킹수단(150)의 일단을 수용가능하도록 락킹수용홈(134c)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제2젓가락(112)의 타단을 내측으로 삽입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2고정홈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2고정연결편(13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150)은, 상기 어댑터(130)의 제1몸체(131)에 형성된 연결편(131d)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일단은 걸림홈(131b)에 걸림되고 타단은 제2고정연결편(134)의 연결링(134a) 내주면에 돌출된 회동각도제한용돌기(134b)에 걸림되어 항상 제2고정연결편(134)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코일스프링(151)과, 상기 어댑터(130)의 제1몸체(131) 내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일단은 제2고정연결편(134)의 연결링(134a) 외주면에 형성된 락킹수용홈(134c)에 걸림가능하게 구비되는 락킹부재(152)와, 상기 락킹부재(152)의 타단을 걸림시켜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락킹부재(152)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제1,2몸체(131,132)가 결합됨에 따른 외부로 회전가능하게 노출되도록 돌기(132a)를 중앙부로 관통시켜 구비되는 락킹조절부재(1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
KR1020130026601A 2012-03-14 2013-03-13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 KR201301054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6033 2012-03-14
KR1020120026033 2012-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481A true KR20130105481A (ko) 2013-09-25

Family

ID=4945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601A KR20130105481A (ko) 2012-03-14 2013-03-13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54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0392A (zh) * 2016-12-31 2017-03-22 陈留香 餐具
CN109744827A (zh) * 2018-12-19 2019-05-14 安徽创品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方便儿童使用的筷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0392A (zh) * 2016-12-31 2017-03-22 陈留香 餐具
CN109744827A (zh) * 2018-12-19 2019-05-14 安徽创品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方便儿童使用的筷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0976B2 (ja) 箸用補助具
WO2015057984A2 (en) Dine and draw child lap tray apparatus
KR20130105481A (ko)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
US20140232128A1 (en) Chopsticks indicating finger acupuncture points stimulating brain
US20110239470A1 (en) Helper Utensil
US20110003273A1 (en) teaching aid for correct use of cutlery by children
CN104825028B (zh) 食物夹取装置
US10076212B2 (en) Tongs utensil with spatula member
AU2018200057A1 (en) Tether with flexible socket for pacifiers, teethers, toys and other implements babies use
KR20060044442A (ko) 젓가락
KR200469596Y1 (ko) 트레이닝 젓가락
JP2007007056A (ja) 立食用容器
EP3277603A1 (en) Turkey leg holder
KR200359824Y1 (ko) 젓가락
TWI361672B (ko)
US9636281B2 (en) Bottle holder
KR101879436B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KR20140005315U (ko) 일체형 수저
KR200449188Y1 (ko) 고리부재를 갖춘 식사도구
KR102035038B1 (ko)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KR200487319Y1 (ko) 다용도 컵
KR101047916B1 (ko)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
CN108209439A (zh) 具有倾斜的通槽的手握式筷子柄
US20160058221A1 (en) Baby spoon and bowl
JP3191038U (ja) スタンド付きステッ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