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663U - 일체형 수저 - Google Patents

일체형 수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663U
KR20140000663U KR2020120006444U KR20120006444U KR20140000663U KR 20140000663 U KR20140000663 U KR 20140000663U KR 2020120006444 U KR2020120006444 U KR 2020120006444U KR 20120006444 U KR20120006444 U KR 20120006444U KR 20140000663 U KR20140000663 U KR 201400006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handle
spoon
cutlery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용
Original Assignee
이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용 filed Critical 이원용
Priority to KR2020120006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663U/ko
Publication of KR201400006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6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체형 수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젓가락과 숟가락을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음식을 집는 부분의 반대쪽에 가이드 홈과 가이드를 형성하여 젓가락의 회전시에 옆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일체형 수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숟가락과 젓가락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서 노약자나 어린이 등이 음식을 먹는데 편리하며, 젓가락으로 사용할 때에도 옆으로 비틀어지지 않아서 음식을 떨어뜨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수저{INTEGRATED SPOON}
본 고안은 일체형 수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젓가락과 숟가락을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음식을 집는 부분의 반대쪽에 가이드 홈과 가이드를 형성하여 젓가락의 회전시에 옆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일체형 수저에 관한 것이다.
숟가락과 젓가락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야외에서 식사를 하거나 단체로 행사를 하는 경우에는 일일이 수저를 배치하는 것이 어려울 때가 있다.
특히 젓가락질이 서툰 어린아이들은 젓가락을 잃어버리거나 땅에 떨어뜨리는 경우가 많아서 새로 수저를 가져다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을 일체형으로 만든 기술들이 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체형 수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일체형 수저(10)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하나로 결합되어 있는 형상을 가진다. 숟가락은 길쭉한 형상의 손잡이(11)와 머리(12)로 이루어진다. 머리(12)는 손잡이(11)의 말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대략 반타원형상으로 제작된다. 반타원의 곡선부는 통상적인 숟가락의 머리와 같이 곡선형태이지만, 반대편은 직선에 가까운 형태를 띠게 된다.
머리(12)의 직선부 방향에는 젓가락(13)이 위치한다. 젓가락(13)의 말단은 손잡이(11)의 일부분과 힌지(14)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 말단의 측면은 머리(12)에 형성된 직선모양의 측면(직선부)와 맞닿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젓가락(13)은 힌지(14)를 중심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집게 된다.
그리고 젓가락(13)의 일측면에는 원형의 고리(15)가 부착되는데, 고리(15)는 통상적인 사람의 검지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지름을 가진다.
머리(12)는 국이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약간 오목하게 곡면으로 제작되는데, 젓가락(13)의 말단에는 머리(12)의 오목한 단면과 유사한 각도로 휘어지는 절곡부(13a)가 형성된다.
젓가락(13)은 힌지(14)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한다. 사용자는 젓가락(13)을 머리(12)에 붙인 상태에서 숟가락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젓가락(13)을 회전시키면 음식을 집을 수 있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수저(10)는 젓가락(13)이 힌지(14)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데, 비교적 길쭉한 형태의 젓가락(13)이 끝부분의 힌지(14) 하나에만 고정되어 있어서 젓가락(13)이 회전하는 도중에 아래위로 흔들리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KR 20-2010-0004268 U KR 20-0258077 Y1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숟가락과 젓가락이 결합되는 회전축에서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 홈과 가이드를 각각 형성하여 가이드가 가이드 홈에 끼워진 상태로 활주이동하게 함으로써 숟가락과 젓가락의 회전시에 좌우측으로 비틀어지지 않도록 하는 일체형 수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젓가락에서 음식을 집는 말단 부위를 숟가락 쪽으로 약간 절곡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손목을 과도하게 꺾지 않아도 음식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수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숟가락(110)과 젓가락(120)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수저로서, 상기 숟가락(110)은 손잡이(112)의 끝부분에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납작하고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11)와; 상기 손잡이(112)의 한 부분의 표면에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중심축이 상하 방향으로 서있는 상태로 형성되는 회전축 돌기(113)와; 상기 손잡이(112)에서 상기 회전축 돌기(113)와 상기 오목부(111)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112)의 측면 중에서 상기 젓가락(120)과 접촉하는 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11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젓가락(120)은 손잡이(122)의 아래쪽 끝부분에 형성되어 음식을 집는 집게부(121)와; 상기 손잡이(122)의 윗쪽 한 곳에 일부분이 개방된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사용자의 집게 손가락을 넣어서 고정시키는 고리(123)와; 상기 손잡이(122)의 윗쪽 끝에 상기 회전축 돌기(1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져 상기 회전축 돌기(113)가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 홈(124)과; 상기 손잡이(122)의 가운데 부분에 측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114)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활주 이동하는 가이드(1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게부(121)의 끝에는 상기 숟가락(110) 방향으로 10° 내지 30°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숟가락과 젓가락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서 노약자나 어린이 등이 음식을 먹는데 편리하며, 젓가락으로 사용할 때에도 옆으로 비틀어지지 않아서 음식을 떨어뜨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숟가락과 젓가락의 측면이 완전히 밀착되므로 나물류와 같이 가늘고 긴 형태의 음식을 집을 때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체형 수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수저의 구조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도 2의 수저의 평면 구조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도 2의 수저의 저면 구조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벌어진 상태의 평면 구조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가이드 홈에 가이드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수저"(이하, '수저'라 함)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수저의 구조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3은 도 2의 수저의 평면 구조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도 2의 수저의 저면 구조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벌어진 상태의 평면 구조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가이드 홈에 가이드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고안의 수저(100)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회전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숟가락(110)과 젓가락(120)으로 구성된다. 숟가락(110)과 젓가락(120)은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목재 재질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며, 기타 다른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숟가락(110)은 끝부분에 음식을 담을 수 있게 납작하고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11)와, 오목부(111)의 일측에서 길게 연장되는 손잡이(112)로 구성된다.
오목부(111)는 일반적인 숟가락에서 음식을 담는 부분과 유사하게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오목부(111)의 측면에 젓가락(120)이 접촉하면서 음식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해준다.
숟가락(110)의 손잡이(112)의 한 부분의 표면에는 회전축 돌기(113)가 돌출 형성된다. 회전축 돌기(113)는 납작한 원통형의 돌기로서, 손잡이(112)의 표면과 저면에서 그 중심축이 상하 방향으로 서있는 상태에서 돌출된다. 회전축 돌기(113)는 젓가락(120)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중심축 역할을 한다.
회전축 돌기(113)와 오목부(111)의 사이에는 손잡이(112)의 측면에 가이드 홈(114)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114)은 손잡이(112)의 측면 중에서 젓가락(120)과 접촉하는 면에 형성된다.
젓가락(120)은 길쭉한 형상의 손잡이(122)의 아래쪽 끝부분에 음식을 집는 집게부(121)가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집게부(121)의 끝에는 숟가락(110) 방향으로 10° 내지 30°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다. 절곡부는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 쪽으로 젓가락(120)이 절곡되도록 하여 음식을 집을 때, 과도하게 손목을 꺾어야 하는 불편이 생기지 않도록 해준다. 절곡부의 각도는 2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젓가락(120)의 손잡이(122)의 윗쪽 한 곳에는 집게 손가락을 걸 수 있는 고리(123)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사용자는 수저(100)를 잡았을 때, 고리(123)에 집게 손가락을 넣고, 젓가락(12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유아용 젓가락에도 집게 손가락과 엄지, 중지를 끼울 수 있는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데, 고리가 완전히 닫힌 원형인 경우에는 손가락이 활주 이동할 수 없어서 세밀한 조작이 힘들었다. 본 고안에서는 고리(123)가 닫힌 형태의 모양이 아니라 어느 한쪽이 개방된 원이나 타원, 다각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집게 손가락이 약간씩 활주 이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세밀한 조작이 가능해지므로, 나물류의 반찬을 쉽게 집어서 먹을 수 있게 된다.
손잡이(122)의 윗쪽 끝에는 회전축 홈(124)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회전축 홈(124)은 숟가락(110)의 회전축 돌기(1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지며, 회전축 돌기(113)가 회전축 홈(124)에 끼워진 상태에서 젓가락(1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숟가락(110)과 젓가락(120)은 회전축 돌기(113)와 회전축 홈(124)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만큼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회전축 돌기(113)는 원통형으로서, 가운데에 위치한 중심축이 상하 방향으로 서있는 상태가 되며, 젓가락(120)은 이러한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따라 숟가락(110)과 젓가락(120)이 있는 평면상에서 일정한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한다.
손잡이(122)의 가운데 부분에는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125)가 형성된다. 가이드(125)는 젓가락(120)과 숟가락(110)을 연결했을 때, 가이드 홈(114)이 형성된 곳과 대응되는 손잡이(122)의 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125)는 가이드 홈(114)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젓가락(120)를 회전시키면 이와 함께 활주 이동하게 된다.
젓가락(120)의 회전시에 가이드(125)가 가이드 홈(114) 내부에서 활주이동하면서 젓가락(120)이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준다.
오목부(111)의 말단은 젓가락(120)의 반대 방향으로 약간 절곡된 형태가 되며, 이 부분에는 집게부(121) 끝부분의 절곡부가 접촉한다.
도 5와 6에서는 숟가락(110)의 몸체에 가이드 홈(114)을 형성하고, 젓가락(120)의 몸체에 가이드(125)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두 개의 구성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즉, 젓가락(120)의 몸체에 오목한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숟가락(110)의 몸체에 가이드를 형성하여 수저(100)의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도면에 나타난 것은 하나의 실시예일뿐이며, 가이드(125)와 가이드 홈(114)의 위치는 자유롭게 정해질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본 고안의 수저(100)를 젓가락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젓가락(120)을 일정 각도만큼 벌린 상태에서 집게부(121)로 음식을 집을 수 있다.
회전축 돌기(113)를 중심으로 해서 젓가락(120)이 회전을 하게 되는데, 젓가락(120)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젓가락(120)의 몸체가 약간만 회전해도 집게부(121)의 끝부분과 오목부(111)의 끝부분 사이에는 비교적 큰 틈이 생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수저 110 : 숟가락
111 : 오목부 112 : 손잡이
113 : 회전축 돌기 114 : 가이드 홈
120 : 젓가락 121 : 집게부
122 : 손잡이 123 : 고리
124 : 회전축 홈 125 : 가이드

Claims (2)

  1. 숟가락(110)과 젓가락(120)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수저로서,
    상기 숟가락(110)은
    손잡이(112)의 끝부분에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납작하고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11)와;
    상기 손잡이(112)의 한 부분의 표면에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중심축이 상하 방향으로 서있는 상태로 형성되는 회전축 돌기(113)와;
    상기 손잡이(112)에서 상기 회전축 돌기(113)와 상기 오목부(111)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112)의 측면 중에서 상기 젓가락(120)과 접촉하는 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11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젓가락(120)은
    손잡이(122)의 아래쪽 끝부분에 형성되어 음식을 집는 집게부(121)와;
    상기 손잡이(122)의 윗쪽 한 곳에 일부분이 개방된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사용자의 집게 손가락을 넣어서 고정시키는 고리(123)와;
    상기 손잡이(122)의 윗쪽 끝에 상기 회전축 돌기(1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져 상기 회전축 돌기(113)가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 홈(124)과;
    상기 손잡이(122)의 가운데 부분에 측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114)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활주 이동하는 가이드(1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수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121)의 끝에는 상기 숟가락(110) 방향으로 10° 내지 30°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수저.
KR2020120006444U 2012-07-20 2012-07-20 일체형 수저 KR201400006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444U KR20140000663U (ko) 2012-07-20 2012-07-20 일체형 수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444U KR20140000663U (ko) 2012-07-20 2012-07-20 일체형 수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663U true KR20140000663U (ko) 2014-02-03

Family

ID=5244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444U KR20140000663U (ko) 2012-07-20 2012-07-20 일체형 수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66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6212B2 (en) Tongs utensil with spatula member
KR20140000663U (ko) 일체형 수저
CN104825028A (zh) 食物夹取装置
KR200469596Y1 (ko) 트레이닝 젓가락
KR20140001937U (ko) 일체형 수저
US20180055258A1 (en) Finger-mountable utensils and related methods
KR20090001430U (ko) 젓가락
KR20140005315U (ko) 일체형 수저
KR200359824Y1 (ko) 젓가락
KR102092594B1 (ko) 젓가락
JP3180416U (ja) スプーン
KR20130027974A (ko) 변신 캐릭터 젓가락
CN204764811U (zh) 一种筷子
KR20100006242A (ko) 개량형 젓가락
CN206822460U (zh) 一种筷子结构
JP5681245B2 (ja) パスタ用フォーク
CN206443570U (zh) 一种防烫汤锅
KR20140004057U (ko) 숟가락 겸용 젓가락
US20130160298A1 (en) Easy Use Utensil
US20160249757A1 (en) Finger-Mountable Eating Utensils and Related Methods
KR20110102104A (ko) 학습 교정용 젓가락
CN209518691U (zh) 一种便于携带的勺子
GB2512090A (en) An item of cutlery
KR102035038B1 (ko)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KR20130006341U (ko) 젓가락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레이닝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