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430U - 젓가락 - Google Patents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430U
KR20090001430U KR2020070013230U KR20070013230U KR20090001430U KR 20090001430 U KR20090001430 U KR 20090001430U KR 2020070013230 U KR2020070013230 U KR 2020070013230U KR 20070013230 U KR20070013230 U KR 20070013230U KR 20090001430 U KR20090001430 U KR 200900014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chopstick
thumb
finger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엔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엔피
Priority to KR2020070013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430U/ko
Publication of KR200900014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4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젓가락질이 서투른 어린이 또는 외국인들이 젓가락을 올바르게 파지할 수 있도록 유도함과, 젓가락 사용시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젓가락으로, 검지 및 중지손가락 삽입구(110,120)가 끼워 설치되고, 그 상부에 걸림턱(131) 및 회동축(132)이 일체로 형성된 긴 구멍(130)을 가지는 제1젓가락(100); 및 상기 긴 구멍(130)에 형성된 회동축(132)에 끼워맞춤되며 걸림턱(131)에 의해 젓가락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편(200)과, 상기 연결편과 일체로 형성되며 엄지손가락이 거치되는 엄지손가락 거치부(310)와, 이 엄지손가락 거치부 아래 쪽에 약지손가락 걸림부(320)가 일체로 형성된 제2젓가락(300)으로 구성된다.
제 1 및 제2 젓가락, 손가락 삽입부, 연결편

Description

젓가락{CHOPSTICK}
본 고안은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젓가락질이 서투른 어린이 또는 외국인들이 젓가락을 올바르게 파지할 수 있도록 유도함과, 젓가락 사용시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뇌를 자극할 수 있는 손의 사용범위는 연필필기, 바느질, 가위질, 뜨개질, 젓가락질, 공기놀이, 실 놀이 등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매우 많다.
그러나 점차 손의 사용을 귀찮아 하고 편리한 문명의 이기만을 추구해 가는 중에 우리 두뇌는 점차 녹슬어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손을 자주 사용하여 두뇌를 자극할 수 있는 것으로는 식사할 때 자주 사용되는 젓가락이 그 대표적인 예일 것이다.
젓가락을 사용하는 나라는 국내 또는 일본, 중국 등이 동양권 몇 나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젓가락의 고안은 아시아적 지혜의 결정체라고 할 수가 있다. 젓가락은 손이 연장된 인체 기관의 일부다. 눈과 손이 하나가 되어 움직이는 것은 두뇌 작용의 총화이다. 따라서 대뇌의 성장 발달을 위해, 또 쇠퇴와 노화를 막기 위 해 젓가락을 사용해야한다. 현대과학자들이 기기 측정에 의하면 젓가락을 사용할 때 적어도 손가락, 손바닥, 손목, 팔 굽 등 30여개 관절과 50여개의 근육이 운동된다고 한다. 하지만 서양인 들이 이용하는 포크를 사용하면 운동량은 절반밖에 안 된다고 발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젓가락질이 서투른 어린이 또는 외국인들이 젓가락을 올바르게 파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젓가락'을 오랜 시간 연구 노력한 끝에 국내실용신안등록제00359824호와 동 등록제05845614호'지능개발용학습저' 및 특허제0461614호 등 여러 가지 발명을 등록받아 제품화하여 현재 활발하게 판매되고 있다.
이 외에도 국내 발명가 들이 앞다투어 여러 가지 '젓가락'을 고안하여 제품화하고 있는 데, 그 중 , 국내실용신안등록제0357490호 '젓가락'이 출원되어 있다.
즉, 이 고안의 요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짝으로 이루어진 젓가락 중 어느 한쪽 젓가락(1)의 상단부 쪽에 형성된 가이드홈(1a)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대편 젓가락(2)의 고정홈(2a)에 고정됨과 동시에 한 짝의 젓가락(H;1,2) 사이를 연결하는 가이드축(3)과, 상기 가이드축(3)과 일정간격을 두고 한 짝의 젓가락(H;1,2) 가운데 부위에 조립되어 일측의 젓가락(1)이 젓 가락질에 따라 회동할 때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회동하도록 일단이 일측 젓가락(2)의 체결홈(2b)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 단이 상대편 젓가락(1)에 마련된 회동홈(1b)의 고정핀(1c)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한 짝의 젓가락(H;1,2)을 상호 구속하는 회동축(4)을 가지며, 상기 회동축(4)은 자체의 길이 변경이 가능하도록 좌우 삽입 가능한 구조 를 가지며, 상기 한 짝의 젓가락(H;1,2)에 회동홈(1b) 및 체결홈(2b)을 서로 대향되게 여러 개 구비하여 회동축(4)의 설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젓가락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젓가락질을 위해 한 짝의 젓가락(H;1,2)을 잡을 때 기존 젓가락 사용과 동일하게 두 개의 젓가락(H;1,2) 중 하나의 젓가락(2)을 손가락의 약지(23) 첫째 마디와 엄지(20)와 인지(21)의 사이에 놓은 다음, 엄지(20)의 중간부위로 눌러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의 젓가락(1)을 인지(21)와 중지(22)의 끝 마디 사이의 지점과 인지(21)의 뿌리부분에 올려놓은 다음 상기 엄지(20)의 끝 부위로 눌러서 잡는다.
그리고, 상기 젓가락(2)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젓가락(1)을 엄지(20)의 끝 부위로 누른 지점(회동축(4) 근처)을 기준점으로 하여 인지(21)와 중지(22)로 젓가락(1)을 일정각도 아래로 회전시켜 필요한 물건을 집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젓가락(1)을 엄지(20)의 끝 부위로 누른 지점 부근에 회동축(4)이 위치하면서 두 젓가락(H;1,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게 되고, 상기 회동축(4)을 연결하는 회동홈(1b)의 고정핀(1c)을 중심으로 젓가락(1)이 회동하면서 젓가락질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젓가락(1)의 상단부에 마련된 가이드홈(1a)에 관통된 가이드축(3)을 따라 움직이는 젓가락(1)이 회동각 만큼 벌어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젓가락의 경우 한 쌍의 젓가락을 연결하는 회동축(4)과 상단에 가이드축(3)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어 실제 젓가락 사용을 하게 되면 아래 에 설치된 회동축(4)의 간섭에 의해 젓가락질이 부자연스럽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축(3)이 가이드홈(1a)을 관통되어 돌출되어 있어 미관상 보기 좋지못하고, 또 가이드 축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어 어린이가 호기심에 당기면 이 가이드축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홈(2a)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망실되던가 아니면 아이가 삼킬 우려가 있어 부모가 항상 관심 있게 관찰해야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외관이 미려하고, 하나의 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젓가락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가 있으며, 어린아이가 쉽게 연결부를 빼내지 못하도록 한 젓가락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은 외관이 미려하고, 하나의 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젓가락이 자연스럽게 회동 되도록 함으로써, 젓가락 사용이 서투른 아이나 외국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젓가락의 연결 부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이 연결부를 빼내어서 호기심에 가지고 놀거나 삼키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한쪽의 젓가락에 엄지손가락이 걸칠 수 있는 엄지손가락 거치지부와 약지 손가락이 걸리도록 약지 손가락 걸림부를 형성하고, 타 측 젓가락에는 검지 및 중시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고안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검지 및 중지손가락 삽입구(110,120)가 끼워 설치되고, 그 상부에 걸림턱(131) 및 회동축(132)이 일체로 형성된 긴 구멍(130)을 가지는 제1젓가락(100); 및
상기 긴 구멍(130)에 형성된 회동축(132)에 끼워맞춤되며 걸림턱(131)에 의해 젓가락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편(200)과, 상기 연결편과 일체로 형성되 며 엄지손가락이 거치되는 엄지손가락 거치부(310)와, 이 엄지손가락 거치부 아래 쪽에 약지손가락 걸림부(320)가 일체로 형성된 제2젓가락(30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편(200)은 제2 젓가락(300)에 대해 수평으로 30°∼55°각도로 이루어지며, 일 측에 상기 회동축(132)에 끼어맞춤되기 위한 걸림홈(201)이 형성되고, 이 걸림홈(201) 하부에 상기 제 1 젓가락(100)의 긴 구멍(130)에 형성된 걸림턱(131)에 의해 제1 젓가락의 회동을 제지하기 위한 단턱홈(2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편(200)은 긴 구멍(130)과 동일한 폭 또는 2∼4㎜ 적은 폭으로 형성되어 젓가락의 좌,우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검지 및 중지손가락 삽입구(110,120)가 끼워 설치되고, 그 상부에 걸림턱(131) 및 회동축(132)이 일체로 형성된 긴 구멍(130)을 가지는 제1젓가락(100); 및
상기 긴 구멍(130)에 형성된 회동축(132)에 끼워맞춤되기 위한 걸림홈(201)과, 이 걸림홈(201)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긴 구멍(130)에 형성된 걸림턱(131)에 의해 걸어맞춤되기 위한 단턱홈(131)을 가지며 타측에 고정고리(210)가 형성된 연결편(200); 및
상기 고정고리(210)가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고정바(321) 및 고정구멍(320)이 형성되며, 이 고정구멍(320) 아래에 엄지손가락이 거치되는 엄지손가락 거치부(310)가 형성된 제2젓가락(30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젓가락은 외관이 미려하고, 하나의 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되게 함으로써, 젓가락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가 있어 젓가락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어린이 또는 외국인들이 젓가락을 올바르게 파지할 수 있도록 유도함과, 젓가락 사용시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 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젓가락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젓가락의 측면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부분 절개 단면도이고, 도 5b 는 젓가락의 정면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앞서 도면에 표현되는 동일한 형상과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젓가락과 같이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이하에서 편의상 제1 및 제2 젓가락(100,300)이라고 명명한다.
제 1젓가락(100)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의 면적이 넓고 아래쪽으로 점점 면적이 작게되는 사각형상을 이루며, 중간 위쪽 부분에 검지 및 중지손가락 삽입구(110,120)가 끼워 지기 위한 삽입홈(101)이 형성된다.
상기 검지 및 중지손가락 삽입구(110,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질은 실리콘이며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홈(101)에 끼워지기 위한 사각형상의 유지부(111,121)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검지 및 중지손가락 삽입구(110,120)의 유지부(111,121)에는 긴 고정돌기(111a,121a)가 형성되어, 제1 젓가락(100)의 삽입홈(101)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구멍(102)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검지 및 중지손가락 삽입구(110,120)의 유지부(111,121)에 형성된 긴 고정돌기(111a,121a)가 제1 젓가락(100)의 삽입홈(101)에 형성된 고정구멀(102)에 끼워짐으로써, 각각의 삽입구가 자리 이탈을 하지않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삽입홈(101) 상부에는 걸림턱(131) 및 회동축(132)이 일체로 형성된 긴 구멍(130)이 형성된다.
즉, 도 5a 또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구멍(130)의 하부에 후면이 막히고 전면 중간 쯤 걸림턱(131)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걸림턱(131) 상부에 회동축(132)이 일체로 사출된다.
이때, 상기 긴 구멍(130)의 상부에는 경사면(133)이 형성되어 제1 젓가락의 사용시 연결편(200)과의 간섭을 방지하였다.
또한, 제 2젓가락(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이 거치되는 엄지손가락 거치부(310)가 형성되고, 이 엄지손가락 거치부 아래 쪽에 약지손가락 걸림부(3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엄지손가락 거치부(310)는 엄지손가락이 자연스럽게 올려지도록 상면이 완면한 경사면을 이루며 젓가락가의 경계면에 완만한 곡선부를 형성하여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걸쳐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약지 손가락 걸림부(320)는 완만한 호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젓가락 파지시 약지 손가락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젓가락(100,300)을 연결하는 연결편(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젓가락(100)의 긴 구멍(130)에 형성된 회동축(132)에 끼워맞춤되기 위한 걸림홈(201)이 형성되고, 이 걸림홈(201) 하부에 상기 긴 구멍(130)에 형성된 걸림턱(131)에 의해 제1 젓가락의 회동을 제지하기 위한 단턱홈(202)이 형성되어 젓가락 전, 후 동작시 젓가락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걸림홈과 단턱부가 하나의 넓은 연결편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젓가락 사용시 좌, 우로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즉, 상기 연결편(200)의 상, 하부 폭을 긴 구멍(130)과 동일한 폭 또는 2∼4㎜ 적은 폭으로 형성하여 젓가락의 좌,우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연결편(200)은 제2 젓가락(300)에 대해 수평으로 30°∼55°각도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1 젓가락(100)이 상기 연결편(200)에 대해 자연스럽게 동작할 수가 있다.
즉, 젓가락 사용시 엄지손가락의 기울기와 연결편(200)의 기울기가 동일하게 함으로써, 제1젓가락(100)이 자연스럽게 연결편(200)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젓가락은 어린이나 외국인이 검지 및 중지손가락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젓가락(100)에 설치된 손가락삽입구(110,120)에 삽입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제2젓가락(300)에 형성된 엄지손가락 거치부(310)에 자연스럽게 걸쳐놓고, 약지손가락을 하부에 돌출 형성된 약지 손가락 걸림부(320)에 걸리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중지와 검지손가락의 작동으로 제1 젓가락(100)은 연결편(200)을 지지점으로 벌어졌다 오므려졌다 함으로써, 음식물을 손쉽게 집을 수가 있다.
도 6은 본 고안 젓가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기본적인 구성은 본 실시예와 같고, 다만 제1 및 제2 젓가락(100,20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편(200)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제1 젓가락(100)에는 검지 및 중지손가락 삽입구(110,120)가 끼워 설치되고, 그 상부에 걸림턱(131) 및 회동축(132)이 일체로 형성된 긴 구멍(1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 구멍(130)에 형성된 회동축(132)에는 독립된 하나의 연결핀(200)이 끼워진다.
즉, 이 연결편(200)에는 상기 회동축(132)에 끼워맞춤되기 위한 걸림홈(20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긴 구멍(130)에 형성된 걸림턱(131)에 의해 걸어맞춤되기 위한 단턱홈(131)이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에 고정고리(21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고리(210)는 제2 젓가락(30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바(321)에 끼워맞춤된다.
또한, 상기 제2 젓가락(300) 즉, 상기 고정구멍(320) 아래에는 엄지손가락이 거치되는 엄지손가락 거치부(310)가 형성되고, 이 엄지손가락 거치부(310) 아래쪽에는 약지손가락 걸림부(3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젓가락은 사용자의 숙련에 따라 연결편(200)을 제1 및 제2 젓가락(100,300)으로 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 및 제2 젓가락 자체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젓가락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은 젓가락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젓가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 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젓가락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젓가락의 측면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부분 절개 단면도이고, 도 5b 는 젓가락의 정면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7a는 제 1 젓가락 삽입구에 검지 및 중지를 삽입하고, 제 2 젓가락에 엄지 및 약지손가락을 걸쳐놓은 상타낸 나타낸 도면이며, 도 7b는 제1 젓가락에 삽입되어 있던 손가락 삽입구를 빼내어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 제 1젓가락 101 : 삽입홈
102 : 고정구멍 110,120 : 삽입구
111,121 : 유지부 111a,121a : 긴 고정돌기
130 : 긴 구멍 131 : 걸림턱
132 : 회동축 133 : 경사면
200 : 연결편 201 : 걸림홈
202 : 단턱홈 300 : 제2 젓가락
310 : 엄지손가락 거치부 320 : 약지손가락 걸림부

Claims (4)

  1. 검지 및 중지손가락 삽입구가 끼워설치되고, 그 상부에 걸림턱 및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된 긴 구멍을 가지는 제1젓가락; 및
    상기 긴 구멍에 형성된 회동축에 끼워맞춤되며 걸림턱에 의해 젓가락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과 일체로 형성되며 엄지손가락이 거치되는 엄지손가락 거치부와, 이 엄지손가락 거치부 아래 쪽에 약지손가락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2젓가락;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제2 젓가락에 대해 수평으로 30°∼55°각도로 이루어지며, 일 측에 상기 제1젓가락의 회동축에 끼어맞춤되기 위한 걸림홈이 형성되고, 이 걸림홈 하부에 상기 긴 구멍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제1 젓가락의 회동을 제지하기 위한 단턱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의 상,하폭을 상기 제 1젓가락에 형성된 긴 구멍과 동일한 폭 또는 2∼4㎜ 적은 폭으로 형성하여 젓가락의 좌,우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4. 검지 및 중지손가락 삽입구가 끼워 설치되고, 그 상부에 걸림턱 및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된 긴 구멍을 가지는 제1젓가락; 및
    상기 긴 구멍에 형성된 회동축에 끼워맞춤되기 위한 걸림홈과, 이 걸림홈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긴 구멍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걸어맞춤되기 위한 단턱홈을 가지며, 타측에 고정고리가 형성된 연결편; 및
    상기 고정고리가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고정바 및 고정구멍이 형성되며, 이 고정구멍 아래에 엄지손가락이 거치되는 엄지손가락 거치부가 형성된 제2젓가락;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KR2020070013230U 2007-08-08 2007-08-08 젓가락 KR200900014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230U KR20090001430U (ko) 2007-08-08 2007-08-08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230U KR20090001430U (ko) 2007-08-08 2007-08-08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430U true KR20090001430U (ko) 2009-02-12

Family

ID=4129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230U KR20090001430U (ko) 2007-08-08 2007-08-08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430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130B1 (ko) * 2011-09-08 2012-03-28 엄영식 교육용 젓가락
EP2462847A1 (en) * 2009-08-05 2012-06-13 Chatming Woo Chopsticks for studying
KR101230385B1 (ko) * 2009-09-08 2013-02-06 김병현 젓가락
US9468322B2 (en) 2013-04-25 2016-10-18 Chat Ming Woo Chopsticks with a hinge mechanism
CN111839146A (zh) * 2020-08-25 2020-10-30 北京智鼎问道品牌设计有限公司 一种防错位儿童筷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62847A1 (en) * 2009-08-05 2012-06-13 Chatming Woo Chopsticks for studying
EP2462847A4 (en) * 2009-08-05 2013-01-23 Chatming Woo BAGUETTES FOR STUDY
KR101230385B1 (ko) * 2009-09-08 2013-02-06 김병현 젓가락
KR101130130B1 (ko) * 2011-09-08 2012-03-28 엄영식 교육용 젓가락
US9468322B2 (en) 2013-04-25 2016-10-18 Chat Ming Woo Chopsticks with a hinge mechanism
CN111839146A (zh) * 2020-08-25 2020-10-30 北京智鼎问道品牌设计有限公司 一种防错位儿童筷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1430U (ko) 젓가락
CN101991331A (zh) 训练用筷子及其使用方法
KR100461614B1 (ko) 지능개발용 학습저
RU2406431C2 (ru) Учебное пособие для правиль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толовых приборов ребенком
JP2007532231A (ja)
WO2007049887A1 (en) Chopsticks with fork
KR100720828B1 (ko) 집게형 젓가락
JP3194983U (ja) トレーニング箸
KR200416517Y1 (ko) 유아용 숟가락
KR102181150B1 (ko) 파스타면 감김부가 구비된 다기능 젓가락
KR20140032030A (ko) 교정용 젓가락
CN212261078U (zh) 儿童学习用筷
KR200377102Y1 (ko) 집게형 젓가락
KR101230385B1 (ko) 젓가락
KR101047916B1 (ko)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
KR200471973Y1 (ko) 젓가락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레이닝 젓가락
KR200473993Y1 (ko) 숟가락 겸용 젓가락
KR200450867Y1 (ko) 학습용 젓가락
CN219920797U (zh) 矫正筷
JP3129865U (ja)
KR20130006341U (ko) 젓가락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레이닝 젓가락
CN215993567U (zh) 一种便于婴儿使用的婴儿餐具
CN218738287U (zh) 一种可换主体装饰件弯头筷子虎口训练筷
KR100890777B1 (ko) 교육용 젓가락
KR200399708Y1 (ko) 집게형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501

Effective date: 2010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