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517Y1 - 유아용 숟가락 - Google Patents

유아용 숟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517Y1
KR200416517Y1 KR2020060004221U KR20060004221U KR200416517Y1 KR 200416517 Y1 KR200416517 Y1 KR 200416517Y1 KR 2020060004221 U KR2020060004221 U KR 2020060004221U KR 20060004221 U KR20060004221 U KR 20060004221U KR 200416517 Y1 KR200416517 Y1 KR 200416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handle portion
handle
infan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겸
Original Assignee
김영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겸 filed Critical 김영겸
Priority to KR2020060004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5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5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숟가락 손잡이부(20)의 양쪽에 고리(30, 30')가 장착되어 있어 숟가락을 잘 잡지 못하는 유아들이 숟가락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유아들이 고리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숟가락을 사용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20)에 길이조절부(40)가 형성되어 있어 숟가락을 사용하는 유아의 손 크기에 따라서 손잡이부(2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유아용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유아용 숟가락, 고리, 길이조절부

Description

유아용 숟가락{SPOON FOR BABY}
도 1은 본 고안의 유아용 숟가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유아용 숟가락에서 고리부착구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유아용 숟가락에서 접이식 고리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유아용 숟가락에서 "S"자 고리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유아용 숟가락에서 길이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헤드부 20: 손잡이부
22: 상부 손잡이부 24: 하부 손잡이부
26: 삽입홈 28: 나사산
29: 조절너트 30, 30': 고리
32: 고리부착구 40: 길이조절부
본 고안은 유아용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숟가락 손잡이부(20)의 양쪽에 고리(30, 30')가 장착되어 있어 숟가락을 잘 잡지 못하는 유아들이 숟가락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유아들이 고리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숟가락을 사용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20)에 길이조절부(40)가 형성되어 있어 숟가락을 사용하는 유아의 손 크기에 따라서 손잡이부(2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유아용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우리의 식생활은 밥이나 국, 나물류를 주식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음식물들을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먹게 되는 것이다. 숟가락은 일반직으로 은, 백동, 놋쇠, 합성수지 등을 재질로 하여 음식물을 퍼 올리기에 적합한 형태로 제작하여 국물 등을 떠먹게 되는 식사용 도구나 액상의 약을 먹기 위한 의약용 도구 등으로 대략 사용되어 진다. 종래의 숟가락은 내용물을 퍼 올리기에 적합하도록 바닥이 함몰된 타원형의 헤드부(10)를 구성하고 상기 헤드부의 일측으로 손잡이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숟가락은 성인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할 것이나 손가락이 작은 유아들이 직접 숟가락을 들고 음식물 등을 먹을 때 서투른 숟가락 질에 의하여 입에 들어가는 숟가락의 각도가 비스듬하게 먹게 되므로 입가의 주변으로 내용물이 흘리게 되어 입술의 주변이 더러워지는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유아용 숟가락은 숟가락 손잡이부에 고리가 장착되어 있지 않아 숟가락을 잘 잡지 못하는 유아들이 숟가락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유아들이 숟가락질 을 잘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유아용 숟가락은 손잡이부에 길이조절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숟가락을 사용하는 유아의 손 크기에 따라서 손잡이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숟가락 손잡이부(20)의 양쪽에 고리(30, 30')가 장착되어 있어 숟가락을 잘 잡지 못하는 유아들이 숟가락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유아들이 고리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숟가락을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숟가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손잡이부(20)에 길이조절부(40)가 형성되어 있어 숟가락을 사용하는 유아의 손 크기에 따라서 손잡이부(2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유아용 숟가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바닥면이 반원형태로 함몰된 타원형의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10)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20)로 된 숟가락에 있어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손잡이부(20)의 양쪽에 고리(30, 30')가 장착되어 있으며 손잡이부(2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20)에 길이조절부(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유아용 숟가락에 있어서 고리는 고리는 고리부착구(32)의 양쪽에 부착되어 손잡이에 끼울 수 있는 형태; 손잡이부(20)의 양쪽에 접이식 형태로 장착되어 있는 형태; 또는 손잡이에 "S"자 형태로 장착되어 있는 형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유아용 숟가락에 있어서 길이조절부(40)는 상부 손잡이부(22)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홈(26) 내부에 하부 손잡이(24)를 끼운 상태에서 상부 손잡이부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태의 나사산(28)에 조절너트(29)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아용 숟가락은 손잡이부(20)의 양쪽에 고리(30, 30')가 장착되어 있어 숟가락을 잘 잡지 못하는 유아들이 숟가락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유아들이 고리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숟가락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유아용 숟가락에서 헤드부(10)는 스테인레스스틸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손잡이부(20) 및 고리(30, 30')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유아용 숟가락에 있어서 고리는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리부착구(32)의 양쪽에 부착되어 손잡이에 끼울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거나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20)의 양쪽에 접이식 형태로 장착되어 있는 형태로 제작하거나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에 "S"자 형태로 장착되어 있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유아용 숟가락에 있어서 고리가 고리부착구(32)의 양쪽에 부착되어 있는 고리부착구(32)는 탄력성이 있는 탄성고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유아용 숟가락에 있어서 고리가 손잡이부(20)의 양쪽에 접이식 형태로 장착되어 있는 경우 유아가 숟가락을 사용할 때는 고리를 양쪽으로 펼친 상태에서 고리에 손가락을 끼워 사용하고 사용 후 보관할 때는 양쪽으로 펼쳐진 고리를 접어서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유아용 숟가락은 손잡이부(20)에 길이조절부(40)가 형성되어 있어 숟가락을 사용하는 유아의 손 크기에 따라서 손잡이부(2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아용 숟가락에 있어서 길이조절부(40)는 상부 손잡이부(22)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홈(26) 내부에 하부 손잡이(24)를 끼운 상태에서 상부 손잡이부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태의 나사산(28)에 조절너트(29)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유아용 숟가락에서 숟가락을 사용하는 유아의 손 크기에 따라서 손잡이부(20)의 길이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부 손잡이부(22)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홈(26) 내부에 하부 손잡이(24)를 끼운 상태에서 하부 손잡이(24)를 밀어넣거나 잡아당긴 후 테이퍼 형태의 나사산(28)에 장착된 조절너트(29)를 회전시켜 고정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숟가락은 사출성형 또는 주물 제작을 통해 그 형상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선단부에 유아나 어린아이들이 좋아하는 무늬나 형상을 부가할 수 있다. 유아가 직접 숟가락을 들고 음식물을 먹을 때 숟가락 질이 서툴러도 고리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손잡이부의 길이와 방향을 자유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먹을 수 있게 되어 내용물 흘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입술 주변의 청결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숟가락 손잡이부(20)의 양쪽에 고리(30, 30')가 장착되어 있어 숟가락을 잘 잡지 못하는 유아들이 숟가락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유아들이 고리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숟가락을 사용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20)에 길이조절부(40)가 형성되어 있어 숟가락을 사용하는 유아의 손 크기에 따라서 손잡이부(2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유아용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3)

  1. 바닥면이 반원형태로 함몰된 타원형의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10)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20)로 된 숟가락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손잡이부(20)의 양쪽에 고리(30, 30')가 장착되어 있으며 손잡이부(2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20)에 길이조절부(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숟가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고리부착구(32)의 양쪽에 부착되어 손잡이에 끼울 수 있는 형태; 손잡이부(20)의 양쪽에 접이식 형태로 장착되어 있는 형태; 및 손잡이에 "S"자 형태로 장착되어 있는 형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숟가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40)는 상부 손잡이부(22)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홈(26) 내부에 하부 손잡이(24)를 끼운 상태에서 상부 손잡이부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태의 나사산(28)에 조절너트(29)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숟가락.
KR2020060004221U 2006-02-15 2006-02-15 유아용 숟가락 KR2004165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221U KR200416517Y1 (ko) 2006-02-15 2006-02-15 유아용 숟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221U KR200416517Y1 (ko) 2006-02-15 2006-02-15 유아용 숟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517Y1 true KR200416517Y1 (ko) 2006-05-16

Family

ID=4176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221U KR200416517Y1 (ko) 2006-02-15 2006-02-15 유아용 숟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51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88Y1 (ko) * 2009-03-13 2010-06-23 라온상사 주식회사 고리부재를 갖춘 식사도구
KR20210038058A (ko) * 2019-09-30 2021-04-0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폰 및 포크의 가변적 결합기구
USD933433S1 (en) 2021-01-08 2021-10-19 Busy Baby LLC Teething spoon
US11197584B2 (en) 2018-04-11 2021-12-14 Busy Baby LLC Teething spoon
KR20220125550A (ko) 2021-03-05 2022-09-14 현혜정 영·유아용 숟가락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88Y1 (ko) * 2009-03-13 2010-06-23 라온상사 주식회사 고리부재를 갖춘 식사도구
US11197584B2 (en) 2018-04-11 2021-12-14 Busy Baby LLC Teething spoon
KR20210038058A (ko) * 2019-09-30 2021-04-0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폰 및 포크의 가변적 결합기구
KR102243430B1 (ko) * 2019-09-30 2021-04-22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폰 및 포크의 가변적 결합기구
USD933433S1 (en) 2021-01-08 2021-10-19 Busy Baby LLC Teething spoon
KR20220125550A (ko) 2021-03-05 2022-09-14 현혜정 영·유아용 숟가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9832B1 (en) Utensils having elevated distal ends for preventing germs and contamination
KR200416517Y1 (ko) 유아용 숟가락
US11253091B2 (en) Spoon
US9060918B1 (en) Attachable mouthpiece spout for use with food packaging
US20130125402A1 (en) Feeding Utensil
US20110214300A1 (en) Baby Spoon
US20110106156A1 (en) Pacifier and feeding device
JP2015533602A (ja) スプーン
AU2018200057A1 (en) Tether with flexible socket for pacifiers, teethers, toys and other implements babies use
KR20140005688U (ko) 유아용 스푼
KR20180003160U (ko) 포크
KR200198747Y1 (ko) 유아용 수저
CN202218783U (zh) 一种便携式多功能餐具
JP3984267B2 (ja) 食事補助具
TWM557566U (zh) 輔助嬰幼兒學習擷取食物的手持餐具
JP2010214074A (ja) 乳児及び幼児の成長段階に合わせ使用出来るスプーン
JP2021142174A5 (ko)
TWI645815B (zh) 輔助嬰幼兒學習擷取食物的手持餐具
KR200258439Y1 (ko) 유아용 스푼
US20160058221A1 (en) Baby spoon and bowl
CN203458160U (zh) 一种哺喂勺
KR20170078181A (ko) 유아용 스푼
TWD184982S (zh) 奶瓶
KR20170071201A (ko) 유아용 식사도구
KR19990018537U (ko) 유아용 수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