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5550A - 영·유아용 숟가락 - Google Patents

영·유아용 숟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5550A
KR20220125550A KR1020210029516A KR20210029516A KR20220125550A KR 20220125550 A KR20220125550 A KR 20220125550A KR 1020210029516 A KR1020210029516 A KR 1020210029516A KR 20210029516 A KR20210029516 A KR 20210029516A KR 20220125550 A KR20220125550 A KR 20220125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poon
handle
cover
inf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혜정
Original Assignee
현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혜정 filed Critical 현혜정
Priority to KR102021002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5550A/ko
Publication of KR20220125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02Teething r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 A47G2200/046For person with a handicap of holding or gras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으로 잡게 되는 자루(100)와 상기 자루(100)에 이어지게 형성되어 음식물을 떠서 담을 수 있는 볼(200)을 포함하되, 상기 자루(100)는 단면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삼각형의 밑변에 해당되는 지점에 중지를 안착시킬 수 있는 거치홈(120)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홈(120)에 중지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삼각형의 빗변과 대변에 해당되는 지점을 엄지와 검지로 잡도록 하여 상기 자루(100)를 바르게 잡도록 유도하게 되는 영·유아용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유아용 숟가락{Spoon}
본 발명은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숟가락 사용이 익숙치 않은 영아 또는 유아가 숟가락 사용 방법을 습득하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영·유아용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숟가락은 손으로 잡는 자루와 음식물을 퍼담을 수 있는 볼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자루를 손잡이로 잡고 음식물을 떠서 섭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숟가락은 자루를 손으로 바르게 잡고 사용하여야 한다. 그런데 숟가락 사용이 익숙치 않은 영·유아의 경우 자루를 바르게 잡지 못하여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떠서 섭취하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바, 식사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6517호(2006.5.16. 공고)
본 발명은 영·유아가 숟가락을 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함과 영·유아가 음식을 섭취하는데 적합한 구조로 되는 영·유아용 숟가락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손으로 잡게 되는 자루와 상기 자루에 이어지게 형성되어 음식물을 떠서 담을 수 있는 볼을 포함하되, 상기 자루는 단면 삼각형 형상을 이루어 상기 삼각형의 밑변에 해당되는 지점에 중지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삼각형의 빗변과 대변에 해당되는 지점을 엄지와 검지로 잡도록 하여 상기 자루를 바르게 잡도록 유도하게 되는 영·유아용 숟가락을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아 또는 유아가 숟가락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자루를 바르게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공기가 배출되는 구성을 통해 뜨거운 음식을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고, 볼에 덮개를 형성함으로써 씹는 동작에 의해 자연스럽게 음식을 섭취할 수 있게 되며, 탄성재질의 탄성커버를 볼에 장착하여 치아나 잇몸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음식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숟가락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숟가락의 저면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숟가락을 손으로 잡은 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루에 팬이 형성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볼에 덮개가 형성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볼에 탄성커버가 장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루가 적용된 숟가락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루가 적용된 숟가락을 손으로 잡은 상태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영·유아가 숟가락을 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함과 영·유아가 음식을 섭취하는데 적합한 구조로 되는 영·유아용 숟가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손으로 잡게 되는 자루와 상기 자루에 이어지게 형성되어 음식물을 떠서 담을 수 있는 볼을 포함하되, 상기 자루는 단면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삼각형의 밑변에 해당되는 지점에 중지를 안착시킬 수 있는 거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홈에 중지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삼각형의 빗변과 대변에 해당되는 지점을 엄지와 검지로 잡도록 하여 상기 자루를 바르게 잡도록 유도하게 되는 영·유아용 숟가락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숟가락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숟가락의 저면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숟가락을 손으로 잡은 상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숟가락은 자루(100)와 음식을 떠서 담는 볼(200)을 포함한다.
자루(10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으로 단면 삼각형 형상을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상단 „‰지점이 볼(200)의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자루(100)는 엄지와 검지 및 중지를 이용해 잡을 수 있게 된다. 중지를 상기 삼각형의 밑변에 해당되는 지점에 대고 빗변과 대변에 해당되는 지점에 엄지와 검지를 대고 잡아주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숟가락의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영·유아가 바른 자세로 자루(100)를 손으로 잡아 숟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밑변에 해당되는 지점에는 거치홈(120)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거치홈(120)은 중지()를 안착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것으로, 중지가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르면 자루(100)를 손으로 잡는 과정에서 중지가 위치되는 지점이 자연스럽게 지정되고 미끄러지지 않게 되므로 자루(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잡아주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자루(100) 후단에는 치발기(300)가 형성될 수 있다. 영아는 통상적으로 치아가 나는 시점에서 씹고자 하는 욕구가 생기면서 물건을 입으로 물고 씹는 행동을 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자루(100)에 형성되는 치발기(300)를 입으로 물고 씹으면서 씹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치발기(300)는 실리콘과 같이 인체에 해롭지 않으면서도 치아와 잇몸에 손상을 주지 않는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루에 팬이 형성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숟가락은 자루(100)에 팬(140)이 내장될 수 있다. 내부가 비어 자루(100)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모터(160)와 팬(140)이 장착되는바, 팬(140)은 모터(160)에 의해 작동되게 된다. 모터(160)는 자루(100)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버튼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하게 형성되는데, 전력 공급을 위해 자루(100) 내부에는 건전지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자루(100)에서 볼(200)을 향하는 선단에는 배기공(180)이 형성된다. 배기공(180)으로는 팬(140)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가 자루(10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 결과 팬(140)이 작동하면 배기공(180)을 통해 공기가 볼(200)을 향해 배출됨으로써 볼(200)에 담겨진 뜨거움 음식을 식힐 수 있게 된다. 영·유아의 경우 뜨거운 음식을 급히 섭취하다가 입 안을 데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기와 같이 식혀줌으로써 안전하게 음식을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자루(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멍이 적절한 위치에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나아가 팬(140)과 모터(160) 및 건전지()를 자루(100) 내부에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자루(100) 몸체가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볼에 덮개가 형성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숟가락에서 볼(200)에는 위로 볼록하게 덮개(220)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220)는 후단에서 중간 부분에 이르는 규격으로 형성되고, 인체에 무해하고 탄성을 가져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볼(200)과 덮개(220)에 의해 소정의 규격으로 공간이 구획되게 되는데, 볼(200)의 중간 지점에서 선단까지는 덮개(220)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이므로 음식물을 떠서 볼(200)에 담는 것은 가능하게 되고, 덮개(220)에 의해 음식물이 쉽게 쏟아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영·유아가 볼(200)에 담긴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씹는 동작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영·유아, 특히 영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건을 씹는 행동을 빈번하게 하는바, 볼(200)에 음식물을 담은 상태에서 볼(200)을 입안에 넣고 씹는 동작을 하게 되면 볼(200)에 담긴 음식물이 덮개(220)에 의해 눌리면서 마치 짜지듯이 볼(200) 선단으로 밀려나오게 되고, 이를 자연스럽게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씹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볼에 탄성커버가 장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숟가락은 볼(200)에 선택적으로 씌워지는 탄성커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커버(400)는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볼(200)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일측에 형성되는 입구로 볼(200)을 억지끼움 형태로 끼워줄 수 있게 형성된다.
상와 같이 탄성 재질의 탄성커버(400)를 볼(200)에 장착함으로써 볼(200)이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이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영·유아가 볼(200)에 담긴 음식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치아나 잇몸이 볼(200)에 부딪혀 상처를 입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재질의 탄성커버(400)가 치아나 잇몸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영·유아의 행동적 특성을 관찰하고 연구한 결과 얻어진 구성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루가 적용된 숟가락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루가 적용된 숟가락을 손으로 잡은 상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숟가락은 자루(200)의 구성 및 자루(200)와 볼(200)의 결합관계를 앞서와 달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자루(200)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볼(200)은 상기 역삼각형 형상에서 밑변에 해당되는 면과 수평을 이루게 형성되는데, 이 구성에서 상기 밑변에 해당되는 면에 엄지를 대고, 나머지 두 변에 해당되는 면에 검지와 중지를 엄지를 대고 자루(200)를 잡아주게 된다. 이 구성에서 검지가 접하는 면에는 거치홈(120)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검지를 거치할 수 있게 형성됨으로써 검지를 거치하면서 자루(200)를 바르게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숟가락은, 자루(100)의 구성, 공기를 배출하는 구성, 볼(200)에 덮개(220)를 형성하는 구성, 볼(200)에 탄성커버(400)를 장착하는 구성을 필요에 따라 조합하여서 숟가락을 형성할 수 있는바, 영아 또는 유아가 바르게 숟가락을 잡고 안전하게 음식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100 : 자루, 120 : 거치홈, 140 : 팬, 160 : 모터, 180 : 배기공, 200 : 볼, 220 : 덮개, 300 : 치발기, 400 : 탄성커버.

Claims (5)

  1. 손으로 잡게 되는 자루(100)와 상기 자루(100)에 이어지게 형성되어 음식물을 떠서 담을 수 있는 볼(200)을 포함하되,상기 자루(100)는 단면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삼각형의 밑변에 해당되는 지점에 중지를 안착시킬 수 있는 거치홈(12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볼(200)은 상기 밑변에 해당되는 부분과 수평을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홈(120)에 중지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삼각형의 빗변과 대변에 해당되는 지점을 엄지와 검지로 잡도록 하여 상기 자루(100)를 바르게 잡도록 유도하게 되는 영·유아용 숟가락.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100) 내부에는 모터(160)와 상기 모터(160)에 의해 작동하는 팬(14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자루(100)에서 상기 볼(200)을 향하는 선단에는 배기공(180)이 형성되어, 상기 팬(140)이 작동하면 상기 배기공(180)을 통해 공기가 상기 볼(200)을 향해 배출됨으로써 뜨거움 음식을 식힐 수 있게 되는 영·유아용 숟가락.
  3.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볼(200)에는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후단에서 중간 부분에 이르게 덮어주되 탄성 재질로 형성된 덮개(220)가 구비되어, 상기 볼(200)에 음식물을 담은 상태에서 상기 덮개(220)를 물어주면 상기 음식물이 상기 볼(200) 선단으로 밀려나오며 섭취할 수 있게 되는 영·유아용 숟가락.
  4.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볼(200)에 씌워지는 탄성 재질의 탄성커버(400)를 더 포함하여,상기 탄성커버(400)를 선택적으로 상기 볼(200)에 씌워 영·유아의 치아나 잇몸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영·유아용 숟가락.
  5.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자루(100) 후단에는 치발기(300)가 형성되는 영·유아용 숟가락.
KR1020210029516A 2021-03-05 2021-03-05 영·유아용 숟가락 KR20220125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516A KR20220125550A (ko) 2021-03-05 2021-03-05 영·유아용 숟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516A KR20220125550A (ko) 2021-03-05 2021-03-05 영·유아용 숟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550A true KR20220125550A (ko) 2022-09-14

Family

ID=8327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516A KR20220125550A (ko) 2021-03-05 2021-03-05 영·유아용 숟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55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517Y1 (ko) 2006-02-15 2006-05-16 김영겸 유아용 숟가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517Y1 (ko) 2006-02-15 2006-05-16 김영겸 유아용 숟가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5619A (en) Low birth weight infant pacifier
US4779344A (en) Manipulatable utensil figure
US9295616B2 (en) Teether
EP2174638B1 (en) Teether
US20040200748A1 (en) Children's tooth and gum cleaning kit
US20050251211A1 (en) Multiple nipple pacifier
KR20220125550A (ko) 영·유아용 숟가락
AU2018200057A1 (en) Tether with flexible socket for pacifiers, teethers, toys and other implements babies use
US6643884B1 (en) Baby toothbrush
JP5443113B2 (ja) 離乳食用スプーン
KR200424267Y1 (ko) 유아용 안전스푼
KR200382580Y1 (ko) 유아용 칫솔
JP3877407B2 (ja) 学習用スプーン
CN219167150U (zh) 儿童牙胶
JP3984267B2 (ja) 食事補助具
CN220778062U (zh) 一种勺子
KR20160001370U (ko) 유아용 교정 숟가락
CN218127991U (zh) 一种防溢出餐具物品
CN213373862U (zh) 一种婴儿牙胶
KR20140005688U (ko) 유아용 스푼
US20090130945A1 (en) Children's toothbrush and aerial amusement device
KR20150004011U (ko) 유아용 교정 숟가락
KR200386371Y1 (ko) 피리 기능을 갖는 치아 발육기
JP2000079044A (ja) スプーン
JP3142513U (ja) 離乳食及び介護用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