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371Y1 - 피리 기능을 갖는 치아 발육기 - Google Patents

피리 기능을 갖는 치아 발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371Y1
KR200386371Y1 KR20-2005-0008740U KR20050008740U KR200386371Y1 KR 200386371 Y1 KR200386371 Y1 KR 200386371Y1 KR 20050008740 U KR20050008740 U KR 20050008740U KR 200386371 Y1 KR200386371 Y1 KR 200386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infants
tooth
flut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철
Original Assignee
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철 filed Critical 전철
Priority to KR20-2005-0008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3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3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1Emitting means, e.g. for emitting sound, light, scents or flavours
    • A61J17/1011Emitting sound, e.g. having rattles or music bo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들이 사용하는 치아 발육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 내부에 새피리를 장착시켜 유아들이 직접 불어서 피리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치아 발육과 더불어 또 다른 감각 기능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치아가 완성된 이후의 연령층 아이들까지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때 새피리는 유아들의 입으로 흡입되지 않는 구조로 장착시킨 것이다.

Description

피리 기능을 갖는 치아 발육기{The teeth growth tool}
본 고안은 유아들의 성장 단계에서 치아가 나오기 시작할 때 사용하는 치아 발육기에 관한 것으로, 유아들이 직접 불어서 소리를 낼 수 있는 피리 기능이 있도하여 다양한 감각의 발달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통상 생후 6개월을 전후해서 아이들이 치아가 나오기 시작하면 잇몸이 자극을 받아 아이들이 무엇인가를 씹으려는 본능이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아이들이 위생적으로 안심하게 씹을 있도록 하여 치아의 올바른 발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 치아 발육기이다.
따라서 이러한 치아 발육기는 잇몸이 다치지 않도록 말랑말랑한 연질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무엇보다도 아이들이 늘 입으로 물고 빨게 됨으로서 위생적으로도 안전한 재질을 선택하여 제작하게 되는 것이고, 아이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생상과 디자인이 고려된 다양한 종류의 것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아 발육기는 단지 치아 발육의 기능만이 있도록 되어 있어, 유아들의 치아가 어느 정도 자라게 된 후에는 필요성을 못느낄 뿐 아니라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특별한 기능이 없기 때문에 아이들의 무관심속에서 불과 몇 개월 동안만 한시적으로 사용하는 유아 용품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었다.
따라서 부모들은 아이들의 성장 과정에 따른 또 다른 용품들을 계속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경제적 부담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치아 발육기는 본체 내부에 새피리를 장착하여 치아가 생성되는 생후 6개월 전,후로는 치아를 발육시킬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이후에는 아이들이 직접 피리를 불고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완구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서 유아기 이후의 어린이들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두께와 면적을 갖도록 연질체로 성형된 본체(1)의 표면에 유아들의 잇몸 자극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돌기체(2)가 형성되고, 본체(1)의 어느 일 부분으로는 유아들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3)가 형성된 통상의 치아 발육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어느 일측방으로 관통구멍(4)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3)에 새피리(5)를 삽입시켜 장착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관통구멍(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피리(5)의 끝단이 결합되는 후단의 구멍폭을 새피리(5)의 관경보다 작게 형성시키고, 새피리(5)의 선단이 결합되는 전단의 구멍에는 새피리의 선단 테두리부에 감싸여지는 걸림턱살(4a)을 형성시켜 새피리(5)의 임의 빠짐을 방비토록 함과 동시에 유아들이 새피리(5)가 장착된 부분을 빨을 경우 새피리(5)가 입으로 흡입되어 목에 걸려질 수 있는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사용되는 새피리(4)는 완구에 통상적으로 적용할 때 제공되는 것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고, 본체(1)를 성형한 후 본체(1)의 관통구멍(4)에 새피리(5)를 끼워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관통구멍(4)은 본 고안의 치아 발육기가 연질체로 성형된 것이어서, 관통구멍(4)의 후단이 새피리(5)의 관경보다 작아도 탄성에 의하여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새피리(5)의 장착을 위한 관통구멍(4)은 상기 본체(1)의 어느 일측으로 돌출부(6)를 형성시켜, 이 돌출부(6)에 형성토록 하는 것이 새피리(5)의 장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치아 발육기의 모양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돌출부(6)를 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어느 일 측면에 절개홈(7)을 형성시켜 절개홈(7)이 형성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유연해지도록 함으로서 아이들이 물게 되는 부분의 선택폭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것이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절개홈(7)에 유아들이 사용하는 턱받이의 일 부분을 삽입시켜 봉제토록 함으로서 본 고안의 치아 발육기가 형성된 턱받이의 제공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치아 발육기는 본체(1)에 관통구멍(4)을 형성시켜 새피리(5)를 장착토록 함으로서 피리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고, 이때 새피리(5)는 관통구멍(4)의 걸림턱살(4a)에 의하여 유아들이 새피리가 장착된 부분을 빨을 경우에도, 새피리(5)가 빠져 입으로 흡입되는 위험성이 없게 됨으로서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피리의 기능으로 유아들에게 또 다른 감각 기능을 발육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치아 발육기는 피리의 기능이 있어 유아들에게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유아들에게 또 다른 감각 기능을 발육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치아가 나오기 시작하는 유아기부터 치아가 모두 완성되어 성장하게 되는 어린이들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장기간의 사용이 가능한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피리 장착 진행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턱받이에 형성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돌기체
3: 손잡이부 4: 관통구멍
5: 새피리 6: 돌출부
7: 절개홈

Claims (3)

  1. 두께와 면적을 갖는 연질체로 성형된 본체(1)와 본체(1)의 어느 일 부분으로는 손잡이부(3)가 형성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어느 일 측방으로 관통구멍(4)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멍(4)에 새피리(5)가 끼워져 장착됨으로서 피리 기능을 갖는 치아 발육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4)은 후단이 새피리의 관경보다 작고, 전단에는 새피리의 선단 테두리부에 감싸여지는 걸림턱살(4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리 기능을 갖는 치아 발육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5)은 본체(1)의 어느 일측으로 형성시킨 돌출부(6)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리 기능을 갖는 치아 발육기.
KR20-2005-0008740U 2005-03-30 2005-03-30 피리 기능을 갖는 치아 발육기 KR200386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740U KR200386371Y1 (ko) 2005-03-30 2005-03-30 피리 기능을 갖는 치아 발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740U KR200386371Y1 (ko) 2005-03-30 2005-03-30 피리 기능을 갖는 치아 발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371Y1 true KR200386371Y1 (ko) 2005-06-13

Family

ID=4368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740U KR200386371Y1 (ko) 2005-03-30 2005-03-30 피리 기능을 갖는 치아 발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3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10Y1 (ko) * 2013-03-13 2014-12-01 노지민 악기 기능을 구비한 치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10Y1 (ko) * 2013-03-13 2014-12-01 노지민 악기 기능을 구비한 치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5616B2 (en) Teether
CA2657551C (en) Teeth-cleaning pacifier having a convex teat body
EP2174638B1 (en) Teether
US20090030455A1 (en) Toy For Retaining Multiple Size Pacifiers
BRPI0401482B1 (pt) Bico de mamadeira
CN106999354B (zh) 音乐出牙嚼器
US20180078866A1 (en) Sensory Stimulating Developmental Stuffed Animal Pacifier and Teething Toy
US20190175454A1 (en) Stuffed toy with an enclosed pacifier for weaning an infant off of the pacifier
CA2368224A1 (en) Two-part teething handle for infant pacifier
KR200386371Y1 (ko) 피리 기능을 갖는 치아 발육기
US20080172089A1 (en) Pacifier with integral protective nipple housing
KR200382580Y1 (ko) 유아용 칫솔
KR101786033B1 (ko) 핑거토이를 포함하는 영유아 손가락 빨기 방지 교정장치
KR101838275B1 (ko) 치아발육기
JP2009138304A (ja) よだれ掛け
JP2001187117A (ja) おしゃぶり
KR19980056398U (ko) 완구를 겸할 수 있는 어린이용 숫가락
KR200254033Y1 (ko) 노리개 젖꼭지
KR100378140B1 (ko) 유아칫솔인형
KR200479190Y1 (ko)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
KR102093937B1 (ko) 치아발육기
KR200237233Y1 (ko) 치아발육기 겸용 놀이젖꼭지
CN110198698B (zh) 具有腕带的固齿器
KR200475410Y1 (ko) 악기 기능을 구비한 치발기
KR200481713Y1 (ko) 유아 및 어린이용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