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190Y1 -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 - Google Patents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190Y1
KR200479190Y1 KR2020140005281U KR20140005281U KR200479190Y1 KR 200479190 Y1 KR200479190 Y1 KR 200479190Y1 KR 2020140005281 U KR2020140005281 U KR 2020140005281U KR 20140005281 U KR20140005281 U KR 20140005281U KR 200479190 Y1 KR200479190 Y1 KR 200479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keyboard
tooth
gymnasium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선
Original Assignee
박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선 filed Critical 박용선
Priority to KR2020140005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1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1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6Infant exercisers, e.g. for attachment to a cri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001Baby-comfor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02Teething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58Balloons associated with light or 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에 관한 것으로, 버튼 누름에 의하여 음향효과를 발생시키는 건반의 양측에 다리대가 구비되고 다리대의 각도 및 건반의 각도를 조절하여 월령에 따라 형태를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체육관 완구에 있어서, 건반의 하단에 치아발육기를 걸어서 매달아 고정하는 방식으로 탈착되도록 함으로써 치아발육기의 접근성을 높여 유아가 체육관 완구를 이용하여 놀이중에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보관공간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걸어 고정하여 흔들리는 놀이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치아발육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The infant toy where the tooth period of growth runs}
본 고안은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에 관한 것으로, 누워서 사용하는 신생아를 위하여 건반의 하단에 치아발육기를 착탈이 가능하게 매달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체육관 완구에 관한 것이다.
체육관 완구는 신생아 때는 누워서 건반을 누르면서 음향을 발생시키면서 놀이를 하고, 걷지 못하는 6개월 가량의 유아는 앉아서 건반을 누르면서 놀 수 있도록 다리를 눕혀 높이를 조절하고, 걸음마를 배우는 아이는 기대어 걸음마를 연습할 수 있도록 다리를 세워서 사용하는 것으로, 신생아부터 성장기 유아까지 각각의 월령에 맞추어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완구이다.
이러한 체육관 완구는 음향발생을 위하여 다양한 버튼이 형성되는 건반이 구비되고, 건반의 양측으로는 다리대가 장착되어 건반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건반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신생하부터 성장기 유아까지 월령에 맞추어 건반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체육관 완구를 사용하는 월령대의 유아는 치아가 생성되는 시기여서 잇몸이 간지러움을 느끼게 되는데, 유아는 입 근처에 닿는 물건을 본능적으로 빨거나 씹게 된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는 별도의 치아발육기(일명 '치발기')가 판매되고 있으며, 이를 유아의 손에 쥐어줌으로써 치아발육을 유도하고 있다.
그런데 유아는 흥미를 쉽게 잃어버리기 때문에 손에 쥐어진 치아발육기를 사용하다가 금방 실증을 느끼게 되고, 치아발육기를 내버려둔 채 다른 물건을 찾아서 다시 입에 물고 빠는 등의 행위를 하게 된다.
특히, 성장기의 유아는 치아가 어떠한 물건에 접촉하는지에 따라 치열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되므로 치아발육에 사용되는 물품의 재질이 매우 중요한데, 재질이 딱딱한 생활용품이나 기타 소품들을 입에 물고 깨물면 치열 형성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치아발육기는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되고 사용되기 때문에 별도의 케이스에 담아서 보관하거나 보관장소를 마련하여 정해진 장소에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런데 유아가 치아발육기를 사용하다가 아무데나 던져놓거나 정해진 보관장소에 보관하지 않고 방치될 경우 방안에서 굴러다니면서 각종 먼지나 이물질이 치아발육기 표면에 묻게 되고, 그 상태에서 사리분별력이 없는 유아가 치아발육기를 다시 잡고 입에 넣고 빨고 깨무는 등의 행위를 하게 되므로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물질이 목에 걸리면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KR 200414610 Y1 KR 200435886 Y1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신생아부터 성장기까지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체육관 완구에 치아발육기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보관공간이 필요없이도 유아의 접근성을 높여 효율적인 치아발육을 유도하고 사용한 후에도 이물질이 묻지 않고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체육관 완구의 활용도를 높임은 물론, 치아발육기가 매달려 움직임되면서 흥미를 더 유발하고 추가적인 놀이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버튼 누름에 의하여 음향효과를 발생시키는 건반의 양측에 다리대가 구비되고 다리대의 각도 및 건반의 각도를 조절하여 월령에 따라 형태를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체육관 완구에 있어서, 건반의 하단에 치아발육기를 걸어서 매달아 고정하는 방식으로 탈착되도록 함으로써 치아발육기의 접근성을 높여 유아가 체육관 완구를 이용하여 놀이중에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보관공간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걸어 고정하여 흔들리는 놀이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치아발육기의 고정구조가 건반의 하단에 절첩되게 고리부를 형성함으로써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거나 또는 분리하여 별도의 개별제품으로도 휴대하면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여러 개의 치아발육기를 나열하면서도 각각의 치아발육기의 특성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유아의 성장 단계별로 다양한 치아발육기를 적용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에 의하면, 신생아부터 성장기까지 장기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에 치아발육기가 구비됨으로 인하여 유아가 쉽게 치아발육기를 사용할 수 있어 유아의 심리적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치아배열이 고르게 성장하도록 하고 효율적인 치아발육을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치아발육기를 별도의 보관공간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매달아 걸어서 보관함으로써 보관이 편리하고 유아에게는 치아발육기가 매달린 상태에서 움직이는 장난감으로 활용이 가능하므로 흥미를 더욱 유발하고 체육관 완구의 활용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치아발육기가 매달린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먼지나 이물질 등이 묻을 우려가 거의 없으므로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자주 세척할 필요가 없으며,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도 보호자가 쉽게 탈거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성장속도에 비례하여 적절한 두께와 경도에 맞는 치아발육기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월령에 따라서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치아발육기의 장착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건반에 형성된 고리부의 구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건반에 형성된 고리부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체육관 완구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체육관 완구에 복수의 치아발육기가 매달린 상태의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치아발육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구조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체육관 완구는 버튼 누름에 의하여 음향효과를 발생시키는 건반(10)이 구비되고, 건반(10)의 양측에 다리대(20)가 장착되어 건반(10)이 일정한 높이에 세워 고정되며, 건반(10)의 하단에는 유아의 치아발육을 위하여 실리콘 재질의 연질체(31)가 형성된 치아발육기(30)가 구비된다.
상기 건반(10)은 피아노 형태로 이루어지는 버튼과 기타 여러 개의 음향발생을 위한 버튼이 구비되며, 건반의 내부에는 다수의 LED와 함께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내장되어 버튼 누름에 의하여 음향이 발생하거나 발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건반(10)의 상부에는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 및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건반(10)의 양측면에는 다리대(20)와의 조립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어 건반(10)과 다리대(20)의 조립이 이루어지며, 그 결합부는 건반(10)의 기울어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월령에 맞추어 건반의 높낮이 및 건반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치아발육기(30)는 이렇게 각도조절 및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건반(10)의 하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건반(10)의 하단에 고리부(11)가 형성되어 치아발육기(30)를 걸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리부(11)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건반(10)에 내입되게 내입공간(12)을 형성하고, 그 내입공간(12)에 축 결합되어 절첩 작동하는 후크(13)를 장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13)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후크(13)를 내입공간(12)으로 삽입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고, 치아발육기(30)를 매달아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후크(13)를 인출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후, 치아발육기(30)를 매달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내입공간(12)에는 후크(13)가 임의로 절첩 작동되지 않고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되거나 삽입된 상태로 걸림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 5와 같이 내입공간(12)의 양 측벽에 유동방지구(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유동방지구(14)는 플라스틱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치아발육기(30)를 고리부(11)에 매달아 고정하기 위한 구조로써, 치아발육기(30)의 상부에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걸이부(33)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링 형태로 이루어진 걸이부(33)를 고리부(11)의 후크(13)에 매달아 고정함으로써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치아발육기(30)가 좌,우로 유동되어 흔들림이 가능케 된다.
따라서 유아가 치아발육기(30)를 바라볼 때 치아발육기(30)가 흔들려 움직임 되면서 흥미를 더 유발할 수 있으며, 치아발육기(30) 자체를 잡고 흔들면서 놀이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후크(13)가 유동되는 범위에 도 3 및 도 4와 같이 음향버튼(15)을 형성하면 유아가 치아발육기(30)를 잡고 당기거나 움직일 때 후크(13)의 절첩 작동에 따라서 음향버튼(15)이 눌려지면서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후크(13)에 음향버튼(15)의 누름이 용이하도록 돌출편(13a)을 일체로 형성하면, 후크(13)의 전,후방 절첩 작동에 의하여 음향버튼(15)이 더욱 쉽게 눌려지면서 음향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치아발육기(30)에 형성되는 연질체(31)는 치아발육기(30) 중의 일부를 연질체(31)로 형성하거나 또는 치아발육기 전체를 연질체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일부만 연질체(31)로 형성할 경우에는 치아발육기(30)의 테두리를 중심으로 연질체(31)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물이나 곤충 등 특정한 캐릭터 형상으로 치아발육기(30)를 제작할 경우에 날개 등과 같이 테두리부분에 형성되는 부분을 연질체(31)로 구성하여 유아가 쉽게 입에 넣어서 치아발육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치아발육기(30)에 형성된 연질체(31)는 도 7과 같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연질체(31)의 형태 및 강도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면 하나의 치아발육기(30)에서도 다양한 촉감과 씹는 느낌을 느낄 수 있게 되어 성장기 유아의 흥미를 더욱 유발할 수 있으며, 각각의 월령에 적합한 치아발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건반(10)의 하단에 장착되는 치아발육기(30)는 여러 개를 동시에 장착하여 유아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건반(10)의 하단에 형성되는 고리부(11)를 측방향으로 배열되게 복수의 고리부(11)를 형성하고, 각각의 고리부(11)에 치아발육기(30)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여러 개의 치아발육기(30)를 매달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고리부(11)에 매달아 고정되는 각각의 치아발육기(30)는 형상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다양한 캐릭터 또는 형상을 적용함으로써 흥미를 더욱 유발하고 호기심을 자극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각각의 치아발육기(30)에 형성되는 연질체(31)의 형상 및 강도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장기간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체육관 완구의 특성상 성장월령에 따라서 유아의 성장 단계별로 다양한 강도의 치아발육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6과 같이 여러 개의 치아발육기를 나열하면서도 각각의 치아발육기의 특성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유아의 성장 단계별로 다양한 치아발육기(30)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각각의 치아발육기(30)의 위치를 교체하거나, 월령에 맞춘 별도의 치아발육기(30)를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아발육기(30)는 도 8과 같이 내공간(34)에 다양한 부재(35)를 삽입하면 치아발육기(30) 자체에서 소리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치아발육기(30)의 본체(32)를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면서 테두리 중 일부만 연질체(31)로 형성하고, 본체(32)의 내공간(34)에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구슬이나 가루 등을 내장함으로써 치아발육기(30)의 흔들림에 의하여 다양한 소리를 구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10: 건반 11: 고리부
12: 내입공간 13: 후크
14: 유동방지구 15: 음향버튼
20: 다리대
30: 치아발육기 31: 연질체
32: 본체 33: 걸이부
34: 내공간 35: 부재

Claims (6)

  1. 버튼 누름에 의하여 음향효과를 발생시키는 건반(10)의 양측에 다리대(20)가 구비되고, 건반(10) 또는 다리대(20)의 각도를 조절하여 월령에 따라 건반의 높이 및 다리대의 형태를 변형시켜 성장기의 월령에 맞도록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에 있어서,
    상기 건반(10)의 하단에 고리부(11)가 형성되어 유아의 치아발육을 위하여 실리콘 재질의 연질체(31)가 일부 또는 전부로 형성된 치아발육기(3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리부(11)는 건반의 하단에 형성된 내입공간(12)에 후크(13)가 축 결합되어 절첩 작동하면서 내입공간으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치아발육기(30)의 상부에는 후크(13)에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이부(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10)에 형성되는 고리부(11)는 측방향으로 복수의 고리부(11)가 배열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고리부(11)에 치아발육기(30)를 나열하여 매달아 고정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리부(11)에 매달아 고정되는 각각의 치아발육기(30)는 형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면서 연질체(31)의 강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유아의 성장 단계별로 다양한 강도의 치아발육을 유도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발육기(30)는 본체(32)의 내공간(34)에 구슬이 내장되어 흔들림에 의한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
  6.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발육기(30)에 형성된 연질체(31)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연질체(31)의 강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
KR2020140005281U 2014-07-14 2014-07-14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 KR200479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281U KR200479190Y1 (ko) 2014-07-14 2014-07-14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281U KR200479190Y1 (ko) 2014-07-14 2014-07-14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190Y1 true KR200479190Y1 (ko) 2016-01-11

Family

ID=55174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281U KR200479190Y1 (ko) 2014-07-14 2014-07-14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1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3820A (ko) 2022-08-16 2024-02-23 (주)에센루 초점 바람개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9514A (ja) * 1993-05-31 1994-12-13 Sega Enterp Ltd 歯がため
JPH07323165A (ja) * 1994-06-01 1995-12-12 Aprica Kassai Inc 乳幼児用遊戯具
US20010003695A1 (en) * 1999-11-29 2001-06-14 Robert Tell Convertible child's toy
KR20040091566A (ko) * 2003-04-21 2004-10-28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치아 발육 장치
KR200414610Y1 (ko) 2006-01-23 2006-04-21 박용선 보행기 기능을 갖도록 된 피아노 완구
KR200435886Y1 (ko) 2006-09-29 2007-03-02 박용선 학습용 피아노 완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9514A (ja) * 1993-05-31 1994-12-13 Sega Enterp Ltd 歯がため
JPH07323165A (ja) * 1994-06-01 1995-12-12 Aprica Kassai Inc 乳幼児用遊戯具
US20010003695A1 (en) * 1999-11-29 2001-06-14 Robert Tell Convertible child's toy
KR20040091566A (ko) * 2003-04-21 2004-10-28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치아 발육 장치
KR200414610Y1 (ko) 2006-01-23 2006-04-21 박용선 보행기 기능을 갖도록 된 피아노 완구
KR200435886Y1 (ko) 2006-09-29 2007-03-02 박용선 학습용 피아노 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3820A (ko) 2022-08-16 2024-02-23 (주)에센루 초점 바람개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1668B2 (en) Parent-infant-interactive, sensory-stimulation toy and methods of use
Honig et al. Infant caregiving: A design for training
US7285127B2 (en) Pacifier toy
US6540579B1 (en) Convertible activity toy
US10098477B2 (en) Cushioned choke-safe play mat
US20110012408A1 (en) Infant bouncer and activity stand
JPH043980B2 (ko)
WO2017202359A1 (zh) 婴幼儿用感统智力启发椅
KR200479190Y1 (ko)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
US950492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engaging children
KR101786033B1 (ko) 핑거토이를 포함하는 영유아 손가락 빨기 방지 교정장치
GB2503453A (en) Baby rocking and multifunctional device
CN207202976U (zh) 一种儿童尖足爬行康复装置
Sassé Smart Start
CN110433503A (zh) 一种儿童成长用智能陪护机器人
KR20130009335A (ko) 유아용 유희구
De Michael Sensory processing handbook for early childhood educators
KR101359462B1 (ko) 좋은 습관을 길러주는 유아용 신발
Mays Your Child's Motor Development Story: Understanding and Enhancing Development from Birth to Their First Sport
KR101947463B1 (ko) 발 삽입 착용형 유아 및 어린이용 놀이기구
KR101835117B1 (ko) 어른 발에 착용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놀이기구
KR20220000087U (ko) 건강 인형
KR20210060939A (ko) 유아의 다양한 신체 활동에 이용될 수 있는 교구 세트
KR100812247B1 (ko) 유아용 신체 활동 교구 세트
Diem Children Learn Physical Skills. Volume 1. Birth to 3 ye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