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335A - 유아용 유희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유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9335A
KR20130009335A KR1020110070365A KR20110070365A KR20130009335A KR 20130009335 A KR20130009335 A KR 20130009335A KR 1020110070365 A KR1020110070365 A KR 1020110070365A KR 20110070365 A KR20110070365 A KR 20110070365A KR 20130009335 A KR20130009335 A KR 20130009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upled
leg
cas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연
이슬기
Original Assignee
강창연
이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연, 이슬기 filed Critical 강창연
Priority to KR1020110070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9335A/ko
Publication of KR20130009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4Apparatus for helping babies to walk; Baby wal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7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resiliently suspended or supported, e.g. baby bounc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9/00Toy animals for riding
    • A63G19/02Toy animals for riding made to travel by riding movements other than by ratchet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기, 보행 보조기, 승마용 놀이기구, 그네를 겸용할 수 있는 유아용 유희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의 성장 단계에 따라 보행기에서 보행 보조기 또는 그네 및 승마용 놀이기구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변화되게 하여 유아에게는 안전한 즐거움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유아용 유희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유희구{AMUSEMENY TOYS FOR CHILDREN}
본 발명은 보행기, 보행 보조기, 승마용 놀이기구, 그네를 겸용할 수 있는 유아용 유희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의 성장 단계에 따라 보행기에서 보행 보조기 또는 그네 및 승마용 놀이기구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변화되게 하여 유아에게는 안전한 즐거움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유아용 유희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기 또는 보행 보조기는 유아가 서거나 걸음을 익히게 하려고 태우는 기구이고, 승마용 놀이기구는 걸음을 익힌 유아가 타고 놀 수 있는 기구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36977호에는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상판에 만곡된 면을 갖는 하판을 설치하여 보행기로 사용되게 하거나 또는 흔들의자로 사용되게 하는 흔들의자 겸용 보행기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94865호에는 손잡이를 갖는 몸체에 바퀴가 설치되게 하여 동력 없이 주행할 수 있게 하는 주행용 승용놀이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보행기, 보행 보조기, 승마용 놀이기구 등을 유아의 성장 단계에 따라 순서대로 구입하여 사용되게 하고 있는데, 구입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비되는 단점과, 사용치 않을 경우 보관의 불편함으로 인해 폐기 처분하는 단점으로 인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유아의 성장 단계에 따라 보행기에서 보행 보조기 또는 그네 및 승마용 놀이기구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변화되게 하여 유아에게는 안전한 즐거움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유아용 유희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아용 유희구는 중앙에 공간(110a)이 구비되는 직사각의 틀체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의 상부에는 다리설치홈(112)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캐스터(150)가 결합되는 프레임(110); 동물 형상으로 되고, 중앙에 수직으로 좌대설치구멍(122)이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각 다리설치홈(11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4개의 다리(122a)로 되는 베이스(120); 링 형상의 상부서포트(132)가 구비되는 한편, 상부서포트(132)의 하부에 양쪽으로 다리투입구멍(136)을 갖는 하부서포트(134)가 일체로 되고, 뒤쪽에 등받이(138)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20)의 좌대설치구멍(122) 언저리에 얹혀져 결합되는 좌대(130); 및 상기 베이스(120)를 덮는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커버(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과 베이스(120) 및 좌대(130)가 결합되게 하거나 또는 베이스(120)에 좌대(130)가 결합되게 하는 한편, 베이스(120)의 각 다리(122a)에 캐스터(150)가 결합되게 하여 보행기로 사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과 베이스(120) 및 커버(140)가 결합되게 하거나 또는 베이스(120)에 커버(140)가 결합되게 하는 한편, 베이스(120)의 각 다리(122a)에 캐스터(150)가 결합되게 하여 승마용 놀이기구로 사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대(130)에 하네스(160)가 결합되게 하여 보행 보조기 및/또는 그네로 사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캐스터(150)가 결합되는 베이스(120)에 좌대(130)가 결합되게 하거나 또는 캐스터(150)가 결합되는 프레임(110)에 좌대(130)가 결합된 베이스(120)가 결합되게 하여 유아가 걸음을 익히는 보행기로 사용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캐스터(150)가 결합되는 베이스(120)에 커버(140)가 결합되게 하거나,
캐스터(150)가 결합되는 프레임(110)에 커버(140)가 결합된 베이스(120)가 결합되게 하여 유아가 타고 다닐 수 있는 승마용 놀이기구로 사용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좌대(130)에 하네스(160)가 결합되게 하여 유아가 걸음을 익히는 보행 보조기 또는 그네로 사용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주요부 분해단면도,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주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다음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유희구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유아용 유희구 본체(100)는 프레임(110), 베이스(120) 및 좌대(13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10)은 중앙에 직사각 형상의 공간(110a)이 구비되는 직사각의 틀체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의 상부면에는 다리설치홈(112)이, 하부면에는 캐스터(150)가 결합된다.
상기 다리설치홈(112)은 베이스(120)의 각 다리(122a)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이루면서 도 4 도시와 같이 형성되는데, 중앙에 원기둥(112a)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캐스터(150)는 도 4 도시와 같이 휠(150b)이 축설되는 하우징(150a)의 상부에 탑핀홀더(150c)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탑핀홀더(150c)에 탑핀(150d)이 수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캐스터(150)가 결합되는 베이스(120)의 각 모서리 하부면에는 탑핀홀더(150c)와 탑핀(150d)이 결합되게 하는 캐스터설치홈(114)이 형성되는데, 상기 탑핀홀더(150c)가 삽입되게 하는 제1홈(114a)과, 상기 탑핀(150d)이 삽입되게 하는 제2홈(114b)이 입구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캐스터(150)는 도 5 도시와 같이 탑핀(150d)과 탑핀홀더(150c)가 캐스터설치홈(114)의 제2홈(114b)과 제1홈(114a)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10)은 각 캐스터(150)에 의해 지면을 따라 구를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120)는 머리(126)와 꼬리(128)를 갖는 동물 형상으로 되고, 등에 해당되는 부위인 중앙에 수직으로 좌대설치구멍(122)이 형성되며, 4개의 다리(122a)가 형성된다.
상기 각 다리(122a)는 상기 프레임(110)의 각 다리설치홈(112)에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각 다리(122a)의 하부에는 캐스터(1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다리(122a)의 하부에는 도 4 도시와 같이 캐스터(150)의 탑핀홀더(150c)와 탑핀(150d)이 결합되게 하는 캐스터설치홈(124)이 형성되는데, 상기 탑핀홀더(150c)가 삽입되게 하는 제1홈(124a)과, 상기 탑핀(150d)이 삽입되게 하는 제2홈(124b)이 입구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캐스터(150)는 도 8 도시와 같이 탑핀(150d)과 탑핀홀더(150c)가 캐스터설치홈(124)의 제2홈(124b)과 제1홈(124a)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래서 상기 베이스(120)는 각 캐스터(150)에 의해 지면을 따라 구를 수 있게 된다.
상기 좌대(130)는 링 형상의 상부서포트(132)에 양쪽으로 다리투입구멍(136)이 형성되는 하부서포트(134)가 일체로 되고, 뒤쪽에 등받이(13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서포트(132)의 앞쪽에는 2개의 체결구멍(132a)이 형성되며, 등받이(138)의 뒤쪽에는 체결고리(138a)가 형성된다.
상기 좌대(130)는 도 3 도시와 같이 상부서포트(132)와 등받이(138)가 베이스(120)의 좌대설치구멍(122) 언저리에 얹혀져 결합된다.
도 6 및 도 7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유아용 유희구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유아용 유희구 본체(100a)는 베이스(120)와, 커버(14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20)는 머리(126)와 꼬리(128)를 갖는 동물 형상으로 되고, 등에 해당되는 부위인 중앙에 수직으로 좌대설치구멍(122)이 형성되며, 4개의 다리(122a)가 형성된다.
각 다리(122a)의 하부에는 캐스터(150)가 결합되어 지면을 따라 구를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140)는 상기 베이스(120)를 덮는 받침등(142)이 형성되고, 받침등(142)의 앞쪽에는 머리설치구멍(146)이 형성되는 한편, 뒤쪽에는 꼬리설치구멍(148)이 형성되며, 받침등(142)의 각 모서리에는 다리커버(14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40)는 받침등(142)에 유아가 올라 타 앉을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20)의 등 부위에 덮여져 결합된다.
도 9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유아용 유희구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유아용 유희구 본체(100c)는 좌대(130)에 하네스(160)가 결합되게 하여서 된다.
상기 하네스(160)는 상기 상부서포트(132)에 형성된 체결구멍(132a)과 등받이(138)에 형성된 체결고리(138a) 각각에 연결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은
a) 캐스터(150)가 결합 된 프레임(110)의 각 다리설치홈(112)에 베이스(120)의 각 다리(122a)가 삽입되어 결합되게 하고, 베이스(120)의 좌대설치구멍(122) 언저리에 좌대(130)가 얹혀져 결합되게 하면, 프레임(110), 베이스(120), 좌대(130)로 된 보행기로 사용되게 한다.
상기에 있어 각 다리(122a)는 다리설치홈(11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동시에 다리설치홈(112)의 원기둥(112a)이 다리(122a)의 제1홈(124a)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긴밀한 상태로 삽입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상기에 있어 좌대(130)에 앉은 유아는 프레임(110)의 공간(110a)을 통해 지면에 발이 닿게 되고, 캐스터(150)에 의해 이동하면서 걸음을 연습하게 된다.(프레임(110) + 베이스(120) + 좌대(130)로 된 보행기)
b) 상기 베이스(120)의 각 다리(122a) 마다에 캐스터(150)가 결합되게 하고, 베이스(120)의 좌대설치구멍(122) 언저리에 좌대(130)가 얹혀져 결합되게 하면, 프레임(110), 베이스(120), 좌대(130)로 된 보행기로 사용되게 할 수 도 있다.
상기에 있어 좌대(130)에 앉은 유아는 각 다리(122a)의 사이공간을 통해 지면에 발이 닿게 되고, 캐스터(150)에 의해 이동하면서 걸음을 연습하게 된다.(베이스(120) + 좌대(130)로 된 보행기)
c) 캐스터(150)가 결합 된 프레임(110)의 각 다리설치홈(112)에 베이스(120)의 각 다리(122a)가 삽입되어 결합되게 하고, 베이스(120)에 커버(140)가 결합되게 하면, 프레임(110), 베이스(120), 커버(140)로 된 승마용 놀이기구로 사용되게 한다.
상기에 있어 유아는 커버(140)의 받침등(142)에 앉아 두발을 사용하여 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프레임(110) + 베이스(120) + 커버(140)로 된 승마용 놀이기구)
d) 상기 베이스(120)의 각 다리(122a) 마다에 캐스터(150)가 결합되게 하고, 베이스(120)에 커버(140)가 결합되게 하면 베이스(120), 커버(140)로 된 승마용 놀이기구로 사용되게 할 수 도 있다.
상기에 있어 유아는 커버(140)의 받침등(142)에 앉아 두발을 사용하여 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베이스(120) + 커버(140)로 된 승마용 놀이기구)
e) 상기 좌대(130)에 하네스(160)가 결합되게 하면 보행 보조기 또는 그네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100,100a,100b : 본체 110 : 프레임
112 : 다리설치홈 112a : 원기둥
114 : 캐스터설치홈 114a : 제1홈
114b : 제2홈 120 : 베이스
122 : 좌대설치구멍 122a : 다리
124 : 캐스터설치홈 124a : 제1홈
124b : 제2홈 126 : 머리
128 : 꼬리 130 : 좌대
132 : 상부서포트 132a : 체결구멍
134 : 하부서포트 136 : 다리투입구멍
138 : 등받이 138a : 체결고리
140 : 커버 142 : 받침등
144 : 다리커버 146 : 머리설치구멍
148 : 꼬리설치구멍 150 : 캐스터
150a : 하우징 150b : 휠
150c : 탑핀홀더 150d : 탑핀
160 : 하네스

Claims (4)

  1. 중앙에 공간이 구비되는 직사각의 틀체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의 상부에는 다리설치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캐스터가 결합되는 프레임;
    동물 형상으로 되고, 중앙에 수직으로 좌대설치구멍이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각 다리설치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4개의 다리로 되는 베이스;
    링 형상의 상부서포트가 구비되는 한편, 상부서포트의 하부에 양쪽으로 다리투입구멍을 갖는 하부서포트가 일체로 되고, 뒤쪽에 등받이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좌대설치구멍 언저리에 얹혀져 결합되는 좌대; 및
    상기 베이스를 덮는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유아용 유희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베이스 및 좌대가 결합되게 하거나 또는 베이스에 좌대가 결합되게 하는 한편, 베이스의 각 다리에 캐스터가 결합되게 하여 보행기로 사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유희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베이스 및 커버가 결합되게 하거나 또는 베이스에 커버가 결합되게 하는 한편, 베이스의 각 다리에 캐스터가 결합되게 하여 승마용 놀이기구로 사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유희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에 하네스가 결합되게 하여 보행 보조기 및/또는 그네로 사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유희구.
KR1020110070365A 2011-07-15 2011-07-15 유아용 유희구 KR20130009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365A KR20130009335A (ko) 2011-07-15 2011-07-15 유아용 유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365A KR20130009335A (ko) 2011-07-15 2011-07-15 유아용 유희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335A true KR20130009335A (ko) 2013-01-23

Family

ID=4783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365A KR20130009335A (ko) 2011-07-15 2011-07-15 유아용 유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93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7822A (zh) * 2014-01-06 2015-07-08 何思妮 束臂式幼儿学步车
US20230025609A1 (en) * 2021-07-21 2023-01-26 Mattel, Inc. Reconfigurable infant support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7822A (zh) * 2014-01-06 2015-07-08 何思妮 束臂式幼儿学步车
US20230025609A1 (en) * 2021-07-21 2023-01-26 Mattel, Inc. Reconfigurable infant support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12408A1 (en) Infant bouncer and activity stand
KR20120113871A (ko) 접힘 부가 구성된 유아용 구르기 매트
KR20130009335A (ko) 유아용 유희구
KR200440648Y1 (ko) 유아용 조립식 매트
US9578973B1 (en) Child seat for a swimming pool
US2020039714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r furniture
KR200479190Y1 (ko)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
KR20160097597A (ko) 영아용 슬라이딩 놀이기구
CN209848326U (zh) 一种具有平衡性的安全跳跳球
TWM586569U (zh) 學步車
KR101835117B1 (ko) 어른 발에 착용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놀이기구
KR101442709B1 (ko) 그네
KR101359462B1 (ko) 좋은 습관을 길러주는 유아용 신발
KR101947463B1 (ko) 발 삽입 착용형 유아 및 어린이용 놀이기구
KR101260442B1 (ko) 다용도 유모차
TWI657003B (zh) 自行車兒童座椅
KR200428012Y1 (ko) 로데오형 완구
JP3067874U (ja) 歩行器
CN203921052U (zh) 滑板车
CN205867541U (zh) 可拆分儿童木马跷跷板
TWM413416U (en) Walker
CN203291509U (zh) 一种玩具车
KR20120098008A (ko) 유아용 착석기 전용 카트
CN204520029U (zh) 一种幼儿学步车
CN203226535U (zh) 快拆式多功能摇摇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