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442B1 - 다용도 유모차 - Google Patents

다용도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442B1
KR101260442B1 KR1020110132330A KR20110132330A KR101260442B1 KR 101260442 B1 KR101260442 B1 KR 101260442B1 KR 1020110132330 A KR1020110132330 A KR 1020110132330A KR 20110132330 A KR20110132330 A KR 20110132330A KR 101260442 B1 KR101260442 B1 KR 101260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fant
stroller
handle
rotatab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혜지
정지은
Original Assignee
정지은
남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은, 남혜지 filed Critical 정지은
Priority to KR102011013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2Devices for rocking or oscil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8Children's seats ; Seats or supports for other persons
    • B62B5/087Platforms to stand up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를 탑승시켜 이동시킴은 물론 유아의 탑승부를 시소운동시킬 수 있어, 유아가 용이하게 시소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가 평지에서 퀵 보드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손잡이(1)가 마련된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며 영아 또는 유아가 탑승하는 탑승부(2)와, 프레임에 설치되며 지면과 접촉되어 구동하는 전,후방 바퀴들로 구성된 유모차에 있어, 상기한 프레임은 상단 일 측에 손잡이(1)가 구비되며 하단에 전방 바퀴(3)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유아가 탑승하도록 된 탑승부(2)가 부착된 조향프레임(4)과, 전단에 상기 조향프레임(4)이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된 실린더 형태의 축수(5)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후단에 후방바퀴(6)들이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면에 보호자의 발이 수용되어 지지되는 발판이 구비된 고정프레임(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수(5)와 고정프레임(7)은 탄성수단(8)에 의해 탄성을 가지며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진 다용도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유모차{A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어린아이(유아)를 태워서 밀고 다니도록 된 수레의 일종인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를 탑승시켜 이동시킴은 물론 유아의 탑승부를 시소운동시킬 수 있어, 유아가 용이하게 시소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가 평지에서 퀵 보드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된 다용도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를 탑승시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손잡이, 탑승부, 전,후방 바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모차는 탑승부에 유아를 탑승시킨 상태에서 보호자가 후방에서 손잡이를 잡고 유모차를 밀어 바퀴의 구름이동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유모차는 단순히 보호자가 손잡이를 잡고 수동으로만 밀어 운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자 및 유아에게 별다른 재미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를 탑승시켜 이동시킴은 물론 유아의 탑승부를 시소운동시킬 수 있어, 유아가 용이하게 시소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가 평지에서 퀵 보드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여 보호자 및 유아에게 재미와 흥미를 부여할 수 있도록 된 다용도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용도 유모차는 손잡이가 마련된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며 영아 또는 유아가 탑승하는 탑승부와, 프레임에 설치되며 지면과 접촉되어 구동하는 전,후방 바퀴들로 구성된 유모차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한 프레임은 상단 일 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하단에 전방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유아가 탑승하도록 된 탑승부가 부착된 조향프레임과, 전단에 상기 조향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축수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후단에 후방바퀴들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상면에 보호자의 발이 수용되어 지지되는 발판이 구비된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수와 고정프레임은 탄성수단에 의해 탄성을 가지며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발판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된 수용함과, 상기 수용함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스프링에 의해 탄성을 가지게 구비된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용도 유모차는 상기 손잡이가 구비된 조향프레임에 의해 보호자가 용이하게 방향을 조향하면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조향프레임이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로 시소운동을 할 수 있어 탑승자에게 시소놀이를 제공함과 동시에, 보호자는 평지에서 상기 발판에 한쪽 발을 올려놓고 타측 발은 지면을 박차면 밀면서 즐기는 퀵보드 운동을 즐길 수 있어, 유아 및 보호자가 시소운동 및 퀵보드 운동을 즐기면서 이동할 수 있어 흥미와 재미를 향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유모차를 보인 측 단면도.
도 2는 본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프레임의 일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프레임과 조향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유모차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에를 구성하는 발판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실시예를 구성하는 조향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다용도 유모차는 도 1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가 마련된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며 영아 또는 유아가 탑승하는 탑승부(2)와, 프레임에 설치되며 지면과 접촉되어 구동하는 전,후방 바퀴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다용도 유모차에서 상기한 프레임은 상단 일 측에 손잡이(1)가 구비되며 하단에 전방 바퀴(3)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유아가 탑승하도록 된 탑승부(2)가 부착된 조향프레임(4)과, 전단에 상기 조향프레임(4)이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된 실린더 형태의 축수(5)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후단에 후방바퀴(6)들이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면에 보호자의 발이 수용되어 지지되는 발판이 구비된 고정프레임(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수(5)와 고정프레임(7)은 탄성수단(8)에 의해 탄성을 가지며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탄성수단(8)은 탄성스프링이 구비된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다용도 유모차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바퀴(3)가 구비된 조향프레임(4)이 축수(5)를 통해 고정프레임(7)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보호자가 손잡이(1)를 손으로 잡고 좌우방향으로 용이하게 조향하여 유모차를 운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다용도 유모차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프레임(4)이 축수(5)를 통해 고정프레임(7)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어, 유아가 탑승부(2)에 탑승된 상태에서 손잡이(1)를 상하로 요동운동하면, 조향프레임(4)이 고정프레임(7)의 전단을 중심으로 상하 시소운동을 하게 되어 유아가 시소운동을 즐길 수 있다.
이러한 시소운동은 유모차의 운전 중이나 정지시에 항상 즐길 수 있어, 유아가 운동을 즐기면서 탑승하기 때문에 재미나 흥미를 부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다용도 유모차에서 보호자는 평지에서 상기 발판에 한쪽 발을 올려놓고 타측 발은 지면을 박차면 밀면서 즐기는 퀵보드 운동을 즐길 수 있어, 보호자가 재미와 흥미를 향유하면서 유모차를 운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다용도 유모차에서 상기한 발판은 상기 고정프레임(7)의 상면에 고정된 수용함(9)과, 상기 수용함(9)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스프링(10)에 의해 탄성을 가지게 구비된 지지판(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유모차는 보호자가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지지할 때 지지판(11)이 탄력적으로 대응되어 보호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제거함으로써, 안정하게 퀵보드 운동을 즐기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유모차는 단순히 유아를 탑승시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유아와 보호자가 시소운동 및 퀵보드 운동을 즐기면서 이동 및 정지할 수 있어, 재미와 흥미를 향유하면서 사용을 할 수 있다.
1 : 손잡이 2 : 탑승부
3 : 전방바퀴 4 : 조향프레임
5 : 축수 6 : 후방바퀴
7 : 고정프레임 8 : 탄성수단
9 : 수용함 10 : 스프링
11 : 지지판

Claims (2)

  1. 손잡이가 마련된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며 영아 또는 유아가 탑승하는 탑승부와, 프레임에 설치되며 지면과 접촉되어 구동하는 전,후방 바퀴들로 구성된 유모차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프레임은 상단 일 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하단에 전방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유아가 탑승하도록 된 탑승부가 부착된 조향프레임과,
    전단에 상기 조향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축수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후단에 후방바퀴들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상면에 보호자의 발이 수용되어 지지되는 발판이 구비된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수와 고정프레임은 탄성수단에 의해 탄성을 가지며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유모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발판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된 수용함과, 상기 수용함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스프링에 의해 탄성을 가지게 구비된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유모차.
KR1020110132330A 2011-12-09 2011-12-09 다용도 유모차 KR101260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330A KR101260442B1 (ko) 2011-12-09 2011-12-09 다용도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330A KR101260442B1 (ko) 2011-12-09 2011-12-09 다용도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442B1 true KR101260442B1 (ko) 2013-05-02

Family

ID=48665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330A KR101260442B1 (ko) 2011-12-09 2011-12-09 다용도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795B1 (ko) 2017-02-10 2018-05-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탈부착 바퀴를 이용한 자가발전 유모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795B1 (ko) 2017-02-10 2018-05-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탈부착 바퀴를 이용한 자가발전 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422Y1 (ko)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TWM447345U (zh) 嬰幼兒用三輪車及其轉向輪
CN109476332B (zh) 坐垫或卧垫
KR200459090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200459089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101260442B1 (ko) 다용도 유모차
US7188849B2 (en) Child transport vehicle and carrier adapted therefor
KR20110124666A (ko) 세 발 킥보드
KR200448196Y1 (ko) 어린이용 삼륜 자전거
US3450416A (en) Hand-propelled child's vehicle
CN108968518A (zh) 多功能儿童车
KR100981801B1 (ko) 피쉬 보드
CN214436457U (zh) 一种骑行玩具
CN202429304U (zh) 一种儿童蚂蚁玩具车
CN211885106U (zh) 具有蹦蹦床、摇摇马、扭扭车、跷跷板多功能变化的玩具
CN205344997U (zh) 一种带万向轮的童车
CN205273741U (zh) 一种带滑板的童车
JP3099392U (ja) 乗り物玩具
KR200452086Y1 (ko) 유아용 승용완구
KR200253005Y1 (ko) 유아용 승용놀이기구
KR102500991B1 (ko) 어린이용 킥보드
CN215155302U (zh) 一种具有约束结构的儿童童车
TWI531400B (zh) 多功能玩具車
CN205113568U (zh) 儿童手摇娱乐车
KR20130009335A (ko) 유아용 유희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