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820A - 초점 바람개비 - Google Patents

초점 바람개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820A
KR20240023820A KR1020220101992A KR20220101992A KR20240023820A KR 20240023820 A KR20240023820 A KR 20240023820A KR 1020220101992 A KR1020220101992 A KR 1020220101992A KR 20220101992 A KR20220101992 A KR 20220101992A KR 20240023820 A KR20240023820 A KR 20240023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gear
wing
ring gear
rot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희
Original Assignee
(주)에센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센루 filed Critical (주)에센루
Priority to KR102022010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3820A/ko
Publication of KR20240023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8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0Windmills; Other toys actuated by air current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영아의 시력 발달을 돕는 초점 바람개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초점 바람개비는 제1측면에 제1수용모듈이 설치되고 제2측면에 제2수용모듈이 형성된 몸통부와, 몸통부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장력이 가해지면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장력이 제거되면 제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줄모듈과, 몸통부의 일면으로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줄모듈이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돌출모듈과, 몸통부의 타면으로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제1돌출모듈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돌출모듈을 포함하는 태엽부, 태엽부의 제1돌출모듈과 연결되는 제1바람개비모듈과 태엽부의 제2돌출모듈과 연결되는 제2바람개비모듈을 포함하는 바람개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점 바람개비{Focus Pinwheel}
본 발명은 영아의 시력 발달을 돕는 유아용품과 관련된 기술이다.
아기는 많은 시간을 누워 있다. 아기는 누워 있는 시간 동안 모빌을 보거나, 아기체육관을 가지고 놀며 성장한다. 현재, 아기 유아용품과 관련하여 누워 있는 아기의 성장 발달을 돕는 유아용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9190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발로 찼을 때, 다양한 멜로디가 나오는 아기체육관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3178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동물이나 캐릭터 끈으로 매달린 모빌 등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개발된 대다수의 아기체육관은 아기의 흥미를 끌며 아기의 시력 발달을 돕는 장치 등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현재 개발된 시력 발달 장치는 현재의 아기체육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지 못한 문제와 영아의 시력발달에 도움이 되는 흑백판 및 컬러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9190호 (공고일자: 2016.01.1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3178호 (공고일자: 2013.07.0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영아의 관심을 끌어 영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영아의 시력 발달을 돕는 초점 바람개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초점 바람개비는, 제1측면에 제1수용모듈이 설치되고 제2측면에 제2수용모듈이 형성된 몸통부, 몸통부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장력이 가해지면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장력이 제거되면 제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줄모듈과, 몸통부의 일면으로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줄모듈이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돌출모듈과, 몸통부의 타면으로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제1돌출모듈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돌출모듈을 포함하는 태엽부, 태엽부의 제1돌출모듈과 연결되는 제1바람개비모듈과 태엽부의 제2돌출모듈과 연결되는 제2바람개비모듈을 포함하는 바람개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태엽부는 제1커버모듈과 제2커버모듈을 포함하고 제1커버모듈에 설치되어 반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시계방향으로 복원되는 태엽스프링과, 측면이 줄모듈의 일단과 연결되고 일면이 태엽스프링과 연결되어 태엽스프링의 회전 방향에 대응해 반 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프링연결모듈과, 스프링연결모듈의 타면에 일면이 연결되는 선기어모듈과, 선기어모듈과 치합되는 유성기어모듈과, 일단이 제1돌출모듈에 삽입되고 타단이 제2돌출모듈에 삽입되는 링기어축과, 링기어축에 설치되며 측면에 링기어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피니언기어축이 설치되는 피니언기어연결체와, 피니언기어축에 연결되는 피니언기어와, 링기어축과 연결되어 제1돌출모듈과 피니언기어연결체 사이에 위치하고, 일면이 제1돌출모듈의 타면과 접하고 외주면이 유성기어모듈과 치합되는 제1링기어와, 제1링기어의 타면에 제1링기어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제2링기어와, 링기어축과 연결되어 피니언기어연결체와 제2돌출모듈 사이에 위치하며 일면이 피니언기어연결체의 타면과 접하고, 타면이 제2돌출모듈의 일면과 접하고, 외주면이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제3링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성기어모듈은 선기어모듈과 치합되어 선기어모듈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유성기어와, 제1유성기어의 타측면에 제1유성기어의 크기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제1링기어와 치합되어 제1링기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유성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초점 바람개비의 제1링기어는 제2유성기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링기어는 제1링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피니언기어는 제2링기어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링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3링기어는 피니언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피니언기어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바람개비모듈은 제1돌출모듈과 연결되어 제1돌출모듈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회전모듈과, 제1회전모듈에 설치되며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색상이 형성된 제1날개 내지 제4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바람개비모듈은 제2돌출모듈과 연결되어 제2돌출모듈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회전모듈과, 제2회전모듈에 설치되며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흰색의 제5날개와 제7날개 그리고 검정색의 제6날개와 제8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돌출모듈은 횡단면이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돌출모듈은 횡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날개는 제5날개와 제8날개 사이에 위치하고, 제2날개는 제5날개와 제6날개 사이에 위치하고, 제3날개는 제6날개와 제7날개 사이에 위치하고, 제4날개는 제7날개와 제8날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줄모듈은 일면과 타면에 서로 다른 놀이 용품이 설치된 놀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생아에 적합한 흑백 초점판 그리고 영아에 적합한 컬러 초점판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흑백 초점판 그리고 컬러 초점판을 포함하여 아기 용품에 설치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아기체육관에 흑백 초점판이 정면을 향하도록 설치되거나 컬러 초점판이 정면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흑백 초점판과 컬러 초점판이 영아의 참여에 따라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영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성장을 도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점 바람개비가 아기체육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점 바람개비의 앞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점 바람개비의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점 바람개비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태엽부의 제1면과 제2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손잡이당김부의 제1면과 제2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태엽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제1커버모듈에 연결축기어모듈, 유성기어모듈 그리고 태엽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제1커버모듈에 선기어모듈이 설치된 상태와 연결축기어모듈과 유성기어모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연결축기어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연결축기어모듈, 유성기어모듈 그리고 선기어모듈 및 손잡이당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유성기어모듈과 연결축기어모듈의 연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손잡이당김부의 승강에 따라 바람개비모듈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 상에 기재된 내용 및 도면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자가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재된 내용 및 도면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오로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술된 설명 및 도시된 도면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점 바람개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할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초점 바람개비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이후, 설명된 내용과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초점 바람개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및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점 바람개비가 아기체육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점 바람개비의 앞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점 바람개비의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초점 바람개비(1)는 신생아 및 영아의 시력 초점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초점 바람개비(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체육관(A)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아기체육관(A)은 신생아 또는 영아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 손과 발을 움직이며 멜로디 또는 장난감 소리 등이 나와 아기가 손과 발을 활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유아 용품이다. 많은 영아들은 2세가 될 때까지 전술 한 아기체육관(A)를 가지고 논다.
초점 바람개비(1)는 아기체육관이 사용되는 기간에 맞춰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신생아의 시력 발달에 적합한 적합 한 흑백 바람개비와 영아의 시력 발달에 적합한 컬러 바람개비를 모두 포함한다.
이에, 초점 바람개비(1)는 영아가 아기체육관(A)을 사용할 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체육관(A)에 제1바람개비모듈(310) 즉, 컬러바람개비모듈이 정면을 향하도록 설치 가능하고, 신생아가 아기체육관(A)을 사용할 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체육관(A)에 제2바람개비모듈(320) 즉, 흑백바람개비모듈이 정면을 향하도록 설치 가능하게 한다. 즉, 초점 바람개비(1)는 아기의 성장에 맞춰 아기체육관(A)에 시력발달을 향상시키는 바람개비부가 아기가 볼 수 있는 쪽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초점 바람개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점 바람개비의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태엽부의 제1면과 제2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손잡이당김부의 제1면과 제2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초점 바람개비(1)는 몸통부(10), 태엽부(20) 및 바람개비부(3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먼저, 몸통부(10)는 아기체육관(A)에 연결되도록 하며 본 발명의 몸체가 된다. 이러한 몸통부(10)는 중앙에 타공홀이 형성된 제1하우징(101) 그리고 중앙에 타공홀이 형성되며 제1하우징(101)과 착탈되는 제2하우징(10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하우징(101)과 제2하우징(102)의 내부에는 태엽부(20)가 설치되고, 제1하우징(101)과 제2하우징(102)의 내부 제1측면에는 제1수용모듈(110)이 설치되고, 제1하우징(101)과 제2하우징(102)의 내부 제2측면에는 제2수용모듈(120)이 설치된다. 그리고 몸통부(10)의 외측에는 바람개비부(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1수용모듈(110)과 제2수용모듈(1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제1하우징(101)과 제2하우징(102)에 형성된 제1돌기를 수용하는 타공홀(111)과 타측면에 제1하우징(101)과 제2하우징(102)에 형성된 제2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112)이 형성된다.
제1수용모듈(110)과 제2수용모듈(120)은 타공홀(111)과 수용홈(112)을 통해 제1하우징(101)과 제2하우징(102)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수용모듈(110)에는 아기체육관의 제1브릿지(B1)이 연결되고, 제2수용모듈(120)에는 아기체육관의 제2브릿지(B2)이 연결된다.
태엽부(20)는 사용자가 줄모듈(220)을 제1방향(-Z축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위치한 제1돌출모듈(221)과 제2돌출모듈(222)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줄모듈(220)은 줄의 타단에 설치된 놀이모듈(22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놀이모듈(2201)은 도 6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과 타면에 서로 다른 놀이 용품이 설치된 장난감이 된다. 일례로, 놀이모듈은 일면에 신생아가 좋아하는 플라스틱거울이 설치되고 타면에 영아가 좋아하는 용품이 설치된 장난감이 된다.
바람개비부(30)는 태엽부(20)의 회전력에 대응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장치가 된다. 이러한 바람개비부(30)는 태엽부(20)의 제1돌출모듈(221)과 연결되는 제1바람개비모듈(310)과 태엽부(20)의 제2돌출모듈(222)과 연결되는 제2바람개비모듈(320)을 포함하는 바람개비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바람개비모듈(310)은 제1회전모듈(3110)과 제1날개(3121) 내지 제4날개(3124)를 포함하고, 제2바람개비모듈(320)은 제2회전모듈(3210)과 제5날개(3221) 내지 제8날개(32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회전모듈(3110)의 외측에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제1날개(3121) 내지 제4날개(3124)가 설치되고, 제2회전모듈(3210)의 외측에는 흰색의 제5날개(3221)와 제7날개(3223) 그리고 검정색의 제6날개(3222)와 제8날개(3224)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회전모듈(3110)은 단면이 육각형인 제1돌출모듈(221)과 연결되고, 제2회전모듈(3210)은 단면이 사각형인 제2돌출모듈(222)이 연결되어 제1회전모듈(3110)에 설치된 제1날개 내지 제4날개는 제5날개 내지 제8날개 사시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1회전모듈(3110)의 외측에는 서로 다른 색상의 날개 네 개가 설치될 수 있고, 제2회전모듈(3210)의 외측에는 흰색의 날개 두개와 검정색의 날개 두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날개(3121) 내지 제4날개(3124)는 제5날개(3221) 내지 제8날개(3224)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돌출모듈(221)은 횡단면이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돌출모듈(222)은 횡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날개(3121)는 제5날개(3221)와 제8날개(3224) 사이에 위치하고 제2날개(3122)는 제5날개(3221)와 제6날개(32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3날개(3123)는 제6날개(3222)와 제7날개(3223) 사이에 위치하고, 제4날개(3124)는 제7날개(3223)와 제8날개(322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더욱이, 제1회전모듈(3110)은 제1돌출모듈(221)의 회전에 따라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회전모듈(3210)은 제2돌출모듈(222)의 회전에 따라 반 시계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회전모듈(3110)이 정면을 향해 설치되었을 때는 제2회전모듈(3210)에 설치된 제5날개 내지 제8날개가 제1날개 내지 제4날개의 뒷배경이 되고, 제2회전모듈(3210)이 정면을 향해 설치되었을 때는 제1회전모듈(3110)에 설치된 제1날개 내지 제4날개가 제5날개 내지 제8날개의 뒷배경이 된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태엽부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태엽부를 분해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제1커버모듈에 연결축기어모듈, 유성기어모듈 그리고 태엽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제1커버모듈에 선기어모듈이 설치된 상태와 연결축기어모듈과 유성기어모듈을 확대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연결축기어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태엽부(20)는 제1커버모듈(201)과 제2커버모듈(20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커버모듈(201)과 제2커버모듈(202)에 수용되는 태엽스프링(203), 스프링연결모듈(204), 선기어모듈(205), 유성기어모듈(206), 연결축기어모듈(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커버모듈(201)과 제2커버모듈(202)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에 돌출모듈홀이 형성되어 제1돌출모듈(221)과 제2돌출모듈(222)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아울러, 제1커버모듈(201)의 내부에는 태엽스프링수용홈(2011)과 피니언기어축수용홈(2012)이 형성된다. 이때, 태엽스프링수용홈(2011)은 태엽스프링(203)의 일단이 거치되어 태엽스프링(203)이 반 시계방향으로 감겼을 때, 시계방향으로 풀리도록 한다. 그리고 피니언기어축수용홈(2012)은 피니언기어(210)가 연결된 피니언기어축(209)의 일단을 수용하며 피니언기어(210)가 이리저리 움직이지 않고 제1커버모듈(201)의 일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태엽스프링(203)은 제1커버모듈(201)에 설치되어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반 시계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스프링연결모듈(204)은 태엽스프링(203)과 연결되어 태엽스프링(203)에 인가되는 회전력 및 태엽스프링(203)에서 발생되는 복원력을 통해 회전한다. 이러한 스프링연결모듈(204)은 일면이 태엽스프링(203)과 연결되고 타면은 선기어모듈(205)과 연결된다. 그리고 측면이 줄모듈(220)의 일단과 연결된다. 스프링연결모듈(204)은 태엽스프링(203)의 회전 방향에 대응해 반 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줄모듈(220)을 감거나 감긴 줄모듈(220)이 풀리도록 한다.
선기어모듈(205)은 일면이 스프링연결모듈(204)의 타면에 연결된다. 이러한 선기어모듈(205)의 일측에는 유성기어모듈(206)이 위치하며 유성기어모듈(206)과 치합된다.
유성기어모듈(206)은 제1유성기어(2061)와 제2유성기어(206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유성기어(2061)는 선기어모듈(205)과 치합되어 선기어모듈(205)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다. 그리고 제2유성기어(2062)는 제1유성기어(2061)의 타측면에 제1유성기어의 크기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제1링기어(211)와 치합된다. 이러한 제2유성기어(2062)는 제1링기어(211)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연결축기어모듈(230)은 유성기어모듈(206)과 연결되어 유성기어모듈(20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돌출모듈(221)과 제2돌출모듈(222)을 회전시키는 모듈이 된다. 이러한 연결축기어모듈(230)은 링기어축(207), 피니언기어연결체(208), 피니언기어축(209), 피니언기어(210), 제1링기어(211), 제2링기어(212), 제3링기어(213), 줄모듈(220), 제1돌출모듈(221) 및 제2돌출모듈(2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돌출모듈(221)은 링기어축(207)의 일단에 설치되고, 제2돌출모듈(222)은 링기어축(207)의 타단에 설치된다. 피니언기어연결체(208)는 링기어축(207)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피니언기어축(209)을 포함하여 제1돌출모듈(221)과 제2돌출모듈(222) 사이에 설치된다. 피니언기어(210)는 피니언기어축(209)에 설치된다.
제1링기어(211)는 일면이 제1돌출모듈(221)의 타면과 접하도록 링기어축(207)과 연결된다. 제1링기어(211)는 제1돌출모듈(221)과 피니언기어연결체(208) 사이에 위치하며 외주면이 유성기어모듈(206)과 치합되며 유성기어모듈(206)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대응해 회전한다.
제2링기어(212)는 제1링기어(211)의 타면에 제1링기어(211)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피니언기어(210)와 치합되어 피니언기어(21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3링기어(213)는 일면이 피니언기어연결체(208)의 타면과 접하도록 링기어축(207)과 연결된다. 제3링기어(213)는 피니언기어연결체(208)과 제2돌출모듈(222) 사이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링기어(213)는 일면이 피니언기어연결체(208)의 타면과 접하고, 타면이 제2돌출모듈(222)의 일면과 접하도록 피니언기어연결체(208)와 제2돌출모듈(222)사이에 설치된다. 제3링기어(213)는 외주면이 피니언기어(210)와 치합되며 피니언기어(21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대응해 회전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태엽부의 작동과 태엽부의 작동에 따른 제1바람개비모듈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연결축기어모듈, 유성기어모듈 그리고 선기어모듈 및 손잡이당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유성기어모듈과 연결축기어모듈의 연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은 손잡이당김부의 승강에 따라 바람개비모듈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모듈(220)에 제1방향(-Z축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태엽스프링(203)이 반 시계 방향으로 감기게 된다. 그러면서 선기어모듈(205)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선기어모듈(205)과 치합되어 있는 제1유성기어(2061)는 선기어모듈(205)의 반 시계방향과 반대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1유성기어(2061)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2유성기어(206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치합되어 있는 제1링기어(211)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1링기어(211)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링기어(211)와 연결되어 있는 제1돌출모듈(221)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210)와 치합되어 있는 제3링기어(213)가 피니언기어(210)의 회전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3링기어(213)와 연결되어 있는 제2돌출모듈(22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줄모듈(220)에 장력이 가해져 태엽스프링(203)이 최대한으로 감긴 후, 장력이 제거되면 태엽스프링(203)은 시계 방향으로 감기게 된다. 그러면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기어모듈(205)은 태엽스프링(203)의 복원력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선기어모듈(205)과 치합되어 있는 제1유성기어(2061)는 선기어모듈(205)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서 제1유성기어(2061)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2유성기어(2062)는 치합되어 있는 제1링기어(21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링기어(21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돌출모듈(221)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210)와 치합되어 있는 제3링기어(213)가 피니언기어(210)의 회전에 따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3링기어(213)와 연결되어 있는 제2돌출모듈(222)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줄모듈(220)이 몸통부에서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제1돌출모듈(221)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돌출모듈(222)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모듈(221)에 연결된 제1바람개비모듈(310)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돌출모듈(222)에 연결된 제2바람개비모듈(32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더욱이, 태엽스프링(203)에 의해 줄모듈(220)이 점차 감기면서 제1돌출모듈(221)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돌출모듈(222)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모듈(221)에 연결된 제1바람개비모듈(310)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돌출모듈(222)에 연결된 제2바람개비모듈(32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제1돌출모듈(221)은 단면이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돌출모듈(222)은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돌출모듈(221)에 연결되는 제1바람개비모듈(310)의 제1날개(3121) 내지 제4날개(3124)는 제2돌출모듈(222)에 연결된 제2바람개비모듈(320)의 제5날개(3221) 내지 제8날개(3224) 사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1바람개비모듈(310)의 제1날개(3121)는 제5날개(3221)와 제8날개(3224) 사이에 위치하고, 제2날개(3122)는 제5날개(3221)와 제6날개(3222)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3날개(3123)는 제6날개(3222)와 제7날개(3223) 사이에 위치하고, 제4날개(3124)는 제7날개(3223)와 제8날개(322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제1바람개비모듈(310)의 제1날개(3121) 내지 제4날개(3124)는 제2바람개비모듈(320)의 제5날개(3221) 내지 제8날개(3224) 보다 크다. 이에, 제1날개(3121) 내지 제4날개(3124)가 제5날개(3221) 내지 제8날개(3224)의 뒤편에서, 제5날개(3221) 내지 제8날개(3224) 사이의 넓은 간격을 메꾸며 회전하게 된다. 이때, 신생아는 주변에 시선을 두지 않고, 흑백 날개를 보다 집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5날개(3221) 내지 제8날개(3224)가 제1날개(3121) 내지 제4날개(3124) 뒤편에서 제1날개(3121) 내지 제4날개(3124)의 간격을 메꾸며 회전하면, 제1날개(3121) 내지 제4날개(3124)에 프린팅된 색상 및 형상 보다 다채로운 색상 및 다채로운 형상이 나타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다채로운 색상 및 다양한 형상이 표현됨에 따라, 영아는 제1날개(3121) 내지 제4날개(3124)에 시력을 보다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 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초점 바람개비
10: 몸통부
101: 제1하우징 102: 제2하우징
110: 제1수용모듈 120: 제2수용모듈
111: 타공홀 112: 수용홈
20: 태엽부
201: 제1커버모듈
2011: 태엽스프링수용홈 2012: 피니언기어축수용홈
202: 제2커버모듈
203: 태엽스프링 204: 스프링연결모듈
205: 선기어모듈206: 유성기어모듈
2061: 제1유성기어 2062: 제2유성기어
230: 연결축기어모듈
207: 링기어축 208: 피니언기어연결체
209: 피니언기어축 210: 피니언기어
211: 제1링기어 212: 제2링기어
213: 제3링기어
220: 줄모듈 2201: 놀이모듈
221: 제1돌출모듈 222: 제2돌출모듈
30: 바람개비부
310: 제1바람개비모듈 3110: 제1회전모듈
3121: 제1날개 3122: 제2날개
3123: 제3날개 3124: 제4날개
320: 제2바람개비모듈
3210: 제2회전모듈
3221: 제5날개 3222: 제6날개
3223: 제7날개 3224: 제8날개
A: 아기체육관 B1: 제1브릿지
B2: 제2브릿지

Claims (7)

  1. 제1측면에 제1수용모듈(110)이 설치되고, 제2측면에 제2수용모듈(120)이 형성된 몸통부(10);
    몸통부(10)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장력이 가해지면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장력이 제거되면 제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줄모듈(220)과, 몸통부(10)의 일면으로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줄모듈(220)이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돌출모듈(221)과, 몸통부(10)의 타면으로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제1돌출모듈(221)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돌출모듈(222)을 포함하는 태엽부(20) 및
    태엽부(20)의 제1돌출모듈(221)과 연결되는 제1바람개비모듈(310)과 태엽부(20)의 제2돌출모듈(222)과 연결되는 제2바람개비모듈(320)을 포함하는 바람개비부(30)를 포함하는, 초점 바람개비.
  2. 제1항에 있어서, 태엽부(20)는,
    제1커버모듈(201)과 제2커버모듈(202)을 포함하고,
    제1커버모듈(201)에 설치되어 반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시계방향으로 복원되는 태엽스프링(203)과,
    측면이 줄모듈(220)의 일단과 연결되고, 일면이 태엽스프링(203)과 연결되어 태엽스프링(203)의 회전 방향에 대응해 반 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프링연결모듈(204)과,
    스프링연결모듈(204)의 타면에 일면이 연결되는 선기어모듈(205)과,
    선기어모듈(205)과 치합되는 유성기어모듈(206)과,
    일단이 제1돌출모듈(221)에 삽입되고, 타단이 제2돌출모듈(222)에 삽입되는 링기어축(207)과,
    링기어축(207)에 설치되며 측면에 링기어축(207)과 수직한 방향으로 피니언기어축(209)이 설치되는 피니언기어연결체(208)와,
    피니언기어축(209)에 연결되는 피니언기어(210)와,
    링기어축(207)과 연결되어 제1돌출모듈(221)과 피니언기어연결체(208) 사이에 위치하고 일면이 제1돌출모듈(221)의 타면과 접하고, 외주면이 유성기어모듈(206)과 치합되는 제1링기어(211)와,
    제1링기어(211)의 타면에 제1링기어(211)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피니언기어(210)와 치합되는 제2링기어(212)와,
    링기어축(207)과 연결되어 피니언기어연결체(208)와 제2돌출모듈(222) 사이에 위치하며 일면이 피니언기어연결체(208)의 타면과 접하고, 타면이 제2돌출모듈(222)의 일면과 접하고, 외주면이 피니언기어(210)와 치합되는 제3링기어(213)를 포함하는, 초점 바람개비.
  3. 제2항에 있어서, 유성기어모듈(206)은,
    선기어모듈(205)과 치합되어 선기어모듈(205)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유성기어(2061)와,
    제1유성기어(2061)의 타측면에 제1유성기어의 크기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제1링기어(211)와 치합되어 제1링기어(211)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유성기어(2062)를 포함하는, 초점 바람개비.
  4. 제3항에 있어서,
    제1링기어(211)는,
    제2유성기어(206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링기어(212)는,
    제1링기어(21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피니언기어(210)는,
    제2링기어(212)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링기어(2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3링기어(213)는,
    피니언기어(2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피니언기어(21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초점 바람개비.
  5. 제1항에 있어서,
    제1바람개비모듈(310)은,
    제1돌출모듈(221)과 연결되어 제1돌출모듈(22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회전모듈(3110)과, 제1회전모듈(3110)에 설치되며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색상이 형성된 제1날개(3121) 내지 제4날개(3124)을 포함하고,
    제2바람개비모듈(320)은,
    제2돌출모듈(222)과 연결되어 제2돌출모듈(22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회전모듈(3210)과, 제2회전모듈(3210)에 설치되며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흰색의 제5날개(3221)와 제7날개(3223) 그리고 검정색인 제6날개(3222)와 제8날개(3224)을 포함하는, 초점 바람개비.
  6. 제5항에 있어서,
    제1날개(3121) 내지 제4날개(3124)는 제5날개(3221) 내지 제8날개(3224)의 크기 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 초점 바람개비.
  7. 제6항에 있어서,
    제1돌출모듈(221)은 횡단면이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돌출모듈(222)은 횡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날개(3121)는 제5날개(3221)와 제8날개(3224) 사이에 위치하고,
    제2날개(3122)는 제5날개(3221)와 제6날개(3222) 사이에 위치하고,
    제3날개(3123)는 제6날개(3222)와 제7날개(3223) 사이에 위치하고,
    제4날개(3124)는 제7날개(3223)와 제8날개(3224) 사이에 위치하는, 초점 바람개비.
KR1020220101992A 2022-08-16 2022-08-16 초점 바람개비 KR20240023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992A KR20240023820A (ko) 2022-08-16 2022-08-16 초점 바람개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992A KR20240023820A (ko) 2022-08-16 2022-08-16 초점 바람개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820A true KR20240023820A (ko) 2024-02-23

Family

ID=9004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992A KR20240023820A (ko) 2022-08-16 2022-08-16 초점 바람개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382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3178A (ko) 2011-12-23 2013-07-03 주예슬 유아용 모빌
KR200479190Y1 (ko) 2014-07-14 2016-01-11 박용선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3178A (ko) 2011-12-23 2013-07-03 주예슬 유아용 모빌
KR200479190Y1 (ko) 2014-07-14 2016-01-11 박용선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1346B1 (en) Interactive hatching egg
RU2310493C2 (ru) Игрушка типа конструктора
US20130331000A1 (en) Stuffed children's toy with therapeutic feature
KR20240023820A (ko) 초점 바람개비
US3775900A (en) Toy doll
KR101417884B1 (ko) 자석식 블록 완구
US4450650A (en) Action play toy
US4798553A (en) Animated toys
US7247078B2 (en) Rotatable entertainment device
JP2011056124A (ja) コマ玩具
US2919538A (en) Toy watches
JP3806676B2 (ja) 玩具用手巻き式ゼンマイ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歩行玩具
KR101095187B1 (ko) 태엽 구동식 기능 우유병 케이스
JP3110565U (ja) 容器体に収納した吊下げ揺動玩具
CN217526369U (zh) 一种具有齿轮传动的积木玩具
CN216877829U (zh) 一种螺丝刀玩具
RU201982U1 (ru) Игрушка колесо обозрения
CN212220897U (zh) 一种模块化玩具盒
CN213100814U (zh) 一种儿童益智拆装组合玩具
US20100015884A1 (en) Eyes for electronic pet
CN213339345U (zh) 一种传动教学用具
KR200465306Y1 (ko) 동작완구
CN220757955U (zh) 一种耳部驱动装置及玩偶
CN211635217U (zh) 一种动画组装玩具
JPH0622397Y2 (ja) 仮名文字知育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