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939A - 유아의 다양한 신체 활동에 이용될 수 있는 교구 세트 - Google Patents

유아의 다양한 신체 활동에 이용될 수 있는 교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939A
KR20210060939A KR1020190148535A KR20190148535A KR20210060939A KR 20210060939 A KR20210060939 A KR 20210060939A KR 1020190148535 A KR1020190148535 A KR 1020190148535A KR 20190148535 A KR20190148535 A KR 20190148535A KR 20210060939 A KR20210060939 A KR 20210060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children
physical activity
be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섭
Original Assignee
김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섭 filed Critical 김정섭
Priority to KR1020190148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0939A/ko
Publication of KR20210060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63B21/401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2Special co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9/00Hollow non-inflatable balls, i.e. having no valves
    • A63B39/06Special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5/00Apparatu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4Dolls into which the fingers of the hand can be inserted, e.g. hand-pupp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의 다양한 신체 활동에 이용될 수 있는 신체활동 교구 세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유아의 신체활동 교구 세트는 소리나는 장갑, 방울 세팍타크로, 손잡이 고무밴드, 장갑 인형, 및 스펀지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각각은 서로 다른 교육효과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소리나는 장갑은 케이스부에 다양한 재질의 소리 발생체를 넣음으로써, 유아들이 장갑을 끼고 손을 움직일 때마다 서로 다른 음 높이의 소리를 경험하게 됨으로써 청음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뿐만 아니라, 소리를 이용한 신체 활동 기구이므로 비장애 유아와 장애 유아가 함께 어울려 신체 활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울 세팍타크로는 유연한 재질의 노끈을 겹쳐서 구체 모양을 형성하였고, 그 내부에 방울을 달아서 소리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공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비장애 유아와 장애 유아가 함께 어울려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부드러운 노끈 소재를 이용하였으므로 유아들이 서로 던지거나 차면서 활동하여도 안전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아의 다양한 신체 활동에 이용될 수 있는 교구 세트{Educational materials for children's exercise}
본 발명은 유아의 신체활동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의 다양한 신체 활동에 이용될 수 있는 신체활동 교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상품화된 제품들을 보면 경제성, 견고성, 안전성, 교구가 주는 매력 면에서 충족감을 덜 준다. 견고하다고 생각되면 가격이 매우 비싸고, 매력적이라고 보면 무독성이 보장되지 않거나 다칠 수 있는 가능성(베이거나, 찍히거나, 찔리는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그리고 공간도 많이 차지하여 보관상의 어려움도 유발하는 장난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들은 단일 품목으로 제공되어 유아의 어느 한 감각만을 자극하는 물품으로 구성되어 유아들이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교구들이 상당한 고가의 비용으로 판매되고 있은 실정으로, 각각의 감각을 배양할 수 있는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를 모두 구비하기 위해서는 각 가정에 상당한 경제적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아들의 시각, 청각, 및 촉각과 같은 다양한 감각을 자극함으로써 유아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안전하고 경제적이면서도 유아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신체 활동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신체 활동 교구가 포함된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는 소리나는 장갑, 방울 세팍타크로, 손잡이 고무밴드, 장갑 인형, 및 스펀지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각각은 서로 다른 교육효과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소리나는 장갑은 케이스부에 다양한 재질의 소리 발생체를 넣음으로써, 유아들이 장갑을 끼고 손을 움직일 때마다 서로 다른 음 높이의 소리를 경험하게 됨으로써 청음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뿐만 아니라, 소리를 이용한 신체 활동 기구이므로 비장애 유아와 장애 유아가 함께 어울려 신체 활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울 세팍타크로는 유연한 재질의 노끈을 겹쳐서 구체 모양을 형성하였고, 그 내부에 방울을 달아서 소리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공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비장애 유아와 장애 유아가 함께 어울려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부드러운 노끈 소재를 이용하였으므로 유아들이 서로 던지거나 차면서 활동하여도 안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손잡이 고무밴드는 고무밴드에 손잡이를 설치함으로써, 유아들로 하여금 용이하고 안전하게 고무밴드를 파지하여, 고무밴드를 당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놀이 과정 중에서 유아들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 인형은 악어 형상으로 모사되고, 악어장갑 입 부분 전체를 미끄럼방지 천으로 형성하여 유아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물품이나 사람의 신체 부위를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스펀지공은 정서적 측면에서 말랑말랑하고 부드러운 촉감각을 느끼게 해주어 유아들로 하여금 공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켜줄 수 있으며, 신체적 측면에서는 스펀지 공을 마음대로 주물럭거리며 악력도 향상시킬 수 있고, 공을 자유롭게 던지고 받는 조작기술운동을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신체활동 교구는 유아의 흥미, 감각, 안전의 원칙을 토대로 장애 유아 통합학급에서의 교육적 효과, 제작과정의 간편성, 제작비용의 경제성, 견고성, 재료의 안전성 등을 모두 만족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각각의 교구가 유아의 시각, 청각, 및 촉각을 골고루 자극하면서 유아들의 신체 활동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구는 개인적으로 또는 소집단으로 활동할 때 사용이 가능하므로 장애유아에게 부족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빈도수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교구는 구조화의 정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인지적으로 낮은 유아, 신체부자유아, 자폐아 등 여러 유형의 장애아가 포함된 통합학급에서 활동자료로 사용하는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에 포함되는 소리나는 장갑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리나는 장갑의 제조 과정 및 그 구현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l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에 포함되는 방울 세팍타크로의 제작 과정 및 그 완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에 포함되는 손잡이 고무밴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에 포함되는 장갑 인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에 포함되는 스펀지공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는 장갑;
상기 장갑의 손가락 말단 부분에 끼워져 장갑과 소정의 접착제에 의해서 결합되는 케이스; 및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고, 유아가 장갑을 끼고 손을 움직이면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케이스와 충돌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 발생체를 포함하는 소리나는 장갑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는, 소정의 부드러운 재질의 복수의 노끈들이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구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이 방울이 설치된 방울 세팍타크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는, 양 말단이 서로 연결된 고무밴드에, 소정의 지지재가 삽입된 손잡이를 설치한, 손잡이 고무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는, 입 주변이 미끄럼방지 천으로 형성된 악어 형상의 인형 장갑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는, 소정 지름의 스펀지 재질의 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에 포함되는 소리나는 장갑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소리나는 장갑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소리나는 장갑은 장갑(15), 케이스(20), 및 소리 발생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장갑(15)은 목장갑 또는 가죽 장갑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지만, 빠르게 성장하는 유아의 손에 밀착될 수 있도록 신축성이 좋은 섬유 소재의 장갑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는 장갑(15)의 손가락 말단에 끼워지고, 소정의 접착제에 의해서 장갑과 결합된다. 케이스(10)는 다양한 소재가 이용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는 플라스틱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벼운 금속 소재의 케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10)는 생활속 폐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 요구르트 병을 끓는 물에 1-2분 삶으면 그 크기가 장갑에 결합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축소되고, 축소된 요구르트 병의 표면을 아크릴물감으로 칠하며, 이를 장갑(15)과 결합하여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색상의 소리나는 장갑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색상의 장갑을 유아들 스스로 제작하게 함으로써 보다 유아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소리 발생체(20)는 케이스(20)에 수용되고, 소리 발생체(20)가 케이스(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케이스(10)와 장갑(15)이 결합되면 소리 발생체(20)는 장갑(15)을 낀 유아가 손가락을 움직일 때마다 케이스(10) 내부에서 이동되며 케이스(10)의 벽면에 부딪힘에 따라서 각각 고유의 소리를 발생시킨다.
소리 발생체(20)는 쌀, 모래, 콩, 플라스틱 알갱이 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재질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소리 발생체(20)의 소재에 따라서 소리 발생체(20)가 케이스(10)와 충돌하여 발생시키는 소리의 주파수(음의 높낮이)는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손가락에 끼워진 각 케이스(10)에 서로 다른 재질의 소리 발생체가 수용되는 경우에, 유아들은 각 손가락을 흔들때마다 음의 높낮이가 서로 다른 소리를 경험하게 되어 유아의 청음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뿐만 아니라, 일반 비장애 유아와 장애 유아가 함께 놀이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술한 소리나는 장갑은 장애유아와 비장애 유아가 통합학급 내에서 음악에 맞춰 함께 할 수 있도록 돕는 교구이다. 장애유아들은 음악이나 영상자료가 더불어 제공될 때 즐겁게 활동에 참여한다. 유아들은 상술한 소리나는 장갑을 끼고 두 손을 아래로 늘어뜨리거나 위로 올려 흔들어서 소리를 낼 수도 있고, 두 손을 맞대어 케이스 밑면을 부딪쳐 소리 낼 수도 있으며, 각각의 손가락을 오므려 소리를 낼 수 있는 등 이용 방법이 다양할뿐만 아니라, 장애ㅇ비장애 유아들 간 서로 장갑을 끼워주는 도움 주는 상황을 자연스럽게 유발하기여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의 통합 교육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3a 내지 도 3l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에 포함되는 방울 세팍타크로의 제작 과정 및 그 완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l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울 세팍타크로는 유연한 재질의 노끈을 겹쳐서 구체 모양을 형성하였고, 그 내부에 방울(30)을 달아서 소리가 발생되도록 하였다.
도 3a 내지 도 3l 는 방울 세팍타크로의 제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l 을 참조하여 방울세팍타크로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면, 일정한 길이의 유연한 노끈을 준비하고 2개의 노끈 ⓐ,ⓑ를 90도로 서로 교차해서 배치한다(도 3a 참조) 그 후, 다른 끈 ⓒ를 ⓐ,ⓑ의 아래쪽에서 서로 엇갈리도록 키우고(도 3b 참
조), 노끈 ⓓ를 화살표방향에서 엇갈리게 끼우며(도 3c 참조), 노끈 ⓔ를 끼워 넣어 엇갈리게 한다(도 3d 참조)
그 후, 화살표 부분의 끈을 교차시켜 엇갈리는 노끈이 별 모양이 되도록 하고(도 3e 참조), 노끈이 교차되는 부분마다 움직이지 않도록 클립으로 고정시킨다(도 3f 참조)
그 후, 도 3g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끈 하나를 연결하여 고리를 만들고, 그 고리를 도 3f 에 도시된 별 모양한가운데 올려놓은 후(도 3h), 클립으로 고정된 부분의 노끈 중에서 아래쪽에 있는 노끈을 고리 안쪽으로 끼워 넣는다(도 3i 참조).
그 후, 끼워놓은 클립을 다 빼내고 고리 위쪽의 노끈을 모두 엇갈리게 배치하며(도 3j 참조), 각 노끈을 반대편에 있는 끈과 붙여(도 3k 참조), 세팍타크로를 완성하고, 여기에 소정의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방울(30)을 달아서 방울 세팍타크로를 완성한다(도 3l) 이 때, 방울(30)을 결합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간단한 예로는 실을 이용하여 방울을 노끈에 달수도 있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방울을 노끈에 접착시킬수 도 있다.
유아들은 놀이 환경에서 다양한 공을 만져보며 재질, 무게, 촉감 등을 경험한다. 유아들이 상술한 과정에 따라서 만들어진 방울 세팍타크로를 활용하여 발로 차고 던지고 받음으로써 조작적 운동기술을 기를 수 있다.
그러나, 자유롭게 던지고 받는 활동을 할 때 딱딱하고 거친 공이 자신에게 던져진다면 두려움도 느낄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방울 세팍타크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용 끈 중 어느 정도 형태를 잡을 정도의 딱딱함을 가진 동시에 부드러운 재질로 된 끈을 선택하여 구형을 만든 후 청각적인 자극을 첨가하기 위해 방울을 달아 제작하였다.
방울 세팍타크로는 공으로써 제 기능을 다할 뿐만 아니라 유아들이 공을 받았을 때 부드러운 느낌을 주고, 손으로 쭈그려도 금세 원형으로 돌아오는 유연성 때문에 유아들로부터 흥미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울 세팍타크로는 그 겉면이 거칠지 않기 때문에 유아의 머리 부분에 맞았을 때 상처를 주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에 포함되는 손잡이 고무밴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손잡이 고무밴드는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밴드(41)에 양손으로 잡아 당길 수 있는 손잡이(42)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유아들의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고무밴드들은 단순히 고무밴드만을 원모양으로 연결하고, 별도의 고무밴드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유아들이 이를 잡아당기기 놀이를 통해서 근력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고무밴드를 잡는 방식이 불안정하여 유아들의 손목 관절에 무리가 가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고무밴드(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밴드(41)에 손잡이(42)를 설치하여 그 파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그 제작 과정을 설명하면, 대략 넓이가 6cm 정도인 염색 고무 밴드(41)를 약 105cm로 잘라양쪽을 이어 링 모양이 되도록 만든 후, 착용감을 고려하여 손잡이(42) 천에 지지재를 넣어 유아들의 손에 알맞게 제작하였다.
도 4b 내지 도 4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밴드(41)에 걸 손잡이(42) 천을 가로 6cm, 세로 18cm로 자른 후, 천에 지지재를 넣고 감싼 뒤 바느질 하여 마지막으로 고무줄을 사이에 넣어 손잡이(42)의 양쪽 끝부분을 바느질한다.
고무밴드(41)의 색은 기존의 염색된 고무 밴드(41)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흰색의 고무 밴드(41)를 구입하여 제작자의 기호에 따라 염색물감으로 물을 들여 제작할 수도 있다. 다양한 색으로 물들인 고무 밴드(41) 중 유아 개개인이 선택하여 근력강화 활동을 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손잡이 고무밴드(41)는 유아의 팔의 근력을 기르는 활동에 유용하다. 고무 밴드(41) 안에 다리, 허리, 목 등 신체 부위를 넣어 잡아당길 수 있다. 또는 고정된 사물에 걸어 잡아당길 수도 있다. 신체부자 유아가 있는 통합학급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에 포함되는 장갑 인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갑 인형은 악어 형상을 모사하도록 제작되었다. 본 발명의 장갑 인형(이하, "악어 장갑" 이라 칭함)은 유아들이 스트레칭을 보다 재미있게 그리고 좀 더 오래 하도록 돕는다.
유아가 바닥에 다리를 뻗고 앉아 악어장갑을 두 손에 끼고 상체를 다리 쪽으로 구부려 접도록 한다. 그리고 유아들에게 자신의 발가락을 잡게 한다. 교사가 '하나, 둘, 셋' 숫자를 세어주어 좀 더 오래 그 자세를 지탱하도록 유도한다. 특히 스트레칭이 필요한 장애아들에게 재미있게 하도록 이끄는 데 효과적인 교구이다.
악어장갑은 악어의 배, 등, 입 부분에 다양한 느낌의 천을 사용하여 꿰맨 교구이다. 악어 등껍질 모양의 천을 다시 한 번 씌워주고 안에 솜을 넣었으며, 배 부분에도 흰색 천을 다시 한 번 박아주고 안에 솜을 넣었기에 시각/촉각을 자극하는 데 효과적이다. 악어장갑 입 부분 전체를 미끄럼방지 천으로 형성하여 유아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물품이나 사람의 신체 부위를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장갑 인형은 자폐아에게 특히 효과적인 놀이 기구로서, 자폐아로 하여금 악어장갑을 만지는 순간이라도 눈 마주침을 유발하는 데 효과적이었다는 반응을 얻을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에 포함되는 스펀지공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펀지공은 말 그대로 스펀지를 구형으로 만든것으로서, 스펀지 공의 크기는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 공은 지름 7cm, 15cm로 제조하였다.
스펀지공은 정서적 측면에서 말랑말랑하고 부드러운 촉감각을 느끼게 해주어 유아들로 하여금 공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켜줄 수 있으며, 신체적 측면에서는 스펀지 공을 마음대로 주물럭거리며 악력도 향상시킬 수 있고, 공을 자유롭게 던지고 받는 조작기술운동을 활성화시킨다.
여름철에는 스펀지 공의 뛰어난 흡수력과 통기성 때문에 물에 담갔다가 던지고 받는 활동으로도 가능하다. 물을 흡수한 공의 무게를 느껴 팔의 힘을 달리 조절하고 직접 물을 흡수한 스펀지를 짜보아 얼마만큼의 물을 흡수했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스펀지 공은 용도가 다양하며 그로 인한 교육적 효과도 다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장갑;
    상기 장갑의 손가락 말단 부분에 끼워져 상기 장갑과 소정의 접착제에 의해서 결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고, 유아가 상기 장갑을 끼고 손을 움직이면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케이스와 충돌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 발생체를 포함하는 소리나는 장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부드러운 재질의 복수의 노끈들이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구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이 방울이 설치된 방울 세팍타크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양 말단이 서로 연결된 고무밴드에, 소정의 지지재가 삽입된 손잡이를 설치한, 손잡이 고무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입 주변이 미끄럼방지 천으로 형성된 악어 형상의 인형 장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소정 지름의 스펀지 재질의 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신체 활동 교구 세트.
KR1020190148535A 2019-11-19 2019-11-19 유아의 다양한 신체 활동에 이용될 수 있는 교구 세트 KR20210060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535A KR20210060939A (ko) 2019-11-19 2019-11-19 유아의 다양한 신체 활동에 이용될 수 있는 교구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535A KR20210060939A (ko) 2019-11-19 2019-11-19 유아의 다양한 신체 활동에 이용될 수 있는 교구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939A true KR20210060939A (ko) 2021-05-27

Family

ID=7613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535A KR20210060939A (ko) 2019-11-19 2019-11-19 유아의 다양한 신체 활동에 이용될 수 있는 교구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09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66545T3 (es) Juguete de estimulación sensorial interactivo entre padres y bebés y métodos de uso
US5072998A (en) Stuffed anatomical members
US11918543B2 (en) Plush toy with sensory development
Swift Centered riding
US20140094084A1 (en) Educational toy
KR20210060939A (ko) 유아의 다양한 신체 활동에 이용될 수 있는 교구 세트
KR100812247B1 (ko) 유아용 신체 활동 교구 세트
CN110433503B (zh) 一种儿童成长用智能陪护机器人
Bersma et al. Yoga Games for Children: fun and Fitness with Postures, movements and breath
US20140273725A1 (en) Stretchable Plush Doll
Sassé Smart Start
JP2019055074A (ja) スクイーズ玩具
Mays Your Child's Motor Development Story: Understanding and Enhancing Development from Birth to Their First Sport
JP3236311U (ja) 手指運動用具
JP2018187320A (ja) お手玉セット
JP2009118951A (ja) ボール状訓練遊具
Silberg 125 brain games for babies
JP4376120B2 (ja) 乳幼児玩具
Head et al. Using Toys and Play Remedially
JP3123938U (ja) 障害児用把持機能訓練用具
KR200481781Y1 (ko) 공기주입식 인형
JP4895636B2 (ja) 協調運動用遊具
JP3183468U (ja) 生活雑貨
Halsey Baby Development Everything You Need to Know
Sassé Active Baby, Healthy Brain: 135 Fun Exercises and Activities to Maximize Your Child's Brain Development from Birth Through Age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