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993Y1 - 숟가락 겸용 젓가락 - Google Patents

숟가락 겸용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993Y1
KR200473993Y1 KR2020120012143U KR20120012143U KR200473993Y1 KR 200473993 Y1 KR200473993 Y1 KR 200473993Y1 KR 2020120012143 U KR2020120012143 U KR 2020120012143U KR 20120012143 U KR20120012143 U KR 20120012143U KR 200473993 Y1 KR200473993 Y1 KR 200473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chopstick
chopsticks
groov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2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057U (ko
Inventor
최유미
최미경
Original Assignee
최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유미 filed Critical 최유미
Priority to KR2020120012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99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0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0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9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숟가락 겸용 젓가락이 개시되는 것으로, 나뭇가지 형상으로 길이방향 하부면에 나뭇잎 형상의 제 1 숟가락부(200)가 외향지는 형태가 되게 돌출되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111)과, 상기 결합홈(111)에는 이와 교차하는 위치고정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1)에는 고정링(113)이 결합되며, 상기 제 1 숟가락부(200)에는 제 1 젓가락부(110)의 위치고정홈(112)에 삽입되어 고정링(113)에 의해 위치고정홈(112)에 가압 고정되는 고정돌부(201)가 돌출 형성된 제 1 젓가락부(110)와; 나뭇가지 형상으로 길이방향 상부면에 나뭇잎 형상의 제 2 숟가락부(210)가 상부면에 외향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 1 젓가락부(110)에 대응되는 제 2 젓가락부(120)와; 상기 제 1,2 젓가락부(110)(120)의 일단부에 제 1,2 젓가락부(110)(120)를 파지하는 상부와 음식을 집는 하부를 구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무늬표시부(116)(122)와; 상기 제 1 젓가락부(110) 또는 제 2 젓가락부(120)에 돌출 형성되어 젓가락의 사용 시 엄지와 검지 사이의 손등에 걸림되는 걸림돌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된 숟가락 겸용 젓가락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젓가락에 숟가락이 구성됨으로써 젓가락 하나로 숟가락 기능과 젓가락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되므로 수저의 사용이 간편하고, 젓가락에 숟가락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특히 숟가락에 의해 젓가락의 구름이 방지되어 젓가락의 분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숟가락이 나뭇잎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숟가락이 구비된 젓가락이 나뭇가지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젓가락의 외관이 미려하고 이로 인해 제품을 고품격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숟가락 겸용 젓가락{a chopstick with spoon}
본 고안은 수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젓가락에 숟가락이 구비되어 젓가락 기능과 숟가락 기능을 겸할 수 있는 숟가락 겸용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국과 중국 및 일본을 포함하는 극동 지방의 나라들은 음식을 먹을 때 숟가락과 더불어 젓가락을 별도로 사용하여 음식을 취식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젓가락은 손의 근육을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어린이들의 두뇌 발달에 좋은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고, 이러한 좋은 점으로 인해 최근들어서는 미국이나 유럽 등의 서양 국가들에서도 젓가락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수저는 젓가락과 숟가락이 별개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음식을 먹을 때 젓가락과 숟가락을 번갈아 가면서 들었다 놓았다를 반복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불편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숟가락과 젓가락이 각각 구비되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치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젓가락은 가늘고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구름이 용이하기 때문에 종종 굴러 떨어져 분실하는 경우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젓가락의 경우에는 단순한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젓가락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 등을 각인하여 젓가락의 미려함을 연출하도록 하고 있으나, 젓가락에 대한 미려함 연출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젓가락에 숟가락을 구비하여 젓가락 기능과 숟가락 기능을 동시에 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식사를 할 때 수저의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수저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젓가락과 숟가락의 형상이 예를 들어 나뭇가지와 나뭇가지에 달린 나뭇잎과 같이 자연적인 사물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숟가락 겸용 젓가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나뭇가지 형상으로 길이방향 하부면에 나뭇잎 형상의 제 1 숟가락부가 외향지는 형태가 되게 돌출되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는 이와 교차하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고정링이 결합되며, 상기 제 1 숟가락부에는 제 1 젓가락부의 위치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링에 의해 위치고정홈에 가압 고정되는 고정돌부가 돌출 형성된 제 1 젓가락부와; 나뭇가지 형상으로 길이방향 상부면에 나뭇잎 형상의 제 2 숟가락부가 상부면에 외향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 1 젓가락부에 대응되는 제 2 젓가락부와; 상기 제 1,2 젓가락부의 일단부에 제 1,2 젓가락부를 파지하는 상부와 음식을 집는 하부를 구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무늬표시부와; 상기 제 1 젓가락부 또는 제 2 젓가락부에 돌출 형성되어 젓가락의 사용 시 엄지와 검지 사이의 손등에 걸림되는 걸림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숟가락 겸용 젓가락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 1 숟가락부는 제 1 젓가락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 1 젓가락부에는 축방향을 따라 단차진 단차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홈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숟가락부에는 상기 단차홈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부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숟가락 겸용 젓가락에 따르면, 젓가락에 숟가락이 구성됨으로써 젓가락 하나로 숟가락 기능과 젓가락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되므로 수저의 사용이 간편하고, 젓가락에 숟가락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특히 숟가락에 의해 젓가락의 구름이 방지되어 젓가락의 분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젓가락에 숟가락이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젓가락을 숟가락 겸용 또는 젓가락 본연의 기능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또, 본 고안에서는 젓가락에 상기한 숟가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 2 숟가락을 구성함으로써 식사할 때 사용되는 수저의 기능 이외에도 티스푼의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에서는 젓가락의 사용 시 엄지와 검지 사이의 손등에 걸림되는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젓가락이 사용자의 손에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되어 젓가락 사용이 미숙한 사람도 젓가락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에서는 숟가락이 나뭇잎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숟가락이 구비된 젓가락이 나뭇가지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젓가락의 외관이 미려하고, 이로 인해 제품을 고품격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숟가락 겸용 젓가락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숟가락 겸용 젓가락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리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보인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 겸용 젓가락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리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를 보인 B-B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숟가락 겸용 젓가락의 사용상태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숟가락 겸용 젓가락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참고사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숟가락 겸용 젓가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숟가락 겸용 젓가락(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막대 즉 나뭇가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젓가락부(110)(120) 중에서 제 1 젓가락부(110)에는 나뭇잎 형상의 제 1 숟가락부(200)가 구성되고, 제 2 젓가락부(120)에는 나뭇잎 형상의 제 2 숟가락부(210)와 걸림돌부(121)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부(121)는 제 2 젓가락부(120) 뿐만 아니라 제 1 젓가락부(11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숟가락부(200)는 제 1 젓가락부(110)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숟가락부(210)는 제 1 젓가락부(110)와는 반대로 제 2 젓가락부(120)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부(121)는 제 2 숟가락부(210) 아래의 제 2 젓가락부(120)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 1,2 숟가락부(200)(210)는 함몰된 상면에 나뭇잎의 잎맥과 같은 형상이 음각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음각 형상에 의해서 제 1,2 숟가락부(200)(210) 뿐만 아니라 젓가락(100) 전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2 숟가락부(200)(210)의 일측에는 나뭇잎의 줄기와 같은 고정돌부(201)(211)가 각각 유선형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부(201)(211)는 제 1,2 젓가락부(110)(120)에 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정되어 제 1,2 숟가락부(200)(210)를 제 1,2 젓가락부(110)(120)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 1,2 숟가락부(200)(210)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숟가락부(200)는 음식을 취식할 수 있는 통상의 숟가락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고, 제 2 숟가락부(210)는 이보다는 작은 티스푼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 1 숟가락부(200)는 그 단부가 제 1 젓가락부(110)의 단부를 넘지 않도록 형성되어, 젓가락(100)의 사용 시 제 1 숟가락부(20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또, 상기 제 2 숟가락부(210) 역시도 제 2 젓가락부(120)의 단부를 넘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제 2 숟가락부(210)는 티스푼이므로 제 2 젓가락부(120)의 단부를 넘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2 젓가락부(120)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121)는 본 고안의 젓가락(100)을 사용할 때 엄지와 검지 사이의 손등에 걸림되어 이탈이 방지되므로 사용자는 젓가락(100)을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2 젓가락부(110)(120)의 일단부에는 젓가락부(110)(120)의 상부와 하부 즉 손으로 파지하는 상부와, 음식을 집는 하부를 구별할 수 있도록 소정의 무늬표시부(116)(122)가 형성되고, 상기 무늬표시부(116)(122)를 자개 무늬 등으로 형성하여 제품의 고급화 및 고품격화를 꾀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젓가락과 숟가락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 겸용 젓가락(100)은 제 1,2 젓가락부(110)(120)에 제 1,2 숟가락부(200)(210)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숟가락부(200)가 제 1 젓가락부(1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 숟가락부(210)는 제 2 젓가락부(12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그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젓가락부(110)에 제 1 숟가락부(20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 1 젓가락부(110)의 일단부에는 제 1 젓가락부(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1)의 일측에는 결합홈(111)에 수직하게 교차하는 위치고정홈(1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111)과 위치고정홈(112)은 십자형태를 이루고, 상기 위치고정홈(112)이 결합홈(111)보다 더 깊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젓가락부(110)의 결합홈(111)에는 고정링(113)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숟가락부(200)의 고정돌부(201)는 제 1 젓가락부(110)의 위치고정홈(112)으로 삽입되면서 고정링(113)에 끼워져 고정링(113)에 의해 가압 고정된다.
이때, 상기 위치고정홈(112)에 삽입되는 제 1 숟가락부(200)의 고정돌부(201)는 위치고정홈(112)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부(201)의 일부가 위치고정홈(112) 위로 돌출되고, 이와 같이 돌출된 고정돌부(201)에 의해서 고정돌부(201)와 접하는 고정링(113)의 일측이 결합홈(111)으로부터 들리면서 고정돌부(201)를 위치고정홈(112)으로 가압 고저시켜, 제 1 숟가락부(200)의 유동 및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고정링(113)은 일정한 탄력을 갖는 고무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과 숟가락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 역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2 젓가락부에 제 1,2 숟가락부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숟가락부(200)가 제 1 젓가락부(1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 숟가락부(210)는 제 2 젓가락부(12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그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역시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젓가락부(110)에 제 1 숟가락부(20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 1 젓가락부(110)의 일단부에는 제 1 젓가락부(110)의 축방향을 따라 단차진 단차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홈(114)의 상,하면은 축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홈(114)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115)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상기 제 1 숟가락부(200)의 고정돌부(201)는 단차홈(114)의 삽입홈(115)에 끼워져 결합 고정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115)과 고정돌부(201)는 복수개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본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삽입홈(115)과 고정돌부(201)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하나의 삽입홈(115)과 고정돌부(201)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고정돌부(201)가 삽입홈(115)에 억지끼움되어 회전이 방지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제 1 젓가락부(110)에 결합된 제 1 숟가락부(2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숟가락 겸용 젓가락은 제 1,2 젓가락부(110)(120)와 제 1 숟가락부(200)에 의해서 젓가락 기능과 숟가락 기능을 겸할 수 있고, 제 2 숟가락부(210)에 의해서 티스푼의 기능을 더 겸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젓가락(100)을 사용할 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부(121)가 있는 제 2 젓가락부(120)를 엄지와 검지 안쪽으로 위치시키고, 제 1 젓가락부(110)를 엄지와 검지의 바깥쪽에 위치시켜 파지한다.
이때, 제 2 젓가락부(120)의 걸림돌부(121)는 엄지와 검지 사이의 손등에 걸림되도록 하고, 제 1 젓가락부(110)의 제 1 숟가락부(200)는 외측방향으로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제 1,2 젓가락부(110)(120)로 음식을 집어 취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젓가락 기능의 사용 중 숟가락 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때는 제 1,2 젓가락부(110)(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 1 젓가락부(110)를 약간 회전시켜 제 1 숟가락부(200)가 내측방향으로 위치되게 한 후, 제 1 숟가락부(200)를 사용하면 된다.
또, 상기와 같은 젓가락(100)을 티스푼으로 사용할 시는 제 2 젓가락부(120)를 꺼꾸로 잡아 제 2 숟가락부(210)가 아래쪽에 위치되게 하여 제 2 숟가락부(210)를 티스푼으로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숟가락 겸용 젓가락은 숟가락 기능과 젓가락 기능 및 티스푼 기능을 모두 겸할 수 있게 된다.
100 : 젓가락 110,120 : 젓가락부
111 : 결합홈 112 : 위치고정홈
113 : 고정링 114 : 단차홈
115 : 삽입홈 116 : 무늬표시부
121 : 걸림돌부 122 : 무늬표시부
200,210 : 숟가락부 201,211 : 고정돌부

Claims (6)

  1. 나뭇가지 형상으로 길이방향 하부면에 나뭇잎 형상의 제 1 숟가락부(200)가 외향지는 형태가 되게 돌출되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111)과, 상기 결합홈(111)에는 이와 교차하는 위치고정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1)에는 고정링(113)이 결합되며, 상기 제 1 숟가락부(200)에는 제 1 젓가락부(110)의 위치고정홈(112)에 삽입되어 고정링(113)에 의해 위치고정홈(112)에 가압 고정되는 고정돌부(201)가 돌출 형성된 제 1 젓가락부(110)와;
    나뭇가지 형상으로 길이방향 상부면에 나뭇잎 형상의 제 2 숟가락부(210)가 상부면에 외향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 1 젓가락부(110)에 대응되는 제 2 젓가락부(120)와;
    상기 제 1,2 젓가락부(110)(120)의 일단부에 제 1,2 젓가락부(110)(120)를 파지하는 상부와 음식을 집는 하부를 구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무늬표시부(116)(122)와;
    상기 제 1 젓가락부(110) 또는 제 2 젓가락부(120)에 돌출 형성되어 젓가락의 사용 시 엄지와 검지 사이의 손등에 걸림되는 걸림돌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겸용 젓가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숟가락부(200)는 제 1 젓가락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 1 젓가락부(110)에는 축방향을 따라 단차진 단차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홈(114)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115)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숟가락부(200)에는 상기 단차홈(114)의 삽입홈(115)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부(201)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겸용 젓가락.
KR2020120012143U 2012-12-24 2012-12-24 숟가락 겸용 젓가락 KR200473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143U KR200473993Y1 (ko) 2012-12-24 2012-12-24 숟가락 겸용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143U KR200473993Y1 (ko) 2012-12-24 2012-12-24 숟가락 겸용 젓가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057U KR20140004057U (ko) 2014-07-02
KR200473993Y1 true KR200473993Y1 (ko) 2014-08-12

Family

ID=5198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2143U KR200473993Y1 (ko) 2012-12-24 2012-12-24 숟가락 겸용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9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130A (ko) 2018-04-06 2019-10-16 이한별 집게 숟가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238A (ko) 2021-11-09 2023-05-16 정영호 확장 팁형 젓가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877U (ja) * 1984-07-20 1986-02-15 銑八郎 笠井 匙付き箸
JPH10108776A (ja) * 1996-10-07 1998-04-28 Meiwa Insatsu Kk 装飾が施された箸、フェルトペンなどの棒状体
JP3137600U (ja) * 2007-09-19 2007-11-29 有限会社フェニックス・ドット・コム 箸先部と把持部からなる接ぎ箸
KR20090082160A (ko) * 2008-01-24 2009-07-29 김순일 탈, 부착이 가능한 유아용 젓가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877U (ja) * 1984-07-20 1986-02-15 銑八郎 笠井 匙付き箸
JPH10108776A (ja) * 1996-10-07 1998-04-28 Meiwa Insatsu Kk 装飾が施された箸、フェルトペンなどの棒状体
JP3137600U (ja) * 2007-09-19 2007-11-29 有限会社フェニックス・ドット・コム 箸先部と把持部からなる接ぎ箸
KR20090082160A (ko) * 2008-01-24 2009-07-29 김순일 탈, 부착이 가능한 유아용 젓가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130A (ko) 2018-04-06 2019-10-16 이한별 집게 숟가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057U (ko)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1429B2 (en) Pumpkin carving spoon with nested knife
KR200473993Y1 (ko) 숟가락 겸용 젓가락
JP6569928B1 (ja) 包丁及び台所用品
USD775905S1 (en) Utensil handle for knife, fork, teaspoon and soup spoon
CN201806423U (zh) 持筷连杆装置
CN205667343U (zh) 一种家用制作汤圆的厨具
CN203137931U (zh) 中西筷
CN205728954U (zh) 折叠型筷子
CN204091594U (zh) 一种竹木食物夹具
JP3156378U (ja)
CN201067279Y (zh) 筷子
CN204909199U (zh) 可站立的饭勺
CN204889503U (zh) 折叠型筷子
KR20120082063A (ko) 숟가락에 붙어있는 젓가락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ITTO20060371A1 (it) Posata multiuso
CN203539004U (zh) 一种双箍鸟嘴仿生指喙子食品夹
CN202891458U (zh) 幼儿训练筷
AU2012101183A4 (en) A flower-shaped egg frying machine
CN104257226B (zh) 一种竹木食物夹具
CN104382454A (zh) 一种筷子区分装置
CN203447012U (zh) 一种防滑勺
JP2014230657A (ja) 割り箸
CN105078150A (zh) 便于大拇指残疾人使用汤勺的结构形式
JP3187185U (ja) 鍔付き串の組立キットおよび鍔付き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