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103Y1 - 학습용 젓가락 - Google Patents

학습용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103Y1
KR200163103Y1 KR2019970031163U KR19970031163U KR200163103Y1 KR 200163103 Y1 KR200163103 Y1 KR 200163103Y1 KR 2019970031163 U KR2019970031163 U KR 2019970031163U KR 19970031163 U KR19970031163 U KR 19970031163U KR 200163103 Y1 KR200163103 Y1 KR 200163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support member
plate
learning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981U (ko
Inventor
박희철
Original Assignee
박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철 filed Critical 박희철
Priority to KR2019970031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103Y1/ko
Publication of KR199900179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9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1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젓가락의 상측 소정부위에 펀칭가공으로 일측의 오목부와 반대측의 돌기를 형성하고, 그 젓가락이 삽입되도록 젓가락삽입홀을 내측에 구비한 지지부재에는 연결부에 의하여 양측 고정판이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의 고정판에 이동부와 고정부로 구비된 돌기삽입홈을 양측에 구성하고, 그 고정판의 상부에 덮개판이 덮이도록 형성하여 젓가락이 지지부재의 젓가락삽입홈에 삽입된 후에 젓가락의 돌기가 돌기삽입홈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젓가락의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생산공정이 단순하고, 제작 단가도 낮출 수 있으면서 젓가락의 학습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학습용 젓가락
본 고안은 학습용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젓가락의 상측 소정부위 일측을 펀칭 가공하여 반대측이 돌출되도록 하고, 젓가락이 지지부재의 고정판과 연결부로 감싸여진 내측에 삽입되도록 하고, 그 고정판의 소정부위에 형성한 돌기삽입홈에 젓가락에서 돌출된 돌기가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젓가락의 사용법을 쉽고 빨리 배울 수 있으며, 젓가락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학습용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더러 도구를 사용하고 있으며, 포크, 나이프, 숟가락, 젓가락 등을 사용하여 입으로 음식물을 섭취하도록 함으로써, 손으로 직접 음식물을 집어먹는 것에 비해 위생적인 생활을 영위하여 왔다.
그리고, 간단히 음식물을 포크로 집거나, 숟가락으로 떠서 입으로 가져가는 식 생활이 있는 반면에, 아시아지역의 일부에서는 젓가락을 사용하고 있어 한쪽 손으로 두 젓가락을 안정되게 잡고 음식물을 집어 올려 입으로 운반하도록 하는 식생활을 오랫동안 유지시켜 왔다.
사람이 한쪽 손으로 한 짝인 두 젓가락을 사용하되, 젓가락 한개는 엄지의 둘째마디 부위와 약지에 교차하여 지지하고, 다른 젓가락 한개는 검지와 중지에 대고 엄지로써 지지하여 젓가락을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올바른 사용방법이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람이 다른 도구로 음식물을 집는 것에 비해 젓가락이라는 도구는 사람이 배우기가 어렵고, 또한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배우는 기간이 길어지게 되며, 심지어 올바른 사용법을 익히지 못하고 잘못된 방식으로 젓가락을 사용하거나, 아예 젓가락을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도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종래에 본원 출원인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97-4118 호에서와 같은 학습용 젓가락을 개시하고 있는바, 제 5 도는 종래 고안의 결합판을 젓가락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종래 고안은 젓가락(30)의 상부에 절개부(31)를 구성하고, 상기 절개부(31)의 소정 위치에 걸림돌기(32)를 구비하며, 상기 절개부(31)의 밑으로 손잡이부(33)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부(33)의 하측으로 손높이표시구(34)를 구성한 것이었다.
또한 상기 젓가락(30)에 결합하는 결합판(40)은 둥근 원판의 외측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걸림턱(41)을 외주면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41)의 일측에 젓가락(30)의 걸림돌기(32)를 결합판(40)에 삽입할 수 있도록 조립홈(43)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판(40)의 중앙으로 판돌기(42)를 구성한 것이었다. 그리고, 상기 결합판(40)이 젓가락(30)에 결합된 이후 양측 젓가락(30a)(30b)의 상부가 모이지 않도록 간격유지구(50)를 양측 젓가락(30a)(30b)의 절개부(31)와 결합판(40)의 판돌기(42) 위로 끼워 넣어 제 6 도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한 것이었다.
상기 젓가락(30)의 손잡이부(33)는 젓가락(30)의 일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주어서 가공한 것으로 젓가락(30)으 사용자가 잡았을 경우 결합판(40)에 의하여 젓가락(30)이 비틀어지지 못하지만, 사용자가 가장 사용하기 편한 젓가락(30)의 위치는 일반적인 젓가락사용자가 양 젓가락(30a)(30b)이 소정의 각도록 비틀어져 사용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서 종래 고안에서는 젓가락(30)의 손잡이부(33)를 사용자가 비틀어져 사용되는 각도로 가공하여 구성한 것이었다.
이와같이 구성한 종래 고안의 학습용 젓가락을 사용하기 위하여 젓가락(30)에 결합판(40)을 결합할 때에는 일측 젓가락(30a)의 걸림돌기(32)에 결합판(40)의 조립홈(43)을 끼워 넣어 일측 젓가락(30a)과 결합판(40)을 결합하며, 상기 결합판(40)을 회전시켜 판돌기(42)를 중심으로 조립홈(43)이 일측젓가락(30a)의 반대편에 위치하게 되면 타측젓가락(30b)의 걸림돌기(32)를 삽입하여 결합판(40)에 끼워 넣게 됨으로써 판돌기(42)를 중심으로 양측 젓가락(30a)(30b)이 각각 위치하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젓가락(30)의 하부를 양측으로 벌리게 되면 간격유지구(50)가 삽입될 공간이 결합판(40)의 하측으로 형성되었다. 상기와 같이 하부가 벌리어진 젓가락(30)의 공간에 간격유지구(50)를 결합판(40)의 일측에 끼워 넣게 되면 약간 오목하게 된 간격유지구(50)의 내측에 판돌기(42)가 위치하게 되고, 간격유지구(50)의 양측 끝단이 젓가락(30)의 절개부(31)에 걸리게 되어 간격유지구(50)가 젓가락(30)과 결합판(40)에 고정되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젓가락(30)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사람의 손이 젓가락(30)의 상부를 잡게 되면, 검지와 중지가 일측 젓가락(30a)의 손잡이부(33)를 잡게되고, 타측젓가락(30b)의 손잡이부(33)에 접한 약지와, 결합판(40)에 접한 엄지에 의하여 타측젓가락(30b)이 지지되었다. 상기와 같이 젓가락(30)을 잡게 되면 간격유지구(50)에 의하여 양측 젓가락(30a)(30b)의 상부가 서로 접하지 못하게 되고, 간격유지구(40)의 폭 만큼 양측 젓가락(30a)(30b)의 상부가 벌리어지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상부기 벌리어진 젓가락(30)은 손잡이부(33)를 잡은 검지와 중지에 의하여 젓가락(30)을 움직이게 되었다. 검지와 중지에 의하여 움직이는 일측젓가락(30a)은 상부가 벌리어져 있는 상태에서 일측 젓가락(30a)의 하측이 움직이게 되어 손쉽게 젓가락(30)을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이때 소정의 각도로 가공된 손잡이부(33)에 의하여 검지와 중지가 용이하게 젓가락(30)에 접하게 되며, 젓가락(30) 자체의 이동각도도 손쉽게 이동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젓가락(30)은 결합한 순서와 반대로 진행하게 되면 젓가락(30)에서 간격유지구(50)와 결합판(40)을 분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학습용 젓가락은 간격유지구라는 별개의 부품이 결합판에 삽입되어 젓가락과 젓가락의 상부가 서로 맞붙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였으나, 별개의 부품이 추가되어야 하였으며, 간격유지구를 세척 후에 분실하였을 경우 젓가락의 학습이 정확히 습득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젓가락의 상부에 홀가공을 하고, 그 홀의 내측에 돌기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젓가락의 제작공정이 대단히 어려웠었다. 즉, 두께가 얇은 젓가락에 홀을 가공하는 것으로, 그 가공이 정밀한 작업을 요구하는 것이었으며, 게다가 그 홀의 내측 중앙에 돌기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더욱 치밀하게 작업을 하여야 되었다. 따라서, 정밀도를 요구하는 작업이었기 때문에 생산이 장시간 소용되었으며, 제작 단가도 높아지게 되어 시장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착안한 것으로 생산공정이 단순하고, 제작단가도 낮출 수 있으면서 젓가락의 학습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젓가락의 상측 소정부위에 펀칭가공으로 일측의 오목부와 반대측의 돌기를 형성하고, 그 젓가락이 삽입되도록 젓가락삽입홀을 내측에 구비한 지지부재에는 연결부에 의하여 양측 고정판이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의 고정판에 이동부와 고정부로 구비된 돌기삽입홈을 양측에 구성하고, 그 고정판의 상부에 덮개판이 덮이도록 형성하여 젓가락이 지지부재의 젓가락삽입홈에 삽입된 후에 젓가락의 돌기가 돌기삽입홈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젓가락의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학습용 젓가락의 생산이 보다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5도는 종래 젓가락을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젓가락 13 : 돌기
14 : 오목홈 20 : 지지부재
21 : 고정판 22 : 고정판
23 : 연결부 24 : 돌기삽입홈
25 : 고정부 27 덮개판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음식물을 집어들 수 있는 통상의 젓가락(11)(11a)에 있어서, 그 젓가락(11)(11a)의 상부 소정부위에 기계가공을 하여 몸체(12)(12a) 일측면에는 오목홈(도 3에 도시함)(14)(14a)을 형성하고, 그 반대측에는 돌기(13)(13a)를 구성한 것이다. 이때, 기계가공은 펀칭 가공을 주로 하지만 다른 가공에 의하여도 돌기(13)(13a)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가능하다. 또한, 젓가락(11)(11a)에 기계가공을 하는 부위는 젓가락(11)(11a)의 상측 소정부위로써, 본 고안인은 7/10 부위에 하는 것을 추천한다. 상기와 같이 젓가락(11)(11a)의 상측에 기계가공하여 돌기(13)(13a)를 형성하면 본 고안의 젓가락(11)(11) 사용자가 젓가락(11)(11a)을 잡는 위치도 상측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젓가락(11)(11a)이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20)를 형성한 것이다. 지지부재(20)는 일측 고정판(21)과 타측 고정판(22)을 형성하고, 상기의 고정판(21)(22)은 연결부(23)에 의하여 연결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고정판(21)(22)과 연결부(23)의 사이에 젓가락(11)(11a)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젓가락삽입홈(20a)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고정판(21)(22)의 형상은 도면에 원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사각형이나 육각형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심지어 별모양이나 동식물모양등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고정판(21)에는 젓가락(11)(11a)의 돌기(13)(13a)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삽입홈(24)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돌기삽입홈(24)에는 직선의 이동부(26)를 구성하고, 상기 이동부(26)의 양측 선단부에는 돌기(13)(13a)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이동부(26)의 폭보다 큰 원 형상의 고정부(25)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돌기삽입홈(24)은 고정판(21)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양측으로 구성하여 젓가락(11)(11a) 두 개가 고정판(21)의 돌기삽입홈(24)에 삽입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돌기삽입홈(24)은 고정판(21)에만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타측 고정판(22)에도 돌기삽입홈(24)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젓가락(11)(11a)의 돌기(13)(13a)는 기계가공에 의하여 한쪽 면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측 고정판(21)에만 돌기삽입홈(24)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젓가락(11)(11a)의 돌기(13)(13a)가 반대 방향으로 삽입될 때 돌기(13)(13a)를 지지부재(20)가 고정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양측 지지판(21)(22)에 돌기삽입홈(24)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젓가락(11)(11a)의 삽입방향을 고려 하지 않고 지지부재(20)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양쪽 지지판(21)(22)에 돌기삽입홈(24)을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일측 지지판(21)에만 돌기삽입홈(24)을 형성하여 지지부재(2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의 경우 젓가락(11)(11a)의 삽입방향을 고려하면 된다.
상기 지지부재(20)의 고정판(21)(22)에는 외측으로 돌출부(21a)를 구성한 것이다. 돌출부(21a)는 고정판(21)(22)의 외측면에 구성하는 것으로, 중심에서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돌출부(21a)를 형성하도록 하고, 그 돌출부(21a)의 내측에 덮개판삽입홈(21b)을 구성하며, 그 덮개판삽입홈(21b)에 부착 고정될 수 있는 덮개판(27)(27a)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의 덮개판(27)(27a)은 덮개판삽입홈(21b)에 부착시켜 지지부재(20)와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고정판(21)(22)에는 중심에 내측으로 중앙돌기(28)가 돌출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작용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젓가락이 지지부재에 결하보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젓가락(11)(11a)이 지지부재(20)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지지부재(20)의 내측에 구비된 젓가락삽입홈(20a)에 젓가락(11)(11a)을 삽입시키게 되면 젓가락(11)(11a)의 돌기(13)(13a)가 돌기삽입홈(24)에 삽입된다. 상기의 돌기(13)(13a)는 이동부(26)의 폭보다 큰 고정부(25)로 이동되어 안착된다. 이때, 돌기(13)(13a)는 중심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젓가락(11)(11a)을 이동시키도록 하여 젓가락(11)(11a)의 보관상태를 가지런히 정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젓가락삽입홈(20a)의 내측으로 돌출된 중앙돌기(28)에 의하여 일측 젓가락(11)(11)이 다른 쪽 젓가락(11a)(11)의 돌기삽입홈(24)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지지부재(20)에 부착된 덮개판(27)(27a)에 의하여 돌기삽입홈(24)으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덮개판(27)(27a)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젓가락(11)(11a)이 지지부재(20)의 젓가락삽입홈(20a)에 삽입되어 돌기삽입홈(24)에 젓가락(11)(11a)의 돌기(13)(13a)가 결합되면 학습용 젓가락(11)(11a)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젓가락(11)(11a)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젓가락(11)(11a)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사람의 손이 젓가락(11)(11a)의 상부를 잡게 되면, 검지와 중지가 일측 젓가락(11)의 손잡이부를 잡게 되고, 타측젓가락(11a)의 손잡이부에 접한 약지와, 지지부재(20)에 접한 엄지에 의하여 타측젓가락(11a)이 지지되었다.
이때, 양측 젓가락(11)(11a)의 돌기(13)(13a)를 중심측의 고정부(25)에서 이탈시켜 이동부(26)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동부(26)로 이동된 돌기(13)(13a)는 더욱 이동시켜서 외측방향의 고정부(25)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젓가락(11)(11a)을 잡게 되면 외측방향의 고정부(25)에 고정된 돌기(13)(13a)에 의하여 양측 젓가락(30a)(30b)의 상부가 서로 접하지 못하게 되고, 외측방향의 고정부(25)의 간격만큼 양측 젓가락(11)(11a)의 상부가 벌리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가 벌리어진 젓가락(11)(11a)은 손잡이부를 잡은 검지와 중지에 의하여 젓가락(11)(11a)을 움직이게 되었다. 검지와 중지에 의하여 움직이는 일측젓가락(11)은 상부가 벌리어져 있는 상태에서 일측 젓가락(11)의 하측이 움직이게 되어 손쉽게 젓가락(11)(11a)을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때 소정의 각도로 가공된 손잡이부에 의하여 검지와 중지가 용이하게 젓가락(11)(11a)에 접하게 되며, 젓가락(11)(11a) 자체의 이동각도도 손쉽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젓가락(11)(11a)의 올바른 사용법을 용이하게 익힐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젓가락(11)(11a)은 결합한 순서와 반대로 진행하게 되면 젓가락(11)(11a)이 지지부재(20)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분리된 젓가락(11)(11a)은 용이하게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젓가락(11)(11a)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젓가락의 부품이 분실될 우려가 없으며, 젓가락의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젓가락 사용법을 익힐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학습용 젓가락을 제조하는 것도 용이하고, 학습용 젓가락의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학습용 젓가락의 생산 속도가 빨라지고, 생산단가가 낮아지게 되어 싼값으로 소비자에게 학습용 젓가락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음식물을 집어들 수 있는 통상의 젓가락(11)(11a)에 있어서, 그 젓가락(11)(11a)의 몸체(12)(12a) 상측 소정부위에 일측의 오목홈(14)(14a)과 그 반대측에 돌기(13)(13a)를 구성하며, 상기의 젓가락(11)(11a)이 내측의 젓가락삽입홈(20a)에 삽입되도록 일측 고정판(21)과 타측 고정판(22)이 연결부(23)에 의하여 연결 고정되도록 지지부재(20)를 형성하고, 고정판(21)(22)의 소정부위에 고정판(21)(22)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 양측으로 구성한 돌기삽입홈(24)에는 직선의 이동부(26)와, 그 이동부(26)의 양측 선단부에 이동부(26)의 폭보다 큰 원 형상의 고정부(25)로 구성하고, 고정판(21)(22)의 외측으로 돌출부(21a)와, 덮개판삽입홈(21b)을 구성하며, 그 덮개판 삽입홈(21b)에 덮개판(27)(27a)이 부착되도록 구성하고, 고정판(21)(22)의 중심에 내측으로 중앙돌기(28)가 돌출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젓가락,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20)는 원 형상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젓가락,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20)는 동물 형상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젓가락,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20)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젓가락,
KR2019970031163U 1997-11-06 1997-11-06 학습용 젓가락 KR200163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163U KR200163103Y1 (ko) 1997-11-06 1997-11-06 학습용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163U KR200163103Y1 (ko) 1997-11-06 1997-11-06 학습용 젓가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981U KR19990017981U (ko) 1999-06-05
KR200163103Y1 true KR200163103Y1 (ko) 1999-12-15

Family

ID=1951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163U KR200163103Y1 (ko) 1997-11-06 1997-11-06 학습용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1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4290A1 (en) * 2004-03-31 2006-01-12 Young Woo Co., Ltd. Chopsti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981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36226A1 (en) Tool for Catching and Supporting Food
USD958610S1 (en) Retention spoon
US4826033A (en) Folding food take-out device
KR200163103Y1 (ko) 학습용 젓가락
WO2007049887A1 (en) Chopsticks with fork
KR102181150B1 (ko) 파스타면 감김부가 구비된 다기능 젓가락
KR200248506Y1 (ko) 학습용 젓가락
KR940005199Y1 (ko) 휴대용 한벌의 수저
KR0129326Y1 (ko) 학습용 젓가락
KR20090001430U (ko) 젓가락
KR200450867Y1 (ko) 학습용 젓가락
JP3078843U (ja) 三点支持箸
KR200242075Y1 (ko) 학습용 젓가락
KR102035038B1 (ko)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KR960001631Y1 (ko) 학습용 젓가락
KR200166272Y1 (ko) 젓가락
JP3220377U (ja) トングの柄
KR200245989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JP3064610U (ja) 溝付スポンジ
KR101378515B1 (ko) 트레이닝 젓가락
KR200175216Y1 (ko) 접철식 식판
JPH046620Y2 (ko)
KR200170065Y1 (ko) 스프링이부설된젓가락
KR200307040Y1 (ko) 젓가락
KR970005293Y1 (ko)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