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326Y1 - 학습용 젓가락 - Google Patents
학습용 젓가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9326Y1 KR0129326Y1 KR2019950016781U KR19950016781U KR0129326Y1 KR 0129326 Y1 KR0129326 Y1 KR 0129326Y1 KR 2019950016781 U KR2019950016781 U KR 2019950016781U KR 19950016781 U KR19950016781 U KR 19950016781U KR 0129326 Y1 KR0129326 Y1 KR 012932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opsticks
- plate
- coupling plate
- learning
- projec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습용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판돌기를 구비한 결합판에 조립홈을 형성하여 두 젓가락의 상부에 구비한 절개부의 걸림돌기를 끼워 결합하고, 상기 학습용 젓가락의 절개부 밑으로 손잡이부와 손높이고정구를 형성함으로써, 젓가락의 상부가 벌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젓가락의 사용법을 용이하고 빨리 습득할 수 있고, 학습용 젓가락의 구성이 간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젓가락의 측면도.
(b)는 회전판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정면도.
제5도는 종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a)는 벌려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b)는 보관을 위해 접은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6도는 종래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젓가락 31 : 절개부
32 : 걸림돌기 34 : 손잡이표시부
40 : 결합판 41 : 걸림턱
42 : 판돌기 43 : 조립홈
50 : 간격유지구
본 고안은 학습용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젓가락의 절개부에 구비한 걸림돌기에 판돌기를 갖는 결합판의 조립홈이 끼워지고, 상기 젓가락이 결합된 결합판에 간격유지구를 삽입 고정시킴으로써, 젓가락을 쉽고 빨리 배울 수 있으며, 젓가락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수 있고, 분리와 조립을 간편하게 한 학습용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여러 도구를 사용하고 있으며, 포크, 나이프, 숟가락, 젓가락 등을 사용하여 입으로 음식물을 섭취하도록 함으로써, 손으로 직접 음식물을 집어먹는 것에 비해 위생적인 생활을 영위하여 왔다.
그리고, 간단히 음식물을 포크로 집거나, 숟가락으로 떠서 입으로 가져가는 식생활이 있는 반면에, 아시아지역의 일부에서는 젓가락을 사용하고 있어 한쪽 손으로 두 젓가락을 안정되게 잡고 음식물을 집어 올려 입으로 운반하도록 하는 식생활을 오랫동안 유지시켜 왔다.
사람이 한쪽 손으로 한 짝만 두 젓가락을 사용하되, 젓가락 한 개를 엄지의 둘째마디 부위와 약지에 교차하여 지지하고, 다른 젓가락 한 개는 검지와 중지에 대고 엄지로써 지지하여 젓가락을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올바른 사용방법이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람이 다른 도구로 음식물을 잡는 것에 비해 젓가락이라는 도구는 사람이 배우기가 어렵고, 또한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배우는 기간이 길어지게 되며, 심지어 올바른 사용법을 익히지 못하고 잘못된 방식으로 젓가락을 사용하거나, 아예 젓가락을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도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종래에 본원 출원인은 공고실용신안공보 제66-1631호에서와 같은 학습용 젓가락을 개시하고 있는바, 제5도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습용 젓가락에서 젓가락(1)(1a) 상부의 적당한 지점에 조립홈(4)(4a)을 전후면에 형성하여 삼각안내판(5)(5a)의 일측 하단에 형성한 양측 돌기(8)(8a)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였고, 상기 삼각안내판(5)(5a)의 일측 상부에는 이탈방지편(6)(6a)을 형성하면서 그 하부에는 절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젓가락(1)(1a)이 일정한 범위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삼각안내판(5)(5a)의 타측 끝에는 핀공을 형성하여 핀돌기(11)가 돌출되어 있는 핀(1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한 것이었다.
또한, 종래에는 젓가락(1)(1a) 전후의 조립홈(4)(4a) 부위 상단에 오목부(3)(3a)를 좌우측에 형성하여 젓가락의 보관을 위해 오므렸을 때 젓가락(1)(1a)의 꼭지(2)(2a)가 서로 맞닿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에 있어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올바른 젓가락 잡는법으로 젓가락을 잡으면, 두 젓가락(1)(1a)의 조립홈(4)(4a)에 끼워진 돌기(8)(8a)에 의한 두 개의 축과, 두 개의 삼각 안내판(5)(5a)을 연결한 핀(10)에 의한 1개의 축으로 인해 젓가락을 움직일 수 있게 되었다.
삼각안내판(5)(5a)의 이탈방지편(6)(6a)으로 젓가락(1)(1a)의 꼭지(2)(2a)가 안내판 밖으로 벗어나지 못하게 하여 젓가락(1)(1a)의 밑부분이 서로 엇갈리는 것이 방지되었다.
젓가락은 제5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안내판(5)(5a)에 결합되어 접은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으며, 조립홈(4)(4a)과 돌기(8)(8a)에 의해 젓가락(1)(1a)이 탈부착이 되어 삼각안내판(5)(5a)에서 이탈된 젓가락(1)(1a)만 보관하게 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에는 삼각안내판의 안내를 따라 젓가락이 움직이게 되었고, 이탈방지편으로 삼각안내판 밖으로 젓가락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익히도록 하며, 탈부착이 가능하여 세척과 보관이 편리하게 되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학습용 젓가락은 이탈방지편이 2개로 구성되어 부품수가 많았고, 2개의 이탈방지편이 젓가락과 함께 움직일 때 일측 이탈방지편이 타측 이탈방지편과 결합되는 부분에서 커지게 되어 타측 젓가락의 유동공간이 넓어져 충분한 엇갈림 방지효과를 얻지 못하였고, 이탈방지편에 대한 심미감이 적게 되어 소비자로 하여금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젓가락의 상부가 벌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젓가락의 사용법을 빠르고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고, 상기 학습용 젓가락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에 핀돌기를 구비한 결합판에 조립홈을 형성하며, 두 젓가락의 상부에 구비한 절개부의 걸림돌기를 상기 조립홈에 끼워 결합하여, 상기 학습용 젓가락의 절개부 밑으로 손잡이부와 손높이조정구를 형성함으로써, 젓가락의 사용법을 쉽게 정확하게 사용하도록 함으로서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안출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결합판을 젓가락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젓가락과 결합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것으로, (a)는 젓가락의 측면도이고, (b)는 결합판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젓가락(30)의 상부에 절개부(31)를 구성하고, 상기 절개부(31)의 소정 위치에 걸림돌기(32)를 구비하며, 상기 절개부(31)의 밑으로 손잡이부(33)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부(33)의 하측으로 손높이표시구(34)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젓가락(30)에 결합하는 결합판(40)은 둥근 원판의 외측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걸림턱(41)을 외주면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41)의 일측에 젓가락(30)의 걸림돌기(32)를 결합판(40)에 삽입할 수 있도록 조립홈(43)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판(40)의 중앙으로 판돌기(42)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판(40)이 젓가락(30)에 결합된 이후 양측 젓가락(30a)(30b)의 상부가 모이지 않도록 간격유지구(50)를 양측 젓가락(30a)(30b)의 절개부(31)와 결합판(40)의 판돌기(42) 위로 끼워 넣어 제3도의 A-A선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한 것이다.
상기 결합판(40)은 원형이외에 다른 형상도 가능한 것으로 원형에 가까운 것이 소정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으나 육각형 또는 팔각형, 십각형 등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또한 결합판(40)은 판의 형상 이외에 고리의 형상으로 판돌기(42)를 형성하지 않은 것도 젓가락(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면 족하다. 그리고, 결합판(40)의 판돌기(42)는 양측에 구비한 것이지만 결합판(40)의 한쪽 면에만 판돌기(42)를 형성하여도 되는 것이다. 또한 판돌기(42)의 형상은 직각으로 돌출시킨 돌기이외에도 라운드의 형상으로 원만하게 돌출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젓가락(30)의 손잡이부(33)는 젓가락(30)의 일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주어서 가공한 것으로 젓가락(30)을 사용자가 잡았을 경우 결합판(40)에 의하여 젓가락(30)이 비틀어지지 못하지만, 사용자가 가장 사용하기 편한 젓가락(30)의 위치는 일반적인 젓가락 사용자가 양 젓가락(30a)(30b)이 소정의 각도로 비틀어져 사용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서 본 고안에서는 젓가락(30)의 손잡이부(33)를 사용자가 비틀어져 사용되는 각도로 가공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학습용 젓가락을 사용하기 위하여 젓가락(30)에 결합판(40)을 결합할 때에는 일측 젓가락(30a)의 걸림돌기(32)에 결합판(40)의 조립홈(43)을 끼워 넣어 일측 젓가락(30a)과 결합판(40)을 결합하며, 상기 결합판(40)을 회전시켜 판돌기(42)를 중심으로 조립홈(43)이 일측젓가락(30a)의 반대편에 위치하게 되면 타측젓가락(30b)의 걸림돌기(32)를 삽입하여 결합판(40)에 끼워 넣게 됨으로서 판돌기(42)를 중심으로 양측 젓가락(30a)(30b)이 각각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젓가락(30)의 하부를 양측으로 벌리게 되면 간격유지구(50)가 삽입될 공간이 결합판(40)의 하측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가 벌리어진 젓가락(30)의 사이공간에 간격유지구(50)를 결합판(40)의 일측에 끼워넣게 되고 약간 오목하게 된 간격유지구(50)의 내측에 판돌기(42)가 위치하게 되고, 간격유지구(50)의 양측 끝단이 젓가락(30)의 절개부(31)에 걸리게 되어 간격유지구(50)가 젓가락(30)과 결합판(4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젓가락(30)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의 손이 젓가락(30)의 상부를 잡게 되면, 검지와 중지가 일측 젓가락(30a)의 손잡이부(33)를 잡게 되고, 타측젓가락(30b)의 손잡이부(33)에 접한 약지와, 결합판(40)에 접한 엄지에 의하여 타측젓가락(30b)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젓가락(30)을 잡게 되면 간격유지구(50)에 의하여 양측 젓가락(30a)(30b)의 상부가 서로 접하지 못하게 되고, 간격유지구(50)의 폭만큼 양측 젓가락(30a)(30b)의 상부가 버리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가 벌리어진 젓가락(30)은 손잡이부(33)를 잡은 검지와 중지에 의하여 젓가락(30)을 움직이게 된다. 검지와 중지에 의하여 움직이는 일측젓가락(30a)은 상부가 벌리어져 있는 상태에서 일측 젓가락(30a)의 하측이 움직이게 되어 손쉽게 젓가락(30)을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때 소정이 각도로 가공된 손잡이부(33)에 의하여 검지와 중지가 용이하게 젓가락(30)에 접하게 되며, 젓가락(30) 자체의 이동각도도 손쉽게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젓가락(30)은 결합한 순서와 반대로 진행하게 되면 젓가락(30)에서 간격유지구(50)와 결합판(4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젓가락 사용법을 습득한 사용자는 간격유지구(50)와 결합판(40)을 젓가락(30)에서 이탈시키고 젓가락(30)만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 분리가 되는 젓가락(30)에 의하여 내부까지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적인 식생활이 영위된다.
상기와 다른 실시예서는 양측젓가락(30a)(30b)의 소정 부위에 결합되는 결합판 대신에 조립홈을 구비한 고리 형상의 결합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양측 젓가락의 걸림돌기를 조립홈에 결합순서에 의하여 끼워 넣으면 젓가락 사용자가 소정의 각도를 비틀어져 사용하고자 할 때 결합판에 의한 이동 각도보다 용이하게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젓가락의 상부가 간격유지구에 의하여 벌리어지게 함으로써 젓가락 학습자가 보다 용이하게 젓가락의 벌림을 할 수 있게 되며, 젓가락의 손잡이부에 의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틀어져 있어 잡기에 용이하고, 젓가락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며, 학습용 젓가락의 구성이 간단하게 되어 제작이 용이하며, 사용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결합판(40)으로 양측의 젓가락(30a)(30b)를 연결시키도록 한 학습용 젓가락(30)에 있어서, 젓가락(30)의 상단중앙부 양측에는 걸림돌기(32)가 있는 절개부(31)를 형성하고, 상기의 결합판(40)의 외면부 양측에는 걸림턱(41)과 조립홈(43)을 형성하고, 상기의 결합판(40)은 걸림턱(41)에 형성된 조립홈(43)이 젓가락(30)의 걸림돌기(32)에 끼워지도록 하면서 결합하고, 중앙부에 판돌기(42)가 형성된 상기 결합판(40)과 두 젓가락(30a)(30b)의 사이에는 간격유지구(50)를 끼우면서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젓가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16781U KR0129326Y1 (ko) | 1995-07-08 | 1995-07-08 | 학습용 젓가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16781U KR0129326Y1 (ko) | 1995-07-08 | 1995-07-08 | 학습용 젓가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4118U KR970004118U (ko) | 1997-02-19 |
KR0129326Y1 true KR0129326Y1 (ko) | 1999-01-15 |
Family
ID=1941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16781U KR0129326Y1 (ko) | 1995-07-08 | 1995-07-08 | 학습용 젓가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9326Y1 (ko) |
-
1995
- 1995-07-08 KR KR2019950016781U patent/KR012932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4118U (ko) | 1997-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586347C (zh) | 用于夹取和夹持食物的工具 | |
US4787663A (en) | Chopstick holder | |
US5901993A (en) | Food handling tongs | |
US6115921A (en) | Attachable and removable handle for food serving utensils | |
US4475836A (en) | Backscrubber and/or backscratcher with removable sponge element | |
KR0129326Y1 (ko) | 학습용 젓가락 | |
KR102181150B1 (ko) | 파스타면 감김부가 구비된 다기능 젓가락 | |
KR101879436B1 (ko) |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 |
KR200248506Y1 (ko) | 학습용 젓가락 | |
KR200377102Y1 (ko) | 집게형 젓가락 | |
CN212261078U (zh) | 儿童学习用筷 | |
KR200163103Y1 (ko) | 학습용 젓가락 | |
KR20070026555A (ko) | 이쑤시개가 장착된 젓가락 | |
KR200450867Y1 (ko) | 학습용 젓가락 | |
KR960001631Y1 (ko) | 학습용 젓가락 | |
KR200233444Y1 (ko) | 소아 식사용 젓가락 | |
KR200233449Y1 (ko) |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 |
KR102035038B1 (ko) |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 |
KR20160119946A (ko) | 두 몸체로 구성되는 식품취급도구 | |
JP2001204640A (ja) | 割卵器 | |
KR200234288Y1 (ko) |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 |
KR200242075Y1 (ko) | 학습용 젓가락 | |
KR970005292Y1 (ko) | 젓가락 겸용 숟가락 | |
KR100750418B1 (ko) | 지능형 학습 젓가락 | |
KR200419069Y1 (ko) | 위생 젓가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