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075Y1 - 학습용 젓가락 - Google Patents

학습용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075Y1
KR200242075Y1 KR2020010009552U KR20010009552U KR200242075Y1 KR 200242075 Y1 KR200242075 Y1 KR 200242075Y1 KR 2020010009552 U KR2020010009552 U KR 2020010009552U KR 20010009552 U KR20010009552 U KR 20010009552U KR 200242075 Y1 KR200242075 Y1 KR 2002420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sides
elastic body
protrusion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철
Original Assignee
박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철 filed Critical 박희철
Priority to KR2020010009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0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075Y1/ko

Lin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습용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두 젓가락의 상측부위의 양측에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두 젓가락의 사이에 끼워지는 탄성체의 연결부의 양측에도 사각홈을 형성하고,
상기 젓가락 및 탄성체의 양측에 결합되는 두 고정판의 중앙에는 사각돌기를 형성하면서 그 양측에는 내측돌기와 외측돌기를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상기 두 젓가락의 중앙에 탄성체가 위치하도록 하면서 젓가락의 고정홈이 고정판의 내측돌기에 끼워지도록 하거나 외측돌기에 끼워지도록 하는 상태에 따라 자동이나 수동의 복귀동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젓가락의 사용법을 쉽고 빨리 배울 수 있으며, 젓가락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학습용 젓가락{omitted}
본 고안은 학습용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젓가락의 상측부위의 양측을 고정홈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탄성체의 연결부의 양측에도 사각홈을 형성하고, 중앙의 사각돌기와 그 양측의 내측돌기와 외측돌기를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한 두 고정판으로 상기의 젓가락을 결합하도록 하여 젓가락의 고정홈이 내측돌기에 끼워지거나 외측돌기에 끼워지는 상태에 따라 자동이나 수동의 복귀동작이 가능하도록함으로써 젓가락의 사용법을 쉽고 빨리 배울 수 있으며, 젓가락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학습용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더러 도구를 사용하고 있으며, 포크, 나이프, 숟가락, 젓가락 등을 사용하여 입으로 음식물을 섭취하도록 함으로써, 손으로 직접 음식물을 집어먹는 것에 비해 위생적인 생활을 영위하여 왔다.
그리고, 간단히 음식물을 포크로 집거나, 숟가락으로 떠서 입으로 가져가는 식생활이 있는 반면에, 아시아지역의 일부에서는 젓가락을 사용하고 있어 한쪽 손으로 두 젓가락을 안정되게 잡고 음식물을 집어 올려 입으로 운반하도록 하는 식생활을 오랫동안 유지시켜 왔다.
사람이 한쪽 손으로 한 짝인 두 젓가락을 사용하되, 젓가락 한 개는 엄지의 둘째 마디 부위와 약지에 교차하여 지지하고, 다른 젓가락 한 개는 검지와 중지에 대고 엄지로써 지지하여 젓가락을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올바른 사용방법이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람이 다른 도구로 음식물을 집는 것에 비해 젓가락이라는 도구는 사람이 배우기가 어렵고, 또한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배우는 기간이 길어지게 되며, 심지어 올바른 사용법을 익히지 못하고 잘못된 방식으로 젓가락을 사용하거나, 아예 젓가락을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도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본원 출원인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97-4118호에서와 같은 학습용 젓가락을 개시하고 있는바, 젓가락의 상부에 절개부를 구성하고, 상기 절개부의 소정 위치에 걸림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절개부의 밑으로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상기손잡이부의 하측으로 손높이 표시구를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젓가락에 결합하는 결합판은 둥근 원판의 외측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걸림턱을 외주면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의 일측에 젓가락의 걸림돌기를 결합판에 삽입할 수 있도록 조립홈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판의 중앙으로 판돌기를 형성하였다.
상기 결합판이 젓가락에 결합된 이후 양측 젓가락의 상부가 모이지 않도록 간격유지구를 양측 젓가락의 절개부와 결합판의 판돌기 위로 끼워 넣어 결합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학습용 젓가락을 사용하기 위하여 젓가락에 결합판을 결합할때에는 일측 젓가락의 걸림돌기에 결합판의 조립홈을 끼워 넣어 일측 젓가락과 결합판을 결합하면서 상기 결합판을 회전시켜 판돌기를 중심으로 조립홈이 일측 젓가락의 반대편에 위치하게 되면 타측 젓가락의 걸림돌기를 삽입하여 결합판에 끼워넣도록 함으로써 판돌기를 중심으로 양측 젓가락이 각각 위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학습용 젓가락은 간격유지구라는 별개의 부품이 결합판에 삽입되어 젓가락과 젓가락의 상부가 서로 맞붙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였으나, 별개의 부품이 추가되어야 하였으며, 간격유지구를 세척하는 중에 분실하였을 경우에는 젓가락의 학습이 정확히 습득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학습용 젓가락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젓가락의 상측부위의 양측을 고정홈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탄성체의연결부의 양측에도 사각홈을 형성하고, 중앙의 사각돌기와 그 양측의 내측돌기와 외측돌기를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한 두 고정판으로 상기의 젓가락을 결합하도록 하여 젓가락의 고정홈이 내측돌기에 끼워지거나 외측돌기에 끼워지는 상태에 따라 자동이나 수동의 복귀동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젓가락의 사용법을 쉽고 빨리배울 수 있으며, 젓가락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학습용 젓가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두 젓가락의 상측부위의 양측에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두 젓가락의 사이에 끼워지는 탄성체의 연결부의 양측에도 사각흠을 형성하고,
상기 젓가락 및 탄성체의 양측에 결합되는 두 고정판의 중앙에는 사각돌기를 형성하면서 그 양측에는 내측돌기와 외측돌기를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상기 두 젓가락의 중앙에 탄성체가 위치하도록 하면서 젓가락의 고정홈이 고정판의 내측돌기에 끼워지도록 하거나 외측돌기에 끼워지도록 하는 상태에 따라 자동이나 수동의 복귀동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젓가락의 사용법을 쉽고 빨리 배울 수 있으며, 젓가락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판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젓가락을 고정판에 결합한 상태의 조립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3 : 젓가락 2, 4 : 고정홈
5 : 탄성체 7 : 사각홈
8, 12 : 고정판 9, 13 : 사각돌기
10, 14 : 내측돌기 11, 15 : 외측돌기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서,
두 젓가락(1)(3)의 상측부위의 양측에는 고정홈(2)(4)을 형성하고,
상기 두 젓가락(1)(3)의 사이에 끼워지는 탄성체(5)의 연결부(6)의 양측에도 사각홈(7)을 형성하고,
상기 젓가락(1)(3) 및 탄성체(5)의 양측에 결합되는 두 고정판(8)(12)의 중앙에는 사각돌기(9)(13)를 형성하면서 그 양측에는 내측돌기(10)(14)와 외측돌기(11)(15)를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상기 두 젓가락(1)(3)의 중앙에 탄성체(5)가 위치하도록 하면서 젓가락(1)(3)의 고정홈(2)(4)이 고정판(8)(12)의 내측돌기(10)(14)에 끼워지도록 하거나 외측돌기(11)(15)에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학습용 젓가락은 두 젓가락(1)의 상측부위(3)의 양측에는 고정홈(2)(4)을 형성하면서 상기 두 젓가락(1)(3)의 사이에 끼워지는 탄성체(5)의 연결부(6)의 양측에도 사각홈(7)을 형성하여 두 고정판(8)(12)의 중앙에는 형성한 사각돌기(9)(13)와 그 양측에 형성한 내측돌기(10)(14) 및 외측돌기(11)(15)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한 것으로서,
중앙에 사각돌기(9)(13)를 형성하면서 그 양측에는 내측돌기(10)(14)와 외측돌기(11)(15)를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한 두 고정판(8)(12)의 사이에 탄성체(5)의 연결부(6)에 형성한 사각홈(7)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동시에 두 젓가락(1)(3)의 상측부위의 양측에 형성한 고정홈(2)(4)이 끼워지면서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만약, 고정판(8)(12)의 내측돌기(10)(14)에 젓가락(1)(3)의 고정홈(2)(4)이 끼워지도록 하면 젓가락(1)(3)이 상기 탄성체(5)에 접하는 상태가 되므로젓가락(1)(3)으로 음식을 집게 되면 탄성체(5)를 압축하게 된다.
그리고 젓가락(1)(3)에 가해지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체(5)의 복귀력에 의해 두 젓가락(1)(3)이 원상태로 복원되어 자동으로 벌려지게 된다.
또한, 고정판(8)(12)의 외측돌기(11)(15)에 젓가락(1)(3)의 고정홈(2)(4)이 끼워지도록 하면 젓가락(1)(3)이 상기 탄성체(5)에 접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젓가락(1)(3)으로 음식을 집게 되더라도 탄성체(5)를 압축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젓가락(1)(3)에 가해지던 힘을 제거하게 되더라도 탄성체(5)의 복귀력이 미치지 못하여 두 젓가락(1)(3)을 수동으로 벌려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이 학습용 젓가락은 젓가락의 상측부위의 양측을 고정홈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탄성체의 연결부의 양측에도 사각홈을 형성하고, 중앙의 사각돌기와 그 양측의 내측돌기와 외측돌기를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한 두 고정판으로 상기의 젓가락을 결합하도록 하여 젓가락의 고정홈이 내측돌기에 끼워치거나 외측돌기에 끼워지는 상태에 따라 자동이나 수동의 복귀동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젓가락의 사용법을 쉽고 빨리 배울 수 있으며, 젓가락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두 젓가락(1)(3)의 상측부위의 양측에는 고정홈(2)(4)을 형성하고,
    상기 두 젓가락(1)(3)의 사이에 끼워지는 탄성체(5)의 연결부(6)의 양측에도 사각홈(7)을 형성하고,
    상기 젓가락(1)(3) 및 탄성체(5)의 양측에 결합되는 두 고정판(8)(12)의 중앙에는 사각돌기(9)(13)를 형성하면서 그 양측에는 내측돌기(10)(14)와 외측돌기(11)(15)를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상기 두 젓가락(1)(3)의 중앙에 탄성체(5)가 위치하도록 하면서 젓가락(1)(3)의 고정홈(2)(4)이 고정판(8)(12)의 내측돌기(10)(14)에 끼워지도록 하거나 외측돌기(11)(15)에 끼워지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젓가락.
KR2020010009552U 2001-04-04 2001-04-04 학습용 젓가락 KR2002420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552U KR200242075Y1 (ko) 2001-04-04 2001-04-04 학습용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552U KR200242075Y1 (ko) 2001-04-04 2001-04-04 학습용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075Y1 true KR200242075Y1 (ko) 2001-10-11

Family

ID=7309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552U KR200242075Y1 (ko) 2001-04-04 2001-04-04 학습용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0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20334A (ja) 飲食物挟持具
KR20070016904A (ko) 포크겸용 일체형 젓가락
KR200242075Y1 (ko) 학습용 젓가락
WO2005099527A1 (en) Chopsticks
KR101081909B1 (ko) 젓가락
KR200248506Y1 (ko) 학습용 젓가락
USD446087S1 (en) Disposable flatware with arcuate handle
KR20090009092U (ko) 학습용 젓가락
CN212261078U (zh) 儿童学习用筷
KR200163103Y1 (ko) 학습용 젓가락
KR200233444Y1 (ko) 소아 식사용 젓가락
KR20200085550A (ko) 국수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숟가락
KR200190561Y1 (ko) 젓가락
KR960001631Y1 (ko) 학습용 젓가락
CN209547715U (zh) 儿童筷子
JP4031212B2 (ja) 麺用フォーク
CN215457083U (zh) 一种儿童辅食碗
KR200322251Y1 (ko) 일체형 숟가락과 젓가락 겸용 수저
KR200307040Y1 (ko) 젓가락
KR200322198Y1 (ko) 1회용 접이식 집게형 종이 젓가락
JP2002300954A (ja) 食器具用膨出体
KR200181207Y1 (ko) 위생수저
KR200166272Y1 (ko) 젓가락
KR970005293Y1 (ko)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젓가락
KR20110129563A (ko)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스푼-포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