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790Y1 - 다용도 젓가락 - Google Patents

다용도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790Y1
KR200359790Y1 KR20-2004-0009816U KR20040009816U KR200359790Y1 KR 200359790 Y1 KR200359790 Y1 KR 200359790Y1 KR 20040009816 U KR20040009816 U KR 20040009816U KR 200359790 Y1 KR200359790 Y1 KR 200359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tongs
multipurpose
typ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봉
Original Assignee
윤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봉 filed Critical 윤기봉
Priority to KR20-2004-0009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7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7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6Articles adapted for a particular kind of foodstuff
    • A47G2400/067Articles adapted for a particular kind of foodstuff for pasta or noodl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탄성력을 갖도록 파지부 상단이 서로 연결된 집게형 젓가락을 집게 또는 젓가락 용도로 사용하여 젓가락 사용이 익숙치 못한 외국인, 노약자, 어린이 등이 면종류와 같이 미끄러운 음식물 등을 용이하게 집어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젓가락은, 집게부와 파지부로 이루어진 젓가락에 있어서, 전술한 파지부의 상단이 탄성력을 갖도록 서로 연결되는 집게형상의 젓가락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젓가락{multipurpose chopsticks}
본 고안은 탄성력을 갖도록 파지부 상단이 서로 연결된 집게형 젓가락을 집게 또는 젓가락 용도로 사용하여 젓가락 사용이 익숙치 못한 외국인, 노약자, 어린이 등이 면종류와 같이 미끄러운 음식물 등을 용이하게 집어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양의 음식문화에서는 식사 또는 요리시 음식물들을 들어올리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집게부(1a)와 파지부(1b)로 이루어진 한쌍의 젓가락(1)을 이용한다.
전술한 젓가락(1)을 이용할 때 손가락 놀림이 숙달되지않는 경우 성인은 물론, 외국인, 어린이, 수전증 환자, 노약자 등은 집게부(1a)에 의해 음식물을 집어 들어올리는 동작이 부자연스러워 포크를 이용하게 된다.
특히, 젓가락(1)을 이용하여 면종류(라면, 국수, 당면 등을 말함)와 같이 미끄러운 음식물을 집어 들어올릴 때, 음식물이 자꾸 미끄러져 용이하지 못하고, 젓가락(1)으로 부터 미끄러지는 음식물이 의류에 묻게되어 얼룩자국을 남기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젓가락을 사용하는 음식문화에 접하지않은 외국인, 손가락 놀림이 익숙치않은 어린이 등이 숙련과정없이도 젓가락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한 다용도 젓가락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젓가락 파지부가 탄성력을 갖도록 서로 연결되고 집게부에 미끄럼방지용 돌기부가 형성됨에 따라, 집게형 젓가락에 의해 면종류와 같이 미끄러운 음식물 등을 쉽게 집어 들어올릴 수 있어 식사 또는 조리시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젓가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젓가락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젓가락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젓가락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젓가락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젓가락의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집게부
20; 파지부
30; 젓가락
40; 돌기부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집게부와 파지부로 이루어진 젓가락에 있어서,
파지부의 상단이 탄성력을 갖도록 서로 연결되는 집게형상의 젓가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젓가락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젓가락의 집게부 대향부위에 미끄럼방지용 돌기부가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젓가락의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도록 젓가락 외측면에 색상이 도포된다.
또한, 전술한 젓가락의 파지부 연결부위는 M형, ∩형, Н형, W형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젓가락은, 집게부(10)와 파지부(20)로 이루어진 집게형 젓가락(30)에 있어서, 전술한 파지부(20)의 상단이 탄성력을 갖도록 서로 연결되고, 전술한 젓가락(30)의 집게부(10) 대향부위에 미끄럼방지용 돌기부(40)가 형성된다.
전술한 젓가락(30)의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도록 젓가락(30) 외측면에 색상이 도포되고, 전술한 젓가락(30)의 파지부(20) 연결부위는 M형, ∩형, Н형, W형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젓가락(30)의 종단면 형상은 파지부(20)에서 집게부(10)로 내려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젓가락(30)의 횡단면 형상은 사각형, 원형, 타원형, 삼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으로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젓가락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형상의 젓가락(30)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집어 들어올리는 젓가락 또는 집게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는 실생활에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도움이 된다.
이때, 전술한 집게형 젓가락(30)의 파지부(20) 상단이 M자 형상으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탄성력을 갖게 되므로,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파지부(20)를 가압시 젓가락 안쪽으로 오므라들고, 젓가락(30)을 잡은 상태에서 파지부(20)에 가한 가압력을 제거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되므로, 적은 힘을 가하여 젓가락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집게 용도로서 활용할 수 있어, 젓가락을 이용하는 음식문화에 접하지못한 외국인 등이 젓가락 용도로써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집게형 젓가락(30)의 집게부(10) 대향부위에 미끄럼방지용 돌기부(40)가 형성됨에 따라, 어린이, 수전증 환자 등이 국수, 라면 등의 면종류와 같이 미끄러운 음식물을 쉽게 집어 들어올릴 수 있어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젓가락은, 전술한 젓가락(30)의 파지부(20) 상단이 탄성력을 갖도록 U자 형으로 서로 연결되고, 전술한 젓가락(30)의 집게부(10) 대향부위에 미끄럼방지용 돌기부(40)가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젓가락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젓가락 파지부가 탄성력을 갖도록 서로 연결되고 집게부에 미끄럼방지용 돌기부가 형성됨에 따라, 젓가락을 사용하는 음식문화에 접하지않은 외국인, 손가락 놀림이 익숙치않은 어린이 등이 숙련과정없이도 젓가락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집게형 젓가락에 의해 면종류와 같이 미끄러운 음식물 등을 쉽게 집어 들어올릴 수 있어 식사 또는 음식물 조리시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집게부와 파지부로 이루어진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상단이 탄성력을 갖도록 서로 연결되는 집게형상의 젓가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젓가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의 집게부 대향부위에 미끄럼방지용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젓가락.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의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젓가락 외측면에 색상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젓가락.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의 파지부 연결부위는 M형 또는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젓가락.
KR20-2004-0009816U 2004-04-09 2004-04-09 다용도 젓가락 KR200359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816U KR200359790Y1 (ko) 2004-04-09 2004-04-09 다용도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816U KR200359790Y1 (ko) 2004-04-09 2004-04-09 다용도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790Y1 true KR200359790Y1 (ko) 2004-08-21

Family

ID=4943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816U KR200359790Y1 (ko) 2004-04-09 2004-04-09 다용도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7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20334A (ja) 飲食物挟持具
EP1359830A1 (en) Choptstick of the pincers type
KR100720828B1 (ko) 집게형 젓가락
KR200359790Y1 (ko) 다용도 젓가락
KR200377102Y1 (ko) 집게형 젓가락
KR20200085549A (ko) 파스타면 감김부가 구비된 다기능 젓가락
JP2005111959A (ja) 手障害者用補助具
KR20110002908A (ko) 손가락 집게
KR200383885Y1 (ko) 세 개의 다리를 가진 취식도구
KR20160009999A (ko) 다기능 젓가락
KR100729951B1 (ko) 음식물 협지구
KR200386784Y1 (ko) 음식물 파지용 위생골무
KR200450867Y1 (ko) 학습용 젓가락
KR200175787Y1 (ko) 젓가락
KR200145841Y1 (ko) 집게형 간편 젓가락
KR200357495Y1 (ko) 음식용구
JP3389525B2 (ja) 高温部材把持用手袋
JP3061045U (ja)
JP3129675U (ja)
JP3106194U (ja)
CN105982487A (zh) 一种筷子
JP2008000298A (ja) 持ち方習得用の箸
KR100438499B1 (ko) 집게형 젓가락
KR20120091728A (ko) 기능성 젓가락
KR200410341Y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