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787Y1 - 젓가락 - Google Patents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787Y1
KR200175787Y1 KR2019990017943U KR19990017943U KR200175787Y1 KR 200175787 Y1 KR200175787 Y1 KR 200175787Y1 KR 2019990017943 U KR2019990017943 U KR 2019990017943U KR 19990017943 U KR19990017943 U KR 19990017943U KR 200175787 Y1 KR200175787 Y1 KR 200175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food
present
contact surface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재
Original Assignee
장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재 filed Critical 장영재
Priority to KR2019990017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7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7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에는 사용자가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0)가 형성되고, 몸체 하부로는 음식물을 집을 수 있도록, 파지부(20)가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20)의 몸체 저면에서 상부로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호형의 오목부(40)가 형성되어, 모서리 단부에 예각의 접촉면(30)이 구비되므로, 젓가락(100) 사용시 음식물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젓가락{Chopsticks}
본 고안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젓가락의 하부 몸체 모서리 단부에 예각의 접촉면을 형성하여, 젓가락의 사용시 음식물과의 미끄럼 현상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젓가락은 식사나 요리시 음식등을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도구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젓가락의 형상은 비교적 가늘고 사용자가 잡고 사용하기 쉬운 길이로 형성되며, 재질은 나무, 참대, 은, 백통, 뼈, 합성수지재등으로 제작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젓가락은 스틱형상의 몸체 상부로 사용자가 쉽게 잡고 미끄러짐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된 문양으로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몸체 하부로는 음식물을 잡을 수 있도록, 파지부가 형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젓가락 사용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젓가락의 파지부에 음식물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젓가락의 사용시 음식물이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제품도 제안되고 있다.
즉, 젓가락의 하부몸체 외측 및 모서리에 음각 및 양각형상의 마찰면을 형성하여, 음식물과 파지부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제품도 많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젓가락은 단순히 스틱형상을 갖으며, 몸체 상부에만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사용하므로, 비교적 젓가락 사용이 미숙한 어린이나 노약자 등은 젓가락 사용시 음식물이 자주 미끄러져 젓가락 사용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젓가락의 몸체 하부에 음식물과의 마찰력 증대를 위해 음각 또는 양각형태의 마찰면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역시 그 효과가 미미하여 사용에 많은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젓가락의 하부 몸체 모서리 단부에 예각의 접촉면을 형성하여, 젓가락의 사용시 음식물과의 미끄럼 현상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젓가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젓가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젓가락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젓가락을 이용하여 포크대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젓가락의 접촉면에 음식물이 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젓가락을 이용하여 면종류 음식물을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부 20 - 파지부
30 - 접촉면 40 - 오목부
100 - 젓가락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에는 사용자가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0)가 형성되고, 몸체 하부로는 음식물을 집을 수 있도록, 파지부(20)가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20)의 몸체 저면에서 상부로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호형의 오목부(40)가 형성되어, 모서리 단부에 예각의 접촉면(30)이 구비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젓가락(100)은 파지부(20)의 몸체 외측에 오목부(40)에 의한 예각의 접촉면(30)이 형성되므로, 젓가락(100) 사용시 음식물을 용이하게 파 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젓가락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젓가락을 이용하여 포크대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젓가락의 접촉부에 음식물이 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젓가락을 이용하여 면종류 음식물을 파지한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젓가락(100)의 파지부(20)에는 음식물을 미끄러짐 현상없이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접촉면(30)이 위치된다.
상기 접촉면(30)은 파지부(20)의 몸체에 호형의 오목부(40)가 형성되므로 가능하다.
즉, 상기 파지부(20)의 몸체 외측에 형성되는 오목부(40)는 호형의 형상을 갖고 파지부(20)의 외측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40)로 인하여, 파지부(20)의 모서리 단부에는 접촉면(3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결국, 상기 파지부(20)의 몸체 외측면에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몸체의 폭보다 작은 호형의 오목부(40)를 형성하면, 모서리 단부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예각의 접촉면(30)이 위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이 파지부(20)의 몸체에 호형의 오목부(40)에 의해 모서리 단부에 형성된 접촉면(30)은 종래의 젓가락이 면접촉에 의해 음식물을 파지하던 것과는 달리 선접촉에 의해 음식물을 파지할 수 있어 음식물과의 결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특히 면제품의 경우 통상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면제품의 경우 종래의 젓가락은 파지부의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가 되어 있어 용이하게 면제품을 파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었으나, 본 고안은 파지부(20)의 모서리부가 오목부(40)에 의해 예각으로 형성 되어지므로, 면제품의 경우 면을 선접촉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젓가락(100)의 파지부(20)는 모서리부에 예각의 접촉부(30)가 호형의 오목부(40)에 의해 형성되므로, 음식물을 집을 경우 오목부(40)까지 밀착되지 않고, 접촉면(30) 끼리 선접촉에 의해 음식물을 파지하므로, 비교적 파지하기 난해한 면제품들도 용이하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젓가락(100)의 파지부(20) 저면에는 오목부(40)가 하부에서 상부로 형성되는 관계로, 포크와 같은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파지부(20)의 몸체 외측에 형성되는 오목부(40)가 하부에서 상부 로 연장되게 형성되므로, 하부의 도입부에서는 비교적 예리한 형상을 갖게되어, 음식물을 포크와 같이 찍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인 젓가락(100)은 파지부(20)의 몸체 외부에 호형의 오목부(40) 형성으로 모서리 단부에 예각의 접촉면(30)이 형성되므로, 종래의 젓가락에 비해 음식물을 쉽고 간편하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 종래의 젓가락에 비해 음식물을 선접촉에 의해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나 노약자등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둘째, 파지부의 하부형상은 오목부의 성형관계로 비교적 예리하게 형성되므로, 포크와 같은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셋째, 파지부의 몸체 외측으로 호형의 오목부가 형성되므로, 간편하게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에는 사용자가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0)가 형성되고, 몸체 하부로는 음식물을 집을 수 있도록, 파지부(20)가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20)의 몸체 저면에서 상부로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호형의 오목부(40)가 형성되어, 모서리 단부에 예각의 접촉면(3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KR2019990017943U 1999-08-27 1999-08-27 젓가락 KR200175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943U KR200175787Y1 (ko) 1999-08-27 1999-08-27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943U KR200175787Y1 (ko) 1999-08-27 1999-08-27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787Y1 true KR200175787Y1 (ko) 2000-03-15

Family

ID=1958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943U KR200175787Y1 (ko) 1999-08-27 1999-08-27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7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9435A (en) Eating utensil
US4787663A (en) Chopstick holder
US6145204A (en) Eating implement
US8672377B2 (en) Eating utensil
JP2008520334A (ja) 飲食物挟持具
USD455936S1 (en) Set of cutlery
US20040051327A1 (en) Choptstick of the pincers type
JP2007014714A (ja) 衛生的な一体型匙と箸
USD446087S1 (en) Disposable flatware with arcuate handle
US5899356A (en) Eating utensil for holding pieces of food and dispenser assembly containing such utensils
KR200175787Y1 (ko) 젓가락
KR102181150B1 (ko) 파스타면 감김부가 구비된 다기능 젓가락
USD417122S (en) Handle for utensils
JP3177408U (ja) 麺類フォーク
JP2010516316A (ja)
KR102193287B1 (ko) 국수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숟가락
USD463221S1 (en) Eating utensil with toothpick incorporated therein
KR200174546Y1 (ko) 주방용 집게.
USD457386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s
USD479434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USD495219S1 (en) Salad utensil set
CN216256529U (zh) 一种新型陶瓷调料碟
KR102193288B1 (ko)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
KR200359790Y1 (ko) 다용도 젓가락
KR200394596Y1 (ko) 위생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