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001B1 -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 Google Patents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001B1
KR101379001B1 KR1020130124581A KR20130124581A KR101379001B1 KR 101379001 B1 KR101379001 B1 KR 101379001B1 KR 1020130124581 A KR1020130124581 A KR 1020130124581A KR 20130124581 A KR20130124581 A KR 20130124581A KR 101379001 B1 KR101379001 B1 KR 101379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id
hole
fix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호
Original Assignee
양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호 filed Critical 양동호
Priority to KR1020130124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06Locking devices of the bayonet-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사용기용 돌솥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취사용기 개방부를 덮기 위해, 상면 중앙에 고정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호 대응되는 한 쌍의 결합구가 형성된 밀폐뚜껑과,
상기 밀폐뚜껑의 고정구가 삽입될 수 있게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 하부로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수직상하 작용 및 복원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 상면에 연결형성되되, 로드 내부와 연통하게 형성되는 안내홈부와 상기 안내홈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안내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안내공을 관통하여 고정구에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 가이드부재를 수평좌우로 이동 후 복원시키기 위해 안내홈부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로드 외주면에 고정되며, 양측단에 안내공간이 형성되고, 전후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장공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안내공간으로 삽입되되, 고정부재의 장공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안내되는 안내핀이 일단에 관통마련되고, 타단에는 용기 외주면에 형성되는 외주턱에 고정되는 고정턱부가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부 상부로 회동핀에 의해 밀폐뚜껑의 결합구에 결합되기 위해 결합공이 형성된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밥을 짓는데 사용되는 용기의 개방부를 밀폐뚜껑으로 덮은 다음, 가압부의 잠금부재를 사용하여 용기의 개방부를 밀폐시키되, 상기 가압부와 연결된 작동부의 상부를 사용자가 하부로 가압한 후, 가이드부재의 버튼부를 간단히 누르거나 해제하여 용기를 개방하거나 밀폐시키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용기의 개방부를 밀폐고정하거나 개방하는데 매우 용이한 장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밥을 짓는 중에 밥물이 넘쳐흐르는 것과 뚜껑이 돌솥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영양가 있는 밥을 지어서, 신속하게 여러 명의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취사용기용 돌솥뚜껑{Cooker cover for cooking receptacle}
본 발명은 취사용기용 돌솥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돌솥에 밥이나 각종 음식물을 넣고, 돌솥과 같이 밥을 짓는데 사용되는 용기의 개방부를 뚜껑을 사용하여 덮거나 해제하는데 있어서, 아주 용이하게 결합 및 해제함으로써, 신속하게 영양가 있는 밥을 지어서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취사용기용 돌솥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에서 돌솥과 상기 돌솥의 개방부와 상호 대응되는 나무나 돌 재질의 뚜껑을 사용하여 영양가 풍부한 밥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돌솥은 밥을 지을 때 그 정도가 지나쳐 돌솥과 뚜껑 사이 틈으로 밥물이 넘쳐흐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로 인해 상당한 영양소가 빠져나가 밥맛이 없어지는 원인이 되고, 돌솥 상부에 단순하게 올려놓는 구조이기 때문에, 물이 끓는 과정에서 들먹거리면서 쉽게 미끄러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 20-0356371 "돌솥용 뚜껑"이 소개되었다.
상기 돌솥용 뚜껑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뚜껑(20)은,하부에는 상기 돌솥(10)의 개방부를 덮도록 개방된 외주턱(22)가 마련되며, 상부는 폐쇄되어 천정(23)을 갖는 금속원통으로 이루어진 뚜껑 본체(21)와,상기 뚜껑 본체(21)의 천정 상부에 결합된 손잡이(26)와, 밥을 짓는 과정에서 상기 돌솥(10)의 내부압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뚜껑 본체(21)의 내부에 장착된 웨이트(28)로 구성된다.
상기 돌솥용 뚜껑의 작용은 돌솥(10) 내부에 소정 량의 물과 쌀을 넣은 후 뚜껑(20)을 닫으면, 뚜껑(20)의 외주턱(22)가 돌솥(10)의 개방부(11)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 때, 뚜껑(20) 내부에 장착된 웨이트(28) 중량에 의해 뚜껑(20) 외주턱(22)는 돌솥(10)의 개방부(11)에 당접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밥을 짓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압을 견디지 못해 뚜껑이 상부로 들리는 현상으로 인해, 뚜껑의 외주턱와 돌솥이 밀착고정된 부분에 틈에 생겨, 상기 틈으로 밥물이 넘쳐흐르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함으로 영양가 있는 밥을 제대로 짓는데 한계가 있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밥을 짓는 과정에서 뚜껑을 하부로 가압하여 돌솥에 완전히 밀착고정시킴으로써, 뚜껑과 돌솥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방지함은 물론, 간단한 터치방식으로 뚜껑과 돌솥을 용이하게 가압결합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는 취사용기용 돌솥뚜껑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취사용기 개방부를 덮기 위해, 상면 중앙에 고정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호 대응되는 한 쌍의 결합구가 형성된 밀폐뚜껑과,
상기 밀폐뚜껑의 고정구가 삽입될 수 있게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 하부로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수직상하 작용 및 복원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 상면에 연결형성되되, 로드 내부와 연통하게 형성되는 안내홈부와 상기 안내홈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안내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안내공을 관통하여 고정구에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 가이드부재를 수평좌우로 이동 후 복원시키기 위해 안내홈부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로드 외주면에 고정되며, 양측단에 안내공간이 형성되고, 전후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장공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안내공간으로 삽입되되, 고정부재의 장공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안내되는 안내핀이 일단에 관통마련되고, 타단에는 용기 외주면에 형성되는 외주턱에 고정되는 고정턱부가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부 상부로 회동핀에 의해 밀폐뚜껑의 결합구에 결합되기 위해 결합공이 형성된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부는 제2탄성부재가 마련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와 연결형성되어 가이드부재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공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부 양측으로 손잡이부가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안내공은 고정핀을 고정하는 제1안내공과, 상기 제1안내공 일측으로 고정핀이 수직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형성된 제2안내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 일측에 가이드부재를 가압하여. 보다 용이하게 좌우수평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된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폐뚜껑 중앙에 상면에 고정구를 감싸 형성되되, 로드의 내면에 삽입되어, 로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밥을 짓는데 사용되는 용기의 개방부를 밀폐뚜껑으로 덮은 다음, 가압부의 잠금부재를 사용하여 용기의 개방부를 밀폐시키되, 상기 가압부와 연결된 작동부의 상부를 사용자가 하부로 가압한 후, 가이드부재의 버튼부를 간단히 누르거나 해제하여 용기를 개방하거나 밀폐시키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용기의 개방부를 밀폐고정하거나 개방하는데 매우 용이한 장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밥을 짓는 중에 밥물이 넘쳐흐르는 것과 뚜껑이 돌솥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영양가 있는 밥을 지어서, 신속하게 여러 명의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돌솥용 뚜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취사용기용 돌솥뚜껑을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취사용기용 돌솥뚜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취사용기용 돌솥뚜껑으로 돌솥 내부를 밀폐한 종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취사용기용 돌솥뚜껑으로 돌솥 내부를 개방하는 과정 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작용 전후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취사용기 개방부를 덮기 위해, 상면 중앙에 고정구(110)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호 대응되는 한 쌍의 결합구(120)가 형성된 밀폐뚜껑(100)과, 상기 밀폐뚜껑(100)의 고정구(110)가 삽입될 수 있게 가이드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212) 하부로 제1탄성부재(211)가 구비되어 수직상하 작용 및 복원되는 로드(210)와, 상기 로드(210) 상면에 연결형성되되, 로드(210) 내부와 연통하게 형성되는 안내홈부(220)와 상기 안내홈부(220) 일측으로 형성되는 삽입공(230)과, 상기 삽입공(230)에 삽입되는 안내공(241)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40)와, 상기 가이드부재(240)의 안내공(241)을 관통하여 고정구(110)에 결합되는 고정핀(250)과, 상기 가이드부재(240)를 수평좌우로 이동 후 복원시키기 위해 안내홈부(220)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260)를 더 포함하는 작동부(200)와, 상기 작동부(200)의 로드(210) 외주면에 고정되며, 양측단에 안내공간(311)이 형성되고, 전후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장공(312)이 형성된 고정부재(310)와, 상기 고정부재(310)의 안내공간(311)으로 삽입되되, 고정부재(310)의 장공(312)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안내되는 안내핀(322)가 일단에 관통마련되고, 타단에는 용기 외주면에 형성되는 외주턱에 고정되는 고정턱부(321)가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부(321) 상부로 회동핀(323)에 의해 밀폐뚜껑(100)의 결합구(120)에 결합되기 위해 결합공(324)이 형성된 잠금부재(320)를 더 포함하는 가압부(300)로 구성된다.
그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취사용기용 돌솥뚜껑의 구조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취사용기용 돌솥뚜껑은 크게 밀폐뚜껑(100), 작동부(200), 가압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밀폐뚜껑(100)은 금속의 재질로 형성되며, 돌솥(400)의 개방부를 덮기 위해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며, 하단에는 돌솥(400)의 외경보다는 크게 외주턱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원기둥 형태의 고정구(110)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태(140) 상부 외주면에 상호 대응하게 회동핀(323)이 설치될 수 있게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구(1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작동부(200)는 밀폐뚜껑(100) 중앙에 형성된 고정구(110)가 삽입될 수 있게 가이드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212) 하부로 내부공간이 형성된 로드(210)가 구비되되, 상기 로드(210) 내부공간에 제1탄성부재(211)가 구비되어, 로드(210)가 수직상하 작용 및 복원되며, 상기 로드(210) 상면에 연결형성되되, 로드(210)의 내부공간과 연통하게 안내홈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부(220) 일측면으로 삽입공(230)이 형성되어, 안내공(241)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40)가 삽입안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40)의 안내공(241)을 관통하여 고정구(110)에 고정핀(250)이 결합고정되고, 가이드부재(240)를 수평좌우로 이동 후, 복원시키기 위해, 가이드부재(240)의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안내홈부(220)의 내면에 위치하여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2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부(220)는 제2탄성부재(260)가 위치하여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1공간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221)와 연통하게 연결형성되어, 가이드부재(240)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제2공간부(222)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부(220) 양측으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작동시키기 위해 손잡이부(270)가 연결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240)의 안내공(241)은 고정핀(250)이 하부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핀(250)의 머리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제1안내공(241a)과, 상기 제1안내공(241a)과 연통하게 형성되며, 고정핀(250)이 수직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고정핀(250)의 머리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2안내공(241b)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240)의 일측 단부에는 가이드부재(240)를 보다 용이하게 가압하거나 당기어 이동시키기 위해 버튼부(2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폐뚜껑(100) 상부에 형성된 고정구(110)를 감싸 슬라이드부재(130))를 설치하되, 상기 슬라이드부재(130)의 외경은 작동부(200)의 로드(2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작동부(200)의 로드(210)가 슬라이드부재(130)의 외주면에 수직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부드럽고 흔들리지 않게 본 발명인 취사용기용 돌솥뚜껑이 작동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작동부(200)의 로드(210)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는 가압부(300)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200) 외주면에 일체형 또는 부착형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양측단에 안내공간(311)이 형성되고, 양측단 전후면에 각각 장공(312)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310)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310)의 장공(312)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안내핀(322)가 일단 양측면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용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외주턱 저면부에 밀착고정되는 고정턱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부(321) 상부로 회동핀(323)에 의해 밀폐뚜껑(100)의 결합구(120)에 결합되는 결합공(324)을 더 포함하는 잠금부재(320)로 구성된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취사용기용 돌솥뚜껑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인 취사용기용 돌솥뚜껑으로 돌솥을 밀폐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작동부(200)의 로드(210) 내부와 밀폐용기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부 외주면에 구비된 제1탄성부재(211)에 의해 가압부(300)가 상부로 수직상향 작용과 동시에, 잠금부재(320)의 고정턱부(321)가 돌솥 외주턱에 고정되고, 잠금부재(320)의 안내핀이 장공(312)의 일단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와 같은 작용과 동시에, 작동부(200) 또한, 가압부(300)가 상부로 수직상향 작용한 만큼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작동부(200)의 삽입공(230)에 삽입되어 구비된 가이드부재(240)의 제2안내공(241b)에 고정핀(250)이 위치하여 고정되되, 안내홈부(220)에 마련된 제2탄성부재(260)가 수축하여 가이드부재(240)를 밀고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가 작동부(200)의 안내홈부(220) 양측으로 형성된 손잡이부(270)를 수직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200)의 로드(210) 내부와 밀폐용기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부 외주면에 구비된 제1탄성부재(211)가 수축하는 동시에, 작동부(200) 및 가압부(300)가 수직 하방향으로 이동하되, 특히, 작동부(200)의 로드(210)가 안내로드(21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하여 보다 부드럽고 흔들림없이 수직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돌솥(400)의 외주턱에 고정되었던 고정턱부(321)가 해제됨과 동시에, 잠금부재(320)의 결합공(324)과 밀폐뚜껑(100)의 결합구(120)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 회동핀(323)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와 같은 작용과 동시에, 장공(312)의 일단에 밀착되었던 잠금부재(320)의 안내핀(322) 해제되어 타단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가이드부재(240)의 제2안내공(241b)에 위치하던 고정핀(250)의 머리부가 상부로 이동하는 동시에, 수축되었던 제2탄성부재(260)가 복원되어 가이드부재(240)가 도면상 수평 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작용과 함께, 고정핀(250)이 제2안내공(241b)에서 제1안내공(241a)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고정핀(250)의 머리에 의해 작동부(200)와 가압부(300)가 상부로 수직상향이동하지 않게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270)를 잡아 돝솥(400)에 결합된 취사용기용 돌솥뚜껑을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용과 반대되는 작용으로, 돌솥뚜껑을 돌솥에 결합시켜 돌솥내부를 밀폐하는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취사용기용 돌솥뚜껑으로 돌솥(400)의 개방부를 덮은 상태에서,
가이드부재(240)의 버튼부(242)를 도면상 수평 좌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반자동기능으로, 수축한 상태인 제1탄성부재(211)가 복원되어, 작동부(200)와 가압부(300)가 수직상향 이동하게 되고, 작동부(200)의 로드(210)가 안내로드(21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하여 수직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동시에, 잠금부재(320)의 고정턱부(321)가 돌솥(400) 외주턱에 고정되고, 잠금부재(320)의 안내핀(322)가 장공(312)의 일단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와 같은 작용과 동시에, 작동부(200)의 삽입공(230)에 삽입되어 구비된 가이드부재(240)의 제2안내공(241b)에 고정핀(250)이 위치하여 고정되되, 안내홈부(220)에 마련된 제2탄성부재(260)가 수축하여 가이드부재(240)를 밀고 있는 상태로 돌솥(400)의 내부를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밀폐뚜껑
110: 고정구
120: 한 쌍의 결합구
130: 슬라이드부재
200: 작동부
210: 로드
211: 탄성부재
220: 안내홈부
230: 삽입공
240: 가이드부재
241: 안내공
242: 버튼부
250: 고정핀
260: 탄성부재
270: 손잡이부
300: 가압부
310: 고정부재
311: 안내공간
312: 장공
320: 잠금부재
321: 고정턱부
322: 안내핀
232: 회동핀

Claims (6)

  1. 취사용기 개방부를 덮기 위해, 상면 중앙에 고정구(110)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호 대응되는 한 쌍의 결합구(120)가 형성된 밀폐뚜껑(100)과,
    상기 밀폐뚜껑(100)의 고정구(110)가 삽입될 수 있게 가이드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212) 하부로 제1탄성부재(211)가 구비되어 수직상하 작용 및 복원되는 로드(210)와, 상기 로드(210) 상면에 연결형성되되, 로드(210) 내부와 연통하게 형성되는 안내홈부(220)와 상기 안내홈부(220) 일측으로 형성되는 삽입공(230)과, 상기 삽입공(230)에 삽입되는 안내공(241)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40)와, 상기 가이드부재(240)의 안내공(241)을 관통하여 고정구(110)에 결합되는 고정핀(250)과, 상기 가이드부재(240)를 수평좌우로 이동 후 복원시키기 위해 안내홈부(220)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260)를 더 포함하는 작동부(200)와,
    상기 작동부(200)의 로드(210) 외주면에 고정되며, 양측단에 안내공간(311)이 형성되고, 전후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장공(312)이 형성된 고정부재(310)와, 상기 고정부재(310)의 안내공간(311)으로 삽입되되, 고정부재(310)의 장공(312)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안내되는 안내핀(322)이 일단에 관통마련되고, 타단에는 용기 외주면에 형성되는 외주턱에 고정되는 고정턱부(321)가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부(321) 상부로 회동핀(323)에 의해 밀폐뚜껑(100)의 결합구(120)에 결합되기 위해 결합공(324)이 형성된 잠금부재(320)를 더 포함하는 가압부(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부(220)는 제2탄성부재(260)가 마련되는 제1공간부(221)와, 상기 제1공간부(221)와 연결형성되어 가이드부재(240)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공간부(2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부(220) 양측으로 손잡이부(270)가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40)의 안내공(241)은 고정핀(250)을 고정하는 제1안내공(241a)과, 상기 제1안내공(241a) 일측으로 고정핀(250)이 수직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형성된 제2안내공(241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40) 일측에 가이드부재(240)를 가압하여. 보다 용이하게 좌우수평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된 버튼부(2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뚜껑(100) 중앙에 상면에 고정구(110)를 감싸 형성되되, 로드(210)의 내면에 삽입되어, 로드(2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드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KR1020130124581A 2013-10-18 2013-10-18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KR101379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581A KR101379001B1 (ko) 2013-10-18 2013-10-18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581A KR101379001B1 (ko) 2013-10-18 2013-10-18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001B1 true KR101379001B1 (ko) 2014-03-27

Family

ID=5064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581A KR101379001B1 (ko) 2013-10-18 2013-10-18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00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777A (ko) * 2014-05-30 2015-12-09 양동호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KR101645854B1 (ko) * 2015-03-03 2016-08-04 양동호 돌솥압력뚜껑
CN106606293A (zh) * 2017-02-16 2017-05-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力锅排气装置及具有其的压力锅
KR101740685B1 (ko) * 2015-10-14 2017-05-26 정현각 취사용기용 솥뚜껑
CN111543862A (zh) * 2020-06-04 2020-08-18 湛江一燕科技有限公司 一种西施煲的弹盖结构
KR20220090979A (ko) 2020-12-23 2022-06-30 양동호 압력 돌솥용 뚜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013A (ko) * 1997-11-25 1999-06-15 이계철 다지점 접속 제어 장치내의 회의 제어부에서의 쓰레드간 통신방법
KR20000027813A (ko) * 1998-10-29 2000-05-15 김영환 반도체소자의 필드산화막 형성방법
KR200281843Y1 (ko) 2002-04-08 2002-07-13 주식회사 부영실업 압력밥솥의 뚜껑개폐장치
KR100542335B1 (ko) 2005-07-26 2006-01-11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013A (ko) * 1997-11-25 1999-06-15 이계철 다지점 접속 제어 장치내의 회의 제어부에서의 쓰레드간 통신방법
KR20000027813A (ko) * 1998-10-29 2000-05-15 김영환 반도체소자의 필드산화막 형성방법
KR200281843Y1 (ko) 2002-04-08 2002-07-13 주식회사 부영실업 압력밥솥의 뚜껑개폐장치
KR100542335B1 (ko) 2005-07-26 2006-01-11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777A (ko) * 2014-05-30 2015-12-09 양동호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KR101583779B1 (ko) * 2014-05-30 2016-01-08 양동호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KR101645854B1 (ko) * 2015-03-03 2016-08-04 양동호 돌솥압력뚜껑
KR101740685B1 (ko) * 2015-10-14 2017-05-26 정현각 취사용기용 솥뚜껑
CN106606293A (zh) * 2017-02-16 2017-05-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力锅排气装置及具有其的压力锅
CN111543862A (zh) * 2020-06-04 2020-08-18 湛江一燕科技有限公司 一种西施煲的弹盖结构
CN111543862B (zh) * 2020-06-04 2024-03-01 湛江市力高尔电器有限公司 一种西施煲的弹盖结构
KR20220090979A (ko) 2020-12-23 2022-06-30 양동호 압력 돌솥용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001B1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KR101792111B1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BR102013017876A2 (pt) Utensílio de cozimento para cozinhar alimentos sob pressão que tem um dispositivo de controle aprimorado
CN107752751A (zh) 电烹饪装置
CN107334392B (zh) 壶盖及保温壶
KR101388869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583779B1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KR101465551B1 (ko) 양면 프라이팬
CN110623533A (zh) 烹饪器具
CN108577515B (zh) 磁吸式微压锅
CN205697199U (zh) 防倾倒的电热水壶
CN205410846U (zh) 烹饪器具
KR20170139013A (ko) 신형 더블 라이너 전기밥솥
KR101645854B1 (ko) 돌솥압력뚜껑
US20140061206A1 (en) Controlled emptying kitchen saucepan
CN210748686U (zh) 一种防烫汤锅
KR102094602B1 (ko) 조리용 용기 뚜껑
KR20110007035U (ko)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
CN205729032U (zh) 一种具有安全装置的煲汤机
KR20160075283A (ko) 누르개가 구비된 국자
KR20130003072U (ko) 넘침 방지 증기배출 뚜껑 손잡이
KR20150003258U (ko) 양변기의 레버
CN211408618U (zh) 烹饪器具
CN209610821U (zh) 压力锅的锅盖
CN214259034U (zh) 一种电饭锅锅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