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953Y1 -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953Y1
KR200424953Y1 KR2020060014377U KR20060014377U KR200424953Y1 KR 200424953 Y1 KR200424953 Y1 KR 200424953Y1 KR 2020060014377 U KR2020060014377 U KR 2020060014377U KR 20060014377 U KR20060014377 U KR 20060014377U KR 200424953 Y1 KR200424953 Y1 KR 200424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ontainer
air
ring
ind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만현
Original Assignee
권만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만현 filed Critical 권만현
Priority to KR2020060014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9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953Y1/ko
Priority to PCT/KR2007/002586 priority patent/WO200713933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용기(10)의 개방된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뚜껑(20)의 상부면 중앙을 일정한 직경과 깊이로서 하향 요입되도록 한 실린더형 가이드(30)와; 상기 실린더형 가이드(30)의 바닥면 중앙으로부터는 일정한 직경으로 상향 돌출되도록 하면서 내부는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한 관형상이며, 상단부측의 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제1 에어홀(41)을 형성하고, 제1 에어홀(41)의 하부측 내부는 제2 에어홀(43)을 형성한 격벽(42)에 의해 내부가 상하로 격리되도록 하는 유도관(40)과; 상기 유도관(40)의 상기 격벽(42)의 상부에서 제2 에어홀(43)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볼 밸브(50)와; 상기 실린더형 가이드(30)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가지며, 내부가 비고, 상향 개방되도록 한 통형상이며, 바닥면은 상기 유도관(40)이 관통되도록 하면서 상기 유도관(40)과는 오링(61)에 의해 실링되는 피스톤(60)과; 상기 유도관(40)의 상단부에 저면이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하 유동이 가능하면서 상기 피스톤(6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오링(72)이 구비되며, 상기 오링(72)을 수용하는 링홈(71)은 내측의 공간이 복수의 제3 에어홀(73)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60) 상부의 공간과 연통되는 밸브체(70)와; 상기 피스톤(60)의 상단부에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60)과의 결합면 사이를 이격시킨 간극을 통해 에어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한 캡(80)과; 상기 밸브체(70)와 상기 캡(80) 사이를 일정한 탄성력으로 유지시키는 코일 스프링(90)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용기(10)의 내부에 채워 지는 식품을 보다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진공압 형성 조작이 쉽고 신속하게 수행되게 함으로써 조작 및 취급의 편의를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식품 보존, 진공 용기, 펌핑, 피스톤

Description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Vaccum container to preserve food}
도 1은 종래의 진공 용기에서 진공압 형성을 위한 펌핑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용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펌핑 수단을 분리시킨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용기의 식품 보존 날자를 표시하는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용기의 진공압 제거 부재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용기의 피스톤을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용기의 피스톤을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따른 진공 용기의 피스톤이 상승 작용시 밸브체의 오링이 이동하면서 에어가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20 : 뚜껑
30 : 실린더형 가이드(cylindrical guide)
40 : 유도관
41 : 제1 에어홀
42 : 격벽
43 : 제2 에어홀
50 : 볼 밸브
60 : 피스톤
70 : 밸브체
72 : 오링
73 : 제3 에어홀
80 : 캡
100 : 진공압 제거 부재
본 고안은 용기의 밀폐력을 보다 향상시키고, 진공력 발생 조작을 한층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야채와 생선 등의 식품은 그 신선도의 유지가 매우 중요하며, 최소한 식품을 섭취하기 전까지는 변질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어야만 한다.
식품의 변질은 외기와 접촉되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을 방지시키게 되면 식품에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이나 기타 유해 물질들이 접촉하면서 쉽게 산화되면서 변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런 식품 중에서 특히 발효식품은 반대로 미생물의 증식에 의해 더욱 활성화되어야만 하는 식품이지만 식품의 발효 및 숙성 속도가 지나치게 빨리 진행되면 보존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식품의 발효 및 부패를 보다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외부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제안된 것이 밀폐 용기 즉 진공 용기이다.
진공 용기는 이미 다양하게 제안되었으나 일본특개평11-49243호(명칭:식품보존용 용기)와 최근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하여 등록된 국내특허등록 제429069호(명칭:식품 보존용 진공용기)를 통해 펌핑 방식으로 용기의 내부를 진공압으로 형성하여 일정 기간 동안 식품이 안전하게 보존되도록 하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이중 본 출원인의 선등록 발명은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뚜껑(110)에 형성한 슬라이딩 홈(111)의 내부에는 스프링(140)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캡형상의 피스톤(150)의 승강 작용에 의해 제1 밸브(120)와 제2 밸브(13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용기의 내부로부터 에어를 강제 펌핑함으로써 용기의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되고, 이 상태를 일정 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캡(160)의 상부를 누르게 되면 피스톤(150)이 하강하면서 제1 밸브(120)는 폐쇄되고, 제2 밸브(130)는 개방되면서 제2 밸브(130)를 통해 슬라이딩 홈(111)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강제 배출되도록 한다.
다시 캡(160)을 누르던 압력을 제거하면 하강한 상태이던 피스톤(150)은 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승하게 되고, 이때 제1 밸브(120)가 개방되고, 제2 밸브(130)는 폐쇄되면서 용기의 내부로부터 에어를 흡입하여 슬라이딩 홈(111)내로 유도한다.
따라서 캡(160)을 누르거나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자동으로 복원되면서 용기 내부의 에어를 점차 배출되도록 하여 용기의 내부가 진공압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내부에 이미 채워진 식품이 일정 기간 동안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선등록 발명에서는 캡(160) 조작에 따른 피스톤(150)의 승강 작용이 원활하지 못한 폐단이 있다.
즉 피스톤(150)을 승강 작동 시 제1 밸브(120)와 제2 밸브(130)의 선택적인 개폐 작동 특히 피스톤 상승 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용기의 내부로 진공압을 형성하는데 많이 시간이 소요되기도 하고, 조작에 어려움이 많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스프링력을 이용한 피스톤 작용에 의해서 용기의 내부를 신속 하게 진공의 상태가 되도록 하는 동시에 진공 형성을 위한 조작력을 반감시켜 용이한 조작을 가능토록 하는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다 안전한 식품 보관이 가능한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 크기의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면을 커버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상부면 중앙을 일정한 직경과 깊이로서 하향 요입되도록 한 실린더형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바닥면 중앙으로부터는 일정한 직경으로 상향 돌출되도록 하면서 내부는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한 관형상이며, 상단부측의 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제1 에어홀을 형성하고, 제1 에어홀의 하부측 내부는 제2 에어홀을 형성한 격벽에 의해 내부가 상하로 격리되도록 하는 유도관과; 상기 유도관의 상기 격벽의 상부에서 제2 에어홀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볼과; 상기 실린더형 가이드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가지며, 내부가 비고 상향 개방되도록 한 통형상이고, 바닥면은 상기 유도관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유도관과는 오링에 의해 실링되는 피스톤과; 상기 유도관의 상단부에 저면이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하 유동이 가능하면서 상기 피스톤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오링을 구비하여, 상기 오링을 수용하는 링홈은 내측의 공간이 복수의 제3 에어홀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 상부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하는 밸브체와; 상기 피스톤의 상단부에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과의 결합면 사이 를 이격시킨 간극을 통해 에어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한 캡과; 상기 밸브체와 상기 캡 사이를 일정한 탄성력으로 유지시키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용기의 뚜껑에 구비되는 피스톤 기구를 이용하여 밀폐 용기내로부터 공기를 배출시켜 식품을 수용한 용기의 내부가 진공의 상태로 안전하게 유지되게 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식품 변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존용 용기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용기(10)와 뚜껑(20) 및 펌핑 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용기(10)는 일정 크기의 음식물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부는 상향 개방되도록 한 구성이다. 즉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에 보관할 식품이나 음식물 등을 넣을 수가 있도록 한다.
용기(10)에는 외주면으로 별도의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상부로 개방된 용기(10)의 개방된 상부면은 뚜껑(20)에 의해서 커버되면서 내부의 공간이 밀폐되도록 한다.
따라서 뚜껑(20)은 용기(10)의 개방된 부위의 면적보다는 큰 외경을 갖도록 하며, 용기(10)의 상단부와는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기(10)와의 실링을 위해 뚜껑(20)의 외주연 단부는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의 상단부에 얹혀지도록 하면서 이 외주연 단부의 저면으로는 용기(10)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시일(21, seal)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뚜껑(20)에는 중앙에 펌핑 수단을 구비하며, 이 펌핑 수단에 의해 밀폐한 용기(10)의 내부를 진공압 상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이나 고안을 통해서도 제안한 바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펌핑 수단을 개선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서의 펌핑 수단은 뚜껑(20)의 중앙을 소정의 직경과 깊이로 하향 요입되도록 한 실린더형 가이드(30, cylindrical guide)에서 소정의 높이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실린더형 가이드(30)는 특히 상부가 보다 직경이 큰 형상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실린더형 가이드(30)는 바닥면의 중앙으로부터 일정한 직경으로 관형상의 유도관(4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유도관(40)은 실린더형 가이드(3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관형상의 에어가 지나는 통로이다.
유도관(40)은 상단부가 실린더형 가이드(30)의 높이보다는 낮게 형성되며, 이 상단부측의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제1 에어홀(41)을 형성한다.
유도관(40)의 제1 에어홀(41)의 하부측 내부에는 유도관(40)을 상하로 격리되도록 하는 격벽(42)이 형성되도록 하되 이 격벽(42)에는 미세한 직경으로 수직으로 관통시킨 제2 에어홀(43)이 형성되도록 한다.
유도관(40)을 격리시키는 격벽(42)의 상부에는 격벽(42)에 형성한 제2 에어홀(43)을 통한 에어의 유동을 단속하도록 하는 볼 밸브(50)가 구비되도록 한다.
볼 밸브(50)는 자중에 의해서 격벽(42)의 제2 에어홀(43)을 막고 있다가 유도관(40)의 제1 에어홀(41)을 통해 흡입 압력이 발생되도록 하면 이때 볼 밸브(50)가 미세한 높이로 들려지면서 막혀있던 제2 에어홀(43)을 개방시키도록 한다.
한편 격벽(42)에는 별도의 밸브 시트(51)가 끼워지고, 이 밸브 시트(51)에서 수직 관통되도록 한 홀을 볼 밸브(50)에 의해 차폐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실린더형 가이드(30)에는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면서 바닥면이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한 통형상의 피스톤(60)이 구비되도록 한다.
즉 피스톤(60)은 내부가 비고 상향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다만 바닥면의 중앙 부위가 수직으로 관통되면서 이 중앙 부위를 유도관(40)이 통과하도록 한다.
특히 피스톤(60)의 관통된 바닥면의 중앙 부위에는 오링(61)이 이탈 방지되도록 끼워지도록 하여 이 오링(61)이 유도관(40)의 외주면을 따라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피스톤(60)이 승강하도록 하는 동시에 이 부위를 통한 피스톤(60)의 기밀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한다.
밸브체(70)는 피스톤(60)의 내부에서 저면이 유도관(40)의 상향 개방된 상단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고, 외주면은 피스톤(60)의 내주면과 근접하도록 구비되는 형상이다.
이때 밸브체(70)의 외주면에는 오링(72)이 끼워지도록 하되 오링(72)은 외주면이 피스톤(60)의 내주면과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밸브체(70)에서 오링(72)이 끼워지도록 형성한 링홈(71)은 오링(72)이 상하로 미세하게 유동이 가능한 높이를 가지며, 내측으로는 에어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을 갖는 깊이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밸브체(70)에는 링홈(71)의 내측 공간으로부터 상부로 관통되도록 하는 제3 에어홀(73)이 복수개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피스톤(60)의 개방된 상단부에는 캡(80)을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피스톤(60)과 캡(80)의 결합 부위는 미세하게 이격되는 간극을 형성하여 이 간극을 통해서 에어가 인출입되도록 한다.
한편 캡(80)에 의해 상단부가 커버된 피스톤(60)의 상부면과 캡(80)의 저면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90)이 탄설되도록 한다.
코일 스프링(90)은 피스톤(60)의 복원 수단이다.
상기한 구성에서 실린더형 가이드(30)의 상단부측 주면 또는 뚜껑(20)의 실린더형 가이드(30)측 상부면의 내주연부에는 피스톤(6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캡(80)의 외주면을 따라 상부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월일을 구분하여 날 짜가 직접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부(22)를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별도의 표시부(22)와 동일한 방식으로 월일을 표시한 표시판이 부착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캡(80)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표시부(22)에서의 월(month)을 지시하는 포인터(81)와 일(day)을 지시하는 포인터(82)가 각각 구비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압 제거 부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진공압 제거 부재(100)는 펌핑 수단의 일측에서 뚜껑부재(20)에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진공압 제거 부재(100)는 용기(10)의 내부에 형성된 진공압 상태를 신속하게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압 제거 부재(100)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브(101)가 스프링(102)에 의해 항상 뚜껑(20)에 수직 관통되게 형성되도록 한 홀(103)의 상단부를 막고 있도록 하며, 밸브(101)를 상부로 잡아당기게 되면 막혔던 홀(103)의 상단부가 개방되면서 외기가 용기(1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내부의 진공압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진공압 제거 부재(100)는 외부로부터 용기(10)의 내부로 에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이를 위해 진공압 제거 부재(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20) 상부에서 밸브(101)를 상부로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용기(10)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되게 할 수도 있고, 이와는 반대로 밸브를 누르는 방식으로 용기(10)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게 함으로써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진공압 제거 부재(100)는 밸브(101)에 의한 용기(10)의 기밀 유지를 위 하여 오링(104)이 구비되게 함으로서 실링이 안전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존용 용기에서의 진공압 형성을 위한 펌핑 작동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뚜껑(20)의 중앙 부위에 구비되는 펌핑 수단의 조작에 의해서 수행된다.
이를 위해 우선 보관을 필요로 하는 식품 또는 음식물을 용기(10)의 내부에 일정량 채워지도록 하고, 용기(10)의 상부면으로는 뚜껑(20)을 덮어 용기(10)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밀폐된 용기(10)의 상부에서 뚜껑(20)의 상부면 중앙에는 펌핑 수단이 조립되도록 한다.
펌핑 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유도관(40)의 내부에는 밸브 시트(51)와 볼 밸브(50)가 차례로 삽입되도록 하고, 유도관(40)에는 피스톤(60)이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며, 유도관(40)의 상단부에는 외주면의 오링(61)이 피스톤(60)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밸브체(7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피스톤(60)의 상단부에는 캡(80)을 결합하여 커버되도록 하며, 캡(80)의 저면은 밸브체(70)의 상부면과의 사이로 코일 스프링(90)에 의해서 탄력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본 고안은 캡(80)을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거나 압력을 제거시키는 조작에 의해서 용기(10)의 내부로부터 에어를 강제 배출시켜 용기(10)의 내부가 진공압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캡(80)을 상부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게 되면 캡(80)과 함께 피스톤(60)이 하향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60)의 이동으로 피스톤(6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던 밸브체(70)의 외주면에 구비한 오링(72)은 링홈(71)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밸브체(70)의 상부와 하부의 공간이 서로 차단되도록 한다.
이렇게 피스톤(60)이 하강하게 될 때 밸브체(70) 상부의 에어는 피스톤(60)과 캡(80)의 결합면간 간극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피스톤(60)을 하강 작용에 의해 밸브체(70)를 기준으로 상부의 공간은 축소되는 대신 하부측 공간은 확장되려는 흡입 압력이 발생되는데, 이때의 흡입 압력에 의해서 유도관(40)에 내장된 볼 밸브(50)가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하게 된다.
볼 밸브(50)의 상승에 의해 제2 에어홀(43)이 개방되면서 용기(10) 내부의 에어가 유도관(40)의 하부를 통해 제2 에어홀(43)과 제1 에어홀(41)을 거쳐 밸브체(70)의 하부 공간으로 채워지게 된다.
즉 피스톤(60)이 하강하는 순간 용기(10)의 내부로부터 에어가 피스톤(60)의 밸브체(70)를 기준으로 하부측 공간으로 유도되면서 피스톤(40)이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피스톤(60)을 최대한 하강시키게 되면 피스톤(60)의 하부측 공간으로 다량의 에어가 채워지면서 용기(10)의 내부 압력은 급격하게 낮아지게 된다.
이렇게 피스톤(60)을 최대한 하강시키다 캡(80)을 누르던 압력을 제거시키면 밸브체(70)와 캡(80) 사이에 구비되어 있던 코일 스프링(90)의 복원력에 의해서 피스톤(60)은 상승 작용을 하게 된다.
피스톤(60)이 상승하게 되면 도 8에서와 같이 피스톤(6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던 밸브체(70)의 오링(72)이 링홈(71)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60)의 하부측 공간에 대기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게 되므로 이 압력이 제1 에어홀(41)을 통해 볼 밸브(50)에 전달되면서 볼 밸브(50)가 밸브 시트(51)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제1 에어홀(43)을 막게 되므로 용기(10)의 내부와는 격리되는 상태가 된다.
다만 피스톤(60)의 내주면과 밸브체(70)의 외주면 사이에서 도 8에서와 같이 밸브체(70) 하부의 공간으로부터 에어가 링홈(71)을 통해 링홈(71)과 밸브체(70)의 상부가 연통되도록 한 제3 에어홀(73)을 통해 밸브체(70) 상부측 피스톤(60)의 상부 공간으로 유도된다.
밸브체(70)를 기준으로 그 하부의 공간으로부터 상부의 공간으로 에어가 유도되면서 피스톤(60)은 단순히 코일 스프링(90)의 복원력에 의해서도 원활하게 상승할 수가 있다.
피스톤(60)은 도 7에서와 같이 코일 스프링(90)의 복원력이 제거될 때까지 상승되도록 하며, 다시 전술한 바와 같이 캡(80)에 압력을 가하는 동작과 압력을 해제하는 동작을 반복 실시함으로써 용기(10)의 내부로부터 최대한 에어를 배출시 켜 내부가 진공압의 상태로서 유지되도록 한다.
진공압의 형성 압력이 크면 클수록 용기(10)와 뚜껑(20)간 결합력은 더욱 강해지게 되면서 실링성 또한 보다 향상된다.
이렇게 진공압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식품을 보관하게 되면 보다 장시간의 보관 중에도 신선도를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된다.
진공압을 유지시키는 중에 식품을 꺼내고자 할 때에는 펌핑 수단의 일측으로 구비한 진공압 제거 부재(100)을 간단히 조작하여 외기가 용기(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면 용기(10)의 내부 압력이 점차 상승하면서 용기(10)와 뚜껑(20)간 결합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용기(10)로부터 뚜껑(20)을 손쉽게 분리시킬 수가 있다.
한편 식품을 보관할 때에는 캡(80)의 상부에 구비한 포인터(81)(82)들을 적절히 조작하여 최초 보관 날자가 표시되도록 하여 지나치게 오랜 시간 동안 방치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용기(10)의 뚜껑(20)에 펌핑 구조를 구비하여 식품이 보관되는 용기(10)의 내부가 진공압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은 선등록 발명과 대동소이하나 본 고안은 캡(80)을 눌러 피스톤(60)을 하강시키게 될 때 용기(10)로부터 에어를 배출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진공압 형성을 보다 신속하고 쉽게 할 수가 있다.
즉 종전에는 누르는 압력에 의해 피스톤 내부의 에어가 배출되고,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용기의 내부로부터 에어가 피스톤 내부로 유도되면서 진공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인데 비해 본 고안에서는 캡(80)을 누르는 과정에서 용기(10) 내 부의 에어가 배출되면서 진공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진공압 형성 효율을 보다 높일 수가 있다.
특히 용기(10) 내에서의 압력이 점차 낮아지게 되더라도 캡(80)의 조작력은 거의 일정하므로 보다 손쉬운 취급을 제공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고안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바람직한 다양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압력을 가하는 동작에서 용기의 내부로부터 에어가 배출하는 동시에 피스톤 내에 모인 일부의 에어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서는 단순히 피스톤의 내부에서 밸브체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에어를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용기 내부의 진공압 크기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조작력을 유지할 수가 있으므로 조작 및 취급을 더욱 쉽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프링 복원력이 신속하면서 일정하므로 용기의 진공압 형성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가 있으며, 특히 실링성이 우수하여 장시간을 진공압 상태로 유지시키더라도 진공압 변화가 거의 없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된 식품 보관을 가능케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일정 크기의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개방된 상부면을 커버하는 뚜껑(20)과;
    상기 뚜껑(20)의 상부면 중앙을 일정한 직경과 깊이로서 하향 요입되도록 한 실린더형 가이드(30)와;
    상기 실린더형 가이드(30)의 바닥면 중앙으로부터는 일정한 직경으로 상향 돌출되도록 하면서 내부는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한 관형상이며, 상단부측의 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제1 에어홀(41)을 형성하고, 제1 에어홀(41)의 하부측 내부는 제2 에어홀(43)을 형성한 격벽(42)에 의해 내부가 상하로 격리되도록 하는 유도관(40)과;
    상기 유도관(40)의 상기 격벽(42)의 상부에서 제2 에어홀(43)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볼 밸브(50)와;
    상기 실린더형 가이드(30)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가지며, 내부가 비고, 상향 개방되도록 한 통형상이며, 바닥면은 상기 유도관(40)이 관통되도록 하면서 상기 유도관(40)과는 오링(61)에 의해 실링되는 피스톤(60)과;
    상기 유도관(40)의 상단부에 저면이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하 유동이 가능하면서 상기 피스톤(6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오링(72)이 구비되며, 상기 오링(72)을 수용하는 링홈(71)은 내측의 공간이 복수의 제3 에어홀(73)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60) 상부의 공간과 연통되는 밸브체(70)와;
    상기 피스톤(60)의 상단부에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60)과의 결합면 사이를 이격시킨 간극을 통해 에어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한 캡(80)과;
    상기 밸브체(70)와 상기 캡(80) 사이를 일정한 탄성력으로 유지시키는 코일 스프링(90):
    으로서 이루어지는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40)은 상단부가 상기 밸브체(70)의 결합에 의해 커버되면서 외주면에 형성한 제1 에어홀(41)은 상기 밸브체(70) 하부의 상기 피스톤(60)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에는 일측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브(101)가 스프링(102)에 의해 탄력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뚜껑(20)에 수직 관통되게 형성한 홀(103)의 상단부를 오링(104)과의 밀착에 의해서 막도록 하며, 상기 밸브(101)를 상부로 잡아당겨 홀(103)의 상단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실린더형 가이드(30)측 상부면의 내주연 부에는 상기 피스톤(6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캡(80)의 외주면을 따라 상부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월일을 구분하여 날짜가 직접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부(22)를 형성한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80)에는 상기 표시부(22)에서의 월(month)을 지시하는 포인터(81)와 일(day)을 지시하는 포인터(82)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외주연 단부의 저면으로 상기 용기(10)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시일(21)을 구비하는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KR2020060014377U 2006-05-29 2006-05-29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KR200424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377U KR200424953Y1 (ko) 2006-05-29 2006-05-29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PCT/KR2007/002586 WO2007139332A1 (en) 2006-05-29 2007-05-29 Vacuum container to preserve 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377U KR200424953Y1 (ko) 2006-05-29 2006-05-29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953Y1 true KR200424953Y1 (ko) 2006-08-29

Family

ID=3877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377U KR200424953Y1 (ko) 2006-05-29 2006-05-29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24953Y1 (ko)
WO (1) WO200713933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77Y1 (ko) 2008-06-04 2009-07-07 풍강산업 주식회사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
KR101011446B1 (ko) 2008-10-24 2011-01-28 주식회사 해피콜 펌핑 마개
KR200462552Y1 (ko) 2012-05-11 2012-09-14 성상호 진공펌프가 결합된 진공용기
KR101844784B1 (ko) * 2016-11-14 2018-04-05 안중근 진공텀블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7071A (zh) * 2010-09-28 2012-04-18 具定奥 真空容器用真空泵
KR101144500B1 (ko) * 2012-03-16 2012-05-11 김상영 진공화 장치
CN105501687A (zh) * 2016-01-15 2016-04-20 东莞市觅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低成本负压控制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2632A (en) * 1996-05-01 1997-12-02 Hsieh; Chien-Hsing Container with a self-contained evacuation lid
JPH1149243A (ja) * 1997-08-01 1999-02-23 Masaharu Miyake 食品保存用の容器
KR100455105B1 (ko) * 2001-08-20 2004-11-12 박윤식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77Y1 (ko) 2008-06-04 2009-07-07 풍강산업 주식회사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
KR101011446B1 (ko) 2008-10-24 2011-01-28 주식회사 해피콜 펌핑 마개
KR200462552Y1 (ko) 2012-05-11 2012-09-14 성상호 진공펌프가 결합된 진공용기
KR101844784B1 (ko) * 2016-11-14 2018-04-05 안중근 진공텀블러
WO2018088796A1 (ko) * 2016-11-14 2018-05-17 안중근 진공텀블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39332A1 (en)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4953Y1 (ko)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US5535900A (en) Bottle cap with an air removing device
KR101161732B1 (ko)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US8919610B2 (en) Vacuum bottle stopper for wine and method
US9375107B2 (en) Beverage container closure
EP1308400B1 (en) Closure device for vacuum container
EP2567909A1 (en) Beverage container closure with venting
US9656847B2 (en) Vacuum bottle stopper for introducing inert gas into a wine container
RU2015125892A (ru) Раздаточ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напитков
EP2727993A1 (en) Device for preserving wine in a bottle
US6053366A (en) Closable pouring cap
US20200039724A1 (en) Vacuum-sealed container
KR101793837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KR100455105B1 (ko)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
KR101625494B1 (ko) 진공 밀폐용기
KR200351500Y1 (ko) 음식물 보관용 용기
KR101031833B1 (ko) 병 및 진공용기 진공펌프
CN205931771U (zh) 抽真空结构、真空保鲜盖、密封柱芯和真空保鲜容器
KR200473793Y1 (ko) 원터치형 누름수단과 진공수단을 갖는 김치통
CN109843736B (zh) 盖子自动开闭式容器
CN106043936A (zh) 抽真空结构、真空保鲜盖和真空保鲜容器
JP2885720B2 (ja) 飲料容器
KR200438978Y1 (ko)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KR101011446B1 (ko) 펌핑 마개
KR200269043Y1 (ko) 밀/개폐형 밸브구조를 갖는 식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