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793Y1 - 원터치형 누름수단과 진공수단을 갖는 김치통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누름수단과 진공수단을 갖는 김치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793Y1
KR200473793Y1 KR2020130006690U KR20130006690U KR200473793Y1 KR 200473793 Y1 KR200473793 Y1 KR 200473793Y1 KR 2020130006690 U KR2020130006690 U KR 2020130006690U KR 20130006690 U KR20130006690 U KR 20130006690U KR 200473793 Y1 KR200473793 Y1 KR 200473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cylinder
button
piston
touch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식
김진란
Original Assignee
박순식
김진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식, 김진란 filed Critical 박순식
Priority to KR2020130006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7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means for keeping contents in position, e.g. resili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원은 김치의 건더기를 김치국물로 침지(沈漬)시키기 위한 김치통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통 내부로 누름부재를 가지면서 또한 김치통 뚜껑에는 김치통 내부의 공기를 빼낼 수 있도록 원터치형 버튼부재가 부착되어 밀폐용기로 제공되는 원터치형 버튼을 갖는 김치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원터치형 버튼부재의 바람직한 구성은, 김치뚜껑에 형성된 통공에 끼워져 김치뚜껑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제1체크밸브와, 그 상단에 내삽실린더와 버튼피스톤 사이로 스프링이 끼워져 실린더/피스톤 구조를 이루고, 상기 실런더의 중앙 하단에는 제1체크밸브와 연결되는 유통구를 가지고, 상기 피스톤의 상단 일단에는 송풍구와 제2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구조로써, 사람의 손으로 버튼피스톤을 눌러 제2체크밸브를 통해 실린더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고, 손을 떼었을 때 스프링에 의해 버튼피스톤이 원위치하면서 제1체크밸브를 통해 김치통 내부의 공기가 실린더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형 버튼을 갖는 김치통에 관한 기술사상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원터치형 누름수단과 진공수단을 갖는 김치통{One-touch type vacuum pressing kimch-box with pressing plate}
본원은 김치의 건더기를 김치국물 저부로 침지시키기 위한 누름기능과 김치통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 배출시켜 김치통 내부에 진공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진공기능을 겸하는 김치통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통의 중간위치에서 김치의 건더기를 김치국물 저부로 침지시키기 위한 누름부재를 가지면서 또한 김치통 뚜껑에는 김치통 내부에서 누름부재의 상부에 있는 김치 국물과 뚜껑 사이에 있는 공기를 빼낼 수 있도록 뚜껑에 원터치형 버튼부재가 부착되어 밀폐구조로 제공되는 원터치형 누름 및 진공수단을 갖는 김치통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우리 민족이 가장 즐겨 먹는 식품으로 일정 기간을 거쳐 숙성되어야 제 맛을 내며 전통적으로는 항아리에 김치를 담아 숙성을 시키는 방법이 적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김치냉장고를 통해 김치를 숙성시키면서 보관하게 된다.
김치냉장고에 김치를 보관할 때에는 별도의 밀폐용기에 김치를 넣어 김치냉장고에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하는 밀폐용기를 보통 김치통이라고 한다.
김치통은 일반적으로 내측이 비어 있어 김치를 담을 수 있도록 함체의 상측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함체 상측으로 뚜껑이 덮혀 밀폐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는바, 예를 들어 발명자의 선등록 실용신안 제465164호에서는 밀폐용기에 담겨 진 건더기를 눌러줄 수 있도록 속 뚜껑이 구비되어 김치 건더기가 김치 국물보다 아래로 깔려 밀폐용기 하부로 침지된 상태로 유지 및 보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김치 건더기의 공기접촉을 차단하여 장기간 맛이 변질 되지 않아 오랫동안 숙성된 김치맛을 제공하며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사상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김치통이 밀폐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김치냉장고에 저장되어 보관되는 경우에도 김치통 내부에는 김치건더기와 김치 국물만이 보관되는 것이 아니라 김치국물 상부로는 공기가 존재하게 되며, 공기 중의 산소는 김치건더기 및 김치 국물을 산화시키는 촉진제가 되어 결국 김치맛을 쉽게 변질시키는 산폐 원인물질이 된다.
또한, 김치는 보관 및 숙성과정에도 유산균의 발효가 진행되고 이에 따라 김치보관 용기에 CO2 등의 발효가스가 발생하게 되나 현재까지 제공된 김치보관 용기에는 벤트(vent)구의 배출수단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는 구조였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오랜 기간 보관하여도 김치의 맛을 변질시키지 않기 위하여 김치의 건더기를 김치 국물 저부로 침지시키기 위한 누름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김치통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서 진공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진공기능을 겸하는 김치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김치통에서 김치를 일정 부분 덜어내어 섭취하기 위해 김치통을 수시로 열고 닫으며 이용하는 현실을 감안하여, 김치통 뚜껑을 열었다가 다시 닫았을 때 김치통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진공상태로 조작이 쉽고 용이하게 원터치형 버튼부재를 누르는 형태로 적용되는 진공시스템이 적용되되, 더욱 구체적으로 원터치 버튼부재를 눌렀을 때 김치통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펌핑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김치통 뚜껑에 마련된 통공과 원터치 버튼부재에 마련된 통공에 각각 체크밸브를 부착한 형태로 제공되는 원터치형 진공시스템이 적용되는 원터치형 진공 및 누름 김치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김치통은 김치를 담근 날짜를 확인하여 김치의 숙성이 어느 정도 이뤄졌는지를 짐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김치통 뚜껑 상단 또는 원터치 버튼 상단에 월(月)과 일(日)을 표시할 수 있는 원터치형 진공 및 누름 김치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 본원에서는 김치통 뚜껑의 중앙 상단으로 원터치형 버튼 부재가 부착되되, 상기 원터치형 버튼 부재는 실린더와 피스톤 구조를 이루고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하여 피스톤을 눌렀다가 손을 떼면 원위치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며, 상기 원터치 버튼 부재의 하단에 위치한 김치통 뚜껑에는 통공이 뚫려 김치통 내부에서 공기가 유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또한 상기 통공에는 체크밸브가 부착되어 김치통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형 버튼부재 김치통에 관한 기술사상이 개시된다.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김치통은 함체 내측으로 내공간의 평단면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버튼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버튼부재의 테두리가 내 공간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김치통 뚜껑의 상단 중앙에는 원터치형 버튼부재가 내삽되는 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내삽공간의 중앙하단부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원터치형 버튼부재는 상기 통공에 끼워지는 체크밸브와, 그 상부로 위치하는 스프링과 상기 내삽 공간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지면서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위치하여 스프링에 의해 눌렸다가 원위치할 수 있도록 실린더/피스톤 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고 상기 원터치형 버튼부재를 누르면 김치통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도록 제공되는 원터치형 버튼을 갖는 김치통을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김치통에서 원터치형 버튼부재에서 김치통 뚜껑의 통공에 끼워지는 체크밸브는 통공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단으로 돌기부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통공은 상기 체크밸브의 돌기부가 끼워진 후 잘 빠지지 않도록 십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공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터치형 버튼부재와 김치통 뚜껑의 내삽공간 사이에 밀폐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내삽공간의 내부에 대응되는 외벽을 이루고 내부로 원터치형 버튼부재가 내삽될 수 있도록 내삽실린더가 추가로 구성되되, 상기 내삽실린더의 하단 중앙에는 체크밸브의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별도의 유통구가 추가로 형성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원에서 제공하는 김치통은 원터치형 버튼부재가 피스톤 역할을 담당하고 내삽실린더가 실린더 역할을 담당하여 원터치형 버튼부재가 내삽실린더에 끼워져 밀폐구조를 이루도록 하면서 사람의 손에 의해 눌렸다가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이루며, 내삽실린더와 체크밸브 사이에는 체크밸브를 통해 내삽실린더 안으로 공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원터치형 버튼부재의 상측이나 외측에 별도의 유통구가 형성되되 상기 유통구에는 제2체크밸브가 추가로 설치되는 구성을 이루도록 제공되고, 또한 원터치형 버튼부재의 상단에는 날짜를 표시할 수 있도록 월회전링과 일회전링이 부착되되, 상기 월회전링과 일회전링은 버튼부재의 상단에 부착된 상태로 링을 회전시켜 날짜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기술사상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하는 원터치 타입 버튼부재 김치통은 김치통 함체 내부로 버튼부재 판이 들어가 김치 건더기가 김치국물 속에 완전히 잠길 수 있도록 하여 산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또한 밀폐된 김치통 내부의 공기를 최대한 빼내어 진공상태에 가깝도록 만들어 줌으로써 검치 건더기뿐 아니라 김치 국물의 변질까지 최소한으로 줄여주어 오랜 기간 김치를 보관하여 저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원에서 제공하는 김치통은 김치통에 보관된 김치를 꺼내기 위해 수시로 열고 닫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을 감안하여, 김치통 뚜껑을 열고 김치를 덜어낸 후 다시 진공상태처럼 공기를 빼내는 작업을 간단하고 수월하게 수행하면서 동시에 김치통에 발효가스가 발생될 때는 벤트(vent)구의 역활을 수행하는 체크밸브를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원터치형 누름부재 김치통의 구성을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원터치형 누름부재 김치통의 조립된 구성을 예시한 측단면도.
도 3은 김치통 뚜껑의 측단면도를 확대한 예시도.
도 4는 원터치형 버튼부재의 구성을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김치를 저장한 월/일을 표시할 수 있도록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원터치형 누름부재 김치통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예시도.
이하 본원 고안의 기술사상을 바람직하게 구현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겸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에서 제공하는 원터치형 버튼을 갖는 김치통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제시된 부품들이 조립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하는 원터치형 버튼을 갖는 김치통은 상측이 개방된 형태의 함체(10)와 상기 함체 내부로 삽입되는 누름판(11)과 상기 함체의 상측을 덮어 밀폐구조를 이루는 김치통 뚜껑(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함체(10)는 직사각형태, 정사각형태, 또는 원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개방된 상측으로 김치통 뚜껑(20)이 덮여 씌워져 밀폐구조를 이룰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내부로 김치건더기와 김치 국물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 누름판(11)은 함체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이루되, 상기 누름판의 테두리가 함체의 내측벽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함체 내부에 보관된 김치건더기를 김치 국물 아래로 눌러주어 김치건더기가 공기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김치건더기가 쉽게 산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함체(10)와 누름판(11)은 본 발명자의 선등록 실용신안인 20-0465164호에서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특징부를 이루는 김치통은 함체(10)의 상측을 덮어주는 김치통 뚜껑(20)에 있으며, 본원에서 제공되는 김치통 뚜껑(20)은 상단 중앙으로 원터치형 버튼부재(30)가 내삽될 수 있도록 마련된 내삽공간(21)이 형성되고 내삽공간(21)의 중앙에서 원터치형 버튼부재의 바로 하단에 위치하는 곳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통공(22)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김치통 뚜껑(20)의 내삽공간(21)은 도 3을 통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할 수 있는 바, 도 3은 도 2b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3a는 김치통 뚜껑(20)에서 원터치형 버튼부재(30)가 부착되기 전 상태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원터치형 버튼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삽공간(21)의 중앙에는 통공(22)이 뚫려 있고 상기 통공을 통해 밀폐된 김치통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3b에서는 이와 반대로 외부의 공기가 김치통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크밸브가 포함된 원터치형 버튼부재(30)가 끼워진 형태를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난 내삽공간(21)은 원터치형 버튼부재(30)가 끼워졌을 때 버튼부재의 상단 높이와 김치통 뚜껑의 상단 높이가 동일하거나 또는 버튼부재의 상단 높이가 조금 더 낮도록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터치형 버튼부재는 내부로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부착된 실린더와 피스톤 구조를 이루어, 피스톤을 밑으로 눌러주어도 스프링에 의해 다시 상부로 원위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내삽공간(21)의 내주면을 따라 살짝 튀어나온 형태의 융기부(23)를 형성하여 상기 원터치형 버튼부재(30)가 내삽되었을 때 쉽게 빠지거나 이탈하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는 본원의 김치통에 적용되는 원터치형 버튼부재(30)의 일 적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3b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분해사시도 형태로 원터치형 버튼부재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원터치형 버튼부재(30)를 도 3b와 도 4를 통해서 설명하여 보면, 원터치형 버튼부재(30)는 내삽실린더(32)와 버튼피스톤(34)이 결합하는 구성되는 구조를 이루되, 상기 내삽실린더와 버튼피스톤 사이에는 스프링(33)이 끼워져 내삽실린더(32)와 버튼피스톤(34) 간에 항상 일정 간격 이상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상기 내삽실린더(32)는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이고 상기 버튼피스톤(34)은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태를 기본형상으로 하여 상기 버튼피스톤의 외경이 상기 내삽실린더의 내경과 같도록 하여 버튼피스톤이 내삽실린더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내삽실린더와 버튼실린더 사이에는 스프링(33)이 설치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특히 내삽실린더의 하단부에는 상기 김치통뚜껑의 통공(22)에 끼워지는 제1체크밸브(31)와 상기 체크밸브의 상단에 상기 김치통 뚜껑의 내삽공간(21)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외벽을 갖는 구조를 갖는 내삽실린더(32)가 끼워지고 그 상부로 버튼피스톤(34)이 끼워지되, 상기 버튼피스톤의 일단에는 버튼피스톤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송풍구(37)와 상기 송풍구에 끼워지는 제2체크밸브(38)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체크밸브(31)는 상기 김치통 뚜껑의 내삽공간 중앙 하단에 마련된 통공(22)에 끼워지는 구조를 가지며 김치통 내부의 공기를 내압실린더(32) 내부로 이동할 수는 있으나 실린더 내부의 공기가 김치통 내부로 이동하는 것은 차단하며 이때 상기 제1체크밸브(31)는 통공(2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측에도 돌기부(31a)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22)에서는 상기 돌기부(31a)가 끼워진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십자(+) 형태의 구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삽실린더(32)는 개방된 상부로 버튼피스톤(34)이 끼워질 수 있는 형태로 내삽공간의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정확하게 대응되는 외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이때 상기 내삽실린더(32)가 내삽공간(2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삽공간에 융기부(23)가 튀어나온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내삽실린더의 외벽이 상기 융기부(23)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삽실린더와 내삽공간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서 공기가 들어오거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삽실린더와 내삽공간 사이에 오링(32a)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삽실린더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내삽실린더의 하부에 위치한 체크밸브(31)와 공기가 연결되도록 다수 개의 유통구(32b)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피스톤(34)은 하부가 개방되어 내삽실린더(32) 안으로 들어가 피스톤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버튼피스톤과 내삽실린더 사이의 스프링(33)에 의해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이때 상기 버튼피스톤(34)이 내삽실린더(3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버튼피스톤과 내삽실린더 사이에 걸림턱과 걸림부가 마련되어 걸림턱이 걸림부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피스톤과 내삽실린더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 밀폐 구조를 이루기 위해 버튼피스톤과 내삽실린더 사이에 오링(34a)이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피스톤이 내삽공간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내삽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삽공간의 일단에는 융기부(23)가 형성되고 버튼피스톤의 외측면에는 상기 융기부(23)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피스톤(34)을 누를 때 상기 버튼피스톤과 내삽실린더(32) 사이의 내부 공간이 줄어들면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상기 버튼피스톤의 상측부 또는 일측부에는 버튼피스튼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송풍구(37)가 마련되고 상기 송풍구(37)의 외측면으로 패드 형태의 제2체크밸브(38)가 설치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는 있어도 외부의 공기가 피스톤 내부의 공간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한다.
즉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원터치형 버튼부재의 바람직한 구성은, 김치뚜껑에 형성된 통공(22)에 끼워져 김치뚜껑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체크밸브(31)와, 상기 제1체크밸브(31)의 상단에 위치하여 체크밸브가 통공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또한 제1체크벨브를 통해 나오는 공기를 방해하지 않도록 유통구(32a)가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형태의 내삽실린더(32)와, 상기 내삽실린더의 상단에 올려지는 스프링(33)과, 상기 스프링(33)의 상단에 위치하며 하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써 손으로 쉽게 누를 수 있는 형상을 가진 버튼피스톤(35)과, 상기 내삽공간과 내삽실린더 사이, 또는 내삽실린더와 버튼피스톤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공기가 유출/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끼워지는 오링(32a, 34a)과, 상기 버튼피스톤의 일단으로 뚫린 송풍구(37)에 위치되어 버튼피스톤과 내삽공간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만 빼낼 수 있도록 설치된 제2체크밸브(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하는 원터치형 누름부재 김치통은 김치통 내부의 공기를 최대한으로 배출시켜 오랜 기간 변질시키지 않고 김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 것인바, 장기간 김치를 보관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김치를 담은 날짜, 또는 김치를 처음 저장한 날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원에서 제공하는 원터치형 누름부재 김치통에 김치를 저장한 월/일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적용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원터치형 버튼피스톤(34)의 상단에는 김치를 담은 날을 표시할 수 있도록 월 회전링(36)이 내측에 위치하고 일 회전링(35)이 외측에 위치하도록 부착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월회전링(36)과 일회전링(35)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만 할 수 있도록 적용되며, 그 외측에 표시된 삼각형의 포인터(39)에 의해 월회전링과 일회전링을 돌려 김치를 담근 날짜 또는 처음 김치통에 저장한 날짜를 표시하여 적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바람직하게 구현되어 적용된 원터치형 누름부재 김치통을 통해 김치를 보관하는 실시형태를 예시한 것으로써, 함체(10) 내부로 저장된 김치에서 누름부재(11)에 의해 김치 건더기가 눌려 김치 국물 속에 있으면서 또한 누름부재(11) 상부의 김치 국물과 뚜껑(20) 사이에 있는 공기층을 원터치형 버튼부재(30)에 의해 내부의 공기를 최대한 빼내어 진공상태 가까운 조건을 형성하여 김치의 맛을 오랫동안 유지하며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의 완성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10 : 함체 11 : 누름부재(누름판)
20 : 김치통 뚜껑 21 : 내삽 공간
22 : 통공 23 : 융기부
30 : 원터치형 버튼부재 31 : 제1체크밸브
32 : (내삽)실린더 32a : 오링
33 : 스프링(탄성부재) 34 : (버튼)피스톤
34a : 오링 35 : 월 회전링
36 : 일 회전링 37 : 송풍구
38 : 제2체크밸브 39 : 포인터

Claims (4)

  1. 내부로 김치를 저장하는 공간을 가지면서 상측이 개방된 함체(10) 상부로 김치통 뚜껑(20)이 결합되어 밀폐구조를 이루도록 적용되는 김치통에 있어서,
    상기 김치통의 함체 내측으로 내공간의 평단면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누름부재(11)가 삽입되고 누름부재의 테두리가 함체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김치통 뚜껑(20)의 상단 중앙에는 원터치형 버튼부재(30)가 내삽되는 공간(21)이 마련되되, 상기 내삽공간의 중앙에는 통공(22)이 형성되어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원터치형 버튼부재(30)는 상기 통공(22)에 끼워지는 체크밸브(31)와 그 상단에 내삽실린더(32)와 버튼피스톤(34) 사이로 스프링(33)이 끼워지는 구조를 갖고, 상기 내삽실린더는(32)는 상기 내삽공간(21)의 내면에 대응되는 외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내삽공간(21)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체크밸브(31)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체크밸브(31)와 연결된 부분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유통구(32b)가 마련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버튼피스톤(34)은 상기 내삽실린더의 개방된 상측으로 끼워져 피스톤 운동이 가능하면서 스프링에 의해 눌렸다가 원위치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버튼피스톤(34)의 일단부에는 상기 버튼피스톤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송풍구(37)가 마련되되, 상기 송풍구에는 버튼피스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가는 것만 허용하도록 제2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버튼을 갖는 김치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통 뚜껑의 내삽공간(21)의 내주면에서 밖으로 튀어나오도록 융기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원터치형 버튼부재의 내삽실린더(32)의 외주면으로는 상기 융기부의 형상에 대응되어 융기부를 안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32c)가 마련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버튼을 갖는 김치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형 버튼부재(30)의 내삽실린더(32)와 내삽공간(21)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공기가 통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내삽실린더의 외측면으로 오링(32a)이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내삽실린더(32)와 버튼피스톤(34)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공기가 통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버튼피스톤의 외측면으로 오링(34a)이 추가로 설치되어 원터치형 버튼부재의 내부가 밀폐구조를 이루면서 제1체크밸브(31)와 제2체크밸브(38)를 통해서만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버튼을 갖는 김치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형 버튼부재(30)의 상단에는 날짜를 표시할 수 있도록 월 회전링(36)과 일 회전링(35)이 부착되되, 상기 월 회전링과 일 회전링은 버튼부재의 상단에 부착된 상태로 링을 회전시켜 날짜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버튼을 갖는 김치통.
KR2020130006690U 2013-08-12 2013-08-12 원터치형 누름수단과 진공수단을 갖는 김치통 KR200473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690U KR200473793Y1 (ko) 2013-08-12 2013-08-12 원터치형 누름수단과 진공수단을 갖는 김치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690U KR200473793Y1 (ko) 2013-08-12 2013-08-12 원터치형 누름수단과 진공수단을 갖는 김치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793Y1 true KR200473793Y1 (ko) 2014-08-01

Family

ID=51987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690U KR200473793Y1 (ko) 2013-08-12 2013-08-12 원터치형 누름수단과 진공수단을 갖는 김치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7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470B1 (ko) * 2014-11-20 2015-06-25 추중휴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
WO2020095108A1 (en) * 2018-11-09 2020-05-14 Sky Chain Trading Ltd. Container with recessed hand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227Y1 (ko) 2001-08-23 2001-12-01 고려알파라인(주) 날자 표시기능을 갖는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KR200301969Y1 (ko) 2002-09-12 2003-01-24 (주)프리미어 코리아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KR200462552Y1 (ko) 2012-05-11 2012-09-14 성상호 진공펌프가 결합된 진공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227Y1 (ko) 2001-08-23 2001-12-01 고려알파라인(주) 날자 표시기능을 갖는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KR200301969Y1 (ko) 2002-09-12 2003-01-24 (주)프리미어 코리아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KR200462552Y1 (ko) 2012-05-11 2012-09-14 성상호 진공펌프가 결합된 진공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470B1 (ko) * 2014-11-20 2015-06-25 추중휴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
WO2020095108A1 (en) * 2018-11-09 2020-05-14 Sky Chain Trading Ltd. Container with recessed handle
US20210393059A1 (en) * 2018-11-09 2021-12-23 Sky Chain Trading Ltd. Container with recessed han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610B1 (ko) 원터치형 진공 누름버튼이 구비된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보관방법
KR20080014536A (ko)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
JP2004244106A (ja) 食品保存用真空容器
CN211418165U (zh) 容易内部排气的杯盖
KR101362264B1 (ko) 진공펌프
KR200473793Y1 (ko) 원터치형 누름수단과 진공수단을 갖는 김치통
KR200424953Y1 (ko)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KR100548059B1 (ko) 발효식품용 밀폐용기
US20200039724A1 (en) Vacuum-sealed container
KR101409575B1 (ko) 식품보관용기용 가압식 밀폐뚜껑
KR101400783B1 (ko) 내부압력 배출과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20170059596A (ko) 진공 텀블러
KR101445641B1 (ko) 내부압력 배출과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200469427Y1 (ko) 원터치형 진공수단 및 누름수단을 갖는 김치통
KR101985200B1 (ko) 진공밀폐용기
KR101389954B1 (ko)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CN205931771U (zh) 抽真空结构、真空保鲜盖、密封柱芯和真空保鲜容器
US20230046136A1 (en) Flexible lid for fermentation container
KR200351500Y1 (ko) 음식물 보관용 용기
KR20170089105A (ko) 조리용 진공냄비 뚜껑
CN105936384B (zh) 真空容器和真空保存装置
KR200474108Y1 (ko)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MXPA03007612A (es) Tapa de vacio reutilizable.
KR20170076176A (ko)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KR20030067014A (ko) 밀폐형 식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