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470B1 -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470B1
KR101531470B1 KR1020140162403A KR20140162403A KR101531470B1 KR 101531470 B1 KR101531470 B1 KR 101531470B1 KR 1020140162403 A KR1020140162403 A KR 1020140162403A KR 20140162403 A KR20140162403 A KR 20140162403A KR 101531470 B1 KR101531470 B1 KR 101531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lastic member
food
cover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중휴
Original Assignee
추중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중휴 filed Critical 추중휴
Priority to KR102014016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뚜껑에 진공 발생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용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음식물 수용부, 및 상기 음식물 수용부의 상단 개구부를 덮어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음식물 수용부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저압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저압 장치가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저압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음식물 수용부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구멍이 바닥에 형성된 수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저압 장치는: 상기 배출 구멍에 장착되어, 상기 음식물 수용부 내부로의 공기의 흐름은 차단하고, 반대 방향의 공기의 흐름만을 허용하기 위한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 상기 배출 구멍을 덮도록 상기 수용 홈에 장착된 중공을 갖는 관 형태의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상단을 덮어 밀폐하도록 구성된 상단 밀폐 부재로 이루어진 저압 발생 부재, 및 상기 상단 밀폐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 내부로의 공기의 흐름은 차단하고, 반대 방향의 공기의 흐름만을 허용하기 위한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Vacuum Container for Storing Food}
본 발명은 음식물을 진공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의 뚜껑에 진공 발생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용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62552호에 진공펌프가 결합된 진공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고안은 제1 용기체의 내부에 스프링을 장착하고, 그 위에 제2 용기체를 스프링의 탄성 및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이도록 설치하여, 사용자가 가압하여 제2 용기체를 제1 용기체의 내측으로 하강 진입하면 제1 용기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반대로 사용자가 가압을 해제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제2 용기체가 상승하면서 하단의 체크밸브를 상승시켜 용기 본체의 공기를 제1 용기체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등록특허 제10-070765호 등에 개시된 바의 진공 발생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고 진공 발생 장치의 하단 개구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이 형성되고 수용 홈 상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진공 용기의 구성의 단순 결합으로서 조작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그런데, 개시된 기술들은 모두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는 피스톤 방식으로서, 사용자의 가압이 없는 경우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상승하는 피스톤의 힘으로 용기 내부의 공기를 상부 공간으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특히 전자의 개시 기술의 경우,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스프링을 내부에 포함함으로써 세척을 위하여 물에 빈번하게 노출되는 음식물 용기의 특성상 수분이 스프링으로 스며들어 부식을 일으킬 수 있고 부식성분이 음식물에도 침투해 들어가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여지도 있다. 실제로 전자의 기술의 경우 스프링이 존재하는 제1 용기체의 내부가 공기의 유출입 영역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공기가 유입될 때에 공기 중의 수분도 유입되고 이 수분을 반드시 스프링의 부식에 관여하게 될 것이다. 또한, 스프링 자체가 일정한 공간을 점유하고 있고,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중심 축도 설치되는 등 비교적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 비용이 많이 들어 제품의 단가를 높이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720765호 (2007.03.08 공개) 등록실용신안 제20-0462552호 (2012.09.1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수용부의 상단 개구부를 덮어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의 수용 홈에 음식물 수용부의 내부를 저압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저압 장치를 설치하고, 저압 장치의 저압 발생 부재로서 관 형태의 탄성 부재를 이용하는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는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음식물 수용부; 및 상기 음식물 수용부의 상단 개구부를 덮어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음식물 수용부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저압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저압 장치가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저압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음식물 수용부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구멍이 바닥에 형성된 수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저압 장치는:
상기 배출 구멍에 장착되어, 상기 음식물 수용부 내부로의 공기의 흐름은 차단하고, 반대 방향의 공기의 흐름만을 허용하기 위한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 상기 배출 구멍을 덮도록 상기 수용 홈에 장착된 중공을 갖는 관 형태의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상단을 덮어 밀폐하도록 구성된 상단 밀폐 부재로 이루어진 저압 발생 부재; 및 상기 상단 밀폐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 내부로의 공기의 흐름은 차단하고, 반대 방향의 공기의 흐름만을 허용하기 위한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충분한 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저압 발생 부재의 상단을 손으로 눌러 아래 방향으로 가압시 상기 탄성 부재가 수축되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중공에 포함된 공기를 상단 배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가압을 해제하면 복원력에 의하여 펴지면서 팽창하는 힘으로 상기 단방향 개폐 부재를 들어올려 상기 음식물 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탄성 부재의 중공으로 흡수하여 상기 음식물 수용부의 내부를 저압 상태로 만든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부재는 수평 방향의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는 상기 배출 구멍을 덮어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단 덮개부와 상기 배출 구멍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단 덮개부가 상기 배출 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단 이탈 방지부가 상기 배출 구멍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는 상방으로 돌출한 연성 부재의 가운데 돌출 부분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압축시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면서 공기가 배출되고, 그 반대의 경우는 상기 절개부가 닫히고 상기 배출 구멍이 열리면서 상기 음식물 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흡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 밀폐 부재의 외주면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 홈의 상단에 상기 걸림 돌기를 수용하여 잠그기 위한 잠금 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돌기의 일 측면이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 홈에도 상기 걸림 돌기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경사면이 형성된 진입 돌기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덮개부를 누르면 상기 걸림 돌기가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다가, 상기 잠금 홈의 상기 진입 돌기부를 지나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잠금 홈 내에서 상기 경사면을 따른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 홈 내에서 잠가지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압 장치는 상기 상단 밀폐 부재의 상단을 덮도록 체결되는 상단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 체결부와 상기 상단 밀폐 부재 사이에 공기가 흐를 수 있는 틈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상단 체결부를 손바닥으로 덮은 상태로 상기 저압 발생 부재를 가압하는 경우에도 상기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의 절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경로가 방해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 밀폐 부재는 상기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의 하단에 아래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압 발생 부재가 완전히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의 상단 덮개부를 아래 측으로 압박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음식물 수용부로 진입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한 하단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에 의하면, 저압 장치를 구성하는 관 형태의 탄성 부재에 의하여 저압 상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스프링 방식에 비하여 수분에 노출되더라도 부식의 염려가 없으므로 안심하고 용기를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스프링이라는 공간을 점유하는 부재가 중간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발명의 구성이 매우 단순화되어 제조 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2방향에서의 절단면도;
도 2는 수용 홈에 삽입된 도 1의 저압 장치에 대한 2방향에서의 절단면도(a) 및 단면도(b);
도 3은 도 2의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a) 및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b)에 대한 2방향에서의 절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잠금 장치의 동작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및
도 6은 도 2의 상단 밀폐 부재의 상단을 덮도록 체결되는 상단 체결부의 상면에 공기 배출 홈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절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는 기본적으로 음식물 수용부(100) 및 뚜껑(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음식물 수용부(100)는 음식물을 수용하여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내부를 저압 상태로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휘어짐에 의하여 변형이 되거나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경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금속 재질, 유리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뚜껑(200)은 음식물 수용부(100)의 상단 개구부를 덮어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음식물 수용부(100)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저압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저압 장치(3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뚜껑(200)은 상기 저압 장치(3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음식물 수용부(100)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구멍(212)이 바닥에 형성된 수용 홈(210)이 형성된다.
도 2는 수용 홈에 삽입된 도 1의 저압 장치에 대한 2방향에서의 절단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저압 장치(300)는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310), 저압 발생 부재(320), 및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310)는 수용 홈(210)의 배출 구멍(212)에 장착되어, 상기 음식물 수용부(100) 내부로의 공기의 흐름은 차단하고, 그 반대 방향의 공기의 흐름, 즉 용기의 외부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상기 저압 발생 부재(320)는 상기 배출 구멍(212)을 덮도록 상기 수용 홈(210)에 장착된 중공(326)을 갖는 관 형태의 탄성 부재(322) 및 상기 탄성 부재(322)의 상단을 덮어 밀폐하도록 구성된 상단 밀폐 부재(324)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저압 발생 부재(320)의 상단을 손으로 가압하면 관 형태의 탄성 부재(322)가 수축하면서 내부의 중공(326)이 좁아지는 상태로 된다. 사용자가 저압 발생 부재(320)의 상단에서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 부재(322)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면서 내부의 중공(326)이 넓어지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저압 발생 부재(320)의 상단을 손으로 가압 및 해제를 반복함으로써 내부의 중공(326)을 좁히고 넓히는 과정을 이용하여 음식물 수용부(100) 내부의 상태를 더 낮은 저압 상태로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330)는 상기 상단 밀폐 부재(324)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322) 내부로의 공기의 흐름은 차단하고, 그 반대 방향의 공기의 흐름, 즉 용기의 외부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따라서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310)와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330)에 의하여 음식물 수용부(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만이 허용되고, 각 개폐 부재(310, 330)를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동작시키면서 음식물 수용부(100) 내부의 상태를 더욱더 저압의 상태, 다시 말해서 일반적으로 '진공 상태'로 명명되는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22)는 충분한 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저압 발생 부재(320)의 상단을 손으로 눌러 아래 방향으로 가압시 상기 탄성 부재(322)가 수축되면서 상기 탄성 부재(322)의 중공(326)에 포함된 공기를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3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탄성 부재(322)의 가압을 해제하면 복원력에 의하여 펴지면서 팽창하는 힘으로 상기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310)를 들어올려 상기 음식물 수용부(100) 내부의 공기를 상기 탄성 부재(322)의 중공(326)으로 흡수하여 상기 음식물 수용부(100)의 내부를 더욱 저압 상태로 만들게 된다.
탄성 부재(322)는 신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충분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두께, 형태 및 재료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음식물 수용부(100)의 크기에 따라 진공을 위하여 필요한 복원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 수용부(100)의 크기도 탄성 부재(322)의 형태 및 속성을 정하는 기준이 될 것이다. 또한, 탄성 부재(322)는 사용자에 의한 반복적인 신축에 의하여 변형이 쉽게 되지 않도록 내구성과 뒤틀림에도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부재(322)로서, 이러한 특성을 포함하도록 특별히 조성된 고무, 실리콘, 또는 우레탄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22)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압축된 상태에서 가압을 해제하면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기만 한다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주름이 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주름이 형성된 관의 형태로 구성되면 사용자가 가압하여 압축하는 경우 압축 전과 압축 후의 외경의 변화가 적은데 비하여,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가압하여 압축할 때에 탄성 부재(322)의 가운데 눌려 펴진 부분에서 탄성 부재(322)의 높이의 1/2 정도의 외경의 변화가 발생하므로, 탄성 부재(322)를 수용하는 수용 홈(210)의 폭을 탄성 부재(322)의 하단 외주면의 폭에 맞출 수 없고 이보다 더 크게 확장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반복적 가압 과정에서 다소 비틀릴 수 있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322)가 크게 제작되는 경우에는 주름이 형성된 관의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저압 발생 부재(320)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322)와 상단 밀폐 부재(324)는 금속 재질이 아닌 부식성이 없는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물로 자유롭게 세척할 수 있고, 수용 홈(21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세척하기도 매우 편리하다. 또한, 종래의 스프링 방식에서와 같이 중간에 스프링 및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부재들이 차지하는 공간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저압 발생 부재(320)의 장착을 위하여 음식물 수용부(100)의 상부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의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a) 및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b)에 대한 2방향에서의 절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310)는 상기 배출 구멍을 덮어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단 덮개부(312)와 상기 배출 구멍(212)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단 덮개부(312)가 상기 배출 구멍(2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단 이탈 방지부(314)가 상기 배출 구멍(212)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단 덮개부(312)는 전체로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고 외주면 쪽으로 갈수록 낮게 형성된 우산 형태로 구성되고, 외주면 쪽에는 수용 홈(210)의 바닥부와 더 잘 밀착될 수 있도록 연성의 재질로 얇게 구성된 밀착부(316)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단 덮개부(312)와 하단 이탈 방지부(31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311)의 외경을 수용 홈(210)의 배출 구멍(212)보다 작게 구성하여 음식물 수용부(100) 내부의 공기가 잘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330)는 상방으로 돌출한 연성 부재의 가운데 돌출 부분에 절개부(332)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322)의 압축시 공기압에 의하여 상기 절개부(332)가 벌어지면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탄성 부재(322)의 압축이 해제되어 원래의 상태로 회복되는 경우에는 상기 절개부(332)가 구조적으로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하단에 위치하는 수용 홈(210)의 배출 구멍(212)이 열리면서 상기 음식물 수용부(100) 내부의 공기를 탄성 부재(322)의 중공(326)으로 흡수하게 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 밀폐 부재(324)는 상기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330)의 하단에 아래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압 발생 부재(320)가 완전히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310)의 상단 덮개부(312)를 아래 측으로 압박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음식물 수용부(100)로 진입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한 하단 돌기부(3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한 반복적 동작으로 음식물 수용부(100) 내부가 충분한 저압 상태로 된 경우 수용 홈(210)의 배출 구멍(212)을 완전히 막아 저압 상태를 계속 유지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도 3(b)의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330)의 하단에는 탄성 부재(322)가 완전히 눌려졌을 때에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310)의 상면, 즉 상단 덮개부(312)를 눌러 열리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한 하단 돌기부(32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하단 돌기부(328)의 하단부에 공기 통로(329)를 형성함으로써, 저압 발생 부재(320)의 동작 중에 탄성 부재(322)가 눌려진 상태에서도 탄성 부재(322)의 중공(326)에 있는 공기가 공기 통로(32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330)와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310)는 모두 공기의 흐름을 한쪽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 체크밸브의 형태로서, 도 3(a) 및 도 3(b)의 실시 예는 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하나의 예로서,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330)를 도 3(a)의 실시 예로 대체하더라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구조적 형태의 차이 때문에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선택해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잠금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상단 밀폐 부재(324)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304), 및 상기 수용 홈(210)의 상단에 상기 걸림 돌기(304)를 수용하여 잠그기 위한 잠금 홈(214)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304)의 일 측면이 경사면(A)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 홈(214)에도 상기 걸림 돌기(304)의 경사면(A)에 대응하여 경사면(B)이 형성된 진입 돌기부(216)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저압 발생 부재(320)를 누르면 상기 걸림 돌기(304)가 경사면(B)을 따라 미끄러지다가, 상기 잠금 홈(214)의 상기 진입 돌기부(216)를 지나면서 상기 탄성 부재(322)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잠금 홈(214) 내에서 상기 경사면(B)을 따른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 홈(214) 내에서 로킹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탄성 부재(322)가 비틀림 특성 및 복원력이 있어 가능한 것으로서, 종래의 스프링 방식에서는 가능하지 않았던 구성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잠금 홈(214) 내에 걸림 돌기(304)가 삽입되어 들어가 로킹되는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6도 도 2의 상단 밀폐 부재의 상단을 덮도록 체결되는 상단 체결부의 상면에 공기 배출 홈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압 장치(300)는 상기 상단 밀폐 부재(324)의 상단을 덮도록 체결되는 상단 체결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단 체결부(340)와 상기 상단 밀폐 부재(324) 사이에 공기가 흐를 수 있는 틈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상단 체결부(340)를 손바닥으로 덮은 상태로 상기 저압 발생 부재(320)를 가압하는 경우에도 상기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330)의 절개부(332)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경로가 방해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6의 상단 체결부(340)의 상면에 공기 배출 홈(344)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가압을 위하여 손바닥으로 덮는 경우에도 공기가 막히지 않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상단 체결부(34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342)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 배출 홈(34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7)

  1.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음식물 수용부; 및
    상기 음식물 수용부의 상단 개구부를 덮어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음식물 수용부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저압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저압 장치가 구비된 뚜껑;
    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저압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음식물 수용부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구멍이 바닥에 형성된 수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저압 장치는:
    상기 배출 구멍에 장착되어, 상기 음식물 수용부 내부로의 공기의 흐름은 차단하고, 반대 방향의 공기의 흐름만을 허용하기 위한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
    상기 배출 구멍을 덮도록 상기 수용 홈에 장착된 중공을 갖는 관 형태의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상단을 덮어 밀폐하도록 구성된 상단 밀폐 부재로 이루어진 저압 발생 부재; 및
    상기 상단 밀폐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 내부로의 공기의 흐름은 차단하고, 반대 방향의 공기의 흐름만을 허용하기 위한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충분한 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저압 발생 부재의 상단을 손으로 눌러 아래 방향으로 가압시 상기 탄성 부재가 수축되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중공에 포함된 공기를 상기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가압을 해제하면 복원력에 의하여 펴지면서 팽창하는 힘으로 상기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를 들어올려 상기 음식물 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탄성 부재의 중공으로 흡수함으로써 상기 음식물 수용부의 내부를 더욱 저압 상태로 만들고,
    상기 상단 밀폐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 및
    상기 수용 홈의 상단에 상기 걸림 돌기를 수용하여 잠그기 위한 잠금 홈;
    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 돌기의 일 측면이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 홈에도 상기 걸림 돌기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경사면이 형성된 진입 돌기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저압 발생 부재를 누르면 상기 걸림 돌기가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다가, 상기 잠금 홈의 상기 진입 돌기부를 지나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잠금 홈 내에서 상기 경사면을 따른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 홈 내에서 잠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수평 방향의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진공 저장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는 상기 배출 구멍을 덮어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단 덮개부와 상기 배출 구멍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단 덮개부가 상기 배출 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단 이탈 방지부가 상기 배출 구멍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진공 저장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는 상방으로 돌출한 연성 부재의 가운데 돌출 부분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압축시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면서 공기가 배출되고, 그 반대의 경우는 상기 절개부가 닫히고 상기 배출 구멍이 열리면서 상기 음식물 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진공 저장 용기.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 장치는 상기 상단 밀폐 부재의 상단을 덮도록 체결되는 상단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 체결부와 상기 상단 밀폐 부재 사이에 공기가 흐를 수 있는 틈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상단 체결부를 손바닥으로 덮은 상태로 상기 저압 발생 부재를 가압하는 경우에도 상기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의 절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경로가 방해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밀폐 부재는 상기 상부 단방향 개폐 부재의 하단에 아래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압 발생 부재가 완전히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하부 단방향 개폐 부재의 상기 상단 덮개부를 아래 측으로 압박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음식물 수용부로 진입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한 하단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
KR1020140162403A 2014-11-20 2014-11-20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 KR101531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403A KR101531470B1 (ko) 2014-11-20 2014-11-20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403A KR101531470B1 (ko) 2014-11-20 2014-11-20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470B1 true KR101531470B1 (ko) 2015-06-25

Family

ID=5351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403A KR101531470B1 (ko) 2014-11-20 2014-11-20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4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4866A (zh) * 2017-06-14 2017-08-18 周林斌 一种手动真空罐
CN107176388A (zh) * 2017-06-14 2017-09-19 周林斌 真空容器的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638A (ko) * 2008-04-30 2009-11-04 김우경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KR20110115403A (ko) * 2010-04-15 2011-10-21 박종석 밀폐용기
KR200473793Y1 (ko) * 2013-08-12 2014-08-01 박순식 원터치형 누름수단과 진공수단을 갖는 김치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638A (ko) * 2008-04-30 2009-11-04 김우경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KR20110115403A (ko) * 2010-04-15 2011-10-21 박종석 밀폐용기
KR200473793Y1 (ko) * 2013-08-12 2014-08-01 박순식 원터치형 누름수단과 진공수단을 갖는 김치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4866A (zh) * 2017-06-14 2017-08-18 周林斌 一种手动真空罐
CN107176388A (zh) * 2017-06-14 2017-09-19 周林斌 真空容器的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595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102425870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EP1350737A1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a cover cap provided with a pump member to pump out air from the container
JP2010528949A (ja) 空気ポンプ式排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生活用品用容器
KR101364689B1 (ko) 캡슐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447558B1 (ko) 펌프식 액상 화장품 용기
US20170369212A1 (en) Vapor-tight container
KR101531470B1 (ko)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
US9267767B2 (en) Self-defense spray manufactured in various designs with portability
KR20130103870A (ko) 튜브형 화장품용기
JP6147206B2 (ja) 二重容器
KR101240577B1 (ko) 원터치로 패킹의 공기차단 상태를 제어하는 밀폐용기 뚜껑
US20110162334A1 (en) Vacuum apparatus for vacuum compression pack used to store foods
KR102271374B1 (ko) 펌프 조립체
US8453884B2 (en) Diaphragm pump actuated liquid dispensing apparatus having dome shaped deformable membrane
KR101615145B1 (ko) 액상 화장품 용기용 펌프 뚜껑
KR101114434B1 (ko) 진공 패킹이 설치된 진공 용기
KR101641633B1 (ko) 진공펌프
KR20180004595A (ko) 진공밀폐 용기
US11655084B2 (en) Sealing packing coupled to container lid
US5615596A (en) Inflated ball container repressurizer
KR102249852B1 (ko) 수증기 밀폐용기
KR101652636B1 (ko) 진공 용기용 안전밸브
KR200402391Y1 (ko) 용기
KR101252474B1 (ko) 진공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