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474B1 - 진공용기 - Google Patents

진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474B1
KR101252474B1 KR1020110087859A KR20110087859A KR101252474B1 KR 101252474 B1 KR101252474 B1 KR 101252474B1 KR 1020110087859 A KR1020110087859 A KR 1020110087859A KR 20110087859 A KR20110087859 A KR 20110087859A KR 101252474 B1 KR101252474 B1 KR 101252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cuum
valve seat
cov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415A (ko
Inventor
김우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웰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087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474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3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by means of an element bursting upon a predetermined pressure in the container being excee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장치와 펌프장치가 함께 구비된 진공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용기 뚜껑에 용기 본체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진공장치 안치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밸브장치와 펌프장치가 위치되는 진공장치를 구비한 진공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밸브장치는 용기 본체 내의 공기를 용기 본체 외부로 일방향 유동시키는 작용을 하고 펌프장치는 용기 본체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작용을 한다.

Description

진공용기{Vacuum container}
본 발명은 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밸브장치와 펌프장치가 함께 구비된 진공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장기보관하는 방법으로는 냉장보관하거나 진공보관하는 방법이 있다. 음식물의 진공보관의 경우, 진공 팩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용기 본체에 음식물을 담고 뚜껑을 결합시킨 후에 용기 본체 내부를 진공장치로 진공화한다. 음식물을 진공상태에서 보관하면, 음식물의 산화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음식물이 부패하지 않아 장기보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음식물 고유의 향기를 그대로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진공용기에 대한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음식물을 장기보관하기 위한 종래의 진공용기는 통상적으로 진공용기의 뚜껑에 진공용기 내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밸브장치를 구비한 후, 별도의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용기 내부를 진공화한다. 이러한 경우, 진공펌프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전기에 의해 간편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진공펌프를 사용하는 때에는 진공펌프 자체가 진공용기보다 비싼 경우도 있다.
진공펌프가 진공용기 뚜껑에 아예 구비된 진공용기도 개발되었으나(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특허등록 제1002507호), 원활하게 작동하면서 제조비용이 저렴한, 밸브장치와 펌프장치가 함께 구비된 진공용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장치와 펌프장치가 함께 구비된 진공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용기에 밸브장치와 펌프장치가 구비되되 이들이 용기 뚜껑에 콤팩트하게 수용되는 진공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공용기에 밸브장치와 펌프장치가 구비되되 펌프장치가 간편하게 작동하는 진공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공용기에 진공을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는 진공해제장치를 더욱 구비한 진공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진공용기 뚜껑에 용기 본체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진공장치 안치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밸브장치와 펌프장치가 위치되는 진공장치를 구비한 진공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밸브장치는 용기 본체 내의 공기를 용기 본체 외부로 일방향 유동시키는 작용을 하고 펌프장치는 용기 본체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장치는 진공용기 안치부 바닥에 밸브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장치는 밸브장치 직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용기 뚜껑에 콤팩트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펌프장치는 진공장치를 에워싸며 진공장치 안치부에 기밀하게 고정되는 커버, 커버 내를 왕복운동하는 로드부, 및 로드부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며 로드부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파지되는 핸들로 구성되는 실린더 작동식 에어 펌프장치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없이도 간편하게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은 상기 로드부의 일측 단부에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진공용기 뚜껑에 핸들 안착부가 형성되어서 핸들이 사용되지 않을 때는 핸들이 이 핸들 안착부에 안치될 수 있어서, 미관상 보기 좋으며 펌프장치가 한층 콤팩트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의 뚜껑은 진공해제장치를 더욱 포함한다. 이 진공해제장치는 그 수용홈에 형성됨으로써 미관상 보기 좋고 이 해제장치가 부주의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진공해제장치는 진공용기 뚜껑에 형성되는 진공해제장치 수용홈에 형성되되 이 수용홈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밸브시트공을 갖는 밸브시트부, 및 이 밸브시트부에 안치되는 밸브로 구성되어서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다. 이때 밸브에는 그 동체의 거의 전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며 밸브 하부부분으로 개방되는 중공부를 가져서 밸브를 상기 밸브시트부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또한 밸브헤드를 가압함으로써 간단하게 밸브가 밸브시트부로부터 분리되어서 용기 본체 내의 진공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는 그 뚜껑에 밸브장치와 펌프장치로 구성되는 진공장치가 구비되어서 별도의 진공펌프가 없이도 용기 내에 진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이 진공장치는 진공펌프가 실린더 작동식 에어 펌프장치로 구성되어서 별도의 동력이 없이도 작동할 수 있어 편리하고, 또한 진공장치 안치부에 밸브장치와 진공펌프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콤팩트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는 그 뚜껑에 밸브시트부 및 이 밸브시트부에 안치되는 밸브로 구성되어서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한 진공해제장치를 갖되, 밸브는 밸브시트부에 용이하게 안착하고 또한 간단하게 용기 본체 내의 진공이 해제되어 사용에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용기 뚜껑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공용기 뚜껑으로서 진공장치 구성부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진공장치 구성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커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밸브 덮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펌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진공용기 뚜껑에 부착된 진공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도 3과 마찬가지로 진공장치 구성부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밸브장치의 형성된 진공용기 뚜껑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사용되는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또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해제장치에서 밸브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진공용기 뚜껑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진공용기 뚜껑의 저면방향 부분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해제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원 발명이 예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의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진공용기(1)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반경방향(r)에서 볼 때 상대적으로 더 중앙부에 가까운 경우를 내측, 내면 등으로 그 반대인 경우를 외측, 외면 등으로 부르며, 수직방향(z)에서 볼 때 상대적으로 위에 위치하는 경우를 상향, 상부, 윗면 등으로 그 반대의 경우를 하향, 하부, 밑면 등으로 부른다.
진공용기(1)는 음식물 등을 담을 수 있는 용기 본체(2)와 이를 기밀하게 덮는 뚜껑(3)으로 구성된다. 뚜껑(3)에는 용기 본체(2)에 진공을 생성하는 진공장치(6)와 필요시에는 용기 본체(2)에 생성된 진공을 소멸시키는 진공해제장치(100)를 갖는다. 뚜껑의 저면사시도인 도 2를 참조하면, 뚜껑(3)의 저면에는 실리콘 재질의 밀봉부재(sealing member)가 삽입되어 있어서, 용기 본체에 생성된 진공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진공용기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용기 뚜껑(3)의 경우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장치들이 부착되므로 이들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3)에는 용기 본체에 생성된 진공의 정도를 보여주는 진공표시장치(130)가 부착될 수 있으나, 이는 본원발명의 내용과 관련이 없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진공장치(6)는 용기 본체(2) 내의 공기를 용기 본체 외부로 일방향 유동시키는 작용을 하는 밸브장치(20)(도 8 참조)와 용기 본체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작용을 하는 펌프장치(40)(도 7 참조)로 구성되며, 이들은 진공장치 안치부에 위치된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진공장치 안치부(10)는 진공용기 뚜껑(3)에 이로부터 용기 본체(2)방향으로 하향연장되는 벽부(12)와 바닥부(17)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수용부이다. 안치부(10)는 별도로 형성되어 뚜껑(3)에 부착될 수도 있으나, 뚜껑(3)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장치 안치부의 벽부(12)에는 벽부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커버 걸림턱(13)과, 상호 이격하여 위치되는 복수의 커버돌기 결착홈(15)이 형성된다. 진공장치 안치부의 바닥부(17)에는 밸브장치(20)를 구성하는 밸브 시트부(21)가 형성되며, 밸브 시트부(21)에 대해서는 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에는 펌프장치(40)와 밸브장치(20)의 각각에 대하여 차례대로 설명한다.
진공장치 안치부(10)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펌프장치를 보여주는 도 7과 진공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 4를 참조하면, 펌프장치(40)는 커버(41), 이 커버 내를 왕복운동하는 로드부(50), 및 핸들(60)로 구성된다.
도 4와 커버의 저면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41)는 속이 빈 원통형 동체(42), 및 이 동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판상의 상면(44)으로 구성된다. 커버 동체(42)의 외벽에는 진공장치 안치부의 벽부(12)의 커버돌기 결착홈(15)으로 삽입되는 커버돌기(43)가 형성된다. 커버 상면(44)에는 그 중앙부에 중앙공(45)이 형성된다. 이 중앙공(45)으로는 후술될 로드부(50)의 중앙로드(51)가 삽입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커버 상면(44)의 하부에는 커버 동체(42)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면(48)이 형성된다. 이 연장면(48)은 커버 동체(42)의 외면으로부터 바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동체(42)의 외면과 연장면(48)의 사이에 후술될 제3 오링(70)이 삽입되는 제3 오링 삽입홈(4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상면(44)의 중앙공(45)에는 중앙공 외주부를 따라 후술될 제2 오링(73)이 삽입되는 오링 삽입부(46)가 형성된다. 이 오링 삽입부(46)는 제2 오링의 홈(75)으로 삽입될 수 있는 두께가 되도록 커버 상면(44)의 다른 부위보다 얇은 부위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커버 상면(44)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안착부(7)의 일부분이 형성된다.
로드부(50)는 원형의 판상부(55), 및 이 판상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중앙로드(51)로 구성된다. 판상부(55)에는 판상부의 외주부를 따라 후술될 제1 오링(77)이 삽입되는 오링 삽입홈(57)이 형성된다. 이 오링 삽입홈(57)이 형성됨에 따라 판상부(55)는 상판(56)과 하판(58)으로 분리되며, 상판(56)에는 상판홈(59)이 형성된다. 이 상판홈(59)은 상기 오링 삽입홈(57)과 연결된다. 한편, 판상부(55)에는 후술될 밸브장치(20)가 충분히 수용되는 크기의 중공부(49)가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도 8 참조). 중앙로드(51)는 판상부(55)의 중앙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을 가지며, 그 단부영역(52)에는 후술될 핸들(60)이 결합하는 핸들 결합부(53)가 형성된다. 이 중앙로드(51)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부(51')가 형성되며(도 8 참조), 중공부(51')의 하측은 상기 판상부의 중공부(49)와 연통된다. 이 중공부(51')는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고 중앙로드(51)의 하중을 감소시켜서 왕복운동을 용이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로드부(50)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파지되는 핸들(60)은 로드부(50)의 일측단부, 즉 중앙로드(51)의 단부영역(52)의 핸들결합부(53)에 고정된다. 핸들(60)은 용이하게 파지되도록 형성되는 그립(61)을 갖는다. 핸들(60)은 상기 핸들결합부(53)에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핸들(60)에는 양갈래 가지(63)가 형성되되 이 가지(63)의 내측에는 핸들돌기(65)가 형성되고, 핸들 결합부(53)는 이 핸들돌기(65)가 수용되는 구멍형태로 구현된다. 한편, 핸들(60)이 중앙로드(51)의 단부영역(52)에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어떠한 구성도 본원발명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핸들(60)이 단부영역(52)에 핀에 의해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 3, 및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뚜껑(3)에는 커버(41)의 상면(44)을 거쳐서 연장되는 핸들안착부(7)가 형성되어서, 핸들(60)은 펌프장치(40)를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축회전되어 이 안착부(7)에 위치되고 펌프장치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위치로 축회전된다. 핸들안착부(7)에는 손가락으로 핸들(60)을 안착된 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축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스페이스(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8을 참조하여 펌프장치(40)의 각 구성 간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판상부(55)의 오링 삽입홈(57)에는 제1 오링(77)이 삽입된다. 제1 오링(77)은 오링 삽입홈(57)에 충분히 수용되는 크기를 갖되, 제1 오링 동체(78)의 높이방향 폭은 오링 삽입홈(57)의 폭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또한, 제1 오링 동체(78)에는 그 외주연부를 따라서 제1 오링 돌기(79)가 형성된다. 이 오링 돌기(79)는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상부(55)의 오링 삽입홈(57)에 제1 오링(77)이 삽입됨으로써, 판상부(55)는 상기 커버(41)의 동체(42) 내벽을 따라 기밀성을 유지하며 왕복운동할 수 있게 되며, 왕복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동체(42) 내벽에는 윤활유가 도포되거나 동체(42) 내벽을 유활성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 상면(44)의 제2 오링 삽입부(46)에는 제2 오링(73)이 삽입된다. 제2 오링(73)은 그 동체(74)의 그 외주연면을 따라서 중앙부에 제2 오링홈(75)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오링 삽입부(46)가 이 홈(75)으로 삽입됨으로써 제2 오링(73)이 커버 상면(44)에 결착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로드부(50)의 중앙로드(51)가 커버 상면(44)의 중앙공(45)을 상하로 가로질러 기밀성을 유지하며 왕복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의 이물질이 중앙공(45)을 통해 커버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오링(73)에는 동체(74)의 내측 주연면을 따라서 상기 중앙로드(51)의 외측면과 접하는 가느다란 오링 돌기(7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오링 돌기(76)에 의해 중앙로드(51)의 외측면과 제2 오링(73)의 내주연면 간의 접촉면적이 감소됨으로써 중앙로드(51)의 왕복운동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펌프장치(40)의 커버(41) 내의 공기가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오링들(73,77)이 삽입되고 로드부(50)의 중앙로드(51)가 커버 상면(44)의 중앙공(45)을 통해 중앙로드 단부영역(52)이 상향 돌출하도록 위치된 후 이 단부영역(52)에 핸들(60)이 결합하면, 펌프장치(40)가 완성된다(도 7 참조).
위와 같이 결합된 펌프장치(40)는 진공장치 안치부(10)로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공장치 안치부의 벽부(12)에는 커버돌기 결착홈(15)이 형성되고 펌프장치의 커버(41)에는 동체(42)의 외벽에 커버돌기 결착홈(15)으로 삽입되는 커버돌기(43)가 형성되므로, 펌프장치(40)는 용이하게 진공장치 안치부(10)에 결착, 고정된다. 한편, 펌프장치(40), 좀더 구체적으로는 펌프장치의 커버(41)가 진공장치 안치부(10)에 기밀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커버(41)의 연장면(48)과 진공장치 안치부(10)의 걸림턱(13) 사이에 제3 오링(70)이 삽입된다. 제3 오링(70)은 전술한 기밀성을 유지하는데 적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동체(42)의 외면과 연장면(48)의 사이에 제3 오링 삽입홈(47)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3 오링(70)의 동체(71)에는 상기 홈(47)으로 삽입되도록 상향으로 돌출하는 오링돌기(72)가 형성된다.
다음에는 밸브장치(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밸브장치(20)는 밸브 시트부(21), 이 밸브 시트부에 안치되는 밸브(35), 및 밸브 시트부와 결합하는 밸브 덮개(27)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밸브 시트부(21)는 진공장치 안치부의 바닥부(17)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 벽체(22)와 사실상 진공장치 안치부의 바닥부(17)의 일부를 구성하는 밸브시트 바닥(24)으로 구성된다. 원통형 벽체(22)의 외면에는 후술될 밸브 덮개(27)와의 결합수단으로 테두리 돌기(23)가 형성되며, 밸브시트 바닥(24)에는 진공용기의 용기본체(2) 내부와 연통하는 제1 공기 유출공(25)이 형성된다.
도 4와 도 8을 참조하면, 밸브(35)는 상부면(36)과 이 상부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길이로 경사지게 하향연장되는 경사면(37)으로 구성된다. 밸브는 가요성 재질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상부면(36)에는 상향돌출하는 밸브돌기(38)가 형성되고 밸브의 경사면(37)에는 그 하단부 둘레를 따라 보강부(3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부(39)는 밸브 경사면(37)의 하단 말단부가 다른 부분보다 도툼하게 하여 형성된다.
도 4와 밸브 덮개의 저면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 6을 참조하면, 밸브 덮개(27)는 덮개 벽(28)과 덮개 상면(30)으로 이루어지며, 덮개 벽(28) 내면에는 밸브 시트부의 테두리 돌기(23)와 결합하는 테두리 홈(29)이 형성되고 덮개 상면(30)에는 제2 공기 유출공(32)이 형성된다. 밸브 덮개(27)는 밸브(35)를 밸브 시트부(21)에 가압 및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는 가압고정수단을 가지며,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이 가압고정수단으로 전술한 밸브돌기(38)가 삽입되는 중앙홈(31)을 갖는다.
밸브장치(20)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우선 밸브(35)가 밸브 시트부 바닥(24)의 제1 공기 유출공(25)을 에워싸면서 밸브의 경사면(36) 하단부가 밸브 시트부 바닥(24)과 접하도록 밸브 시트부(21)에 안치된 후, 밸브의 돌기(38)가 밸브 덮개의 중앙홈(31)으로 삽입되도록 밸브 덮개(27)를 밸브 시트부(21)에 결착시킨다. 밸브 시트부(21)와 밸브 덮개(27)의 결착은,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밸브덮개의 벽(28)의 테두리 홈(29)과 밸브시트부의 테두리 돌기(23)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나, 나사결합 등 임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밸브 덮개(27)가 밸브 시트부(21)와 결착하면, 밸브(35)는 밸브 덮개(27)에 의해 밸브 시트부(21)로 가압됨으로써 밸브의 경사면(37) 하단부는 밸브 시트부 바닥(24)에 기밀하게 밀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37) 하단부에 보강부(39)가 형성되는 경우, 이 기밀한 밀착은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덮개(27)에 의한 밸브(35)의 가압은 밸브의 높이와 결착된 덮개(27)와 밸브 시트부(21) 사이의 공간 높이의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덮개 상면(30)에 의해 밸브(35)의 상부면(36)이 가압되어 이루어지고 고정은 덮개 상면(30)과 밸브 상부면(36) 간의 마찰력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상부면의 돌기(28) 및 이 돌기가 삽입되는 밸브 덮개의 중앙홈(31)에 의해 가압 및 고정이 동시에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가압 및 고정수단으로 예시된 실시예와는 반대로, 밸브의 상부면(36)에 홈이 형성되고 밸브 덮개의 상면(30)에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진공장치(6)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35)를 밸브 시트부(21)에 안치하고 밸브 덮개(27)를 밸브 시트부(21)에 결착함으로써 밸브장치(20)를 완성한 후,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펌프장치(40)를 진공장치 안치부(10)에 기밀하게 결합함으로써 완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장치(6)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진공장치(6)를 구성하는 펌프장치(4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핸들(60)을 하향으로 밀어서 로드부(50)를 하강시킴으로써 로드부의 판상부(55)가 진공장치 수용부(10)의 바닥부(17)와 접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 상태에서는 진공장치 수용부의 바닥부(17)에 고정된 밸브장치(20)는 판상부(55)에 형성되는 중공부(49) 내에 위치된다. 이제 핸들(60)을 상향으로 잡아당겨서 로드부(50)를 상승시키면, 판상부(55)는 진공장치 수용부의 바닥부(17)로부터 이격하여 상향이동하며, 제3 오링(70)에 의해 유지되는 기밀성과 제1 오링(77)에 의해 유지되는 기밀성에 의해 판상부(55)와 진공장치 수용부의 바닥부(17) 사이의 공간에는 상대적인 진공이 형성된다. 이 진공에 의해 용기 본체(2) 내의 공기는 제1 공기 유출공(25)을 통해 상승하고, 이때 밸브 시트부(21)의 바닥(24)과 밀착하고 있던 가요성의 밸브 경사면(37) 하단부가 들려지며 공기는 제2 공기 유출공(32)을 통해 용기 본체(2)의 외부, 즉 판상부(55)와 진공장치 수용부의 바닥부(17)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제 핸들(60)을 하향으로 밀어서 로드부(50)가 상승한 상태에서 다시 하강시키면, 판상부(55)와 진공장치 수용부의 바닥부(17) 사이의 공간에는 상대적인 가압상태가 된다. 이러한 가압상태에서는 가요성의 밸브 경사면(37) 하단부가 밸브 시트부(21)의 바닥(24)과 밀착하게 되며 이러한 밀착성은 가압력이 클수록 커지게 되며, 또한 밸브 경사면(37) 하단부에 형성되는 보강부(39)에 의해 가압 밀착성이 한층 강화된다. 따라서 공기는 밸브장치(20)를 통해 다시 용기 본체(2) 내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약한 기밀부인 제1 오링(77)에 의해 유지되는 기밀성을 파괴하면서 판상부(55)와 커버 상면(44)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한다. 즉, 판상부(55)의 제1 오링 삽입홈(57) 내에 안치되는 제1 오링(77)은 제1 오링의 돌기(79)를 통해 커버 동체(42)의 내면과 접하고 있으므로 제3 오링(70)에 비해 약한 기밀부이고 더우기 제1 오링(77)은 커버 동체(42)의 내면을 따라 운동중이므로 그 기밀성이 더욱 낮아지게 되므로 가압상태에서는 이렇게 약화된 기밀부에서 기밀성이 해제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오링 동체(78)의 높이방향 폭은 이 오링 삽임홈(57)의 폭보다 작으므로 오링 삽입홈(57)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판상부(55)의 상승, 하강운동 중에 제 1 오링 동체(78)는 이 간극 내에서 상승, 하강운동에 따른 오링 동체(78)의 변형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판(56)에 형성되는 상판홈(59)은 제1 오링 (77)의 기밀성이 파괴되는 경우, 공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판상부(55)와 커버 상면(44)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한 공기는 로드부(50)가 상승하여 이 공간에 가압상태가 형성될 때, 더욱 약한 기밀부인 제2 오링(73)에 의해 유지되는 기밀성을 파괴하면서 펌프장치(40) 외부로 배출된다. 즉, 중앙로드(51)의 외측면과 접하는 제2 오링(73)의 돌기(76)는 가느다라므로 중앙로드(51)의 외측면과 제2 오링(73)의 돌기(76) 사이의 접촉면적은 제1 오링의 돌기(79)와 커버 동체(42)의 내면 사이의 접촉면적보다 작고 로드부(50)는 이들 오링(77,73)에 대해 동시에 상대운동을 하므로 제2 오링(73)의 돌기(76)와 중앙로드(51)의 외측면 간의 기밀성이 파괴되면서 이 부분을 통해 공기가 펌프장치(40) 외부로 배출된다. 용기 본체(2) 내에 충분한 진공이 형성된 경우에는 로드부(5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핸들(60)을 축회전하여 뚜껑(3)의 핸들 안착부(7)에 안치시킨다. 본원발명의 경우, 핸들(60)이 비사용시에는 뚜껑(3)의 핸들 안착부(7)에 안치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진공용기를 적층하여 위치시킬 수도 있어 용기의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된다.
밸브장치는 용기 본체(2) 내의 공기를 용기 본체 외부로 일방향 유동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는 전술한 밸브장치(20) 외에도 도 9 ~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밸브장치(20')에 의해서도 얻어질 수 있다. 이하에는 밸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밸브장치(20')는 밸브 시트부(81)와 밸브(85)로 구성된다.
밸브시트부(81)는 진공장치 안치부(10)의 바닥부(17) 윗면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시트면(82)과 진공장치 안치부의 바닥부(17) 밑면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시트면(83)을 가지며 제1,2 시트면(81,82)들의 중앙에는 이들을 관통하며 용기 본체(2)의 내부와 연통하는 밸브시트공(93)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밸브시트부의 제2 시트면(83)이 진공장치 안치부의 바닥부(17) 밑면에 밸브시트공(93) 둘레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위치되는 원호형상의 복수의 밸브시트돌기의 하측 돌기면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시트면(83)이 위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면, 밸브시트돌기들 사이에 틈(84)이 생성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진공장치 안치부(10)의 바닥부로부터 상향연장되는 밸브시트 수용홈(80)을 형성하고 이 수용홈(80)에 밸브시트부(81)를 형성하였는바, 이는 후술될 밸브(85)의 하부동체가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경우, 제1 시트면(82)은 이 수용홈(80)의 상부외면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수용홈(80)을 형성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진공장치 안치부의 바닥부(17)가 제1 시트면(82)을 구성하게 될 것이다.
밸브(85)는 원기둥형 중앙동체(86), 이 중앙동체의 상, 하부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동체(87)와 하부동체(88)로 구성된다. 상부동체(87)의 외측 주연부에는 밸브시트부의 제1 시트면(82)과 밀착하는 제1 밀착부(89)가 형성되고, 밸브 하부동체(88)에는 밸브시트부의 제2 시트면(83)과 밀착하는 제2 밀착부(90)가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부동체(87)는 단면이 대략적으로 닫힌 원호(closed arc) 형상이고 그 외주연부를 따라 연장되는 돌기형태로 제1 밀착부(89)가 형성되며, 하부동체(88)는 절두원추형으로 이 절두원추의 하면이 제2 밀착부(90)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으나, 도시된 상부동체와 하부동체의 형상이 반대로 구성되거나, 상부동체와 하부동체 모두 도시된 상부동체 형상으로 또는 상부동체와 하부동체 모두 도시된 하부동체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밸브(85)에는 밸브 중공부(92)가 형성된다. 이 밸브 중공부(9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의 하부동체(88), 중앙동체(86), 및 상부동체(87)에 걸쳐서 형성되되 하부동체(88)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밸브 중공부(92)는 원기둥형상을 가지나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상기 밸브의 중앙동체(86)는 그 직경이 밸브시트공(93) 직경보다 작은 치수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밸브(85)와 밸브 시트부(81) 간의 결합관계 및 밸브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밸브(85)는 상부동체의 제 1 밀착부(89)가 밸브시트부의 제1 시트면(82)과 밀착하고 하부동체의 제2 밀착부(90)가 밸브시트부의 제2 시트면(83)과 밀착하도록 먼저 밸브 하부동체(88)를 밸브 시트공(93)으로 강제삽입한다. 밸브(85)는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고 밸브 동체에 걸쳐서 중공부(9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제삽입 시에 밸브 하부동체(88)는 변형되면서 밸브 시트공(93)을 용이하게 통과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되어 밸브장치(20')가 완성된다. 삽입 시 밸브(85)를 파지할 수 있도록 밸브 상부동체(87)에는 상향연장되는 밸브돌기(9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85)가 밸브 시트부(81)에 결합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의 중앙동체(86) 직경이 밸브시트공(93)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밸브시트공과 중앙동체 외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밸브 하부동체의 제2 밀착부(90)가 밸브시트부의 제2 시트면(83)과 밀착하고 있는 경우, 이 간극은 제2 시트면(83) 사이의 틈(84)과 연통된다. 밸브장치(20')는, 밸브장치(20)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펌프장치(40)의 로드부(50)의 판상부(55)에 형성되는 중공부(49) 내에 위치될 수 있는 크기를 가져야 한다.
펌프장치(40)의 작동에 의해 펌프장치의 로드부(50)가 상승되어 밸브장치(20') 상부, 즉 판상부(55)와 진공장치 수용부의 바닥부(17) 사이의 공간, 에 상대적인 진공이 형성되는 경우, 용기 본체(2) 내의 공기는 틈(84), 이 틈과 연통하고 있는 밸브의 중앙동체(86)의 간극을 통해 상승하고, 이때 밸브시트부의 제1 시트면(82)과 밀착하고 있던 밸브의 제 1 밀착부(88)가 들려지며 공기는 용기 본체(2)의 외부, 즉 판상부(55)와 진공장치 수용부의 바닥부(17)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된다. 한편, 로드부(50)가 하강하여 밸브장치(20') 상부 공간이 가압상태로 되는 경우, 밸브의 제 1 밀착부(88)가 밸브시트부의 제1 시트면(82)과 밀착하게 되며 이러한 밀착성은 가압력이 클수록 커지게 되고, 따라서 공기는 밸브장치(20')를 통해 다시 용기 본체(2) 내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렇게 하여 펌프장치(40)의 작동시에 밸브장치(20')는 밸브장치(20)와 마찬가지로 용기 본체(2) 내의 공기를 용기 본체 외부로 일방향 유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진공용기 내에 진공이 생성된 후 이 진공을 해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진공용기 뚜껑을 강제로 용기 본체와 분리할 수도 있으나, 간단하게 용기 내의 진공을 해제할 수 있는 진공해제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13 ~ 도 15를 참조하여 발명에 사용되는 진공해제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진공해제장치(100)는 진공용기 뚜껑(3)에 형성되는 진공해제장치 수용홈(10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용기 뚜껑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또한 진공해제장치(100)가 부주의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진공해제장치(100)는 상기 수용홈(101)의 바닥부(103)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시트부(105)와 밸브(85')로 구성되며 그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밸브장치(20')와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밸브시트부(105)는 진공해제장치 수용홈(101)의 바닥부(103)의 일부가 그 역할을 하는 제1 시트면(106)과 진공해제장치 수용홈의 바닥부(103) 밑면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시트면(107)을 가지며 제1,2 시트면(106,107)들의 중앙에는 이들을 관통하며 용기 본체(2)의 내부와 연통하는 밸브시트공(109)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밸브시트부(105)의 제2 시트면(107)이 진공해제장치 수용홈의 바닥부(103) 밑면에 밸브시트공(109) 둘레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위치되는 원호형상의 복수의 밸브시트돌기의 하측 돌기면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시트면(107)이 위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면, 밸브시트돌기들 사이에 틈(108)이 생성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진공해제장치 수용홈(101)의 벽체를 연장하여서 홈부(102)를 형성하였는바, 이는 후술될 밸브(85')의 하부동체가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홈부(102)를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밸브(85')는 전술한 밸브(85)와 그 형태 및 작용이 동일하다. 따라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 후의 설명에서는 밸브(85)에 상응하는 밸브(85')의 구성부분은 밸브(85)의 설명에서 사용된 참조번호에 "'"를 사용한다(예를들면, 참조번호 87의 경우 87'로 표시).
밸브(85')의 밸브 시트부(105)에 대한 결합은 밸브장치(2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밸브(85')가 밸브 시트부(105)에 결합한 경우, 마찬가지로 밸브의 중앙동체(86') 직경이 밸브시트공(109)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밸브시트공(109)과 중앙동체(86') 외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공기가 유동할 수 있고, 밸브 하부동체의 제2 밀착부(90')가 밸브시트부의 제2 시트면(107)과 밀착하고 있는 경우, 이 간극은 제2 시트면(107) 사이의 틈(108)과 연통된다.
진공해제장치(100) 상부에는 펌프장치(40)가 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진공해제장치의 밸브(85')는 용기 본체(2) 내의 공기를 용기 본체 외부로 일방향 유동시키는 작용을 하지 않는다. 진공용기 본체(2) 내에 진공이 생성되는 경우, 밸브(85')의 제 1 밀착부(89')가 밸브시트부(105)의 제1 시트면(106)과 밀착하게 되고 이러한 밀착성은 본체(2) 내의 진공력이 클수록 커지게 되며, 따라서 공기는 진공해제장치(100)를 통해 용기 본체(2) 내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진공해제장치(100)를 작동하여 용기 본체(2) 내의 진공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밸브(85')의 밸브돌기(91')를 횡방향(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면 된다. 이러한 가압이 가해지면, 가요성의 밸브는 횡방향으로 꺾어지며 밸브시트부의 제1 밀착부(89'), 좀더 정확하게는 손가락으로 가압된 방향의 제1 밀착부(89')로 도 15의 경우 왼쪽방향 제1 밀착부(89')가 제1 시트면(106)과 분리되고, 이를 통해 공기가 밸브시트공(109)과 중앙동체(86') 외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과 틈(108)을 지나 용기(2) 내부로 유동하게 되므로 용기(2) 내의 진공은 소멸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후술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원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용기 본체와 이를 기밀하게 덮는 뚜껑으로 구성된 진공용기에 있어서,
    진공용기 뚜껑은 용기 본체에 진공을 생성하는 진공장치와 용기 본체의 진공을 해제하는 진공해제장치를 가지며,
    상기 진공장치는 진공용기 뚜껑에 용기 본체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진공장치 안치부에 위치되는 밸브장치와 펌프장치로 구성되되 밸브장치는 용기 본체 내의 공기를 용기 본체 외부로 일방향 유동시키는 작용을 하고 펌프장치는 용기 본체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펌프장치는 밸브장치를 에워싸며 진공장치 안치부에 기밀하게 고정되는 커버, 커버 내를 왕복운동하는 로드부, 및 로드부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며 로드부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파지되는 핸들로 구성되며,
    상기 펌프장치의 로드부는 상기 밸브장치가 충분히 수용되는 크기의 중공부를 갖는 원형의 판상부, 및 이 판상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판상부의 중앙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중앙로드로 구성되되, 판상부에는 판상부의 외주부를 따라 오링 삽입홈이 형성되고 중앙로드에는 그 단부영역에 핸들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펌프장치의 커버는 속이 빈 원통형 동체, 및 이 동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판상의 상면으로 구성되되, 커버 동체의 외벽에는 커버돌기가 형성되며 커버 상면에는 그 중앙에 상기 로드부의 중앙로드가 삽입되는 중앙공이 형성되고, 커버 상면 하부에는 커버 동체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면이 형성되며,
    상기 펌프장치의 핸들은 상기 중앙로드의 핸들결합부에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판상부의 오링 삽입홈에 제1 오링이 삽입되어서, 판상부는 상기 커버의 동체 내벽을 따라 기밀성을 유지하며 왕복운동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진공용기 뚜껑 및 펌프장치 커버의 상면에 핸들 안착부가 형성되어서 핸들이 사용되지 않을 때는 핸들이 축회전되어 이 핸들 안착부에 안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진공장치 안치부의 벽부에는 상기 펌프장치 커버의 커버돌기가 삽입되는 커버돌기 결착홈과 상기 커버 연장면이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서 펌프장치의 커버가 진공장치 안치부의 벽부에 고정될 수 있되, 상기 커버의 연장면과 진공장치 안치부의 걸림턱 사이에 제3 오링이 삽입되어서 커버가 진공장치 안치부에 기밀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상면에는 그 중앙공 외주부를 따라 오링 상입부가 형성되고 제2 오링이 이 오링 삽입부에 삽입되어서, 상기 로드부의 중앙로드가 상기 중앙공을 가로질러 왕복운동할 때 기밀성을 유지하며 외부의 이물질이 커버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링 동체의 내측 주연면을 따라서 가느다란 오링 돌기가 형성되어서 이 오링 돌기가 로드부의 중앙로드 외측면과 접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의 중앙로드가 중앙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부를 갖되 이 중공부의 하측은 상기 판상부의 중공부와 연통되며, 또한 중앙로드의 단부영역에는 상기 중앙로드의 중공부와 진공용기의 외부 대기를 연통시키는 공기통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는 용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하는 제1 공기 유출공을 포함하며 진공장치 안치부의 바닥부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 시트부, 상부면과 이 상부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길이로 경사지게 하향연장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밸브, 및 밸브를 가압 및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가압고정수단과 제2 공기 유출공을 포함하며 밸브 시트부와 결합하는 밸브 덮개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1, 제2 공기 유출공을 통하여 용기 본체 내의 공기를 용기 본체 외부로 일방향 유동시키는 작용을 하며,
    밸브를 밸브 시트부에 안치한 후에 밸브 덮개를 밸브 시트부와 결합하면 상기 밸브 덮개의 가압고정수단이 밸브를 가압함으로써 밸브의 경사면은 밸브 시트부의 바닥에 가압되어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8. 제 7항에 있어서, 밸브의 상부면에는 밸브돌기가 형성되고, 밸브 덮개의 상기 가압고정수단은 밸브돌기가 삽입되도록 밸브 덮개에 형성되는 중앙 홈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9. 제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밸브의 경사면 하단부 둘레를 따라 보강부가 형성되어서 밸브 시트부의 바닥에 대한 경사면의 가압 및 밀착성이 한층 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는 진공장치 안치부의 바닥부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며 밸브시트공을 갖는 밸브시트부, 및 이 밸브시트부에 안치되는 밸브로 구성되어서 상기 밸브시트공을 통하여 용기 본체 내의 공기를 용기 본체 외부로 일방향 유동시키는 작용을 하며,
    상기 밸브시트부는 진공장치 안치부의 바닥부 윗면에 형성되는 제1 시트면, 진공장치 안치부의 바닥부 밑면에 형성되는 제2 시트면, 및 이 제1,2 시트면들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용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하는 밸브시트공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밸브시트공에 안치되는 원기둥형 중앙동체, 중앙동체 상부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동체, 및 중앙동체 하부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동체로 구성되되, 밸브 중공부가 밸브의 하부동체, 중앙동체, 및 상부동체에 걸쳐서 형성되되 밸브의 하부동체 하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밸브의 중앙동체는 그 직경이 밸브시트공 직경보다 작으며, 밸브 상부동체의 외측 주연부에는 밸브시트부의 제1 시트면과 밀착하는 제1 밀착부가 형성되고, 밸브 하부동체에는 밸브시트부의 제2 시트면과 밀착하는 제2 밀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부의 제2 시트면이 진공장치 안치부의 바닥부 밑면에 밸브시트공 둘레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밸브시트돌기의 하측 돌기면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진공해제장치가 진공용기 뚜껑에 형성되는 진공해제장치 수용홈에 형성되되 이 수용홈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밸브시트공을 갖는 밸브시트부, 및 이 밸브시트부에 안치되는 밸브로 구성되어서 상기 밸브시트공을 통하여 용기 본체 외의 공기를 용기 본체 내로 유동시키는 작용을 하며,
    상기 밸브시트부는 진공해제장치 수용홈 바닥부의 윗면에 형성되는 제1 시트면, 진공해제장치 수용홈 바닥부의 밑면에 형성되는 제2 시트면, 및 이 제1,2 시트면들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용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하는 밸브시트공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밸브시트공에 안치되는 원기둥형 중앙동체, 중앙동체 상부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동체, 및 중앙동체 하부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동체로 구성되되, 밸브 중공부가 밸브의 하부동체, 중앙동체, 및 상부동체에 걸쳐서 형성되되 밸브의 하부동체 하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밸브의 중앙동체는 그 직경이 밸브시트공 직경보다 작으며, 밸브 상부동체의 외측 주연부에는 밸브시트부의 제1 시트면과 밀착하는 제1 밀착부가 형성되고, 밸브 하부동체에는 밸브시트부의 제2 시트면과 밀착하는 제2 밀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의 상부동체 상부에는 상향연장되는 밸브돌기가 형성되어서 이 밸브돌기를 횡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밸브시트부의 제1 밀착부가 제1 시트면과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부의 제2 시트면이 진공해제장치 수용홈의 바닥부 밑면에 밸브시트공 둘레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밸브시트돌기의 하측 돌기면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4. 삭제
KR1020110087859A 2011-08-31 2011-08-31 진공용기 KR101252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859A KR101252474B1 (ko) 2011-08-31 2011-08-31 진공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859A KR101252474B1 (ko) 2011-08-31 2011-08-31 진공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415A KR20130024415A (ko) 2013-03-08
KR101252474B1 true KR101252474B1 (ko) 2013-04-09

Family

ID=4817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859A KR101252474B1 (ko) 2011-08-31 2011-08-31 진공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4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077B1 (ko) * 2014-04-07 2015-05-13 임준영 진공 용기
WO2018174571A1 (ko) * 2017-03-24 2018-09-27 주식회사 쓰리스타 진공밀폐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9457A (ja) * 1991-09-13 1993-03-30 Ishimaru Gosei Jushi Kk 減圧容器
KR100429069B1 (ko) * 2003-02-11 2004-04-29 권만현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9457A (ja) * 1991-09-13 1993-03-30 Ishimaru Gosei Jushi Kk 減圧容器
KR100429069B1 (ko) * 2003-02-11 2004-04-29 권만현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077B1 (ko) * 2014-04-07 2015-05-13 임준영 진공 용기
WO2018174571A1 (ko) * 2017-03-24 2018-09-27 주식회사 쓰리스타 진공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415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364B1 (ko) 공기 펌프식 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생활용품용 용기
US6789690B2 (en) Hose direct canister lid
EP3903946A1 (en) Elastic member and pump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20160262523A1 (en) Cream-type cosmetic container
US6769579B2 (en) Fluid dispenser
US9669418B2 (en) Pump for discharging contents
US10758924B2 (en) Receptacle for mixing of different materials
KR101252474B1 (ko) 진공용기
JP2013526936A (ja) ポーチおよび分配ケースを含む流体材料分配キット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KR101002507B1 (ko)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WO2014160608A1 (en) Vacuum container, cap, and vacuum container assembly
US20120000942A1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KR100991304B1 (ko) 진공용기용 진공펌프
KR101271151B1 (ko) 노즐개폐형 화장품 용기
KR100554653B1 (ko) 진공커버
KR200393325Y1 (ko) 다용도 용기
CN212952086U (zh) 一种真空罐
KR20050093743A (ko) 공기 펌프식 토출용기
WO2013032046A1 (ko) 진공용기
EP2904931A9 (en) Cream type cosmetic container
GB2298639A (en) Valved food storage container; hand evacuating pump
KR101117557B1 (ko) 벤딩형 체크밸브가 장착된 비닐봉투
KR101884806B1 (ko) 수평 가압형의 개방구조를 갖는 병마개
US9573752B2 (en) Liquid contain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