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507B1 -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 Google Patents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507B1
KR101002507B1 KR1020080040380A KR20080040380A KR101002507B1 KR 101002507 B1 KR101002507 B1 KR 101002507B1 KR 1020080040380 A KR1020080040380 A KR 1020080040380A KR 20080040380 A KR20080040380 A KR 20080040380A KR 101002507 B1 KR101002507 B1 KR 101002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tainer
push cap
valve plate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4638A (ko
Inventor
김우경
Original Assignee
김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경 filed Critical 김우경
Priority to KR1020080040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507B1/ko
Publication of KR20090114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9/00Devices for relieving the pressure on the sealing 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음식물 등을 장기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진공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상측이 개방된 용기와, 잠금날개를 갖는 뚜껑으로 된 진공용기에 있어서, 상기한 뚜껑의 상부 중앙에는 안치홈부를 형성하고, 상기의 안치홈부에는 푸쉬 펌핑에 의해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 배출수단을 장착하되, 상기의 에어 배출수단은 연질 탄성의 푸쉬캡과 흡입밸브판 및 배출밸브판과 승강밸브로 이루어져,
별도의 진공흡입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진공용기 자체의 에어 배출수단을 사용자가 직접 작동시켜 용기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진공용기의 합리적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실내의 어떠한 장소에서든지 진공용기 본래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사용할 수 있고, 전원이 없는 실외에서도 간편하게 진공용기를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우수한 효율성을 갖는 것이다.
진공용기, 뚜껑, 수동식, 펌핑, 에어 배출수단, 푸쉬캡, 승강밸브

Description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Vacuum container having air-dischrging means by manual pumping}
본 발명은 다양한 음식물 등을 장기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진공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용기의 뚜껑에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장착함에 따라 사용자가 손쉽게 상기의 에어 배출수단을 펌핑시켜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제거할 수 있어 별도의 진공흡입장치를 구비하거나 사용하지 않고도 손쉽게 진공용기의 내부가 진공 상태 또는 진공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보관용기는 용기와 뚜껑의 기본적인 구성으로 된 것들 이외에 근자에 들어서 밀폐용기나 진공용기 등이 개발되어 종래의 보관시간에 비하여 더욱 오랜 시간 동안 음식물의 부패나 변질없이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밀폐용기는 용기 본체와 뚜껑의 완전 밀착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함에 따라 공기의 소통이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므로 종래의 일반 용기에 비하여 음식물의 보관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며,
진공용기의 경우에는 용기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제거하면서도 용기와 뚜껑의 완전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음식물과 공기와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음식물의 부패나 변질 방지 효과가 더욱 우수하므로 음식물의 보관 기간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한 진공용기는 음식물의 보관시간이 크게 연장됨에 따라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한 진공용기의 뚜껑에는 용기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밸브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의 에어밸브는 일종의 체크밸브의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별도의 진공흡입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밸브 내의 승강밸브를 상승시켜 용기의 내부가 개방되면 흡입압력에 의해 용기 내부의 공기가 제거되는 것이며, 용기 내부의 공기가 완전히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의 진공흡입장치를 에어밸브로부터 제거하면 용기 내의 저압력에 의해 상승상태의 승강밸브가 급속하게 하강하여 뚜껑과 밀착되므로 용기 내부의 진공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하는 구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진공용기는 반드시 진공흡입장치가 있어야 올바른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진공용기 내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진공흡입장치를 필수적으로 구비한 상태에서 진공용기 내에 음식물을 넣은 후 상기의 진공흡입장치를 진공용기의 뚜껑에 형성된 에어밸브에 밀착하여 구동함에 따라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가 제거되는 특성에 기인한 것이다.
이에 따라 진공용기의 구매 비용에 비하여 지나치게 고가인 진공흡입장치를 추가로 구매하여야 하므로 소비자 입장에서는 경제적 손실이 상당하다 할 것이며, 상기의 진공흡입장치는 전원을 인가시켜 내부의 구동모터 및 진동펌프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므로 전원수단이 없는 야외에서는 진공용기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실내에서도 상기와 같은 진공용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반드시 진공흡입수단이 위치한 장소까지 이동하여야 진공 사용이 가능하므로 매우 불편한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진공용기의 뚜껑에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장착함으로써, 별도의 진공흡입장치 없이도 진공용기 자체의 에어 배출수단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를 제거할 수 있게 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용기 자체의 에어 배출수단에 의해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진공용기의 본래 특성을 그대로 살려 음식물을 안전하게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특징의 진공용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이 개방된 용기와, 잠금날개를 갖는 뚜껑으로 된 진공용기에 있어서, 상기한 뚜껑의 상부 중앙에는 안치홈부를 형성하고, 상기의 안치홈부에는 푸쉬 펌핑에 의해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 배출수단을 장착하되, 상기의 에어 배출수단은 연질 탄성의 푸쉬캡과 흡입밸브판 및 배출밸브판과 승강밸브로 이루어져, 푸쉬캡을 가압하였다가 가압력을 해제하면 스프링복원력에 의하여 푸쉬캡이 상승 팽창되면서 푸쉬캡 내부의 저압 상태에 의해 용기 내부의 공기가 승강밸브의 에어공을 통해 흡입밸브판을 개방시켜 푸쉬캡의 내부로 유입되고, 푸쉬캡의 내부로 유입되었던 용기 내의 공기는 푸쉬캡의 재차 가압에 따라 배출밸브판이 개방되며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다시 가압상태를 해제하게되면 푸쉬캡의 상승력에 의해 푸쉬캡 내부가 저압상태가 되면 상기의 배출밸브판은 폐변되고 흡입밸브판은 다시 개방되어 용기 내부의 공기가 푸쉬캡의 내부로 반복 유입되고 배출되는 작동을 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진공흡입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진공용기 자체의 에어 배출수단을 사용자가 직접 작동시켜 용기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진공용기의 합리적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실내의 어떠한 장소에서든지 진공용기 본래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사용할 수 있고, 전원이 없는 실외에서도 간편하게 진공용기를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우수한 효율성을 갖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의 전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용기(10)와 테두리에 회전식 잠금레버를 갖는 뚜껑(2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경우에는 상기의 뚜껑(20) 중앙에 별도의 에어밸브를 장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동식 펌핑이 가능한 에어 배출수단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상기한 뚜껑(20)의 중앙에는 안치홈부(21)를 형성하고, 안치홈부(21)에는 에어 배출수단(30)을 장착한 것으로서, 상기의 에어 배출수단(30)은 연질 고무재로 된 푸쉬캡(31)과 흡입밸브판(32) 및 배출밸브판(33)과 승강밸브(40)에 의해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푸쉬캡(31)은 사용자가 직접 하향 가압하여 푸쉬캡(31)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한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용기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의 흡입밸브판(32)은 용기(10)와 푸쉬캡(31) 내부 간의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의 배출밸브판(33)은 푸쉬캡(31)의 내부와 외부 간의 공기 소통을 단속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한 안치홈부(21)의 중앙에는 용기(10)의 내측까지 삽입되는 승강밸브(4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의 승강밸브(40)의 중앙에는 수직 관통의 에어공(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승강밸브(40)의 상부에는 확장부(4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확장부(42)가 안치홈부(21)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승강밸브(40)의 상측에는 비교적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된 받침대(50)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받침대(50)에는 스프링(71)이 위치하고 있으며, 스프링(71)의 내측인 받침대(50)의 상부에는 흡입밸브판(32)이 형성된 밸브체(60)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받침대(50)의 중앙에는 상기한 흡입밸브판(32)의 외경 보다는 작은 내경으로 된 소통공(5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흡입밸브판(32)이 상향 전개되면 상기의 소통공(51)은 개방상태가 되는 반면, 흡입밸브판(32)이 하강하게 되면 소통공(51)은 차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별도의 푸쉬캡(31)을 구비하고 푸쉬캡(31)의 하단을 받침대(50)의 측부에 고정시켜 푸쉬캡(31)의 내부공간이 확보되게 하고, 상기한 푸쉬캡(31)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프링(71)의 상측에는 별도의 푸쉬판(70)을 결합 형성하여 상기한 스프링(71)은 푸쉬판(70)과 받침대(50)를 서로 이격시키려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푸쉬판(70)은 푸쉬캡(31)의 내측 선단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며, 푸쉬판(70)의 일측에는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배출공(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배출공(72) 내경 보다는 큰 외경으로 된 배출밸브판(33)이 푸쉬캡(31)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용기(10)와 뚜껑(20)이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용기(10) 내 부의 공기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우선 푸쉬캡(31)을 하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푸쉬캡(31) 내부의 공기압력은 하향 회전이 불가능한 흡입밸프판(32)을 개방시키지 못하는 대신 상향 회전이 가능한 배출밸브판(33)을 상향 회전시켜 푸쉬판(70)의 배출공(72)을 개방시키게 되므로 상기 푸쉬캡(31)의 내부 공기는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의 푸쉬캡(31) 측부에는 반복의 주름부(3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질 탄력상의 푸쉬캡(31)은 상기의 주름부(34)에 의해 용이하게 하향 가압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상기의 푸쉬캡(31)을 하향 가압하여 그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 후 푸쉬캡(31)을 가압하고 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도 5의 도시와 같이 푸쉬캡(31) 자체의 복원력과 내부 스프링(71)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상기한 푸쉬캡(31)은 상승 복원하려는 힘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내부 공기압에 의해 상향 개방되어 있던 배출밸브판(33)은 저압에 의해 폐변 상태가 되는 것이며, 반대로 고압에 의해 폐변 상태였던 흡입밸브판(32)이 용기(10)의 내부 보다 저압 상태인 푸쉬캡(31)의 내측을 향하여 상향 회전하므로 받침대(50) 중앙의 소통공(51)과 승강밸브(40)의 에어공(41)이 동시에 개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푸쉬캡(31)의 내부 공간이 상기한 스프링(71)의 반력에 의해 용기(10)의 내부에 비하여 저압 상태가 되므로 용기(10)의 내부 공기는 상기한 에 어공(41)과 소통공(51)을 따라 푸쉬캡(31)의 내부 공간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푸쉬캡(31)의 상승 복원 과정이 종료되면 용기(10) 내부 공기의 이동이 종료되는 것이며, 다시 상기한 푸쉬캡(31)을 하향 가압하는 과정에 의해 푸쉬캡(31) 내부의 공기는 다시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결국 용기(10)의 내부 공기는 점진적으로 소멸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스프링(71)의 탄성 반발력을 다양하게 조절함에 따라 용기(10) 내부의 공기 잔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강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71)을 사용하는 경우 펌핑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나 용기(10) 내부가 진공에 최대한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므로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비교적 약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7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펌핑 작용이 매우 용이한 반면 용기(10)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는데에는 압력 생성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특성의 스프링(71) 탄성 복원력을 적당히 가감하여 효율성과 사용성 및 보관성을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동식 펌핑 작용에 의해 진공용기의 내부 진공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용기(10)의 내부 공간은 저압 상태가 되므로 용기(10)와 뚜껑(20)의 밀착 상태가 더욱 우수해지는 것인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10) 내의 음식물을 사용하거나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용기(10)로부터 뚜껑(20)이 내부 압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저압상태의 용기(10) 내부에 외기를 공급하여 저압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야 하는 것인데, 이때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 기한 푸쉬캡(31)을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받침대(50)에 결합된 상태의 승강밸브(40)의 확장부(42)가 함께 상승하게 되므로 결국 푸쉬캡(31)의 저면과 안치홈부(21)의 바닥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이와 같은 틈새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저압 상태의 용기(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용기(10)로부터 뚜껑(20)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푸쉬캡(31)을 가볍게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도 외부 공기가 저압 상태의 용기(10) 내부로 유입되어 대기압과 같은 수준을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한 용기(10)로부터 뚜껑(20)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진공용기는 별도의 진공흡입장치 없이도 흡입밸브판(32)과 배출밸브판(33)의 유기적인 연계작동을 통해 용기(10)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진공용기 자체의 기능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므로 매우 뛰어난 경제성을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의 에어 배출부가 하강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의 에어 배출부가 상승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의 내부 진공상태를 해제하는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20 : 뚜껑 21 : 안치홈부
30 : 에어 배출수단 31 : 푸쉬캡
32 : 흡입밸브판 33 : 배출밸브판
34 : 주름부
40 : 승강밸브 41 : 에어공
42 : 확장부
50 : 받침대 51 : 소통공
60 : 밸브체
70 : 푸쉬판 71 : 스프링
72 : 배출공

Claims (5)

  1. 상측이 개방된 용기(10)와, 잠금날개를 갖는 뚜껑(20)으로 된 진공용기에 있어서,
    상기한 뚜껑(20)의 상부 중앙에는 안치홈부(21)를 형성하고, 상기의 안치홈부(21)에는 푸쉬 펌핑에 의해 용기(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 배출수단(30)을 장착하되, 상기의 에어 배출수단(30)은 연질 탄성의 푸쉬캡(31)과 흡입밸브판(32) 및 배출밸브판(33)과 승강밸브(40)로 이루어져,
    푸쉬캡(31)을 가압하였다가 가압력을 해제하면 스프링복원력에 의하여 푸쉬캡(31)이 상승팽창되면서 푸쉬캡(31) 내부의 저압 상태에 의해 용기(10) 내부의 공기가 승강밸브(40)의 에어공(41)을 통해 흡입밸브판(32)을 개방시켜 푸쉬캡(31)의 내부로 유입되고, 푸쉬캡(31)의 내부로 유입되었던 용기(10) 내의 공기는 푸쉬캡(31)의 재차 가압에 따라 배출밸브판(33)이 개방되며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다시 가압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푸쉬캡(31)의 상승력에 의해 푸쉬캡(31) 내부가 저압상태가 되면 상기의 배출밸브판(33)은 폐변되고 흡입밸브판(32)은 다시 개방되어 용기(10) 내부의 공기가 푸쉬캡(31)의 내부로 반복유입되고 배출되는 작동을 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승강밸브(40)는 상측에 확장부(42)가 형성되어 상기의 확장부(42) 저면이 안 치홈부(21)의 바닥면에 밀착되게 하고, 상기의 확장부(42)에는 합성수지재로 된 받침대(5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의 받침대(50)의 상측에는 중앙에 흡입밸브판(32)이 형성된 연질의 밸브체(6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푸쉬캡(31)의 내측 선단에는 별도의 푸쉬판(70)을 내장하여 상기의 푸쉬판(70)과 받침대(50)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71)에 의해 서로 반력을 갖게 하는 것이며, 상기 푸쉬캡(31)에는 배출밸브판(33)을 형성하고 배출밸브판(33)이 위치하는 푸쉬판(70)에는 수직 관통의 배출공(72)을 형성하여,
    승강밸브(40)의 에어공(41)을 따라 배출되고자 하는 용기 내부 공기는 상기의 흡입밸브판(32)을 상향 개방시켜 푸쉬캡(31)의 내부로 이동하고, 상기의 푸쉬캡(31) 내부의 공기는 배출밸브판(33)을 상향 개방시켜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흡입밸브판(32)의 외경은 받침대(50) 중앙의 소통공(51)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하여, 흡입밸브판(32)의 하강시 상기의 소통공(51)이 차단 밀폐되게 구성하고,
    배출밸브판(33)의 외경은 푸쉬판(70)의 배출공(72) 내경 보다 크게 형성하여, 배출밸브판(33)의 하강시 상기의 배출공(72)이 차단 밀폐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푸쉬캡(31)의 측부에는 주름부(34)를 형성하여, 상기의 주름부(34)에 의해 푸쉬캡(31)의 가압 신축 작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용기(10)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푸쉬캡(31)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상기의 푸쉬캡(31)과 함께 승강밸브(40)의 확장부(42)가 함께 상승되게 하여, 푸쉬캡(31)의 저면과 안치홈부(11)의 바닥 틈새를 통해 외부 공기가 용기(10) 내부로 유입되어 압력이 해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KR1020080040380A 2008-04-30 2008-04-30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KR101002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380A KR101002507B1 (ko) 2008-04-30 2008-04-30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380A KR101002507B1 (ko) 2008-04-30 2008-04-30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638A KR20090114638A (ko) 2009-11-04
KR101002507B1 true KR101002507B1 (ko) 2010-12-17

Family

ID=4155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380A KR101002507B1 (ko) 2008-04-30 2008-04-30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616B1 (ko) * 2013-08-30 2015-02-05 박상욱 발효용기용 뚜껑부재 및 이를 갖는 발효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470B1 (ko) * 2014-11-20 2015-06-25 추중휴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
CN107640444B (zh) * 2017-10-30 2019-03-19 珠海先河生物技术有限公司 真空杯
CN108341167A (zh) * 2018-04-26 2018-07-31 安徽晶丽玻璃器皿有限公司 一种真空密封玻璃存储罐
WO2020231403A1 (en) * 2019-05-13 2020-11-19 Lenntek Corporation Vacuum pump lid for cannisters
CN112623493B (zh) * 2020-12-04 2022-10-11 浙江千翊科技有限公司 一种保鲜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320U (ja) 1996-09-30 1997-04-15 炳明 呉 真空容器の抽気装置
JP3102384U (ja) 2003-12-19 2004-07-02 台英 張 真空密閉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320U (ja) 1996-09-30 1997-04-15 炳明 呉 真空容器の抽気装置
JP3102384U (ja) 2003-12-19 2004-07-02 台英 張 真空密閉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616B1 (ko) * 2013-08-30 2015-02-05 박상욱 발효용기용 뚜껑부재 및 이를 갖는 발효용기
WO2015030291A1 (ko) * 2013-08-30 2015-03-05 Park Sang Wook 발효용기용 뚜껑부재 및 이를 갖는 발효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638A (ko)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507B1 (ko)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KR200462552Y1 (ko) 진공펌프가 결합된 진공용기
KR200486359Y1 (ko) 부압 생성 및 장기 밀봉을 용이하게 하는 용기 커버
JP6290422B2 (ja) 瓶の真空密閉装置
WO2017133486A1 (zh) 气动式真空压榨装置
KR101362264B1 (ko) 진공펌프
JP2019508211A (ja) 真空容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240577B1 (ko) 원터치로 패킹의 공기차단 상태를 제어하는 밀폐용기 뚜껑
JP5550531B2 (ja) 真空保存容器
KR200387212Y1 (ko) 풍선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205729174U (zh) 料理机
CN209202771U (zh) 烹饪器具
KR20090011263U (ko)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CN2863696Y (zh) 具有自动侦测真空状态的真空保鲜盒
KR200481587Y1 (ko) 양변기용 압축기
KR20110048225A (ko) 공기배출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KR100998348B1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KR100802404B1 (ko) 진공밸브 작동식 밀폐용기
CN207886059U (zh) 一种杯盖
KR101863201B1 (ko) 진공 텀블러
CN211002742U (zh) 一种真空保鲜盒
CN208784399U (zh) 烹饪器具
KR101252474B1 (ko) 진공용기
KR200343148Y1 (ko) 진공용기의 진공화장치
CN204197378U (zh) 无锁自封的抽真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