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391Y1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391Y1
KR200402391Y1 KR20-2005-0024804U KR20050024804U KR200402391Y1 KR 200402391 Y1 KR200402391 Y1 KR 200402391Y1 KR 20050024804 U KR20050024804 U KR 20050024804U KR 200402391 Y1 KR200402391 Y1 KR 200402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nozzle assembly
space
contents
push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웅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웅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웅제약
Priority to KR20-2005-0024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3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3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조 및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압축 가스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용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내부 공간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는 케이싱 및 케이싱 상단에 장착되는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며, 케이싱 내부에는 피스톤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공간이 노즐 조립체와 대응하며 내용물이 담겨지는 제 1 공간과 압축 가스가 저장된 제 2 공간으로 구분되어, 노즐 조립체의 조작에 의하여 제 2 공간 내의 압축 가스의 압력이 피스톤을 통하여 내용물에 작용하여 내용물이 노즐 조립체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고안에서 이용된 노즐 조립체는, 커버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푸시 로드; 푸시 로드에 연결되며 하단은 케이싱의 제 1 공간 공간에 대응하는 이송관; 및 푸시 로드 하단과 커버의 개구에 형성된 턱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이송관의 하단 외주면이 커버의 개구 하단 연변에 대응하고, 푸시 로드 내의 유체 통로와 이송관의 유체 통로가 유체 연결된다.

Description

용기{Container}
본 고안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축 가스에 의하여 내용물(액체 또는 기체)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내부 공간에 담겨져 있는 액상 또는 기체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용기는 크게 금속 캔 형태의 외부 케이싱, 외부 케이싱 내에 위치하는 내부 케이싱 및 내부 케이싱과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케이싱의 일단에 장착된 노즐 조립체로 이루어진다 .
도 1은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용기의 일부 절개 사시도로서, 용기는 크게 외부 케이싱(1), 내부 케이싱(2) 및 노즐 조립체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외부 케이싱(1) 상단에 캡이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따라서 노즐 조립체는 도시되지 않는다.
외부 케이싱(1) 내에는 압축 가스가 담겨져 있으며, 따라서 압축 가스의 압력은 내부 케이싱(2)에 작용하게 된다. 내부 케이싱(2)은 알루미늄 포일(foil)과 같이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내용물이 담겨져 있다. 외부 케이싱(1)의 일단에 장착된 노즐 조립체는 내부 케이싱(2)과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노즐 조립체의 조작에 의하여 내용물은 노즐 조립체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외부 케이싱(1) 내에 위치한 내부 케이싱(2)에는 압축 가스의 압축력이 항상 가해지는 상태이나, 노즐 조립체의 노즐 개구가 밀폐된 상태에서는 내부 케이싱(2) 내의 내용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노즐 조립체를 조작하여 노즐 개구를 개방시키면, 내부 케이싱에 가해지는 압축 가스의 압축력은 내부 케이싱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내용물을 노즐 조립체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용기에서는 외부 케이싱(1)의 내부에 알루미늄 포일 등으로 이루어진 내부 케이싱(2)을 장착하기 어려우며, 또한 압축 가스가 누설되지 않도록 외부 케이싱(1)의 기밀도를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외부 케이싱(1) 중에서 노즐 조립체가 장착된 부분에서 압축 가스가 쉽게 누설되어 내용물의 배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압축 가스의 누설시 압축 가스를 보충할 수 없는 구조를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압축 가스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에서 발생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조 및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특히 압축 가스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내부 공간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는 케이싱 및 케이싱 상단에 장착되는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며, 케이싱 내부에는 피스톤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공간이 노즐 조립체와 대응하며 내용물이 담겨지는 제 1 공간과 압축 가스가 저장된 제 2 공간으로 구분되어, 노즐 조립체의 조작에 의하여 제 2 공간 내의 압축 가스의 압력이 피스톤을 통하여 내용물에 작용하여 내용물이 노즐 조립체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고안에서 이용된 노즐 조립체는, 커버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푸시 로드; 푸시 로드에 연결되며 하단은 케이싱의 제 1 공간 공간에 대응하는 이송관; 및 푸시 로드 하단과 커버의 개구에 형성된 턱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이송관의 하단 외주면이 커버의 개구 하단 연변에 대응하고, 푸시 로드 내의 유체 통로와 이송관의 유체 통로가 유체 연결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용기(100)는 크게 케이싱(10), 케이싱(10) 상단에 장착된 노즐 조립체(30) 및 케이싱(10) 내부에 위치하여 케이싱(10) 내부 공간을 구분하는 피스톤(40)으로 이루어진다.
커버(20)는 케이싱(10)의 상단에 고정되어 케이싱(10)의 내부 공간을 밀폐 공간으로 한정하며, 노즐 조립체(30)는 이 커버(20)의 중앙부에 장착된다.
노즐 조립체(30)는 커버(20)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푸시 로드(31), 푸시 로드(31)에 연결되며 하단은 케이싱(10)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이송관(32) 및 푸시 로드(31) 하단과 커버(20)의 개구에 형성된 턱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33)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송관(32)의 하단 외주면이 커버(20)의 개구 하단 연변에 접촉함으로서 이송관(32) 및 푸시 로드(31)가 커버(2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푸시 로드(31) 내의 유체 통로와 이송관(32)의 유체 통로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케이싱(10) 내의 유체는 이송관(32)의 유체 통로와 푸시 로드(31) 내의 유체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케이싱(10)의 내부 공간에는 피스톤(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피스톤(40)은 케이싱(10)의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11)과 하부 공간(12)으로 분리한다. 상부 공간(11)에는 액상 약품 등과 같은 내용물이 저장되며, 하부 공간(12)에는 압축 가스가 수용된다.
피스톤(40)은 케이싱(10)의 내주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수직(도면 기준) 이동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케이싱(10)은 표면 거칠기가 작은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스톤(40)은 케이싱(10)의 내주면과 완전 밀착되어 기밀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수직 이동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기능을 얻기 위해서 테프론, 폴리에틸렌(poly ethylen), 실리콘 또는 바이톤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용기(100)의 작동 및 기능을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노즐 조립체를 조작하여 액상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용기의 단면도로서, 노즐 조립체(30)의 푸시 로드(31)가 눌려진 (화살표 "가" 방향)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피스톤(40)에 의하여 구분된 케이싱(10)의 상부 공간(1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액상 약품 등과 같은 내용물이 저장되며, 하부 공간(12)에는 압축 가스가 수용된다. 따라서, 피스톤(40)에는 압축 가스의 압력이 작용(화살표 "나" 방향)한다. 그러나, 커버(20)의 개구가 노즐 조립체(30)의 푸시 로드(31)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며, 또한 제 1 공간(11)과 제 2 공간(12)이 압력 평행 상태가 되어 피스톤(40) 역시 이동하지 않는다.
푸시 로드(31)가 눌려지면, 푸시 로드(31) 하단과 커버(20)의 개구에 형성된 턱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33)이 눌려짐과 동시에 푸시 로드(31)에 연결된 이송관(32) 역시 하향 이동 이동한다. 따라서, 이송관(32) 하단 외주면과 커버(20)의 개구 하단면에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을 통하여 푸시 로드(31) 내의 유체 통로 및 이송관(32)의 유체 통로는 케이싱(10)의 제 1 공간(11)과 유체 연결된 상태가 된다.
한편, 이러한 상태로 인하여 제 2 공간(12) 내의 압축 가스가 팽창되어 피스톤(40)을 상승(화살표 "나" 방향)시키며, 따라서, 상승하는 피스톤(40)의 압력으로 인하여 케이싱(10)의 제 1 공간(11) 내에 존재하는 내용물은 이송관(32)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32A) 및 그 내부의 유체 통로 그리고 푸시 로드(31) 내의 유체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소정 량의 내용물을 배출된 후, 푸시 로드(31)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해제하면, 눌려져 있던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하여 푸시 로드(31)는 상향 이동한다. 푸시 로드(31)의 상향 이동에 의하여 이송관(32) 역시 상향 이동한다.
이송관(32)의 상향 이동에 의하여 이송관(32)의 하단 외주면과 커버(20)의 개구 하단 연변은 완전 밀착되며, 따라서, 푸시 로드(31) 내의 유체 통로 및 이송관(32)의 유체 통로는 케이싱(10)의 제 1 공간(11)과 차단된다.
커버(20)의 개구가 노즐 조립체(30)의 이송관(32)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며, 제 1 공간(11)과 제 2 공간(12)이 압력 평행 상태가 되어 피스톤(40) 역시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케이싱(10)의 제 2 공간(12) 내의 압력 손실이 발생할 경우, 내용물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싱(10)의 소정 위치, 예를 들어 바닥면에 압축 가스 주입 밸브(13)를 설치하였다. 압축 가스의 압력은 내용물의 주입량과 물리적, 화학적 특성, 즉, 점도, 비중 등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내용물이 모두 배출된 경우, 케이싱(10)에서 커버(20)를 분리한 후, 제 1 공간에 내용물을 보충하며, 이후 압축 가스 주입 밸브(13)를 통하여 제 2 공간(12)에 압축 가스를 보충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케이싱 내부 공간을 분리하여 내용물과 압축 가스를 분리된 상태로 수용하기 때문에 내용물과 압축 가스의 보충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이 별도의 케이싱에 담겨져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모든 내용물을 완전하게 외부로 배출, 사용할 수 있으며, 간단한 조립 공정을 통하여 용기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고안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과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과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도 1은 내부 공간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용기의 일부 절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노즐 조립체를 조작하여 액상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용기의 단면도.

Claims (4)

  1. 내부 공간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에 있어서,
    케이싱 및 케이싱 상단에 장착되는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며, 케이싱 내부에는 피스톤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공간이 노즐 조립체와 대응하며 내용물이 담겨지는 제 1 공간과 압축 가스가 저장된 제 2 공간으로 구분되어, 노즐 조립체의 조작에 의하여 제 2 공간 내의 압축 가스의 압력이 피스톤을 통하여 내용물에 작용하여 내용물이 노즐 조립체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싱의 상단에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커버가 고정되어 있으며, 노즐 조립체는 커버에 장착되어 있는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노즐 조립체는,
    커버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푸시 로드;
    푸시 로드에 연결되며 하단은 케이싱의 제 1 공간 공간에 대응하는 이송관; 및
    푸시 로드 하단과 커버의 개구에 형성된 턱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이송관의 하단 외주면이 커버의 개구 하단 연변에 대응하며, 푸시 로드 내의 유체 통로와 이송관의 유체 통로가 유체 연결되어 있는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은 표면 거칠기가 작은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며, 피스톤은 테프론, 폴리에틸렌(poly ethylen), 실리콘 또는 바이톤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용기.
KR20-2005-0024804U 2005-08-29 2005-08-29 용기 KR200402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804U KR200402391Y1 (ko) 2005-08-29 2005-08-29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804U KR200402391Y1 (ko) 2005-08-29 2005-08-29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391Y1 true KR200402391Y1 (ko) 2005-12-02

Family

ID=4370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804U KR200402391Y1 (ko) 2005-08-29 2005-08-29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39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390A1 (ko) * 2014-10-31 2016-05-06 왕정순 바닥면을 통해 압력을 제공하는 디스펜서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펜서
KR102072308B1 (ko) * 2018-10-05 2020-01-31 주식회사 원에어테크 토출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82330A (ko) * 2020-12-10 2022-06-17 에어그린 주식회사 분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390A1 (ko) * 2014-10-31 2016-05-06 왕정순 바닥면을 통해 압력을 제공하는 디스펜서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펜서
KR102072308B1 (ko) * 2018-10-05 2020-01-31 주식회사 원에어테크 토출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82330A (ko) * 2020-12-10 2022-06-17 에어그린 주식회사 분사 장치
KR102540231B1 (ko) 2020-12-10 2023-06-07 에어그린 주식회사 분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870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1508499B1 (ko)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EP1371579B1 (en)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US6375024B1 (en) Vacuum apparatus for forming a vacuum in a container
JP2012507451A (ja) 圧力差による調量装置
KR10217265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200402391Y1 (ko) 용기
KR10241441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1141317B1 (ko) 펌프 디스펜서
KR102271374B1 (ko) 펌프 조립체
KR101641633B1 (ko) 진공펌프
KR101114434B1 (ko) 진공 패킹이 설치된 진공 용기
KR100782330B1 (ko) 용기 출몰식 펌프디스펜서
KR102177661B1 (ko)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작 설비의 배관용 체크 밸브
KR100858320B1 (ko) 유체용기
KR101443837B1 (ko) 화장품 용기의 펌프
KR200239132Y1 (ko) 화장품 샘플 용기
KR101751982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0306872Y1 (ko)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배출 장치
KR102496965B1 (ko) 펌프 조립체
KR20130000272A (ko) 액체 화장품용기
KR102421135B1 (ko) 펌프 디스펜서
WO2020049612A1 (ja) エアレス容器
KR200261015Y1 (ko)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