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965B1 - 펌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펌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965B1
KR102496965B1 KR1020210141652A KR20210141652A KR102496965B1 KR 102496965 B1 KR102496965 B1 KR 102496965B1 KR 1020210141652 A KR1020210141652 A KR 1020210141652A KR 20210141652 A KR20210141652 A KR 20210141652A KR 102496965 B1 KR102496965 B1 KR 102496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elastic member
cylinder
piston
pump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4601A (ko
Inventor
최성웅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EP22846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74970A1/en
Priority to CN202280047406.8A priority patent/CN117677445A/zh
Priority to PCT/KR2022/010692 priority patent/WO2023003387A1/ko
Publication of KR20230014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05B11/1025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a spring urging the outlet valve in its clos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Landscapes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펌프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펌프 조립체는, 하단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승강하며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승강하며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실캡;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와 함께 승강하고 상단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스템; 상기 스템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결합되는 실린더캡;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실캡과 상기 스템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탄성 부재; 및 상기 실린더의 외부에서 상기 실린더캡과 상기 스템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펌프 조립체{PUMP ASSEMBLY}
본 발명은 펌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레이 용기는, 사용자가 분사버튼을 가압하게 되면 용기 내에 저장된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분무 상태로 분사하는 것으로서, 액상의 화장품 또는 의약품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스프레이 용기의 경우, 스프레이 분사를 위한 펌프 조립체 및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펌프 조립체의 경우, 실린더, 피스톤, 실캡, 스템을 포함하되, 실캡과 실린더 사이에 탄성 부재가 배치되고, 실캡과 스템 사이에 탄성 부재가 배치됨에 따라 실린더 내부에 두 개의 탄성 부재가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두 개의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따라 실캡이 피스톤의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 경우 실린더 내부에 여러 개의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펌프 구조의 설계 및 조립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고, 실린더의 내부에서 탄성 부재가 제대로 지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펌프 조립체는 통상적으로 PP, PE 등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나, 펌프 조립체 내부의 스프링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분리 폐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펌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펌프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펌프 조립체는, 하단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승강하며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승강하며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실캡;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과 함께 승강하고 상단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스템; 상기 스템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결합되는 실린더캡;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실캡과 상기 스템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탄성 부재; 및 상기 실린더의 외부에서 상기 실린더캡과 상기 스템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및 상기 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기둥 형상의 탄성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 조립체에 대한 가압 시, 상기 제 2 탄성 부재가 압축되면서 상기 피스톤과 상기 스템이 하강하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가 압축되면서 상기 실캡이 상기 피스톤에 대해 상승함으로써 상기 유입구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탄성 부재는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상부 지지체; 상기 상부 지지체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지지체; 및 상기 상부 지지체와 상기 하부 지지체를 소정의 경사를 갖고 연결하고, 상기 상부 지지체에 대한 가압 시 굴곡 변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 마루와 골이 반복 형성되는 벨로우즈(bellows)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템은,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스템 본체; 및 상기 스템 본체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외측으로 스템 날개부가 연장되는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템 날개부에는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압축 및 압축 해제 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템 날개부의 하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 1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캡의 상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 1 탄성 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 2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차단볼을 포함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차단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밸브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의 하단에는, 상기 피스톤 또는 상기 밸브부의 승강 시 상기 밸브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부가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밸브 샤프트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접하면서 상기 밸브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날개부는 상기 밸브 샤프트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밸브 날개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의 내부에 하나의 탄성 부재만을 배치시키면서도 펌프 조립체의 스프레이 분사를 위한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펌프 조립체의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분해 및 재활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의 재질을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중 적어도 하나로 함으로써,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별도의 물리적 구조를 부가하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변형되면서 탄성력을 용이하게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을 갖지 않기 때문에 다른 구성과의 분리 폐기 문제를 해결하여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부를 통해 피스톤 또는 밸브부의 승강을 가이드함으로써, 펌프 조립체의 동작 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부에 밸브 날개부를 형성함으로써, 밸브부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밸브부의 승강을 가이드하여, 밸브부의 동작 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템을 스템 본체와 지지체의 조립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펌프 조립체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 조립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과 실캡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탄성 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펌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펌프 조립체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가압 시 내용물을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펌프 조립체의 동작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될 때 내용물은 스프레이 분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펌프 조립체(1000)는, 실린더(100), 피스톤(200), 실캡(300), 스템(400), 실린더캡(500), 제 1 탄성 부재(600), 제 2 탄성 부재(700) 및 밸브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00)는 상하가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00)의 하단에는 흡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구(110)를 통해 실린더(100)의 내부가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본체와 연통될 수 있다. 펌프 조립체(1000)의 동작 시 흡입구(110)를 통해 내용물이 실린더(1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실린더(10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단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내경이 큰 실린더(100)의 상부에서는 실캡(300)과 스템(400)이 승강할 수 있고, 내경이 작은 실린더(100)의 하부에서는 피스톤(200)이 승강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실린더(100) 내에서 내경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지점에는 각각 단차가 형성되고, 단차는 피스톤(200), 실캡(300) 및/또는 스템(400)의 승강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실린더(100)의 일측에는 제 1 공기 구멍(120)과 제 2 공기 구멍(1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공기 구멍(120)은 실린더(100)의 측면의 상측을 관통할 수 있으며, 제 2 공기 구멍(130)은 제 1 공기 구멍(120)의 하측에서 실린더(100)의 측면을 관통할 수 있다. 제 1 공기 구멍(120)과 제 2 공기 구멍(130)은 피스톤(200), 실캡(300) 및/또는 스템(400)의 하강 시 실린더(100) 내부 압력의 과도한 변화를 상쇄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흡입구(110)의 하단에는 튜브가 결합될 수 있다. 튜브는 흡입구(1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용기본체의 바닥에 저장된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피스톤(200)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210)는 피스톤(200)의 측면이 관통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210)를 통해 실린더(100) 내부의 내용물이 피스톤(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피스톤(200)은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유입구(210)를 통해 피스톤(200)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을 상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피스톤(200)은 실린더(100)의 내부에서 승강할 수 있다. 이때, 피스톤(200)은 상측이 스템(400)과 결합되어 스템(400)과 일체로 승강할 수 있다. 즉, 스템(400)이 하측으로 가압될 경우 스템(400)과 피스톤(200)이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고, 스템(400)이 (특히, 제 2 탄성 부재(700)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될 경우 스템(400)과 피스톤(200)이 함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피스톤(200)의 승강에 의해 실린더(100) 내부 공간의 부피가 변화하고, 실린더(100) 내부 부피 변화에 따라 실린더(100) 내부 압력이 변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피스톤(200)의 하단에는 가이드부(220)가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220)는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피스톤(200) 및/또는 밸브부(800)의 승강 시 가이드부(220)에 밸브부(800)(특히, 밸브 샤프트(820))가 삽입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220)가 밸브부(800)(특히, 밸브 샤프트(820))의 측면을 지지하기 때문에, 밸브부(800)의 자세가 유지될 수 있고, 밸브부(800)의 승강 경로가 가이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캡(300)은, 실린더(10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실린더(100)의 내부에서 승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템(400)이 하측으로 가압되어 하측으로 이동하면, 실캡(300)도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스템(400)이 (제 2 탄성 부재(700)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면, 실캡(300)도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캡(300)의 승강에 따라 실린더(100) 내부 공간의 부피가 변화하고, 실린더(100) 내부 부피 변화에 따라 실린더(100) 내부 압력이 변화할 수 있다.
실캡(300)의 상단은 제 1 탄성 부재(60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스템(400)이 하측으로 이동할 때, 제 1 탄성 부재(600)가 스템(400)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고, 제 1 탄성 부재(600)에 의해 실캡(300)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실캡(300)은 스템(400)이 하측으로 이동할 때 제 1 탄성 부재(600)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압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스템(400)과 상이한 거리만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템(400)이 하측으로 이동할 때 제 1 탄성 부재(600)가 압축됨에 따라 실캡(300)은 스템(400)보다 짧은 거리만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캡(300)은 실린더(100) 내벽에 밀착되며 승강하기 위해 둘레에 판막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캡(300)은 스템(400)이 상측으로 이동할 때, 스템(400)과 함께 상승하기 위해 하단의 적어도 일부가 피스톤(20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템(400)이 제 2 탄성 부재(70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할 때, 스템(400)과 결합된 피스톤(200)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피스톤(200)의 상승에 의해 실캡(300)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피스톤(200)의 하측 둘레에는 테두리부(230)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테두리부(230)에 의해 실캡(300)의 하단이 지지되고, 피스톤(200)이 상측으로 이동할 때 테두리부(230)가 실캡(300)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테두리부(230)는 피스톤(200)의 하측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기저부(231); 및 기저부(23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실캡(300)(특히, 실캡(300)의 판막의 내측)에 끼워지는 가압돌기(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압돌기(232)는 실캡(300)과 구조적으로 결합하지 않아, 피스톤(200)의 상승 시 실캡(300)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실캡(300)을 상승시키기는 하지만, 피스톤(200)의 하강 시에 실캡(300)과 일체로 하강하지는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캡(300)은 피스톤(200)의 유입구(210)를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캡(300)은 초기 상태에서 피스톤(200)의 외벽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하며, 유입구(210)를 밀폐할 수 있다. 스템(400)이 하측으로 가압되어 하측으로 이동하면, 스템(400)에 의해 실캡(300)과 피스톤(200) 또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 1 탄성 부재(600)의 압축에 의해 실캡(300)의 이동 거리가 피스톤(200)의 이동 거리에 비해 짧아질 수 있다. 즉, 실캡(300)이 피스톤(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실캡(300)의 상대적 상승에 따라 유입구(21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유입구(210)가 외부로 노출되면 피스톤(200) 및/또는 실캡(300)의 하강에 의해 상승한 실린더(100) 내부 압력으로 인해, 실린더(100)에서 피스톤(200)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다.
스템(400)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실린더(100)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측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가 실린더(1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100)의 외부에 배치된 스템(400)과 실린더(100) 사이의 공간에 제 2 탄성 부재(700)가 배치될 수 있다.
스템(400)은 하단이 피스톤(200)에 결합되어 피스톤(200)와 함께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승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템(400)은 가압 시 하측으로 이동하며, 피스톤(200)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제 2 탄성 부재(700)가 실린더(100)와 스템(400)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스템(400)의 가압을 해제하면 제 2 탄성 부재(700)에 의해 스템(400)이 상측으로 이동하며, 이때 피스톤(200) 또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템(400)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내측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템(400)의 상단에는 배출구(411)가 형성될 수 있다. 스템(400) 개방된 하단을 통해 피스톤(200)에서 배출된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내용물은 스템(400) 내부를 지나 배출구(411)로 배출될 수 있다.
스템(400)은 실린더(10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승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템(400)의 외면에는 판막이 구비되어, 이러한 판막이 실린더(100)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막은 스템(400)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단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판막의 내측(즉, 판막과 스템(400) 외면 사이의 공간)으로 제 1 탄성 부재(600)의 상단이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템(400)은, 실린더(100)에 결합되고 상단에 배출구(411)가 형성되는 스템 본체(410); 및 스템 본체(410)의 외측에 결합되며, 제 2 탄성 부재(700)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외측으로 스템 날개부(421)가 연장되는 지지체(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펌프 조립체(1000)의 조립의 편의성을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실린더(100) 내부에 피스톤(200), 실캡(300), 제 1 탄성 부재(600) 및 스템 본체(410)를 각각 조립시켜 배치시킨 후, 실린더캡(500)을 실린더(100)에 결합시킨 다음, 실린더캡(500)의 상단에 제 2 탄성 부재(700)를 배치하고 스템 본체(410)의 외측에 지지체(420)를 결합시킴으로써 펌프 조립체(1000)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스템 본체(410)와 지지체(4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스템 날개부(421)와 실린더캡(500) 사이에 제 2 탄성 부재(700)를 배치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으나 스템 본체(410)와 지지체(420)가 조립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스템 본체(410)와 지지체(420)의 결합에는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등의 공지된 다양한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템 날개부(421)에는 제 2 탄성 부재(700)의 압축 및 압축 해제 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입구(4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탄성 부재(700)의 압축 시 공기 출입구(422)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제 2 탄성 부재(700)의 압축 해제 시 공기 출입구(422)를 통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히, 제 2 탄성 부재(700)가 측면이 밀폐된 벨로우즈 타입 스프링일 경우) 제 2 탄성 부재(700)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실린더캡(500)은, 스템(400)의 외측을 감싸도록 실린더(10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캡(500)은 스템(400)과 실린더(10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캡(500)은 상단으로 제 2 탄성 부재(70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600)는, 실린더(100)의 내부에서 실캡(300)과 스템(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600)는 스템(400)에 대한 가압 시 압축되며 원상태로 회복되기 위한 탄성 회복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템(400)이 가압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 1 탄성 부재(600)는 스템(400)의 하단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압축되며, 이에 따라 하측으로 회복되기 위한 탄성력을 실캡(300)에 인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탄성 부재(600)는 기둥 형상의 탄성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탄성 부재(600)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피스톤(200) 및/또는 스템(400)을 외측에서 둘러쌀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탄성 부재(600)가 압축됨에 따라 제 1 탄성 부재(600)의 상단과 하단의 내경은 일정하게 유지되되, 중단의 내경이 증가하도록 변형될 수 있고, 중단의 내경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탄성 회복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탄성 부재(600)가 실린더(100)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하여 제품 설계 및 조립이 용이해지고, 구조가 단순하여 사출 성형이 비교적 용이해질 수 있으며, 다른 탄성 부재 형상에 비해 비교적 높은 탄성 회복력을 발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제 1 탄성 부재(600)는 탄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탄성 부재(600)의 재질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탄성 부재(600)에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별도의 물리적 구조가 부가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변형되면서 탄성력을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을 갖지 않기 때문에 다른 구성과의 분리 폐기 문제를 해결하여 친환경적이다.
제 2 탄성 부재(700)는, 실린더(100)의 외부에서 실린더캡(500)과 스템(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탄성 부재(700)는 가압 시 압축되며 원상태로 회복되기 위한 탄성 회복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템(400)이 가압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 2 탄성 부재(700)는 실린더캡(500)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압축되며, 이에 따라 상측으로 회복되기 위한 탄성력을 스템(400)에 인가할 수 있다.
펌프 조립체(1000)에 대한 가압 시, 제 2 탄성 부재(700)가 압축되면서 스템(400), 실캡(300) 및/또는 피스톤(200)이 하강할 수 있다. 스템(400), 실캡(300) 및/또는 피스톤(200)의 하강에 따라 실린더(100) 내부 공간의 압력이 상승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탄성 부재(700)는 길이 방향으로 마루와 골이 반복 형성되는 벨로우즈 타입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탄성 부재(700)는 측면이 밀폐될 수 있다. 제 2 탄성 부재(700)가 압축되면, 마루와 마루 사이의 간격과 골과 골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도록 변형될 수 있고, 간격이 원상태로 복구되기 위한 방향으로 탄성 회복력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제 2 탄성 부재(700)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탄성 부재(700)의 재질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옥시메틸렌(POM), 포리케톤(POK),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옥시프로필렌(POP),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에틸렌 옥텐/부텐 공중합체(Ethylene Octene/Butene Copolymer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 2 탄성 부재(700)를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제작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종래의 금속 재질의 스프링보다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금속 재질의 스프링보다 무게가 가벼워, 제 2 탄성 부재(700)를 구비하는 펌프 조립체 및 용기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펌프 조립체(1000)의 다른 구성과의 분리 폐기 문제를 해결하여 친환경적이다.
실시예에서, 스템 날개부(421)의 하면 둘레를 따라 제 1 지지홈(423)이 형성될 수 있고, 실린더캡(500)의 상면 둘레를 따라 제 2 지지홈(5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홈(423)에 의해 제 2 탄성 부재(700)의 상단이 지지되고, 제 2 지지홈(510)에 의해 제 2 탄성 부재(700)의 하단이 지지됨으로써, 제 2 탄성 부재(700)가 스템 날개부(421)와 실린더캡(50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탄성 부재(700)를 실린더(100)의 외부에 배치시키고 실린더(100)의 내부에 제 1 탄성 부재(600) 하나만을 배치시키면서도 펌프 조립체(1000)의 스프레이 분사를 위한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펌프 조립체(1000)의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분해 및 재활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펌프 조립체(1000)에 대한 가압 시, 제 2 탄성 부재(700)가 압축되면서 스템(400), 실캡(300) 및/또는 피스톤(200)이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탄성 부재(600) 또한 압축되면서 실캡(300)의 하강 거리와 피스톤(200)의 하강 거리에 차이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실캡(300)의 하강 거리와 피스톤(200)의 하강 거리에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피스톤(200)의 유입구가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2 탄성 부재(700)와 제 1 탄성 부재(600)의 동작에 의해, 내용물이 스프레이 분사될 수 있을 정도의 빠른 유속으로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템(400)의 가압과 동시에 내용물이 피스톤(200)으로 유입된다면 내용물의 유속이 느려 스프레이 분사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스템(400)의 가압시 피스톤(200)의 유입구(210)가 밀폐된 상태이므로 곧바로 내용물이 피스톤(200)으로 유입되지 않으며, 제 2 탄성 부재(700)의 압축에 의해 실린더(100) 내부 압력이 충분히 상승한 상태에서 제 1 탄성 부재(600)의 압축에 의해 유입구(210)가 노출되면서 피스톤(200)으로 내용물이 유입되기 때문에, 실린더(100) 내부 압력에 의해 빠른 유속으로 내용물이 피스톤(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밸브부(800)는, 흡입구(110)를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부(800)는 흡입구(110)와 외부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가. 실린더(100)에 음압이 형성되면 흡입구(110)를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흡입구(110)가 외부와 연통될 경우, 용기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이 흡입구(110)로 유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밸브부(800)는, 흡입구(110)에 배치되는 차단볼(810); 및 차단볼(8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밸브 샤프트(8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볼(810)은 실린더(100)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차단볼(810)이 상승하면 실린더(100)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고, 차단볼(810)이 하강하면 실린더(100) 내부와 외부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단볼(810)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P)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차단볼(81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관통될 수 있다. 차단볼(810)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경우, 차단볼(810)의 직경이 소정 크기 이상이 되더라도 차단볼(810)의 두께는 소정 크기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PP)은 소정 두께 이상으로 사출될 때 수축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중공을 통해 차단볼(810)의 두께를 소정 크기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사출 시의 수축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단볼(810)은 1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8 mm 내지 1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차단볼(810)의 두께가 1 mm를 초과할 경우 사출 시 수축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차단볼(810)의 두께를 1 mm 미만으로 함으로써 수축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차단볼(810) 직경이 1 mm를 초과하더라도, 중공을 통해 차단볼(810)의 두께는 1 mm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밸브 샤프트(820)는 차단볼(8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부(220)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부(220)가 밸브 샤프트(82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밸브부(800)의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차단볼(810)의 승강 시 및/또는 피스톤(200)의 승강 시 밸브 샤프트(820)는 가이드부(220)의 내측에서 승강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220)에 의해 피스톤(200) 및/또는 밸브부(800)의 승강 경로가 가이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밸브부(800)는, 밸브 샤프트(8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밸브 날개부(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날개부(830)는 실린더(100)의 내벽에 접하면서 밸브부(80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 날개부(830)는 밸브부(800)의 승강 시 실린더(100)의 내벽을 따라 승강하면서 밸브부(800)의 승강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밸브 날개부(830)는 밸브 샤프트(8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밸브 날개부(8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밸브 날개부(830)는 적어도 일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며 소정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 날개부(830)의 하단과 흡입구(110)의 상단이 접촉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밸브부(800)의 승강 시 밸브 날개부(830)가 실린더(100)의 흡입구(110)에 걸리지 않고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펌프 조립체(10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 조립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과 실캡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 내지 (e)는 펌프 조립체가 가압된 후 가압 해제될 때까지의 펌프 조립체의 단면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7의 (a)는 유입구가 밀폐된 상태에서의 피스톤과 실캡의 정면도이며, 도 7의 (b)는 유입구가 노출된 상태에서의 피스톤과 실캡의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펌프 조립체(1000)를 가압하면 스템(400)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템(400)의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템(400)과 결합된 피스톤(200)과 스템(400)의 하단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탄성 부재(600) 또한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스템(400)와 실린더캡(500) 사이에서 제 2 탄성 부재(700)가 압축되며 상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기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제 1 탄성 부재(60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제 1 탄성 부재(6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실캡(300)을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캡(300) 또한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탄성 부재(600)는 실캡(300)을 하측으로 가압함에 따른 반발력, 실린더(100) 내부의 압력 증가 및/또는 실캡(300)과 실린더(100) 내벽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스템(400)의 하강에 따라, 피스톤(200), 실캡(300), 제 1 탄성 부재(600)가 함께 하강하고, 이에 따라 실린더(100) 내부 공간의 부피가 감소하여 실린더(10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스템(400)과 피스톤(200)은 구조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일체로 움직이지만, 스템(400)과 실캡(300)은 구조적으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일체로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즉, 피스톤(200)은 스템(400)이 이동한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하강하지만, 실캡(300)은 제 1 탄성 부재(600)의 압축에 의해 스템(400)이 이동한 거리보다 적은 거리만큼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200)과 실캡(300)의 하강 거리 차이에 의해, 실캡(300)이 피스톤(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실캡(300)은 초기 상태에서는 유입구(210)를 밀폐하고 있다가, 실캡(300)이 피스톤(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유입구(210)를 노출시킬 수 있다. 유입구(210)가 노출되면 상승한 실린더(100) 내부 압력에 의해 실린더(100) 내부의 내용물이 유입구(210)를 통해 피스톤(200)으로 유입된 후 피스톤(200)과 스템(400)의 내부를 각각 통과하여 스템(400)의 배출구(411)로 배출될 수 있다.
이후 제 1 탄성 부재(600)가 실캡(300)에 하측으로 탄성 회복력을 인가하여, 실캡(300)이 스템(400)에 대해 하강하게 되고, 유입구(210)가 다시 밀폐될 수 있다.
이후 펌프 조립체(100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제 2 탄성 부재(700)가 스템(400)에 상측 방향으로 탄성 회복력을 인가하여 스템(400)이 상승할 수 있다. 스템(400)의 상승에 따라 피스톤(200), 실캡(300) 및 제 1 탄성 부재(600) 또한 함께 상승할 수 있다.
피스톤(200), 실캡(300), 스템(400) 및 제 1 탄성 부재(600)가 상승하면 실린더(100) 내부 공간의 부피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실린더(100)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여 밸브부(800)가 상승하면서 용기본체로부터 실린더(100)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따른 펌프 조립체(1000)의 동작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동작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펌프 조립체(2000)의 밸브부(800-1)는 구형의 차단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브부(800-1)는 차단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밸브 샤프트 및 밸브 날개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차단볼은 실린더(100)의 흡입구(110)에 배치되어 실린더(100)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승강함으로써 흡입구(110)를 선택적으로 외부와 연통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차단볼은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을 통해 구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단볼이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등 차단볼의 재질 및 제조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 펌프 조립체(3000)의 제 2 탄성 부재(700-1)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으로 대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탄성 부재(700-1)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금속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탄성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탄성 부재(700-2)는 상부 지지체(710), 하부 지지체(720) 및 탄성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지지체(710)는 탄성부(730)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다. 제 2 탄성 부재(700-2)에 대한 가압 시에 상부 지지체(710)가 하강하면서 압력을 탄성부(730)로 전달할 수 있으며,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부(73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지지체(710)는 승강하면서 복원될 수 있다.
상부 지지체(710)의 하측에는 하부 지지체(720)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지지체(720)는, 탄성부(73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 지지체(720)는 실린더캡(5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승강하지 않고, 탄성부(730)를 지지함으로써, 탄성부(730)의 탄성력이 상부 지지체(710)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부 지지체(710) 및 하부 지지체(720)에는 내측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펌프 조립체의 스템(400) 등과 같은 구성이 상부 지지체(710) 및 하부 지지체(7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지지체(710) 및 하부 지지체(720)는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730)는 상부 지지체(710)와 하부 지지체(720)를 연결할 수 있다. 탄성 부재(100)에 대한 가압 시에 탄성부(730)는 굴곡 변형되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즉, 탄성 압축). 탄성 부재(100)에 대한 가압 해제 시에, 굴곡 변형 또한 해제되면서 탄성부(730)가 원상태로 회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탄성부(730)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탄성 부재(700-2)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질에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옥시메틸렌(POM), 포리케톤(POK),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 2 탄성 부재(700-2)의 상부 지지체(710), 하부 지지체(720) 및 탄성부(730)는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구성이 조립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탄성 부재(700-2)에는 연결부(7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연결부(740)는 상부 지지체(710)의 내측 둘레로부터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상부와 하부가 관통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템(400)은 지지체(420)를 구비하지 않으며, 이러한 연결부(740)가 스템 본체(410)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캡(500)의 외측으로 노출된 스템 본체(410)의 단부를 연결부(740)의 내측으로 삽입하면, 스템 본체(410)가 연결부(740)와 끼움 결합되면서 하부 지지체(720)는 실린더캡(500)의 상부에 안착되고, 탄성부(730)는 스템 본체(410)를 외측에서 감쌀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연결부(740)는 상부 지지체(710), 하부 지지체(720) 및 탄성부(730)와 동일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실린더 110: 흡입구
120: 제 1 공기 구멍 130: 제 2 공기 구멍
200: 피스톤 210: 유입구
220: 가이드부 230: 테두리부
231: 기저부 232: 가압돌기
300: 실캡 400: 스템
410: 스템 본체 411: 배출구
420: 지지체 421: 스템 날개부
422: 공기 출입구 423: 제 1 지지홈
500: 실린더캡 510: 제 2 지지홈
600: 제 1 탄성 부재 700, 700-1, 700-2: 제 2 탄성 부재
710: 상부 지지체 720: 하부 지지체
730: 탄성부 740: 연결부
800, 800-1: 밸브부 810: 차단볼
820: 밸브 샤프트 830: 밸브 날개부
1000, 2000, 3000: 펌프 조립체

Claims (14)

  1. 펌프 조립체로서,
    하단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승강하며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승강하며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실캡;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과 함께 승강하고 상단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스템;
    상기 스템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결합되는 실린더캡;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실캡과 상기 스템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탄성 부재; 및
    상기 실린더의 외부에서 상기 실린더캡과 상기 스템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 및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템은,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스템 본체; 및 상기 스템 본체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외측으로 스템 날개부가 연장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를 상기 스템 본체를 감싸도록 상기 실린더캡의 상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를 상기 스템 본체의 외측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제 2 탄성 부재가 상기 스템 날개부와 상기 실린더캡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스템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템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스템 본체의 하단부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스템이 하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지지체가 상기 스템 본체의 하단부를 가압하는, 펌프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및 상기 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기둥 형상의 탄성체인, 펌프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조립체에 대한 가압 시, 상기 제 2 탄성 부재가 압축되면서 상기 피스톤과 상기 스템이 하강하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가 압축되면서 상기 실캡이 상기 피스톤에 대해 상승함으로써 상기 유입구가 노출되는, 펌프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는, 펌프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탄성 부재는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스프링인, 펌프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상부 지지체; 상기 상부 지지체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지지체; 및 상기 상부 지지체와 상기 하부 지지체를 소정의 경사를 갖고 연결하고, 상기 상부 지지체에 대한 가압 시 굴곡 변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 마루와 골이 반복 형성되는 벨로우즈(bellows) 타입인, 펌프 조립체.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 날개부에는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압축 및 압축 해제 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입구가 형성되는, 펌프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 날개부의 하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 1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캡의 상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 2 지지홈이 형성되는, 펌프 조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차단볼을 포함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차단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밸브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의 하단에는, 상기 피스톤 또는 상기 밸브부의 승강 시 상기 밸브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부가 하측으로 연장되는, 펌프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밸브 샤프트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접하면서 상기 밸브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날개부는 상기 밸브 샤프트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밸브 날개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내용물이 이동하는, 펌프 조립체.
KR1020210141652A 2021-07-21 2021-10-22 펌프 조립체 KR102496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846257.8A EP4374970A1 (en) 2021-07-21 2022-07-21 Pump assembly
CN202280047406.8A CN117677445A (zh) 2021-07-21 2022-07-21 泵组件
PCT/KR2022/010692 WO2023003387A1 (ko) 2021-07-21 2022-07-21 펌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95638 2021-07-21
KR1020210095638 2021-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601A KR20230014601A (ko) 2023-01-30
KR102496965B1 true KR102496965B1 (ko) 2023-02-07

Family

ID=8510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652A KR102496965B1 (ko) 2021-07-21 2021-10-22 펌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9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080B1 (ko) * 2011-09-20 2013-02-14 (주)연우 스프레이 펌프
KR102186042B1 (ko) * 2020-04-29 2020-12-03 (주)연우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2206983B1 (ko) * 2020-04-29 2021-01-25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논메탈 타입 화장품 용기의 펌프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650A (ko) * 2014-03-28 2015-10-07 이은석 슬라이딩타입 펌핑장치
KR20160097607A (ko) * 2015-02-09 2016-08-18 (주)연우 펌핑식 용기의 스프링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080B1 (ko) * 2011-09-20 2013-02-14 (주)연우 스프레이 펌프
KR102186042B1 (ko) * 2020-04-29 2020-12-03 (주)연우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2206983B1 (ko) * 2020-04-29 2021-01-25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논메탈 타입 화장품 용기의 펌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601A (ko) 202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870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EP2517797B1 (en) Precompression system for a liquid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such precompression system
KR102460743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US11253881B2 (en) Pump assembly of non-metal pump type cosmetic container
US20090173751A1 (en) Check valve and a split-body fluid device having such a check valve
US11154888B2 (en) Spray pump
US20170291185A1 (en) Dispenser Container
KR10217265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241441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US20210187530A1 (en) Spray pump
KR102172237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MXPA05005607A (es) Bomba de precompresion de altura reducida.
US10898916B1 (en) Pump for cosmetic product vial provided with air purging means
JP2004286034A (ja) 容器装着用ポンプ
KR102271374B1 (ko) 펌프 조립체
KR102496965B1 (ko) 펌프 조립체
EP3593908A1 (en) Medication dispenser for prevention infiltration from bacteria
CN117677445A (zh) 泵组件
US20230204085A1 (en) Elastic member and pump assembly including the same
EP4374970A1 (en) Pump assembly
KR102625263B1 (ko) 펌프형 샴푸용기
JP6655505B2 (ja) 吐出器
KR800001302Y1 (ko) 수동식 분무기
CN118159740A (zh) 具有双作用活塞的触发式喷射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