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969Y1 -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969Y1
KR200301969Y1 KR20-2002-0027411U KR20020027411U KR200301969Y1 KR 200301969 Y1 KR200301969 Y1 KR 200301969Y1 KR 20020027411 U KR20020027411 U KR 20020027411U KR 200301969 Y1 KR200301969 Y1 KR 200301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ntainer
vacuum
sea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용
정동진
이동선
Original Assignee
(주)프리미어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리미어 코리아 filed Critical (주)프리미어 코리아
Priority to KR20-2002-0027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9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9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상태 유지와 발효시 발행하는 가스의 유출을 방지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밀폐마개(A,A')를 용기의 뚜껑(1)에 구성하여 용기의 진공상태 유지와, 용기 안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에 따라 용기내의 압력이 높아 질 경우 그 압력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김치(발효식품)의 발효를 돕고, 잘 숙성된 고유의 맛을 오래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인 것이다.

Description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Vacuum and pressure container}
본 고안은 발효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발효는 온도, 염분농도, 효소, 산소의 농도 등에 영향을 받으며, 특히 산소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김치(발효식품)를 용기내에 보관시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발효를 돕고, 발효중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누출을 최소화하여 배추의 세포 속에서 가두어 둘 수 있도록 하여 잘 익은 김치의 맛을 오래도록 보존할 수 있으나,
종래의 보관 용기들은 진공상태를 유지와, 발효중에 발생하는 가스의 누출을 막을 수 없어 공기 중의 습기나, 산소에 의한 산화로 맛과 영양이 파괴 될 수 있는음식의 보관 및 음식의 독특한 향을 오래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40733호에는 용기내에 있는 물품의 부패 또는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 내에 있는 공기를 빼내어 진공 상태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진공 용기가 기술되어 있으며,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191929호에는 발효식품이 진공상태에 포장되어 유통 및 보관중에 발효과정이 진행됨으로써 탄산가스가 발생하는 용기 내부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 올라가게 되면 탄산가스를 외부로 방출될 수 있게 한 수단을 제공하여 김치류의 포장수단으로써 일정한 형태를 갖는 용기가 기술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진공상태 유지와 발효시 발생하는 가스의 유출 방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없어 음식의 독특한 향을 오래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진공상태 유지와 발효시 발행하는 가스의 유출을 방지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밀폐마개를 용기의 뚜껑에 구성하여 용기의 진공상태 유지와, 용기 안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에 따라 용기내의 압력이 높아 질 경우 그 압력을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내부의숙성도를 확인할 수 있고, 내부의 압력을 원하는 때에 원하는 장소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김치의 발효를 돕고 잘 익은 김치의 맛을 오래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의 상세도
도2는 본 고안의 밀폐마개(A)의 상세도 및 결합 상태도
도3는 본 고안의 결합밀폐부(E)의 상세도
도4은 본 고안의 결합밀폐부(E)의 분해 및 조립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실린더부(B)의 상세도
도6은 본 고안의 실린더부(B)의 분해 및 조립 상태도
도7은 본 고안의 교체부(C')의 상세도
도8은 본 고안의 다른 형태의 밀폐마개(A')의 상세도
도9는 본 고안의 밀폐마개(A)의 닫힘상태 평면도
도10은 본 고안의 밀폐마개(A)의 닫힘상태 상세도
도11은 본 고안의 다른 형태의 밀폐마개(A')의 닫힘상태 상세도
도12는 본 고안의 밀폐마개(A)의 열림상태 평면도
도13은 본 고안의 밀폐마개(A)의 열림상태 상세도
도14은 본 고안의 다른 형태의 밀폐마개(A')의 열림상태 상세도
<도면의 부호설명>
용기(1), 뚜껑(2), 상부스프링(3), 하부스프링(4), 상부홀더(10), 밀폐고정부(11), 고무가스켓(12), 체결부(13,27,82), 내측나사(14),외측나사(15,23), 하부홀더(20), 밀폐고정부(21), 고무가스켓(22), 하부통공(24), 고정턱(26), 노브(30), 지지돌기(31), 홈(32), 내측돌기(33), 통공(34,35,43,67',74,84), 절환실린더(40), 상하조절나사(41), 체결홈(42), 내경부(44), 압력지시계(50,50'), 지지돌기 (51,51'), 압력표시부(52,52'), 압력표시눈금(53,53'), 삽입부(54,54',65,65',72), 피스톤오링(55'), 상부체크밸브(60,60'), 밀폐돌기(61,61'), 횡경막(62), 삽입홈 (63), 체결돌기(64,64'), 경사면(66,66',73), 하부체크밸브(70), 밀폐부(71), 노브지지기(80), 고정판(81), 열림표시부(85), 닫힘표시부(86), 밀폐마개(A,A'), 실린더부(B). 교체부(C,C'), 결합밀폐부(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기(1)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착탈되는 통공이 형성된 뚜껑(2)과; 상기 뚜껑(2)에 결합되어 진공상태와 가스의 유출을 제어하는 밀폐마개(A,A')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로써,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의 상세도, 도2는 본 고안의 밀폐마개(A)의 상세도 및 결합 상태도, 도3는 본 고안의 결합밀폐부(E)의 상세도, 도4은 본 고안의 결합밀폐부(E)의 분해 및 조립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실린더부(B)의 상세도, 도6은 본 고안의 실린더부(B)의 분해 및 조립 상태도, 도7은 본 고안의 교체부(C')의 상세도, 도8은 본 고안의 다른 형태의 밀폐마개(A')의 상세도, 도9는 본 고안의 밀폐마개(A)의 닫힘상태 평면도, 도10은 본 고안의 밀폐마개(A)의 닫힘상태 상세도, 도11은 본 고안의 다른 형태의 밀폐마개(A')의 닫힘상태 상세도, 도12는 본 고안의 밀폐마개(A)의 열림상태 평면도, 도13은 본 고안의 밀폐마개(A)의 열림상태 상세도, 도14은 본 고안의 다른 형태의 밀폐마개(A')의 열림상태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용기(1), 뚜껑(2), 상부스프링(3), 하부스프링(4), 상부홀더(10), 밀폐고정부(11), 고무가스켓(12), 체결부(13,27,82), 내측나사(14),외측나사(15,23), 하부홀더(20), 밀폐고정부(21), 고무가스켓(22), 하부통공(24), 고정턱(26), 노브(30), 지지돌기(31), 홈(32), 내측돌기(33), 통공(34,35, 43,67',74,84), 절환실린더(40), 상하조절나사(41), 체결홈(42), 내경부(44), 압력지시계(50,50'), 지지돌기(51,51'), 압력표시부(52,52'), 압력표시눈금(53,53'), 삽입부(54,54',65,65',72), 피스톤오링(55'), 상부체크밸브(60,60'), 밀폐돌기 (61,61'), 횡경막(62), 삽입홈(63), 체결돌기(64,64'), 경사면(66,66',73), 하부체크밸브(70), 밀폐부(71), 노브지지기(80), 고정판(81), 열림표시부(85), 닫힘표시부(86), 밀폐마개(A,A'), 실린더부(B), 교체부(C,C'), 결합밀폐부(E)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의 상세도로써, 용기(1)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착탈되는 통공이 형성된 뚜껑(2)과; 상기 뚜껑(2)의 일측에 결합되어 진공상태와 가스의 유출을 제어하는 밀폐마개(A)로 구성된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를 도시한 것이며,
도2는 본 고안의 밀폐마개(A)의 상세도 및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 밀폐마개(A)는 뚜껑(1)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밀폐부(E)와, 상기 결합밀폐부(E)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된 실린더부(B)로 구성되어 있고,
도3은 상기 결합밀폐부(E)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 결합밀폐부(E)는 뚜껑(2)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하부홀더(20)와; 상기 하부홀더(20)의 상부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뚜껑(2)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홀더(10)와; 상기 상부홀더(10)와 하부홀더(20) 사이에 삽입되며, 회전하여 용기(1)내의 진공상태 유지와 가스 누출 방지 및 해지를 제어하는 노브(30)와; 상기 상부홀더(10)의 상부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노브(30)를 지지하는 노브지지기(80)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4는 상기 결합밀폐부(E)의 분해 및 조립 상태를 로시한 것으로써,
상기 하부홀더(20)는 링형상으로 중앙에 통공(25)이 형성된 체결부(27)과; 상기 체결부(27)의 외측에 형성된 외측나사(23)와; 상기 체결부의 하부 외측둘레에 형성된 밀폐고정부(21)와; 상기 밀폐고정부(21)의 상부에 형성된 고무가스켓(22)와; 상기 체결부(27)의 하부내측 둘레에 형성된 고정턱(26)(도4에 미도시, 도3 참조)과; 상기 고정턱(26) 사이에 형성된 하부통공(24)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홀더(10)는 링형상으로 중앙에 형성된 통공(16)과; 상기 통공(16)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측나사(14)와; 상기 통공(16)의 외측면에 형성된 외측나사(15)와; 상기 통공(16)의 하부 외측둘레에 돌출되어 형성된 밀폐고정부 (11)와; 상기 밀폐고정부(11)의 하부에 형성된 고무가스켓(12)과;
상기 노브(30)는 링형상으로 중앙에 형성된 통공(34)과; 상기 통공(34)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내측돌기(33)와; 중앙부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회전시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돌기(31)와; 상기 지지돌기(31)의 상측 외측둘레에 다수개 형성된 회전확인 홈(32)으로 구성되며,
상기 노브지지기(80)는 링형상으로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된 통공(84)과; 상기 통공(84)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홀더(10)의 외측나사(14)에 결합되는 내측나사(83)와; 전면부에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 잉크 코팅된 열림,닫힘표시부 (85,86)가 형성된 고정판(81)으로 구성됨을 도시한 것이며,
도5은 상기 실린더부(B)의 상세도로써,
상기 실린더부(B)는 상기 결합밀폐부(E)에 형성된 노브(30)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노브(30)은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 운동하는 절환실린더(40)와; 상기 절환실린더(40)의 하부 중앙내측에 삽입되는 상부스프링(3)과; 상기 스프링(3)에 삽입되어 상기 절환실린더(40)에 삽입 관통되어 구성되는 압력지시계(50)와, 상기 압력지시계(5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40)의 하부 외측에 결착되는 상부체크밸브(60)로 구성된 교체부(C)와; 상기 상부체크밸브(60)의 하부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밀폐부(E)에 형성된 하부홀더(20)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성되는 하부체크밸브(70)와; 상기 하부체크밸브(70)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체크밸브(60)에 삽입되는 하부스프링(4)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6은 상기 실린더부(B)의 분해 및 조립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 절환실린더(40)는 중앙에 형성된 통공(43)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써, 상기 통공(43)의 하부에 형성된 내경부(44)(도6에 미도시, 도5 참조)와; 상기통공(43)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노브(30)의 내측돌기(33)에 결합되는 나사선 형상의 상하조절나사(41)와; 상기 상하조절나사(41)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홈 (42)으로 구성되며,
상기 압력지시계(50)는 원통형 구조로 상기 스프링(3)에 삽입되어 상기 절환실린더(40)를 관통하며, 상부 둘레에 용기내의 진공도와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표시눈금(53)이 형성된 압력표시부(52)와; 상기 압력표시부(52)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돌기(51)와; 상기 지지돌기(51)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부(54)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체크밸브(60)는 링형 구조로 중앙부 외측면에 형성된 밀폐돌기(61)와; 상기 밀폐돌기(61) 내측에 형성되며, 외부로의 가스누출을 방지와 상기 압력지시계(50)의 상하운동시 수축 및 팽창하는 주름이 있는 고무재질의 횡경막(62)과; 상기 횡경막(62)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압력지시계(50)의 삽입부(54)가 삽입되는 삽입홈(63)과; 상기 횡경막(62)의 전면부 외측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절환실린더(40)의 체결홈(42)에 체결되는 체결돌기(64)와; 상기 횡경막(62)의 후면부 외측 둘레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삽입부(65)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체크밸브(70)는 중앙에 통공(74)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써, 상기 하부홀더(20)의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72)와; 상기 삽입부(72)의 상부 외측둘레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경사면(73)이 형성된 밀폐부(7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부체크밸브(60,70)은 한쌍으로써 일방향밸브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용기(1)내부에서 외부로만 가스방출이 가능하며,
도7은 다른 형태의 교체부(C') 상세도로써, 상기 밀폐마개(A)의 실린더부(B)에 형성되는, 압력지시계(50)와 상부체크밸브(60)로 구성된 교체부(C)를 다른 형태의 압력지시계(50')와 상부체크밸브(60')로 구성된 교체부(C')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압력지시계(50')는 원통형 구조로 상기 스프링(3)에 삽입되어 상기 절환실린더(40)를 관통하며, 상부 둘레에 용기내의 진공도와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표시눈금(53')이 형성된 압력표시부(52')와; 상기 압력표시부(52')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돌기(51')(도7에 미도시, 도8 참조)와; 상기 지지돌기(51')에 결착되어 외부로의 가스누출을 방지하는 고무재질의 피스톤오링(55')과; 상기 지지돌기(51')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부(54')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체크밸브(60')는 중앙에 통공(67')이 형성된 링형 구조로 전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절환실린더(40)의 체결홈(42)에 체결되는 체결돌기(64')와; 중앙부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밀폐돌기(61')와; 후면부 외측면 둘레에 형성된 밀폐돌기(61')와; 후면부 외측 둘레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삽입부(65')로 구성되며,
도8은 다른 형태의 밀폐마개(A')의 상세도로써, 상기 밀폐마개(A)의 교체부 (C)를 다른 형태의 교체부(C')로 교체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9는 상기 밀폐마개(A)를 회전시켜 닫힘표시부(86)에 위치시켰을 경우의 닫힘상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10은 상기 도9와 같이 밀폐마개(A)를 닫힘표시부(86)에 위치시켰을 경우의 닫힘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며,
도11은 상기 밀폐마개(A)의 교체부(C)를 다른형태의 교체부(C')로 교체한 밀폐마개(A')를 상기 도9와 같이 닫힘표시부(86)에 위치시켰을 경우의 닫힘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며,
도12는 상기 밀폐마개(A)를 회전시켜 열림표시부(85)에 위치시켰을 경우의 닫힘상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13은 상기 도12와 같이 밀폐마개(A)를 열림표시부(85)에 위치시켰을 경우의 닫힘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며,
도14는 상기 밀폐마개(A)의 교체부(C)를 다른형태의 교체부(C')로 교체한 밀폐마개(A')를 상기 도12와 같이 열림표시부(85)에 위치시켰을 경우의 닫힘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며,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도1과 같은 용기(1)내에 김치(발효식품)을 저장한 후, 용기(1)의 상부에 밀폐마개(A,A')가 형성된 뚜껑(2)으로 밀폐시킨 후에 진공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밀폐마개(A,A')의 노브(30) 회전확인홈(32)을 노브지지기(60)의 상단 표면에 형성된 닫힘표시부(86)에 일치시켜 외부와 내부가 차단되어 밀폐 보관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김치(발효식품)을 밀폐상태로 일정기간 보관하게 되면, 용기(1)내부에서 김치(발효식품)가 발효되어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에 따른 압력지시계(50,50')의 압력표시눈금(53,53')을 확인하여 밀폐마개(A,A')의 노브 (30) 회전확인홈(32)을 노브지지기(60)의 상단 표면에 형성된 열림표시부(55)에 위치시켜 용기(1) 외부와 내부가 개방되어 용기(1)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어 일정압력을 유지하는 것으로써,
그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발효식품을 용기(1)내에 진공상태로 보관하기 위해 노브(30)의 회전확인홈(32)을 노브지지기(60)의 상단표면에 표시된 닫힘표시부(86)에 위치시킬 경우 노브(30)의 내측돌기(33)에 나사식으로 회전 결합된 절환실린더 (40)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절환실린더(40) 하부에 결합된 상부체크밸브 (60,60')가 하부홀더(20)의 고정턱(26)상부에 형성된 하부체크밸브(70)에 완전히 결합됨으로써, 용기(1) 내부의 가스가 체크밸브를 통해 누출되지 못해 진공상태가 유지되며,
진공상태로 용기(1) 내에 보관하는 동안 발효되어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으로부터 견딜 수 있도록 실린더부(B)를 제어하는 노브(30)를 노브지지기(80)가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가스가 누출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용기(1) 내의 압력의 증가하여 가스가 하부통공(24)를 통해 압력지시계(50,50')를 상측방향 밀어 올리게 되며, 이때 상부스프링(3)은 고압을 일정 비율로 표시하기 위해 압력지시계(50,50')를 하측방향으로 밀어 내리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압력표시눈금(53,53')을 통해 용기(1) 내의 압력을 확인하게 된다.
용기(1)내의 압력을 표시하는 밀폐마개(A,A')의 압력지시계(50,50') 압력표시눈금(53,53')에 따라, 사용자가 밀폐마개(A,A')의 노브(30) 회전확인홈(32)을 노브지지기(60)의 상단표면에 형성된 열림표시부(85)에 일치시키면,
노브(30)의 내측돌기(33)에 나사식으로 회전 결합된 절환실린더(40)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절환실린더(40) 하부에 결합된 상부체크밸브(60,60')가 하부홀더(20)의 고정턱(26)상부에 형성된 하부체크밸브(70)와 분리되어 체크밸브 (60,70) 사이에 통공이 형성되어 용기내의 가스가 하부홀더(20)의 하부통공(24)를 통과 후 체크밸브(60,70) 사이에 형성된 통공사이로 이동하여 절환실린더(40)과 노브(30)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하부체크밸브 (60,70)은 한쌍으로써 일방향밸브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방출되는 동안 외부의 공기가 용기(1)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1)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착탈되는 통공이 형성된 뚜껑(2)과; 상기 뚜껑(2)의 통공부에 장착어 용기(1) 내부의 진공상태 유지와 발효시 발행하는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밀폐마개(A,A')로 구성되어 김치(발효식품)를 용기내에 보관시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발효를 돕고, 발효중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누출을 최소화하여 배추의 세포 속에서 가두어 둘 수 있도록 하여 잘 익은 김치의 맛을 오래도록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진공 및 내부의 압력을 알 수 있도록 압력지시계를 설치하여 발효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13)

  1.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에 있어서, 용기(1)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착탈되는 통공이 형성된 뚜껑(2)과; 상기 뚜껑(2)의 일측에 결합되어 진공상태와 가스의 유출을 제어하는 밀폐마개(A)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마개(A)는 뚜껑(1)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밀폐부(E)와, 상기 결합밀폐부(E)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성되는 실린더부(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밀폐부(E)는 뚜껑(2)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하부홀더(20)와; 상기 하부홀더(20)의 상부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뚜껑(2)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홀더(10)와; 상기 상부홀더(10)와 하부홀더(20) 사이에 삽입되며, 회전하여 용기(1)내의 진공상태 유지와 가스 누출 방지 및 해지를 제어하는 노브(30)와; 상기 상부홀더(10)의 상부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노브(30)를 지지하는 노브지지기(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B)는 상기 결합밀폐부(E)에 형성된 노브(30)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노브(30)은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 운동하는 절환실린더(40)와; 상기 절환실린더(40)의 하부 중앙내측에 삽입되는 상부스프링(3)과; 상기 상부스프링(3)과 절환실린더(40)의 하부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교체부(C)와; 상기 상부체크밸브(60)의 하부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밀폐부(E)에 형성된 하부홀더(20)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성되는 하부체크밸브(70)와; 상기 하부체크밸브(70)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체크밸브(60)에 삽입되는 하부스프링(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20)는 링형상으로 중앙에 통공(25)이 형성된 체결부(27)과; 상기 체결부(27)의 외측에 형성된 외측나사(23)와; 상기 체결부의 하부 외측둘레에 형성된 밀폐고정부(21)와; 상기 밀폐고정부(21)의 상부에 형성된 고무가스켓(22)와; 상기 체결부(27)의 하부내측 둘레에 형성된 고정턱(26)과; 상기 고정턱(26) 사이에 형성된 하부통공(2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더(10)는 링형상으로 중앙에 형성된 통공(16)과; 상기 통공(16)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측나사(14)와; 상기 통공(16)의 외측면에 형성된 외측나사(15)와; 상기 통공(16)의 하부 외측둘레에 돌출되어 형성된 밀폐고정부(11)와; 상기 밀폐고정부(11)의 하부에 형성된 고무가스켓(1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30)는 링형상으로 중앙에 형성된 통공(34)과; 상기 통공(35)의 하부 내측 둘레에 형성된 내측돌기(33)와; 중앙부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회전시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돌기(31)와; 상기 지지돌기(31)의 상측 외측둘레에 다수개 형성된 회전확인 홈(3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지지기(80)는 링형상으로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된 통공(84)와; 상기 통공(84)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홀더(10)의 외측나사(14)에 결합되는 내측나사(83)와; 전면부에 형성되며, 상측면에 잉크 코팅된 열림,닫힘표시부(85,86)가 형성된 고정판(8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실린더(40)는 중앙에 형성된 통공(43)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써, 상기 통공(43)의 하부에 형성된 내경부(44)와; 상기 통공(43)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노브(30)의 내측돌기(33)에 결합되는 나사선 형상의 상하조절나사(41)와; 상기 상하조절나사(41)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홈(4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부(C)는 원통형 구조로 상기 스프링(3)에 삽입되어 상기 절환실린더(40)를 관통하며, 상부 둘레에 용기내의 진공도와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표시눈금(53)이 형성된 압력표시부(52)와, 상기 압력표시부(52)의 하부에형성된 지지돌기(51)와, 상기 지지돌기(51)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부(54)로 구성된 압력지시계(50)와;
    링형 구조로 중앙부 외측면에 형성된 밀폐돌기(61)와; 상기 밀폐돌기(61) 내측에 형성되며, 외부로의 가스누출을 방지와 상기 압력지시계(50)의 상하운동시 수축 및 팽창하는 주름이 있는 고무재질의 횡경막(62)과; 상기 횡경막(62)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압력지시계(50)의 삽입부(54)가 삽입되는 삽입홈(63)과; 상기 횡경막(62)의 전면부 외측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절환실린더(40)의 체결홈(42)에 체결되는 체결돌기(64)와; 상기 횡경막(62)의 후면부 외측 둘레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삽입부(65)로 형성된 상부체크밸브(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크밸브(70)는 중앙에 통공(74)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써, 상기 하부홀더(20)의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72)와; 상기 삽입부(72)의 상부 외측둘레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경사면(73)이 형성된 밀폐부(7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체크밸브(60,70)은 한쌍으로써 일방향밸브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용기(1)내부에서 외부로만 가스방출이 가능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부(C')는 원통형 구조로 상기 스프링(3)에 삽입되어 상기 절환실린더(40)를 관통하며, 상부 둘레에 용기내의 진공도와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표시눈금(53')이 형성된 압력표시부(52')와, 상기 압력표시부(52')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돌기(51')와, 상기 지지돌기(51')에 결착되어 외부로의 가스누출을 방지하는 고무재질의 피스톤오링(55')과, 상기 지지돌기(51)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부(54)로 구성된 압력지시계(50')와;
    중앙에 통공(67')이 형성된 링형 구조로 전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절환실린더(40)의 체결홈(42)에 체결되는 체결돌기(64')와, 중앙부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밀폐돌기(61')와, 후면부 외측면 둘레에 형성된 밀폐돌기(61')와; 후면부 외측 둘레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삽입부(65')로 구성된 상부체크밸브(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KR20-2002-0027411U 2002-09-12 2002-09-12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KR200301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411U KR200301969Y1 (ko) 2002-09-12 2002-09-12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411U KR200301969Y1 (ko) 2002-09-12 2002-09-12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969Y1 true KR200301969Y1 (ko) 2003-01-24

Family

ID=4939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411U KR200301969Y1 (ko) 2002-09-12 2002-09-12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9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93Y1 (ko) 2013-08-12 2014-08-01 박순식 원터치형 누름수단과 진공수단을 갖는 김치통
KR200478227Y1 (ko) * 2014-12-10 2015-09-10 주식회사 로이첸 진공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93Y1 (ko) 2013-08-12 2014-08-01 박순식 원터치형 누름수단과 진공수단을 갖는 김치통
KR200478227Y1 (ko) * 2014-12-10 2015-09-10 주식회사 로이첸 진공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230A (en) Carbonated beverage bottle
CN103097259B (zh) 真空产生设备及设置在真空产生设备中的真空容器
CN101268010B (zh) 带有压缩co2气体源的容器
AU669637B2 (en) Vessel and closure assembly
KR0116509Y1 (ko) 음료수의 맛을 보존하는 공기압축식 뚜껑
KR20000012681A (ko)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숨쉬는 발효식품 용기
KR20210041771A (ko) 내부 가스 배출이 용이한 컵뚜껑
KR200301969Y1 (ko) 진공 및 압력용 밀폐용기
KR100548059B1 (ko) 발효식품용 밀폐용기
WO2008101275A1 (en) A composite vessel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liquid
US4464956A (en) Cork-extracting device
KR101400783B1 (ko) 내부압력 배출과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101915521B1 (ko) 가스 배출 조절기능을 갖는 김치포장용기
US7127912B2 (en) Multi-chambered container with collared O-ring
KR100390339B1 (ko)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 배출기
US3870183A (en) Closure for liquid containers
KR200389341Y1 (ko) 용기의 압축 진공용 밀폐뚜껑
AU702246B2 (en) Vacuum food container
KR200473793Y1 (ko) 원터치형 누름수단과 진공수단을 갖는 김치통
CN113291613B (zh) 一种具有过期提示功能的食品包装瓶
KR20030067014A (ko) 밀폐형 식품용기
KR200279245Y1 (ko) 발효식품 저장용기
KR100354171B1 (ko)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KR20170076176A (ko)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KR101453169B1 (ko) 탄산음료용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