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499Y1 -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 Google Patents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499Y1
KR200470499Y1 KR2020130008060U KR20130008060U KR200470499Y1 KR 200470499 Y1 KR200470499 Y1 KR 200470499Y1 KR 2020130008060 U KR2020130008060 U KR 2020130008060U KR 20130008060 U KR20130008060 U KR 20130008060U KR 200470499 Y1 KR200470499 Y1 KR 200470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food storage
storage container
food
in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0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만
Original Assignee
임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만 filed Critical 임상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4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means for keeping contents in position, e.g. resilien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속뚜껑 구조를 개선하여 국물이 많고 적음에 구애받지 않고 용기에 담긴 식품을 눌러 수면 아래로 완전하게 침수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식품을 꺼내는 경우에도 용기로부터 편리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에 의하면; 식품보관용기(10)의 상부에서 아래로 투입 배치되어 식품보관용기(10)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며 식품보관용기(10)의 벽면(11)과 밀착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연질의 밀착패킹(211)이 마련된 뚜껑플레이트(210)와, 이 뚜껑플레이트(210)의 상면에 마련된 손잡이(220)와, 뚜껑플레이트(210)의 일측에 천공된 배기홀(212)을 개폐하기 위한 에어밸브(230)를 구비한 속뚜껑-본체(200)와; 이 속뚜껑-본체(200)의 뚜껑플레이트(210)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전역에 걸쳐 액체 유통홀(311)들이 천공된 다공-플레이트(310)와, 이 다공-플레이트(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측벽을 이루며 속뚜껑-본체(200)의 뚜껑플레이트(210) 가장자리 하면을 따라 결합되어 속뚜껑-본체(200) 뚜껑플레이트(210)와의 사이에 액체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테두리벽(320)을 구비한 다공망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INNER-COVER ASSEMBLY FOR FOOD CONTAINER}
본 고안은 식품보관용기에 사용되는 속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보관용기에 담긴 식품(김치, 짱아찌 등과 같은 절임/숙성식품)을 절임액에 완전하게 잠기도록 눌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식품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음식물)에서는 자체의 독특한 냄새와 수분이 새어나오기 때문에, 식품은 밀폐 식품보관용기에 담아 냉장고 등에 보관한다. 이러한 종래 밀폐 식품보관용기는 상부가 개방되며 벽면과 밑면을 갖는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를 개폐하며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패킹이 배치된 밀폐뚜껑을 갖추고 있다. 용기본체는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밀폐뚜껑은 가장자리를 따라 잠금 날개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어서, 이를 통해 용기본체를 견실하게 밀폐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식품보관용기의 밀폐뚜껑은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용기본체에 담긴 보관식품과는 직접적으로 밀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밀폐뚜껑을 견실하게 닫더라도 용기본체의 상부공간에는 항상 공기가 남아 있게 되며, 이러한 잔류 공기에 의해 보관식품이 시어지거나 갈변현상(음식물 색변함)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식품보관용기에 담긴 식품을 별도로 눌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도록 "물김치의 건더기 침지를 위한 속뚜껑이 구비된 밀폐용기"가 등록실용신안 제20-0465164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등록실용신안 제20-0465164호에 개시된 종래 누름 속뚜껑(3)은 뚜껑(2)에 의해 상부가 밀폐되는 용기본체(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관식품을 눌러 국물에 완전히 잠길 수 있도록 용기본체(1)를 가로방향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보관식품으로 인해 넘치는 국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3a)가 형성되며, 누름 상태가 유지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용기본체(1)의 내벽과 밀착되는 탄성밀착부재(3b)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누름 속뚜껑(3)은 물김치나 매실/오이 짱아찌 또는 간장게장 등과 같은 국물이 많이 담긴 용기본체(1)에 사용되는 경우, 식품을 완전하게 침수시키기 위해 누름 속뚜껑(3) 역시 수면 아래로 완전하게 잠기게 된다. 이로 인해 식품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수면 아래로 잠긴 누름 속뚜껑(3)을 꺼내기 위해서는 손을 수면(국물 수면) 아래로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손에 국물을 묻히지 않기 위해서는 비닐 위생장갑 등을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누름 속뚜껑(3)이 완전하게 침수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꺼내면 국물이 바닥에 떨어져 주변을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누름 속뚜껑(3)을 통해 식품은 수면아래로 누를 수 있지만, 용기본체(1)내의 수면은 공기와 그대로 접하기 때문에 식품 변질을 방지하는데에도 그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속뚜껑 구조를 개선하여 국물이 많고 적음에 구애받지 않고 용기에 담긴 식품을 눌러 수면 아래로 완전하게 침수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식품을 꺼내는 경우에도 용기로부터 속뚜껑을 편리하게 꺼낼 수 있는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속뚜껑 구조를 개선하여 식품 보관중에 건더기 식품은 물론이며 국물까지도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변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속뚜껑의 일부(아랫부분)만을 침수시켜도 건더기 식품을 수면 아래로 완전하게 잠기도록 누를 수 있으며, 냄새 또는 찌꺼기 제거를 위해 기능성 부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이의 기능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고 벽면과 밑면을 구비하는 식품보관용기 내부에 배치되어 식품을 수면 아래로 눌러 침지시킬 수 있는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속뚜껑 조립체가; 상기 식품보관용기의 상부에서 아래로 투입 배치되어 상기 식품보관용기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며 상기 식품보관용기의 벽면과 밀착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연질의 밀착패킹이 마련된 뚜껑플레이트와, 상기 뚜껑플레이트의 상면에 마련된 손잡이와, 상기 뚜껑플레이트의 일측에 천공된 배기홀을 개폐하기 위한 에어밸브를 구비한 속뚜껑-본체와; 상기 속뚜껑-본체의 뚜껑플레이트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전역에 걸쳐 액체 유통홀들이 천공된 다공-플레이트와, 상기 다공-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측벽을 이루며 상기 속뚜껑-본체의 뚜껑플레이트 가장자리 하면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속뚜껑-본체 뚜껑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액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테두리벽을 구비한 다공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속뚜껑-본체의 뚜껑플레이트 하면에는 상기 다공망체의 테두리벽이 외측을 감싸면서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아래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커트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속뚜껑-본체의 스커트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걸림홀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망체의 테두리벽 내측에 상기 걸림홀들에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다공망체의 다공-플레이트 외곽에는 상기 식품보관용기의 벽면과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바깥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식품보관용기 벽면과 다공망체 테두리벽과의 사이틈으로 건더기 식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외향플랜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에 의하면; 에어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속뚜껑 조립체를 식품보관용기에 눌러 끼우면, 국물(액체)이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건더기 식품은 속뚜껑 조립체의 다공망체와 닿으면서 수면 아래로 완전하게 내려간다. 이때, 손잡이가 마련된 속뚜껑-본체는 국물에 침수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를 직접 잡고서 이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것은 속뚜껑 조립체의 일부, 즉 다공망체의 하부만을 침수시켜도 건더기 식품이 완전하게 침수되기 때문이다. 또한, 속뚜껑-본체와 다공망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액체 수용공간에 냄새 또는 찌꺼기 제거를 위해 기능성 부재(숯이나 붉은 고추 등)를 수납할 수 있어서 이의 활용을 보다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에 의하면; 스커트벽과 테두리벽을 통해 속뚜껑-본체 하부에 다공망체가 착탈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보관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다공망체의 적용 여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에 의하면; 걸림홀들과 걸림턱들을 통해 속뚜껑-본체의 하부에 다공망체가 착탈이 가능하면서도 견실하게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에 의하면; 다공망체에 형성된 외향플랜지로 인해 식품보관용기 벽면과 다공망체 테두리벽과의 사이틈으로 건더기 식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모든 건더기 식품을 수면 아래로 침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용신안등록 제20-0465164호에 개시된 종래 누름 속뚜껑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속뚜껑 조립체가 적용된 식품보관용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속뚜껑 조립체가 적용된 식품보관용기의 내부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속뚜껑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속뚜껑 조립체의 상면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속뚜껑 조립체의 속뚜껑-본체 저면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 - Ⅶ 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고안에 따른 속뚜껑 조립체의 조립 구조를 보인 분해하여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속뚜껑 조립체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식품보관용기에 절임물과 함께 건더기 식품이 담긴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0과 도 11은 식품이 담긴 식품보관용기에 본 고안에 따른 속뚜껑 조립체 투입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속뚜껑 조립체에 기능성 부재가 수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속뚜껑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속뚜껑 조립체의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의 구성 설명>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식품보관용기(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벽면(11)과 밑면(12)을 구비하여 내부에 식품 저장공간이 형성된 사각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식품보관용기(10)의 상부(개방부)에는 이를 덮는 판상의 밀폐뚜껑(20)이 결합되는데, 밀폐뚜껑(20)의 가장자리에는 식품보관용기(10)의 상부를 덮으면서 록킹시키기 위한 잠금날개(21)가 마련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22"는 밀폐뚜껑 상부에 마련된 핸들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속뚜껑 조립체(100)는 식품보관용기(10)에 내부(식품 저장공간)에 투입/배치되어 보관된 건더기 식품(F; 절임음식, 숙성음식, 발효음식 등)을 수면 아래로 침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뚜껑 조립체(100)의 외형 본체를 이루면서 식품보관용기(10)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속뚜껑-본체(200)와, 이 속뚜껑-본체(20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배치되며 보관된 건더기 식품(F)과 접하면서 이를 침지시키기 위한 다공망체(300)로 대별된다. 본 고안에 따른 속뚜껑-본체(200)와 다공망체(300)는 합성수지를 통해 별도로 사출 성형된 후 조립되어 속뚜껑-조립체(100)를 이루는데, 이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속뚜껑-본체(200)는 식품보관용기(10)의 상부에서 아래로 투입 배치되어 식품보관용기(10)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며 식품보관용기(10)의 벽면(11)과 밀착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연질의 밀착패킹(211)이 마련된 뚜껑플레이트(210)와, 이 뚜껑플레이트(210)의 상면 중심부위에 마련된 손잡이(220)와, 뚜껑플레이트(210)에 천공된 배기홀(212)을 개폐하기 위한 에어밸브(230)를 갖추고 있다.
뚜껑플레이트(210)는 식품보관용기(10)의 내부 평단면적에 부합되도록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갖는 사각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이의 가장자리에는 식품보관용기(10)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연질의 밀착패킹(211)이 이중사출공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밀착패킹(211)의 단면 형상은 내측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얇게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식품보관용기(10) 벽면(11)에 보다 견실하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밀착패킹(211)은 실리콘 또는 엘라스토마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뚜껑플레이트(210)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다공망체(300)의 테두리벽(320)이 외측을 감싸면서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아래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커트벽(213)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스커트벽(213)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걸림홀(215)이 천공되어 있는데, 이것은 후술하는 테두리벽(320) 걸림턱(321)과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214"는 스커트벽(213)의 외곽을 따라 돌출 형성된 보강테두리로, 이것은 스커트벽(213)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테두리벽(320)이 뒤틀림없이 견실하게 조립되도록 보강/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손잡이(220)는 뚜껑플레이트(210)의 중앙부위에 접철 가능하게 배치된 것으로, 이를 통해 속뚜껑-조립체(100)를 식품보관용기(10)에 밀어 넣거나 잡고 꺼낼 수 있다.
에어밸브(230)는 연질의 고무체로 제작되어 뚜껑플레이트(210)의 일측에 천공된 배기홀(212)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속뚜껑 조립체(100)를 식품보관용기(100)에 밀어 넣는 과정에서는 에어밸브(230)를 들어올려 배기홀(212)를 개방해야만 용이하게 투입된다.
그리고 다공망체(300)는 속뚜껑-본체(200)의 뚜껑플레이트(210)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전역에 걸쳐 액체 유통홀(311)들이 천공된 다공-플레이트(310)와, 이 다공-플레이트(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측벽을 이루며 속뚜껑-본체(200)의 뚜껑플레이트(210) 가장자리 하면을 따라 결합되어 속뚜껑-본체(200) 뚜껑플레이트(210)와의 사이에 액체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테두리벽(320)을 갖추고 있다. 테두리벽(320) 내면에는 스커트벽(213)의 걸림홀(215)들에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걸림턱(32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공망체(300)의 테두리벽(320)이 속뚜껑-본체(200)의 스커트벽(213)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하면, 속뚜껑-본체(200)의 뚜껑플레이트(210) 하부에 다공망체(300)가 액체 수용공간(S)을 형성하면서 일체화된다. 즉, 걸림턱(321)들이 걸림홀(215)들에 각각 요철 결합방식으로 조립되며, 보강테두리(214)에 의해 다공망체(300)의 결합이 더욱 견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다공망체(300)의 다공-플레이트(310) 외곽에는 식품보관용기(10) 벽면(11)과 소정의 간격(L;도 3과 도 10 참조)이 형성되도록 바깥측으로 연장되는 외향플랜지(330)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것은 식품보관용기(10) 벽면(11)과 다공망체(300)의 하부-결합벽(320)과의 사이틈으로 건더기 식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속뚜껑 조립체(100)가 뒤틀림없이 식품보관용기(10)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식품보관용기(10) 벽면(11)과 외향플랜지(330) 가장자리와의 간격(L)을 1~3mm 정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2mm 정도로 유지되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의 사용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의 사용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보관용기(10)의 내부에 액체(절임물)과 함께 건더기 식품(F)을 넣는다. 속뚜껑 조립체(10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건더기 식품(F)의 일부는 부력에 의해 액체(절임물) 수면 위로 노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밸브(230)를 개방한 후 본 고안에 따른 속뚜껑 조립체(100)를 건더기 식품(F)이 담긴 식품보관용기(10)에 밀어 넣는다(도 10의 화살표 방향 참조). 이때, 액체(절임물)은 다공망체(300)의 다공-플레이트(310)를 통해 액체 수용공간(S)으로 유입된다. 액체(절임물)가 속뚜껑-본체(200)와 다공망체(300) 사이의 액체 수용공간(S) 상부에 유입될 때까지 속뚜껑 조립체(100)를 상부에서 아래로 눌러 내리면, 건더기 식품(F)은 속뚜껑 조립체(100)의 다공망체(300)와 접하면서 수면 아래로 완전하게 내려가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된다.
국물(절임물)이 액체 수용공간(S) 상부까지 유입되는 것은 개방된 배기홀(212)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속뚜껑 조립체(100)가 내려오는 과정에서 식품보관용기(10)의 내부공기는 배기홀(212)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또한, 속뚜껑 조립체(100)가 식품보관용기(10)에 투입되는 과정에서; 상부-속뚜껑(200)의 밀착패킹(211)은 탄성 변형되면서 식품보관용기(10)의 내벽에 밀착되기 때문에,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식품보관용기(10)내의 건더기 식품(F)은 외부공기와의 접촉이 완전하게 차단되어 식품의 변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뚜껑 조립체(100)를 밀어 넣은 후 에어밸브(230)를 닫으면; 식품보관용기(10) 내부에서 건더기 식품(F)은 물론이며 수면까지도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됨으로써, 식품(F)의 산패 방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뚜껑 조립체(100)가 배치된 식품보관용기(10)의 상부에 밀폐뚜껑(20)을 닫으면; 식품(F)은 더욱 완전하게 밀폐 보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속뚜껑 조립체(100)에서는 다공망체(300) 하부만을 액체(절임물)에 침지시키는 것만으로 건더기 식품(F)을 수면 아래로 완전하게 누를 수 있으며, 손잡이(220)가 장착된 속뚜껑-본체(200)는 액체(절임물)에 침수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에어밸브(230)를 개방시킨 후 손잡이(220)를 잡고서 속뚜껑 조립체(100)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뚜껑-본체(200)와 다공망체(300) 사이의 액체 수용공간(S)에 매운 성분에 의해 살균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붉은 고추, 잡냄새 및 찌꺼기 제거효능이 있는 숯과 같은 기능성 부재(400)를 넣음으로써, 속뚜껑 조립체(100)의 활용을 보다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속뚜껑 조립체(100)는 다공망체(300) 부위만을 침지시키는 것으로 건더기 식품(F)을 수면 아래로 완전하게 내리누를 수 있기 때문에, 물김치나 매실/오이 장아찌 또는 간장게장 등과 같은 국물이 많은 식품이 담기는 식품보관용기는 물론이며 국물이 그리 많지 않은 김장김치 등이 담기는 식품보관용기 등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10..식품보관용기 11..벽면 12..밑면
20..밀폐뚜껑 21..잠금날개 22..핸들
100..속뚜껑 조립체 200..속뚜껑-본체 210..뚜껑플레이트
211..밀착패킹 212..배기홀 213..스커트벽
214..보강테두리 215..걸림홀 220..손잡이
230..에어밸브 300..다공망체 310..다공-플레이트
311..액체 유통홀 320..테두리벽 321..걸림턱
330..외향플랜지 F..식품 S..액체 수용공간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되고 벽면(11)과 밑면(12)을 구비하는 식품보관용기(10) 내부에 배치되어 식품을 수면 아래로 눌러 침지시킬 수 있는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속뚜껑 조립체(100)는;
    상기 식품보관용기(10)의 상부에서 아래로 투입 배치되어 상기 식품보관용기(10)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며 상기 식품보관용기(10)의 벽면(11)과 밀착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연질의 밀착패킹(211)이 마련된 뚜껑플레이트(210)와, 상기 뚜껑플레이트(210)의 상면에 마련된 손잡이(220)와, 상기 뚜껑플레이트(210)의 일측에 천공된 배기홀(212)을 개폐하기 위한 에어밸브(230)를 구비한 속뚜껑-본체(200)와;
    상기 속뚜껑-본체(200)의 뚜껑플레이트(210)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전역에 걸쳐 액체 유통홀(311)들이 천공된 다공-플레이트(310)와, 상기 다공-플레이트(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측벽을 이루며 상기 속뚜껑-본체(200)의 뚜껑플레이트(210) 가장자리 하면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속뚜껑-본체(200) 뚜껑플레이트(210)와의 사이에 액체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테두리벽(320)을 구비한 다공망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뚜껑-본체(200)의 뚜껑플레이트(210) 하면에는 상기 다공망체(300)의 테두리벽(320)이 외측을 감싸면서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아래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커트벽(213)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속뚜껑-본체(200)의 스커트벽(213)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걸림홀(215)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망체(300)의 테두리벽(320) 내측에는 상기 걸림홀(215)들에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걸림턱(321)이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망체(300)의 다공-플레이트(310) 외곽에는 상기 식품보관용기(10)의 벽면(11)과 소정의 간격(L)이 형성되도록 바깥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식품보관용기(10) 벽면(11)과 다공망체(300) 테두리벽(320)과의 사이틈으로 건더기 식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외향플랜지(330)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2020130008060U 2013-09-05 2013-09-30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20047049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7450 2013-09-05
KR2020130007450 2013-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499Y1 true KR200470499Y1 (ko) 2013-12-19

Family

ID=5357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060U KR200470499Y1 (ko) 2013-09-05 2013-09-30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4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954B1 (ko) * 2014-01-13 2014-04-30 임상만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200474108Y1 (ko) 2013-10-10 2014-08-27 임상만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101597903B1 (ko) * 2014-10-01 2016-02-25 김성수 밀폐용기 누름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341B1 (ko) 2010-11-05 2013-03-25 유정임 김치 발효 숙성용 탱크
KR101332837B1 (ko) 2013-04-22 2013-11-27 이의진 누름구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저장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341B1 (ko) 2010-11-05 2013-03-25 유정임 김치 발효 숙성용 탱크
KR101332837B1 (ko) 2013-04-22 2013-11-27 이의진 누름구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저장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108Y1 (ko) 2013-10-10 2014-08-27 임상만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101389954B1 (ko) * 2014-01-13 2014-04-30 임상만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101597903B1 (ko) * 2014-10-01 2016-02-25 김성수 밀폐용기 누름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499Y1 (ko)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200465164Y1 (ko) 물김치의 건더기 침지를 위한 속뚜껑이 구비된 밀폐용기
KR200474108Y1 (ko)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101389954B1 (ko)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100365948B1 (ko) 저장용기
KR200466582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용 누름판의 쏠림 방지구조
KR102038134B1 (ko) 분리형 커버 패널부를 구비한 식품 보관용기
CN206842082U (zh) 一种多功能泡菜坛
KR200478717Y1 (ko) 찻물의 우림과 동시에 마심이 가능한 텀블러
KR101834354B1 (ko) 김치숙성용 저장통
KR101314305B1 (ko) 채소 담금 용기
KR200431873Y1 (ko) 양측 개방형 밀폐용기
CN214139714U (zh) 一种覆水层叠保鲜盒
KR20100006275U (ko) 씽크대 용 배수구의 원텃치 개폐장치
CN220140731U (zh) 一种具有强密封性能的泡菜罐
CN215362740U (zh) 食品容器
CN217792708U (zh) 一种可沥水泡菜罐
KR101357129B1 (ko) 음식물 보관용기의 속뚜껑
KR200469427Y1 (ko) 원터치형 진공수단 및 누름수단을 갖는 김치통
CN215905054U (zh) 一种冲泡型即食食品用餐盒结构
CN211408769U (zh) 一种带干燥剂的调味盒
JP3884258B2 (ja) 雲丹収容用容器
CN108928537A (zh) 一种水果保鲜盒
CN205357839U (zh) 一种蚂蚁盒
KR200475739Y1 (ko) 용기에 담겨진 발효식품과 뚜껑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제거하기 위한 누름을 위한 속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