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837B1 -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837B1
KR101793837B1 KR1020160111853A KR20160111853A KR101793837B1 KR 101793837 B1 KR101793837 B1 KR 101793837B1 KR 1020160111853 A KR1020160111853 A KR 1020160111853A KR 20160111853 A KR20160111853 A KR 20160111853A KR 101793837 B1 KR101793837 B1 KR 101793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ottle
contents
opening
hol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정필
Original Assignee
양정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정필 filed Critical 양정필
Priority to KR1020160111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formed by a rigid spout outlet opened by tilting of the spout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 B65D2543/00833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료병의 개봉 후에도 탄산가스의 누출을 최소화하거나 최대한 억제시켜 음료병의 내용물에 포함된 탄산가스나 향의 이탈됨을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서 탄산음료 특유의 톡쏘는 향미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어 맛있는 음용 조건의 내용물 상태을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으로는 음료병(70)의 개방된 입구에 끼워져서 밀폐 결속되도록 위쪽 상단에는 병걸림턱(14)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아래쪽 저부에는 작동구통과공(13)이 관통된 본체하우징(10)과, 상기 본체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 외측에는 밀폐걸림돌기(24)가 돌출되고 아래쪽 저부 중앙에 관통된 밸브끼움공(22)에는 공기의 유입에 따라 자동 개폐동작되는 공기개폐밸브(40)가 결속되면서 상기 밸브끼움공(22) 주변에는 상기 공기개폐밸브(40)의 개방동작에 따라 음료병(7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공(23)이 관통된 개폐작동구(20)와, 상기 개폐작동구(20)의 밀폐걸림돌기(24)가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작동구통과공(13)에 기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작동구(20) 내부의 무게체작동공간(26)에 삽입되는 일정 무게의 밀폐무게추(60)와, 상기 개폐작동구(20)의 무게추작동공간(26)에 삽입되어 음료병(70)의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 상기 음료병(70)을 기울일 때 상기 밀폐무게추(60)가 외부 이탈되지 않도록 하측 중앙으로 마개돌부(51)가 돌출되면서 상기 마개돌부(51) 측방으로 상측의 덮개측부(52)에는 내용물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유체통과공(53)이 관통된 작동구덮개(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Removable bottle of carbonated beverages gas leakage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음료병의 개봉 후에도 탄산가스의 누출을 최소화하거나 최대한 억제시켜 음료병의 내용물에 포함된 탄산가스나 향의 이탈됨을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서 탄산음료 특유의 톡쏘는 향미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어 맛있는 음용 조건의 내용물 상태을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류 및 탄산 음료병의 탈착식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병을 개방시켜 내용물인 맥주나 기타의 주류 및 탄산음료 등을 음용할 때 음료병에 결속시킨 탄산가스 유출방지수단을 구성하는 밀폐무게추의 이동에 따라 공기공급 개폐기능이 작동되면서 내용물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내용물과 함께 존재하는 탄산이나 향이 일시에 증발하지 않게 함은 물론, 내용물 음용을 멈추고 장기간 보관 또는 다시 음용할 때에도 음료병을 처음 개봉했을 때의 탄산 가스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어 탄산 특유의 향과 맛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음료병에 담겨진 맥주나 탄산음료는 뚜껑(마개)을 열고 한꺼번에 전량을 다 마실 수가 없어서 수차례에 걸쳐 잔존 내용물을 마시는데, 이때 열고 닫는 사이에 음료병에 있는 내용물로부터 탄산이나 향이 다 빠져나가고 그 자리를 좋지 않은 공기가 자리를 대신하기 때문에, 음료병의 개봉 이후에 시간이 가면 갈수록 내용물의 맛이 없어지면서 소위 김빠진 맥주나 소주가 된다.
우리가 잘 알듯이, 각종 주류나 음료(탄산음료)는 향이나 탄산이 없어지면 내용물 특유의 맛이 없어지게 되며, 기타 생수나 음용수의 경우에도 뚜껑(마개)을 열어서 일단 장시간 사용을 하면 세균의 증,번식이 당연히 발생하기 마련이다. 특히 탄산이 들어가는 맥주나 콜라, 사이다 및 소주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밀폐용기인 음료병에 저장된 모든 탄산음료는 가능한 한 뚜껑을 열면, 빨리 다 마셔 버리거나 재빨리 뚜껑을 닫아 밀폐시킬 수밖에 별다른 방법이 없다.
그러나 현존하는 모든 대용량 음료병(밀폐용기, 페트병 등)의 내용물인 맥주와 탄산음료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별 수없이 사용자가 뚜껑을 일일이 열고 닫을 수밖에 없다. 이 과정을 수차례 걸치면서 내용물로부터 탄산과 향은 다 없어지고 내용물에 산패까지 일어나서 결국에는 버리게 되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메이커에서는 잘 알고 있으나, 이를 해결할 기술이 없어서 현재까지 생산하는 제조사 입장에서도 어쩔 수 없이 방치한 것이 현실이다.
참고로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92087호 (맥주캔)이나 제20-0280803호(맥주캔용 개봉장치) 등의 수많은 참고 문헌에서 보는 것처럼, 대부분의 업체에서 개발된 음료용 저장용기(음료병)의 일례로서 대용량 맥주캔의 경우에는 수동으로 사용자가 공기 개폐수단을 개방시켜 음료병인 맥주캔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이 되도록 하여 개방된 상태로 마시는데, 이는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상층부에 수동으로 작동하는 공기유입구를 만들어 놓고 마실 때만 수동으로 개방을 하여 공기가 유입이 되게 하고, 하층부에는 내용물이 나오는 코크를 설치하여 코크를 열어 놓고 내용물을 마시는 방식이다.
결국 마신 후에는 다시 상층부의 수동 공기유입구를 닫아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대용량 저장용기(음료병)이 전부 이런 방식으로 되어 있으며, 만약 잊어버리고 공기유입구를 계속 열어놓으면 그 내용물의 탄산이 다 없어지고, 급속한 산패화로 탄산음료 특유의 톡쏘는 맛과 향이 없어져서 잔류 내용물을 버려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는 불편과 문제가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맥주나 소주 등의 알콜성 주류나 기타 다양한 탄산음료의 내용물을 보관시킨 유리병 또는 패트병으로 이루어진 저장용기인 통상의 음료병은, 음료병의 마개를 개봉하게 되면 내용물에 포함된 향기나 탄산이 없어지면서 내용물 특유의 톡쏘는 맛과 향이 상실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밀폐된 음료병에 채워진 내용물을 가능한 한 뚜껑을 열면 되도록 빠른 시간 내에 남기지 말고 다 마셔버리거나, 다 마시지 않고 내용물이 남은 상태에서는 재빨리 뚜껑을 닫아 내용물의 맛과 향이 손상됨을 줄이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었다.
이와 같은 음료병의 개봉 후에 발생되는 내용물로부터 탄산 및 향이 이탈되면서 내용물 자체도 맛이 없어지고 산패화까지 발생되었던 지금까지의 음료병 마개구조가 갖는 제반 불편한 사정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음료병의 마개 개봉시 음료병의 내용물로부터 탄산가스의 누출을 최소화하거나 최대한 억제시켜 음료병의 개봉 후에도 장기간 내용물에 포함된 탄산가스나 향의 이탈됨을 획기적으로 줄여 탄산음료 특유의 톡쏘는 향미를 그대로 유지시켜, 맛있는 최초 음용 조건의 내용물 상태을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류 및 탄산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발된 본 발명의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는, 음료병의 개방된 입구에 끼워져서 밀폐 결속되도록 위쪽 상단에는 병걸림턱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아래쪽 저부에는 작동구통과공이 관통된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 외측에는 아래쪽이 경사지게 형성된 밀폐걸림돌기가 돌출되고 아래쪽 저부 중앙에 관통된 밸브끼움공에는 공기의 유입에 따라 자동 개폐동작되는 공기개폐밸브가 결속되면서 상기 밸브끼움공 주변에는 상기 공기개폐밸브의 개방동작에 따라 음료병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공이 관통된 개폐작동구와, 상기 개폐작동구의 밀폐걸림돌기가 상기 본체하우징의 작동구통과공에 기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작동구 내부의 무게체작동공간에 삽입되는 일정 무게의 밀폐무게추와, 상기 개폐작동구의 무게추작동공간에 삽입되어 음료병의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 상기 음료병을 기울일때 상기 밀폐무게추가 외부 이탈되지 않도록 하측 중앙으로 마개돌부가 돌출되면서 상기 마개돌부 측방으로 상측의 덮개측부에는 내용물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유체통과공이 관통된 작동구덮개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제품 구성된다.
특히, 상기 본체하우징은 음료병의 개방된 입구에 결속될 때 안정된 밀폐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외측에 기밀유지링이 결속되는 와셔링홈이 형성되면서 내측에는 종방향으로 돌기안내요홈이 형성되는 안내요홈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개폐작동구 외측에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돌기안내요홈을 따라 안정되게 끼움 결속되면서 내용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일정 틈새를 유지하게 하는 안내이동돌기가 돌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작동구의 무게추작동공간에 위치하는 밀폐무게추는 내용물을 음용하지 않고 음료병을 세워 놓는 보관 동작시에는 일정 하중으로 상기 개폐작동구의 밀폐걸림돌기가 상기 본체하우징의 작동구통과공에 안정되게 기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 음료병을 기울이는 사용 동작시에는 작동구덮개의 마개돌부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본체하우징의 작동구통과공이 개방되어 음료병의 내용물이 상기 작동구통과공을 거쳐 상기 작동구덮개의 유체통과공을 통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동작되며, 상기 작동구덮개의 덮개측부 중앙에는 음료병의 내용물을 전부 음용 소진한 상태에서 상기 음료병으로부터 인출 분리동작이 용이하도록 인출손잡이가 돌출된 구성관계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주류 및 탄산 음료병의 자동 공기공급 개폐기능을 갖는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는, 사용자가 음료병을 개봉시켜 사용할 때 이를 음료병에 결속시켜 사용함으로서 탄산가스의 누출을 최소화하거나 최대한 억제시켜 음료병의 개봉 후에도 장기간 내용물에 포함된 탄산가스나 향의 이탈됨을 획기적으로 줄여 탄산음료 특유의 톡쏘는 향미를 그대로 유지시켜 맛있는 음용 조건의 내용물 상태을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바, 이는 내용물인 맥주나 기타의 주류 및 탄산음료 등이 충진된 통상의 음료병을 개봉시켜 음용할 때 내용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내용물과 함께 존재하는 탄산이나 향이 일시에 증발하지 않게 함은 물론, 마시다 남은 맥주나 탄산 음료 등의 뚜껑을 닫지 않고 장시간 보관 또는 경과한 후에 다시 마실 때에도 음료병을 개봉했을 때의 처음같은 탄산 가스상태가 유지되어 탄산 특유의 향과 맛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주류 및 탄산 음료병의 자동 공기공급 개폐기능을 갖는 탄산가스 유출방지도구로서 그 편리함 및 이용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맥주나 탄산음료를 생산할 때 미리 탄산이 날아가지 않게 본 발명의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를 맥주나 탄산음료의 음료병 입구에 미리 장착할 수도 있고, 이미 시장에 출시된 기존 제품의 음료병 입구에다 본 발명의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를 사용자가 직접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하여 어느 제품에 제한없이 사용자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후에는 간단하게 음료병에서 본 발명의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를 인출 분리시켜 재사용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의 분리상태 단면 구조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가 음료병에 결속되어 작동되는 사용상태도로서, 내용물을 음용하지 않고 세운 보관시 및 음용하기 위해 세운 사용시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가 구현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작동원리를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첨부한 실시예들의 도면은, 탄산가스의 누출을 최소화하거나 최대한 억제시켜 음료병(70)의 개봉 후에도 장기간 내용물에 포함된 탄산가스나 향의 이탈됨을 획기적으로 줄여 탄산음료 특유의 톡쏘는 향미를 그대로 유지시켜 맛있는 음용 조건의 내용물 상태을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주류 및 탄산 음료병의 자동 공기공급 개폐기능을 갖는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관계의 이해를 돕고자 분리상태 및 결합상태 그리고 작동원리를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료병(70)의 개방된 입구에 끼워져서 마시다 남은 맥주나 탄산음료 등의 뚜껑을 닫지 않고 장시간 보관 또는 경과한 후에 다시 마실 때에도 처음과 같은 탄산 가스상태가 유지되어 탄산 특유의 향과 맛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주류 및 탄산 음료병의 자동 공기공급 개폐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 음료병(70)을 개방시켜 기울이면 개폐작동구(20) 내부에 구성시킨 일정 하중의 밀폐무게추(60)가 작동구덮개(50) 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개폐작동구(20)가 자연스럽게 상기 작동구덮개(50)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작동구덮개(50)의 밀폐걸림돌기(24)와 본체하우징(10)의 작동구통과공(13) 간에 틈새가 발생되면서 이들 사이로 음료병(70)의 내용물이 흘러들면서 위쪽의 작동구덮개(50)의 관통된 유체통과공(53)을 통해 자연스럽게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작동원리가 발휘되는데, 이때 상기 개폐작동구(20) 하측에 개폐 가능한 작동구조의 재질 및 구조로 구성되어 결속된 실리콘 재질의 공기개폐밸브(40)가 개방 동작되는데, 외부로부터 공기가 압력차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 동작되는 상기 공기개폐밸브(40)의 공기유입공(23)을 통해 음료병(70) 내부로 유입 동작되는 작동상태가 발휘되는 구성원리이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결합상태 및 분리상태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음료병(70)의 개방된 입구에 끼워져서 밀폐 결속되도록 위쪽 상단에는 병걸림턱(14)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아래쪽 저부에는 작동구통과공(13)이 관통된 본체하우징(10)과, 상기 본체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 외측에는 밀폐걸림돌기(24)가 돌출되고 아래쪽 저부 중앙에 관통된 밸브끼움공(22)에는 공기의 유입에 따라 자동 개폐동작되는 공기개폐밸브(40)가 결속되면서 상기 밸브끼움공(22) 주변에는 상기 공기개폐밸브(40)의 개방동작에 따라 음료병(7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공(23)이 관통된 개폐작동구(20)가 구성된다.
그리고 개폐작동구(20)의 밀폐걸림돌기(24)가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작동구통과공(13)에 기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작동구(20) 내부의 무게체작동공간(26)에 삽입되는 일정 무게의 밀폐무게추(60)와, 상기 개폐작동구(20)의 무게추작동공간(26)에 삽입되어 음료병(70)의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 상기 음료병(70)을 기울일 때 상기 밀폐무게추(60)가 외부 이탈되지 않도록 하측 중앙으로 마개돌부(51)가 돌출되면서 상기 마개돌부(51) 측방으로 상측의 덮개측부(52)에는 내용물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유체통과공(53)이 관통된 작동구덮개(50)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작동원리가 구현되는 기본적 구성관계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체하우징(10)은 음료병(70)의 개방된 입구에 결속될 때 안정된 밀폐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외측에 기밀유지링(30)이 결속되는 와셔링홈(15)이 형성되면서 내측에는 종방향으로 돌기안내요홈(12)이 형성되는 안내요홈돌기(11)가 돌출되고, 상기 개폐작동구(20) 외측에는 상기 본체하우징(10)의 돌기안내요홈(11)을 따라 안정되게 끼움 결속되면서 내용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일정 틈새를 유지하게 하는 안내이동돌기(25)가 돌출된다.
또한 개폐작동구(20)의 무게추작동공간(26)에 위치하는 밀폐무게추(60)는 내용물을 음용하지 않고 음료병(70)을 세워 놓는 보관 동작시에는 일정 하중으로 상기 개폐작동구(20)의 밀폐걸림돌기(24)가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작동구통과공(13)에 안정되게 기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 음료병(70)을 기울이는 사용 동작시에는 작동구덮개(50)의 마개돌부(51) 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작동구통과공(13)이 개방되어 음료병(70)의 내용물이 상기 작동구통과공(13)을 거쳐 상기 작동구덮개(50)의 유체통과공(53)을 통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동작되며, 상기 작동구덮개(50)의 덮개측부(52) 중앙에는 음료병(70)의 내용물을 전부 음용 소진한 상태에서 상기 음료병으로부터 인출 분리동작이 용이하도록 인출손잡이(54)가 돌출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음료병 탄산가스 자동개폐장치는 개방시킨 음료병(70)의 내용물을 음용하지 않고 세워놓는 평상시에 본체하우징(10)의 작동구통과공(13)에 대해 개폐작동구(20)의 밀폐걸림돌기(24)을 일정 하중으로 압지시킴으로서 밀폐 동작시키던 밀폐무게추(60)는, 상기 음료병(70)의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 상기 음료병(70)을 기울이게 되면 상기 밀폐무게추(60)가 상기 음료병(70)의 기울임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작동구통과공(13) 밀폐상태를 해제시켜 음료병(70)의 내용물인 맥주나 탄산음료를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진공상태에 있는 밀폐용기인 음료병(7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진공이 풀리면서 내용물의 유출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내용물을 다 마신 후에는 사용자가 다시 음료병(70)을 수직으로 원위치시키면 일정 무게의 상기 밀폐무게추(60)와 함께 상기 개폐작동구(20)의 원위치 이동되면서 상기 개폐작동구(20)의 밸브걸림돌기(24)가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작동구통과공(13)에 대해 밀착 위치하게 됨에 따라 음료병(70) 내부의 내용물에 포함된 탄산가스나 향미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자연스럽게 방지할 수 있도록 작동원리가 발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원리가 발휘되는 본 발명의 음료병 탄산가스 자동개폐장치는 기본적으로 도 4a 및 도 4b의 사용상태 작동원리도에서 보는 것처럼, 음료병(70)을 개방시켜 내용물인 맥주나 기타의 주류 및 탄산음료 등을 컵(용기)(80)에 따라 음용할 때, 상기 음료병(70)에 결속시킨 탄산가스 유출방지수단을 구성하는 밀폐무게추(60)의 이동에 따라 본체하우징(10) 내부의 개폐작동구(20)도 함께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공기공급 개폐기능을 통한 내용물의 원활한 배출 동작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본체하우징(10) 외측에 기밀 유지수단으로 기밀유지링(30)의 구성이 아닌 다양한 기밀수단이나 기밀구조가 적용 실시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개폐작동구(20)의 본체하우징(10)에 대한 평상기 기밀 유지상태를 확보하기 위한 하중수단으로 밀폐무게추(50)는 도 3a 및 도 3b의 도면에 예시한 원형 막대형상의 밀폐무게추(61) 또는 스프링 코일형상의 밀폐무게추(62) 이외에도 다양한 하중 기밀수단이 다양하게 적용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외부의 본체하우징(10)에 관통된 작동구통과공(13)에 대한 내부의 개폐작동구(20)가 밀폐무게추(60)에 의한 기밀 유지수단으로 밀폐걸림돌기(24)가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연질 재질로서 상기 밀폐걸림돌기(24)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기밀유지 구조로서 응용 실시될 수도 있으며, 특히 통상 연질의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개폐작동구(20) 하측의 공기유입공(23)을 자동으로 밀폐 및 개방 동작시키는 공기개폐밸브(40)는 개폐밸브몸체(42) 중앙에 끼움고정돌기(41)가 상향 돌출되어 상기 공기유입공(23)과 별도로 상기 개폐작동구(20) 중앙에 관통된 밸브끼움공(22)에 결속 고정되는데, 필요에 따라 상기 공기개폐밸브(40)의 별도의 결속부재를 통한 다양한 결속구조로서 상기 개폐작동구(40)에 편리하게 적용 설치되는 구성관계로서 실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0 : 본체하우징 11 : 안내요홈돌기
12 : 돌기안내요홈 13 : 작동구통과공
14 : 병걸림턱 15 : 와셔링홈
20 : 개폐작동구 21 : 밸브밀착단부
22 : 밸브끼움공 23 : 공기유입공
24 : 밀폐걸림돌기 25 : 안내이동돌기
26 : 무게추작동공간 30 : 기밀유지링
40 : 공기개폐밸브 41 : 끼움고정돌기
42 : 개폐밸브몸체 50 : 작동구덮개
51 : 마개돌부 52 : 덮개측부
53 : 유체통과공 54 : 인출손잡이
60(60a)(60b) : 밀폐무게추
70 : 음료병(페트병) 80 : 컵(용기)

Claims (3)

  1. 음료병(70)의 개방된 입구에 끼워져서 밀폐 결속되도록 위쪽 상단에는 병걸림턱(14)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아래쪽 저부에는 작동구통과공(13)이 관통된 본체하우징(10)과,
    상기 본체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 외측에는 밀폐걸림돌기(24)가 돌출되고 아래쪽 저부 중앙에 관통된 밸브끼움공(22)에는 공기의 유입에 따라 자동 개폐동작되는 공기개폐밸브(40)가 결속되면서 상기 밸브끼움공(22) 주변에는 상기 공기개폐밸브(40)의 개방동작에 따라 음료병(7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공(23)이 관통된 개폐작동구(20)와,
    상기 개폐작동구(20)의 밀폐걸림돌기(24)가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작동구통과공(13)에 기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작동구(20) 내부의 무게체작동공간(26)에 삽입되는 일정 무게의 밀폐무게추(60)와,
    상기 개폐작동구(20)의 무게추작동공간(26)에 삽입되어 음료병(70)의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 상기 음료병(70)을 기울일 때 상기 밀폐무게추(60)가 외부 이탈되지 않도록 하측 중앙으로 마개돌부(51)가 돌출되면서 상기 마개돌부(51) 측방으로 상측의 덮개측부(52)에는 내용물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유체통과공(53)이 관통된 작동구덮개(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10)은 음료병(70)의 개방된 입구에 결속될 때 안정된 밀폐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외측에 기밀유지링(30)이 결속되는 와셔링홈(15)이 형성되면서 내측에는 종방향으로 돌기안내요홈(12)이 형성되는 안내요홈돌기(11)가 돌출되고, 상기 개폐작동구(20) 외측에는 상기 본체하우징(10)의 돌기안내요홈(11)을 따라 안정되게 끼움 결속되면서 내용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일정 틈새를 유지하게 하는 안내이동돌기(25)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작동구(20)의 무게추작동공간(26)에 위치하는 밀폐무게추(60)는 내용물을 음용하지 않고 음료병(70)을 세워 놓는 보관 동작시에는 일정 하중으로 상기 개폐작동구(20)의 밀폐걸림돌기(24)가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작동구통과공(13)에 안정되게 기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 음료병(70)을 기울이는 사용 동작시에는 작동구덮개(50)의 마개돌부(51) 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작동구통과공(13)이 개방되어 음료병(70)의 내용물이 상기 작동구통과공(13)을 거쳐 상기 작동구덮개(50)의 유체통과공(53)을 통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동작되며, 상기 작동구덮개(50)의 덮개측부(52) 중앙에는 음료병(70)의 내용물을 전부 음용 소진한 상태에서 상기 음료병으로부터 인출 분리동작이 용이하도록 인출손잡이(54)가 돌출된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KR1020160111853A 2016-08-31 2016-08-31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KR101793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853A KR101793837B1 (ko) 2016-08-31 2016-08-31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853A KR101793837B1 (ko) 2016-08-31 2016-08-31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837B1 true KR101793837B1 (ko) 2017-11-06

Family

ID=6038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853A KR101793837B1 (ko) 2016-08-31 2016-08-31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8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333B1 (ko) * 2018-12-13 2020-03-03 양정필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마개
KR20200001825U (ko) * 2019-02-08 2020-08-19 이원철 과도한 액체 토출 방지용 캡
KR20220051760A (ko) 2020-10-19 2022-04-26 양정필 밀폐형 체크밸브 기능을 갖는 음료병 디스펜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393B1 (ko) 2013-05-31 2014-08-05 김기덕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393B1 (ko) 2013-05-31 2014-08-05 김기덕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333B1 (ko) * 2018-12-13 2020-03-03 양정필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마개
KR20200001825U (ko) * 2019-02-08 2020-08-19 이원철 과도한 액체 토출 방지용 캡
KR200492816Y1 (ko) * 2019-02-08 2020-12-16 이다감 과도한 액체 토출 방지용 캡
KR20220051760A (ko) 2020-10-19 2022-04-26 양정필 밀폐형 체크밸브 기능을 갖는 음료병 디스펜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962B1 (ko) 흡입관을 갖는 탄산 음료 용기를 위한 유출 방지 유량 제어부재
US20110036451A1 (en) Device for dosed dispensing of a liquid from a composite container and method for filling the composite container ("liquid dispensing flair")
US9938057B2 (en) Preservation device
KR20160064863A (ko) 주류 및 탄산 음료병의 자동 공기공급 개폐기능을 갖는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KR101793837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JP3780944B2 (ja) 部分的に満たされた飲料ボトルの中身を保存するための器具ならびに該器具用のストッパ
SK286942B6 (sk) Zásobník na skladovanie a dávkovanie nápoja, najmä piva
US10882650B2 (en) Carbonation preservation device
EA012779B1 (ru) Контейнер с источником сжатого co
US20080290118A1 (en) Pour through oxidation suppressing stopper
US6968984B2 (en) Thermal container
KR20170020126A (ko) 탄산 유출 방지되는 자동 공기 개폐기능을 갖는 용기 덮개
KR102084333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마개
KR101813556B1 (ko) 첨가제 희석을 위한 용기 결합형 첨가제 주입캡슐
KR102528132B1 (ko)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
KR200485864Y1 (ko) 가스 압력 억제기능을 갖는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 방지장치
KR101627417B1 (ko)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JP4530480B2 (ja) 開栓された瓶内飲料の処理装置
KR102398342B1 (ko)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
KR20130027722A (ko) 체크밸브가 설치된 용기 캡
US20060054629A1 (en) Closable drinking container
KR20240054731A (ko) 와인병 가스유출방지마개
JP2885720B2 (ja) 飲料容器
KR20230135464A (ko)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
KR20230040492A (ko)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