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492A -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 - Google Patents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492A
KR20230040492A KR1020210123689A KR20210123689A KR20230040492A KR 20230040492 A KR20230040492 A KR 20230040492A KR 1020210123689 A KR1020210123689 A KR 1020210123689A KR 20210123689 A KR20210123689 A KR 20210123689A KR 20230040492 A KR20230040492 A KR 20230040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cap
carbonic acid
preventing leakage
storage container
stopp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용
이지호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이명용
이지호
이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용, 이지호, 이지원 filed Critical 이명용
Priority to KR102021012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0492A/ko
Priority to PCT/KR2022/013750 priority patent/WO2023043206A1/ko
Publication of KR20230040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6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the screw-thread or the like being formed by conforming the cap-skirt to the thread or the like formation on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71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for positioning the cap on the container, o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cap, or for preventing accidental loosening of the cap
    • B65D41/047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for positioning the cap on the container, o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cap, or for preventing accidental loosening of the cap the cap being formed by several elements connect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92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formed by several elements connect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이 개시된다.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은, 상부에 배출홀이 형성되며,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결합 고정되기 위한 병뚜껑부,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병뚜껑부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홀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몸체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병뚜껑부에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Cap system for preventing leakage of carbonic acid}
본 발명에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용기에 담긴 탄산음료에서 탄산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이다, 콜라, 맥주 등 탄산음료는 주입구에 나사선이 형성된 페트병 등의 저장용기에 담겨 유통된다. 탄산음료는 병마개가 주입구에 형성된 나사선과 결합되어 저장용기를 밀폐시킨 상태로 출고되며, 병마개를 개봉하지 않으면 저장용기는 기밀된 상태로 유지되어 저장음료에 포함된 탄산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하지만 병마개를 개봉하게 되면 병마개를 다시 닫게 되더라도 저장용기가 완전히 밀폐되지 않기 때문에, 저장음료에 포함된 탄산은 병마개와 저장용기 입구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누출되어 저장음료의 맛이나 향 및 식감이 점점 떨어지게 된다. 특히, 저장음료의 배출로 저장용기 내부에 빈 공간이 커질수록, 탄산의 누출 현상은 더욱 가속화되며, 일부 소비자는 탄산이 빠진 음료를 버리는 경우도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28710은 탄산음료가 저장된 저장용기를 개방한 다음, 이를 꺼꾸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는 기구를 개시하고 있고, 등록특허공보 10-1453169는 탄산음료가 저장된 저장용기에 빈 병을 결합시켜, 빈 병으로부터 저장용기로 공기를 주입시켜, 저장용기의 빈 공간의 압력을 높여 결과적으로 누출되는 탄산의 양을 최소화는 탄산음료용 병뚜껑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탄산음료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장착 가능한 호환성 및 심플한 구조를 가지면서, 보관하는 동안에 탄산 누출을 방지하고 동시에 병마개를 열어 저장용기를 개방할 때에도 탄산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저장용기에서 음료를 따를 때에 음료가 빠르게 배출될 수 있는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은, 상부에 배출홀이 형성되며,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결합 고정되기 위한 병뚜껑부,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병뚜껑부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홀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병뚜껑부에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 지름은 상기 결합부의 외부 지름과 같거나 클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 상기 병뚜껑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배출홀을 덮을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 상기 병뚜껑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방홀이 상기 배출홀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 내측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병뚜껑부에는, 외측면에 상기 나사선과 결합되기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병뚜껑부에는, 외측면에 걸림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는,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 가능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병뚜껑부가 상기 몸체부에 삽입시에,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병뚜껑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은, 유체가 흐르기 위한 에어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에어관이 삽입되기 위한 상부 관홀이 형성되고, 상기 병뚜껑부에는, 상기 에어관이 삽입되기 위한 하부 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관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상부 관홀 및 상기 하부 관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병뚜껑부는, 내측에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형성된 나사선과 결합되기 위한 내측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병뚜껑부의 내측 나사선과 결합되기 위한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에 의하면, 병뚜껑부와 상용화된 병마개 구조와 대응하고, 이중 개폐 구조 및 회전 개폐 구조를 가짐으로써, 기존 탄산음료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장착 가능한 호환성 및 심플한 구조를 가지면서, 보관하는 동안에 탄산 누출을 방지하고 동시에 병마개를 열어 저장용기를 개방할 때에도 탄산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저장용기에서 음료를 따를 때에 에어관으로 공기가 주입되어 음료가 빠르게 배출될 수 있고, 내부 기압이 유지되어 탄산 누출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의 병마개 구조 및 심플한 구조를 갖는 몸체부 및 결합부로 인해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의 수직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1)은 병뚜껑부(10), 몸체부(20), 결합부(30) 및 에어관(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60)는 탄산음료의 저장용기일 수 있다. 병마개(70)는 저장용기(60)의 병마개이다. 즉 병마개(70)는 저장용기(60) 출고시 또는 구입시에 저장용기(60)에 결합된 병마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병뚜껑부(10)는 상부에 배출홀(11)이 형성되며, 저장용기(60)의 주입구에 결합 고정될 수 있고, 내측에 저장용기(60)의 주입구에 형성된 나사선(63)과 결합되기 위한 내측 나사선(13)일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병뚜껑부(10)는 외측면에 몸체부(20)의 나사선(24)과 결합되기 위한 외측 나사선(14)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선(14) 및 나사선(24)이 있어 이들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몸체부(20)와 병뚜껑부(10)의 결합력이 강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나사선(14) 및 나사선(24)이 없는 경우에는, 몸체부(20)와 병뚜껑부(10)의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고, 몸체부(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병뚜껑부(10)에는 에어관(40)이 삽입되기 위한 하부 관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관홀(15)은 병뚜껑부(1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병뚜껑부(10)는 상부 덮개부(17) 및 상부 덮개부(17)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된 측부 덮개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덮개부(17)의 일부 영역에 배출홀(11)이 형성될 수 있고 중앙부에 하부 관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홀(11) 및 하부 관홀(15)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덮개부(17)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나사선(13)은 측부 덮개부(19) 내측에 형성될 수 있고, 외측 나사선(14)은 측부 덮개부(19)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병뚜껑부(10)의 내측 나사선(13)은 병마개(70)의 나사선(73)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0)는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병뚜껑부(1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21) 및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홀(21)을 포함할 수 있다. 병뚜껑부(10)는 몸체부(20)의 개구부를 통해 몸체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공간부에 위치할 수 있다.
덮개부(21)는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20)의 상부 또는 중간에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1) 하부에 병뚜껑부(1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위치할 수 있고, 병뚜껑부(10)는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덮개부(21)에 밀착될 수 있다. 덮개부(21)는 몸체부(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병뚜껑부(10)의 배출홀(11)을 덮을 수 있다.
개방홀(22)은 몸체부(20)의 상부 중 덮개부(21)가 덮지 않은 빈영역일 수 있다. 개방홀(22)는 몸체부(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병뚜껑부(10)의 배출홀(11)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덮개부(21)에는 에어관(40)이 삽입되기 위한 상부 관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관홀(25)은 에어관(4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에어관(40)은 상부 관홀(25)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에어관(40)은 상부 관홀(25)에 이동이 불가능하게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몸체부(20)는 내측면에 병뚜껑부(10)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선(24)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0)의 나사선(24)은 병뚜껑부(10)의 외측 나사선(14)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몸체부(20)는 병뚜껑부(10)에 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병뚜껑부(10)가 몸체부(20)에 삽입되어 밀착 결합된 경우에, 상부 관홀(25) 및 하부 관홀(15)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관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관로에 에어관(40)이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30)는 몸체부(20)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병뚜껑부(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30) 외측에는 병뚜껑부(10)의 내측 나사선(13)과 결합되기 위한 나사선(33)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0)는 병마개(70)에 삽입되어, 나사선(330)이 병마개(70)의 나사선(73)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부(30)는 병마개(7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1)은 사용전에 병뚜껑부(10)의 결합부(30)에 결합시켜 함께 보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병뚜껑부(10)만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부(30)는 몸체부(30)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에어관(40)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관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관(40)은 상부 관홀(23) 및 하부 관홀(11)을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관(40)을 통해 공기가 저장용기(70) 내부로 삽입되어, 저장용기(70)에 담긴 음료가 보다 빨리 외부로 배출되도록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저장용기(70)에 담긴 탄산음료의 높이에 따라 에어관(40)의 상하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20)에 병뚜껑부(10)가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부(20)의 회전에 따라 덮개부(21)는 병뚜껑부(10)의 배출홀(11)을 덮거나 개방할 수 있다. 도 4는 덮개부(21)가 병뚜껑부(10)의 배출홀(11)을 덮은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1)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다.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1)이 닫힌 상태에서는, 저장용기(60)는 밀폐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병마개(70)가 결합부(30)에 추가로 결합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1)은 이중으로 저장용기(60)를 밀폐시킴으로써, 평상시(보관시)에 탄산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의 닫힌 상태에서, 몸체부(20)의 회전시키, 몸체부(20)의 개방홀(22)이 병뚜껑부(10)의 배출홀(11)에 위치되면, 도 5와 같이 병뚜껑부(10)의 배출홀(11)이 개방된 상태가 되고, 본 발명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1)은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도 5는 병뚜껑부(10)의 배출홀(11)을 개방된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1)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용자는 결합부(30)에서 병마개(70)을 분리한 후에, 도 4의 닫힌 상태에서 저장용기(60)을 꺼꾸로 들어(주입구가 지면을 향하게 들어) 저장용기(60)에 장착된 마개 시스템(1)이 하부로 오게 한 후에, 몸체부(20)를 회전시켜 마개 시스템(1)이 도 5의 개방된 상태가 되게 하면, 저장용기(1)에 담긴 음료가 배출홀(11) 및 개방홀(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될 수 있다. 이때, 저장용기(60) 내에 빈공간에 있는 공기(탄산)는 상부(저장용기 바닥 부분)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마개 시스템(10)이 개방된 상태에서 배출되지 않고 저장용기(60) 내에 머무르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1)은 저장용기(60)을 개방한 경우에도, 저장용기(60)의 빈 공간 내에 머무르는 탄산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대용량의 저장용기(60)에 저장된 음료수를 마실 때에는 일반적으로 여러 번 나누어 마시게 되고, 이때 보관 중에 탄산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더라도 병마개(70)의 개폐 과정에서 탄산이 누출됨으로써, 병마개(70)의 여러 번의 개폐로 인해 음료수에서 탄산이 빠지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1)은 수회의 병마개(70) 개폐에도 음료수 내의 탄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의 수직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2)은 병뚜껑부(10), 몸체부(20), 결합부(30) 및 에어관(40)를 포함할 수 있다.
병뚜껑부(10)에는, 외측면에 걸림홈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0)에는,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걸림홈부(16)에 삽입 가능한 걸림부(26)가 형성되고, 병뚜껑부(10)가 몸체부(20)에 삽입시에, 걸림부(26)가 걸림홈부(160)에 삽입되어, 몸체부(20)가 병뚜껑부(10)에 고정될 수 있다. 걸림부(26)의 모서리는 라운딩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병뚜껑부(10)이 보다 용이하게 몸체부(20)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걸림부(26)가 걸림홈부(160)에 삽입된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몸체부(20) 및 병뚜껑부(10) 서로 완전히 결합된 것을 확인을 할 수 있고, 걸림홈부(160)로 인해 몸체부(20)가 회전시에 병뚜껑부(1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고, 몸체부(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의 부분 확대도는 걸림홈부(16) 및 걸림부(26)를 이격시켜 도시한 것이다. 병뚜껑부(10)가 저장용기(60)에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부(20)를 눌러, 억지 끼움 식으로 몸체부(20) 내부에 걸림부(26)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도 6의 부분 확대도에서와 같이, 걸림부(26)의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몸체부(20) 내부로 병뚜껑부(10)을 보다 용하게 끼울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2)은 도 3에 도시된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1)의 병뚜껑부(10)의 외측 나사선(14) 및 몸체부(20)의 나사선(24) 대신에 병뚜껑부(10)의 걸림홈부(16) 및 몸체부(20)의 걸림부(26)가 사용된 것으로, 마개 시스템(2)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마개 시스템(1)의 나머지 구성요소와 대응될 수 있고, 이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 1 병뚜껑부 10
몸체부 20 결합부 30
에어관 40 저장용기 60
병마개 70

Claims (6)

  1. 상부에 배출홀이 형성되며,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결합 고정되기 위한 병뚜껑부;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병뚜껑부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홀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병뚜껑부에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상기 병뚜껑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배출홀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측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병뚜껑부에는,
    외측면에 상기 나사선과 결합되기 나사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뚜껑부에는,
    외측면에 걸림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는,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 가능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병뚜껑부가 상기 몸체부에 삽입시에,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병뚜껑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유체가 흐르기 위한 에어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에어관이 삽입되기 위한 상부 관홀이 형성되고,
    상기 병뚜껑부에는,
    상기 에어관이 삽입되기 위한 하부 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뚜껑부는,
    내측에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형성된 나사선과 결합되기 위한 내측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병뚜껑부의 내측 나사선과 결합되기 위한 나사선이 형성될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
KR1020210123689A 2021-09-16 2021-09-16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 KR20230040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689A KR20230040492A (ko) 2021-09-16 2021-09-16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
PCT/KR2022/013750 WO2023043206A1 (ko) 2021-09-16 2022-09-15 마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689A KR20230040492A (ko) 2021-09-16 2021-09-16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492A true KR20230040492A (ko) 2023-03-23

Family

ID=8579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689A KR20230040492A (ko) 2021-09-16 2021-09-16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04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230A (en) Carbonated beverage bottle
RU235988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US5449098A (en) Fluid flow controller for bottle
KR20160064863A (ko) 주류 및 탄산 음료병의 자동 공기공급 개폐기능을 갖는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KR200473800Y1 (ko) 맥주잔
KR101793837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KR20230040492A (ko)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
KR102084333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마개
KR200449488Y1 (ko) 가스누출 방지병
KR20240037086A (ko)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
KR20230135464A (ko)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
US7228980B2 (en) Plastic capsule for hermetically closing large bottles
KR200485864Y1 (ko) 가스 압력 억제기능을 갖는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 방지장치
JP6929092B2 (ja) 炭酸飲料サーバ
KR100418409B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KR101627417B1 (ko)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KR200344567Y1 (ko) 음료 용기
KR102398342B1 (ko)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
KR200359480Y1 (ko) 음료용기
KR200328710Y1 (ko) 탄산가스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탄산 음료병용 컵
KR200286577Y1 (ko) 탄산음료 탄산가스 손실 방지 뚜껑
KR200318788Y1 (ko) 탄산가스누출방지용마개
KR20060109640A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KR20240054731A (ko) 와인병 가스유출방지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