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567Y1 -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567Y1
KR200344567Y1 KR20-2003-0037782U KR20030037782U KR200344567Y1 KR 200344567 Y1 KR200344567 Y1 KR 200344567Y1 KR 20030037782 U KR20030037782 U KR 20030037782U KR 200344567 Y1 KR200344567 Y1 KR 200344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body
discharge pipe
container
beverag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7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봉
Original Assignee
성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봉 filed Critical 성기봉
Priority to KR20-2003-0037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5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5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마실 때 청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가 함유된 탄산음료가 수용되는 용기 또는 맥주나 소주, 탁주와 같이 알코올성분이 함유된 주류가 수용되는 음료 용기에서 용기본체에 채워진 음료 또는 주류를 아랫쪽의 것부터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나누어 마시기 위하여 마개를 반복적으로 여닫아도 음료에 주입된 이산화탄소 또는 주류에 함유된 알코올 성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탄산음료 고유의 청량감 또는 주류에 함유된 고유의 알코올 도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장기간 보관하면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소정 체적의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에는 마개에 의하여 여닫히는 음료주입구가 마련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 또는 하부에서 종방향 또는 수평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본체의 내경에 비하여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가지며, 상부에는 마개에 의하여 여닫히는 음료토출구가 마련된 음료토출관과; 상기 음료토출관이 형성된 쪽에 해당되는 용기본체의 측면을 이루면서 용기본체의 내부공간과 음료토출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며, 하단부에는 용기본체의 내부와 음료토출관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통과공이 형성된 격막(Membrane)을 포함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음료 또는 주류를 마시기 위하여 음료토출구를 개방하더라도 용기본체 상방으로 상승된 이산화탄소 또는 알코올 성분이 용기본체에 채워진 탄산음료 또는 주류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음료토출구를 반복적으로 여닫는 경우에도 이산화탄소나 알코올성분이 한꺼번에 다량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어 오랜시간이 경과되어도 탄산음료 고유의 청량감이나 주류 고유의 알코올 도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음료 용기{A BEVERAGE CONTAINER}
본 고안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실 때 청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가 함유된 탄산음료가 수용되는 용기 또는 맥주나 소주, 탁주와 같이 알코올성분이 함유된 주류가 수용되는 음료 용기에서 용기본체에 채워진 음료 또는 주류를 아랫쪽의 것부터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나누어 마시기 위하여 마개를 반복적으로 여닫아도 음료에 주입된 이산화탄소또는 주류에 함유된 알코올 성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탄산음료 고유의 청량감 또는 주류에 함유된 고유의 알코올 도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장기간 보관하면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콜라, 사이다 같은 각종 탄산음료는 마실 때 청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음료액중에 이산화탄소가 주입된다.
이와 같이 음료액중에 이산화탄소가 주입된 탄산음료는 한번에 마실 수 있는 적은 양인 경우 통상 캔 또는 작은 병에 담겨져 판매되고, 몇 번에 나누어 마실 수 있는 많은 양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페트(P.E.T:Polyethylene terepthalate)병이라 불리우는 용량이 큰 합성수지재 용기에 담겨져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이 몇 번에 나누어 마실 수 있는 많은 양의 음료가 담겨진 종래 음료 용기(10)의 경우 상부에 마개(12)에 의하여 여닫히는 음료주입구(14)가 마련되고, 다른 부분은 밀폐된 소정 체적의 원통형상의 용기본체(16)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음료 용기(10)의 경우 통상적으로 가정에서 냉장고에 며칠씩 보관하면서 내부에 담겨진 음료를 수 차례에 걸쳐 나누어 마시게 되는데, 이 경우 마개(12)를 빈번하게 열고 닫아야 하기 때문에 음료액중에 함유되어 있다가 용기본체(16)의 내부 상방으로 상승된 이산화탄소가 음료주입구(14)를 통하여 음료 용기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시간이 경과될수록 탄산음료 고유의 청량감을 느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기존의 맥주, 소주, 탁주 등의 주류가 담겨지는 주류 용기의 경우 역시용기의 마개(12)를 개봉한 상태에서 1회에 모두 마시는 경우를 제외하고, 수 차례에 걸쳐 나누어 마시는 경우에 처음에는 해당 주류의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되면 주류에 함유된 알코올성분이 외부로 빠져나가 해당 주류의 고유의 알코올 도수를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마실 때 청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가 함유된 탄산음료가 수용되는 용기 또는 맥주나 소주, 탁주와 같이 알코올성분이 함유된 주류가 수용되는 음료 용기에서 용기본체에 채워진 음료 또는 주류를 아랫쪽의 것부터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나누어 마시기 위하여 마개를 반복적으로 여닫아도 음료에 주입된 이산화탄소 또는 주류에 함유된 알코올 성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탄산음료 고유의 청량감 또는 주류에 함유된 고유의 알코올 도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장기간 보관하면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음료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30' : 음료 용기 32,32' : 용기본체
34,34' : 음료토출관 36,36' : 통과공
38,38' : 격막(Membrane) 42,42' : 음료주입구
44,44' : 음료토출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내부에 소정 체적의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에는 마개에 의하여 여닫히는 음료주입구가 마련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에서 종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본체의 내경에 비하여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가지며, 상부에는 마개에 의하여 여닫히는 음료토출구가 마련된 음료토출관과; 상기 음료토출관이 형성된 쪽에 해당되는 용기본체의 측면을 이루면서 용기본체의 내부공간과 음료토출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며, 하단부에는 용기본체의 내부와 음료토출관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통과공이 형성된 격막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격막은 음료토출관쪽으로 예각을 이루면서 기울어지게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내부에 소정 체적의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에는 마개에 의하여 여닫히는 음료주입구가 마련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 외측에서 용기본체의 바닥면과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본체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가지며, 수평방향 외측단에는 마개에 의하여 여닫히는 음료토출구가 마련된 음료토출관과; 상기 음료토출관이 형성된 쪽에 해당되는 용기본체의 바닥면을 이루면서 용기본체의 내부공간과 음료토출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음료토출구와 반대되는 방향에는 용기본체의 내부와 음료토출관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통과공이 형성된 격막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30)는 청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가 주입된 탄산음료가 담겨지거나 또는 알코올성분이 함유된 주류가 담겨진 상태에서 장시간 동안 수 회에 걸쳐 나누어 마시기 위하여 마개를 반복적으로여닫는 경우에도 용기내의 이산화탄소 또는 주류의 알코올성분이 쉽게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32)의 측면에 음료토출관(34)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32)의 내부와 음료토출관(34) 내부는 통과공(36)이 형성된 격막(38)에 의하여 구획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용기본체(30)는 내부에 음료 또는 주류가 채워지는 소정체적의 공간이 마련되며, 상부에는 마개(40)에 의하여 여닫히는 음료주입구(42)가 형성된다.
상기 음료토출관(34)은 용기본체(32)의 외측면에서 종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데, 그 내경은 용기본체(32)의 내경에 비하여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마개(40)에 의하여 여닫히는 음료토출구(44)가 형성된다.
상기 격막(38)은 음료토출관(34)이 형성된 쪽에 해당되는 용기본체(32)의 측면을 이루면서 용기본체(32)의 내부공간과 음료토출관(34)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격막(38)의 하단부에는 용기본체(32)의 내부와 음료토출관(34)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통과공(36)이 형성된다.
또, 상기 격막(38)은 용기본체(32)내에 채워진 음료 또는 주류를 음료토출관(34)을 통하여 배출시킬 때 용기본체(32)로부터 음료토출관(34)쪽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도록 음료토출관(34)쪽으로 예각을 이루면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용기본체(32')의 하부 외측에서 바닥면과 평행하게 음료토출관(34')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32')의 내부와 음료토출관(34') 내부는 일측에 통과공(36')이 형성된 격막(38')에 의하여 구획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용기본체(32')는 내부에 음료 또는 주류가 채워지는 소정체적의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에는 마개(40')에 의하여 여닫히는 음료주입구(42')가 형성된다.
상기 음료토출관(34')은 용기본체(32')의 하부 외측에서 용기본체(32')의 바 닥면과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는데, 음료토출관(34')의 내경은 용기본체(32')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또, 상기 음료토출관(34')의 수평방향 외측단에는 마개(40')에 의하여 여닫히는 음료토출구(44')가 형성된다.
상기 격막(38')은 음료토출관(34')이 형성된 쪽에 해당되는 용기본체(32')의 바닥면을 이루면서 용기본체(32')의 내부공간과 음료토출관(34')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격막(38')의 소정 위치에는 용기본체(32')의 내부와 음료토출관(34')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통과공(36')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산화탄소가 함유된 탄산음료 또는 알코올성분이 함유된 주류는 음료주입구(42,42')를 통하여 용기본체(32,32')의 내부에 주입되어 채워진 다음 마개(40,40')에 의하여 닫혀져 밀폐된 상태가 된다.
음료 또는 주류를 용기본체(32,32')에 주입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음료토출구(44,44')의 마개 또한 닫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본체(32,32')내에 채워진 음료 또는 주류를 장시간 보관하면서 필요할 때마다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음료주입구(42,42')의 마개(40,40')는 닫혀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음료토출구(44,44')의 마개(40,40')를 열고 음료 또는 주류를 별도의 컵과 같은 별도의 용기에 따라 마시면 된다.
이와 같은 작용시 용기본체(32,32')에 채워진 음료 또는 주류의 아랫쪽의 것이 격막(38,38')과 용기본체(32,32')의 내벽사이에 형성된 통과공(36,36')을 통하여 음료토출관(34,34')내로 유입된 후 음료토출구(44,4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통상적으로 음료 용기의 용기본체(32,32')내에 채워진 탄산음료 또는 주류에 함유된 이산화탄소나 알코올성분의 대부분은 용기본체(32,32')의 상방으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음료주입구(42,42')의 마개(40,40')를 여는 순간 음료 용기30,30)의 외부로 방출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와 같이 용기본체(32,32')에 채워진 음료 또는 주류가 음료주입구(42,42')가 아닌 음료토출구(44,44')을 통하여 아래쪽의 것부터 배출되는 경우, 용기본체(32,32')의 상방으로 상승된 이산화탄소 또는 알코올성분이 용기본체(32,32')의 내측 아래쪽에 채워진 탄산음료 또는 주류용액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경과되어도 탄산음료의 청량감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고, 주류 고유의 알코올 도수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음료 또는 주류를 마시기 위하여 용기본체의 측면 일측이나 하부 외측에 형성된 음료토출구를 개방하더라도 용기본체 상방으로 상승된 이산화탄소 또는 알코올 성분이 용기본체에 채워진 탄산음료 또는 주류용액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음료토출구를 반복적으로 여닫는 경우에도 이산화탄소나 알코올성분이 한꺼번에 다량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어 오랜 시간이 경과되어도 탄산음료 고유의 청량감이나 주류 고유의 알코올 도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내부에 소정 체적의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에는 마개에 의하여 여닫히는 음료주입구가 마련된 용기본체(32)와;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에서 종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본체의 내경에 비하여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가지며, 상부에는 마개에 의하여 여닫히는 음료토출구(44)가 마련된 음료토출관(34)과;
    상기 음료토출관이 형성된 쪽에 해당되는 용기본체의 측면을 이루면서 용기본체의 내부공간과 음료토출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며, 하단부에는 용기본체의 내부와 음료토출관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통과공(36)이 형성된 격막(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38)은 음료토출관쪽으로 예각을 이루면서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3. 내부에 소정 체적의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에는 마개에 의하여 여닫히는 음료주입구가 마련된 용기본체(32')와;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 외측에서 용기본체의 바닥면과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본체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가지며, 수평방향 외측단에는마개에 의하여 여닫히는 음료토출구(44')가 마련된 음료토출관(34')과;
    상기 음료토출관이 형성된 쪽에 해당되는 용기본체의 바닥면을 이루면서 용기본체의 내부공간과 음료토출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음료토출구와 반대되는 방향에는 용기본체의 내부와 음료토출관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통과 공(36')이 형성된 격막(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KR20-2003-0037782U 2003-12-03 2003-12-03 음료 용기 KR200344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782U KR200344567Y1 (ko) 2003-12-03 2003-12-03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782U KR200344567Y1 (ko) 2003-12-03 2003-12-03 음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567Y1 true KR200344567Y1 (ko) 2004-03-12

Family

ID=4934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782U KR200344567Y1 (ko) 2003-12-03 2003-12-03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5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75Y1 (ko) * 2016-04-15 2016-12-12 남한솔 음료용 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75Y1 (ko) * 2016-04-15 2016-12-12 남한솔 음료용 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230A (en) Carbonated beverage bottle
US6502725B1 (en) Beverage dispenser
US20070164058A1 (en) Pouring apparatus for carbonated beverages in bottles
US201000065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sed dispensing of gasified liquid after pressure equalisation
KR200473800Y1 (ko) 맥주잔
KR200344567Y1 (ko) 음료 용기
US113322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air from fluids
KR200449488Y1 (ko) 가스누출 방지병
EP0688295A1 (en) A beverage container with means for frothing the beverage
KR200359480Y1 (ko) 음료용기
KR200273100Y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KR101331508B1 (ko) 알콜 및 탄산음료병 마개
KR200286577Y1 (ko) 탄산음료 탄산가스 손실 방지 뚜껑
KR20020024166A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UA119177C2 (uk) Одноразова сифонна пробка для пляшок з газованими напоями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KR200355752Y1 (ko) 탄산음료 용기
KR101773397B1 (ko)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
KR200244231Y1 (ko) 더블형 1.5리터 페트병
KR200330302Y1 (ko) 거꾸로 병마개 페트병
KR200156729Y1 (ko) 내부공간이 상하 분할된 2중캔
KR20230040492A (ko)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
KR200186712Y1 (ko) 거꾸로 병
KR200331138Y1 (ko) 탄산음료 용기
KR200318788Y1 (ko) 탄산가스누출방지용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