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712Y1 - 거꾸로 병 - Google Patents

거꾸로 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712Y1
KR200186712Y1 KR2020000001047U KR20000001047U KR200186712Y1 KR 200186712 Y1 KR200186712 Y1 KR 200186712Y1 KR 2020000001047 U KR2020000001047 U KR 2020000001047U KR 20000001047 U KR20000001047 U KR 20000001047U KR 200186712 Y1 KR200186712 Y1 KR 200186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contents
inflow
air
out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기
Original Assignee
박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기 filed Critical 박원기
Priority to KR2020000001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7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7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03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45Suspension means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상태의 식음료 쥬스 우유 주류 및 식용기름 등의 변질되기 쉬운 내용물의 포장 운반 보관 및 사용을 위한 병(bottle)으로서 생산공장에서 병입 포장 후 유통기간을 거쳐서 소비자가 일부 사용중이라 하드라도 사용기간에 관계없이 내용물의 고유한 품질과 향을 유지한 체 변질 및 부패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최종 소비 시점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안품이다.
연질성 플라스틱으로 병 몸체를 경질성 플라스틱으로 병목을 형성한 거꾸로 병과 외부에는 경질성 플라스틱 내부에는 연질성플라스틱으로 된 이중의 거꾸로 병으로 구성하고 이중병의 경우 외부의 병과 내부의 병 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외부의 병에 구멍을 만들어 내용물의 유출입시 내용물이 보관된 내부병에 공기유입없이 내용물의 유출입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들 병에 병마게 겸 액체 및 기체 제어밸브를 병목에 삽입 고정하여 필요한 만큼의 내용물을 유출시키고 밀폐시키므로 기체의 유출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밸브를 합체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품의 내용물의 사용시 병몸체 속에 공기의 유출입을 차단한 체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에 함유된 고유의 기체성분 및 향을 보존하여 맛과 향을 유지한 체 사용기간에 관계없이 마지막까지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부의 공기유입으로 공기중의 미생물이 병 속에 들어가 일어나는 내용물의 부패와 변질을 방지하므로 미 개봉 상태와 동일한 품질로 끝까지 사용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거꾸로 병{upside down bottle}
현재 사용되는 병은 주로 액체의 식음료 주류 및 의약품 화공약품 등의 포장용기로 이용되고 있는 유리병과 PET병 등으로 대별되고 있다.
이는 병 입출구가 위로 향하고 액체는 중력에 의하여 병 바닥에 있으며 사용시 거꾸로 하여 액체를 병입출구를 통하여 아래로 흘리고 다시 병입출구를 위로 향하게 하므로 액체를 병 속에 가두어 둘 수 있으므로 액체의 포장과 운반 및 보관에 매우 편리하게 이용되고 있다.
오늘날 이용되는 병은 고유한 형태의 경질성 고체로 이루어져 일정한 부피를 가지고 있고 일부 연질의 병이 있지만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장치가 없으므로 액체의 유입시 병속의 기체가 밖으로 나오고 액체의 유출시 밖의 공기가 병 속으로 들어가는 기체와 액체의 교환에 의한 내용물의 유입과 유출이 일어난다.
이로 인하여 탄산음료수 및 맥주의 경우 탄산 및 알코올성분등 기체성분이 유출되어 변질되어 맛과 향이 수 시간을 넘기지 못하고.
우유 및 과일쥬스 등은 공기중의 각종 미생물이 병 속으로 들어가므로 내용물의 부패와 변질이 급속히 일어나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용물의 사용을 위한 병마개의 개봉을 하더라도 내용물이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되게 하고 필요한 분량 만큼만 외부로 유출시키고 밀폐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막을 수 있는 개폐장치를 하고 내용물의 유출된 분량 만큼의 공간을 외부공기의 유입대신 병이 수축되게 하므로 내용물을 전부 사용하는 시점까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구성하여 식음료 및 주류의 변질과 부패를 방지하고 제품자체의 고유한 탄산 및 알코올과 향 등 기체성분의 기화 및 유실을 근본적으로 막고자 한다.
도1 : 기존의 병 단면도
도2 : 본 고안의 연질병 정면 단면도
도3 : 본 고안의 연질병 측면 단면도
도4 : 본 고안의 이중병 정면 단면도
도5 : 본 고안의 이중병 측면 단면도
도6 : 본 고안의 거꾸로병 병뚜껑 겸 액체 및 기체 제어밸브 단면도
도7 : 본 고안의 연질병 [도2.3] 과 액체 및 기체 제어밸브 [도6] 합체한 단면도
도8 : 본 고안의 이중병 [도4.5] 과 액체 및 기체 제어밸브 [도6] 합체한 단면도
도9 : 본 고안의 연질병과 이중병 사용 및 보관시 걸이와 합체한 단면도
도10: 본 고안의 [도9] 를 약간의 위에서 본 사시도
〔도면의 각부 명칭〕
1 : 통상의 병 몸체
2 : 연질병걸이 홈
3 : 연질병 손잡이 및 걸이부
4 : 연질병 손잡이 홈
5 : 연질병 몸체
6 : 병목 및 병뚜껑 및 제어밸브 조임 나사산
7 : 병 밀봉막
8 : 경질병 공기구멍
9 : 걸이용 끈
10 : 걸이용 돌기부
11 : 연질의 내부병
12 : 경질의 외부병
13 : 병목 및 병뚜껑 및 제어밸브 조임 나사산
14 : 병 밀봉막
15 : 밀봉막 관통침
16 : 내용물 유출구
17 : 병뚜껑 겸 밸브탈락 방지 캡
18 : 내용물유출통로
19 : 밸브 개폐 보턴
20 : 병뚜껑 겸 밸브탈락 방지 캡 지지 돌출부
21 : 밸브연결막대
22 : 밸브
23 : 밸브 캡
24 : 밸브지지 스프링
25 : 내용물 송출구
본 고안은 병 속의 내용물이 밖으로 유출되더라도 외부공기가 병몸체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 속에 녹아있는 기체성분과 고유의 향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질성 플라스틱으로 병 몸체를 구성하고 내용물의 유출 시 외부와 내부의 기체성분의 유입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밸브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질성 병 몸체가 고유의 형태가 없어 보관과 사용시 불편함이 예상되므로 연질성 병 몸통으로 사용이 불편한 경우에 한하여 연질성 내부병과 경질성 외부병을 이중으로 구성하여 고안의 목적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의 연질성 병의 몸체를 연질의 플라스틱 병모양(5)으로 성형하고 병의 이동과 사용시의 편리성을 위하여 손잡이부(3)에 손잡이 홈(4)과 사용과 보관시 걸게에 걸 수 있도록 걸이홈(2)을 두고 병목부(6)은 경질성으로 병뚜껑과 제어밸브의 고정시 조임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병에서와 마찬가지로 조임 나사산을 형성하여 내용물의 유출입시 내용물과 내외부의 기체유출입을 제어하는 [도6] 병뚜껑 겸 액체 및 기체 제어밸브를 합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7] .
[도4] 의 이중병 몸체는 경질성의 외부병(12)와 연질성의 내부병(11)으로 구성되고 외부병과 내부병 사이에 공기의 유출입을 위하여 공기구멍(8)을 둔다. 사용 시 거꾸로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걸이용 끈(9)과 이를 외부병에 부착할 수 있는 돌기부(10)을 두며 병목부 (13)을 두어 병뚜껑과 제어밸브의 고정시 조임이 가능하도록 조임 나사산을 형성하여 내용물의 유출입 시 내용물과 내외부의 기체를 제어하는 [도6] 병뚜껑 겸 액체 및 기체 제어밸브를 합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8] .
[도6] 의 병뚜껑 겸 액체 및 기체 제어밸브는 통상의 제어밸브로서 병뚜껑을 겸할 수 있는 제어밸브와 병 몸체를 합체 고정하는 조임부(17)을 두고 조임부 겸 병뚜껑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부(20)와 병의 밀봉막을 관통침(15)와 내부 액체의 유출구(16)와 내용물 유출통로(18)와 밸브(22)와 밸브개폐보턴(19)와 밸브와 보턴을 연결하는 막대(21)와 밸브의 밀폐 위치로 이동 고정하는 스프링(24) 및 밸브캡(23) 및 내용물 송출구(25)로 구성된다.
[도7] 은 연질성 거꾸로 병과 병뚜껑 겸 액체 및 기체제어밸브를 합체한 사용실시 예를 단면도로 표현한 것이고
[도8] 은 이중의 거꾸로 병과 병뚜껑 겸 액체 및 기체 제어밸브를 합체한 사용실시 예를 단면도로 표현한 것이다.
[도9] 는 연질성 거꾸로 병과 이중의 거꾸로 병을 사용 및 보관할 시 걸게(스텐드.행거)에 걸은 상태에서의 사용실시 예를 내용물의 유출물 및 컵과 함께 단면도로 표현한 것이다.
[도10] 은 연질성 거꾸로 병과 이중의 거꾸로 병을 사용 및 보관할 시 걸게에 걸은 상태에서의 사용실시 예를 내용물의 유출시 사용할 컵과 함께 약간의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효과는 내용물의 사용시 청량음료 맥주 식음료 등은 고유의 기체성분인 탄산가스 및 알코올 성분의 기화 및 유실을 방지하여 맛과 향이 변질되지 않는다.
또한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므로 부패하기 쉬운 우유 천연과일쥬스 등은 산패를 방지하고 공기중의 미생물인 박테리아 효모 진균 등의 유입이 근본적으로 방지되므로 부패를 방지하여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사용기간에 관계없이 신선한 상태로 음용할 수 있다.
참기름 등은 고유의 향을 전혀 잃지 않은 체 처음 개봉 시의 품질이 마지막 한 방울까지 완전히 동일한 품질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병의 수거 시 부피의 축소로 비용이 절약되고 재활용 시 수세 및 소독의 과정없이 내부의 연질성 병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므로 위생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우유병의 경우 막대한 펄프를 절약하여 자연보호에도 기여하게 된다.

Claims (3)

  1.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병의 몸체를 형성하고 병목부의 뚜껑조임부는 조임이 가능할 정도의 경질성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며 이를 거꾸로 이용하기 위하여 병목 반대쪽에 손잡이부와 손잡이홈과 걸이용홈을 구성하는 병 [도2]
  2. 경질의 외부병과 연질의 내부병을 이중으로 형성하고 내외부의 병몸체 사이에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외부병에 공기구멍을 구성하고 이를 거꾸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병목 반대 방향에 걸이용 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병. [도4]
  3. 청구항1 및 청구항2를 특징으로 하는 병에 병마게 겸 액체와 기체의 유출입을 제어할 수 있는 개폐장치 [도6] 및 통상의 걔폐장치를 일체화한 [도7] 병
KR2020000001047U 2000-01-14 2000-01-14 거꾸로 병 KR200186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047U KR200186712Y1 (ko) 2000-01-14 2000-01-14 거꾸로 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047U KR200186712Y1 (ko) 2000-01-14 2000-01-14 거꾸로 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712Y1 true KR200186712Y1 (ko) 2000-06-15

Family

ID=1963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047U KR200186712Y1 (ko) 2000-01-14 2000-01-14 거꾸로 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7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645A (ko) * 2001-02-27 2001-07-13 정재호 탄산음료수의 원터치 탄산가스 미방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645A (ko) * 2001-02-27 2001-07-13 정재호 탄산음료수의 원터치 탄산가스 미방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0090B1 (en) Drip-less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flow control element” with suction spout
KR100786962B1 (ko) 흡입관을 갖는 탄산 음료 용기를 위한 유출 방지 유량 제어부재
US7367479B2 (en) Device to retain carbonation
US8016146B2 (en) Spill resistant caps and container systems
US20040011800A1 (en) Self regulating spout
KR20020096853A (ko) 원료 및 압력기체의 수용실을 구비한 병마개
US20040007589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carbonated beverages
US5551605A (en) Sealing and dispensing device
KR200186712Y1 (ko) 거꾸로 병
GB2370555A (en) Multi-function container
US113322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air from fluids
KR20120002952A (ko) 산화방지용 용기
CN2450136Y (zh) 保鲜饮料箱
KR20010073857A (ko) 거꾸로 밀폐병
US20040011405A1 (en) Vacuum demand flow valve
KR200186581Y1 (ko) 이중병
KR100418409B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KR200328710Y1 (ko) 탄산가스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탄산 음료병용 컵
KR200273100Y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KR200188176Y1 (ko) 거꾸로 우유 및 음료수병
KR200323811Y1 (ko) 다용도 병따개
KR200202293Y1 (ko) 탄산음료용 용기
KR200344567Y1 (ko) 음료 용기
KR200170710Y1 (ko) 여러가지의 음료원액이 내장된 음료용기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