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397B1 -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397B1
KR101773397B1 KR1020170057164A KR20170057164A KR101773397B1 KR 101773397 B1 KR101773397 B1 KR 101773397B1 KR 1020170057164 A KR1020170057164 A KR 1020170057164A KR 20170057164 A KR20170057164 A KR 20170057164A KR 101773397 B1 KR101773397 B1 KR 101773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ring
container
crushing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규
Original Assignee
최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규 filed Critical 최성규
Priority to KR1020170057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397B1/ko
Priority to JP2020513474A priority patent/JP2020519546A/ja
Priority to US16/611,816 priority patent/US20200062576A1/en
Priority to PCT/KR2018/005271 priority patent/WO2018208060A1/ko
Priority to CN201880030684.6A priority patent/CN110636976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에 포함된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는 일정 두께를 가지며,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되는 고리; 내부가 빈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리의 일부가 인입되는 상단 내측에 홈부가 형성되며, 하단의 외측과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되는 제1 체결부재;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된 상기 제1 체결부재를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재의 하단 외측의 형성된 나사선에 결합되는 너트; 내부가 빈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단에 오링의 일부가 인입되는 오링 홈부가 형성되며, 외측에 형성된 나사선에 의해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내부로 인입되는 제2 체결부재; 상기 제2 체결부재의 내부로 인입되며, 내부가 빈 기둥 형상을 가지며, 원뿔 형상을 갖는 상단은 적어도 두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하단은 개방된 파쇄부재; 및 상기 파쇄부재의 하단이 인입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Gas leakage prevention device in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에 포함된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된 저장용기 안에 있는 맥주나 소주 및 탄산음료 등을 마시려면 용기마개를 열고 그 내용물인 음료를 마시게 된다. 맥주나 소주 및 탄산음료를 마시려고 용기마개를 여는 순간 함께 저장용기 내부에 있는 맛과 향이 순식간에 날아가 버리게 된다. 그리고 마시는 동안에 보통은 번거롭게 용기마개를 저장용기에 다시 닫지 않고 그냥 열어 놓고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상태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음료의 맛과 향(탄산)이 없어지면서 급속히 산패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결국 음료의 맛이 변하고 급속한 산패 현상이 발생하여 위생적으로도 문제가 있으며, 어쩔 수 없이 불편하지만 되도록 빨리 남은 음료의 잔량을 마셔 버리든가 아니면 남은 음료 전부를 버려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 이유는 맥주나 탄산음료는 마개를 열고 한꺼번에 전량을 다 마실 수가 없어서 수차례에 걸쳐 잔존 내용물을 마시는데, 그 열고 닫는 사이에 저장용기에 있는 맛과 향(탄산)이 다 빠져나가고 그 자리를 좋지 않은 공기가 자리를 대신하기 때문에, 시간이 가면 갈수록 맛이 없어지며 김빠진 주류, 음료가 되는 것이다.
우리가 잘 알듯이 각종 주류나 음료 특히, 탄산음료는 맛이나 향(탄산)이 없어지면 내용물 특유의 맛이 없어지며, 기타 생수나 음용수의 경우에도 마개를 열어서 장시간 사용을 하면 세균의 증, 번식이 당연히 발생하기 마련이다. 특히 탄산이 들어가는 맥주, 콜라, 사이다 및 소주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밀폐용기인 음료용기에 저장된 모든 탄산음료는 가능한 용기뚜껑을 열면 최대한 빨리 다 마셔 버리거나 재빨리 뚜껑을 닫아 밀폐시킬 수밖에 별다른 방법이 없다.
참고로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92087호 (맥주캔)이나 제20-0280803호(맥주캔용 개봉장치) 등의 수많은 참고 문헌에서 보는 것처럼, 대부분의 업체에서 개발된 음료용 저장용기의 일례로서, 대용량 맥주 캔의 경우에는 수동으로 사용자가 공기 개폐수단을 개방시켜 저장용기인 맥주 캔 용기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이 되도록 하여 개방된 상태로 마시는데, 이는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상층부에 수동으로 작동하는 공기유입구를 만들어 놓고 마실 때만 수동으로 개방시켜, 공기가 유입이 되게 하고 하층부에는 내용물이 나오는 코크를 설치하여 코크를 열어 놓고 내용물을 마시는 방식이다.
한국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92087호 (맥주캔)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2017-0020126호(탄산 유출 방지되는 자동 공기 개폐기능을 갖는 용기 덮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용기의 마개를 간편하게 파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음료에 포함된 에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필요한 경우 간편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는 일정 두께를 가지며,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되는 고리; 내부가 빈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리의 일부가 인입되는 상단 내측에 홈부가 형성되며, 하단의 외측과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되는 제1 체결부재;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된 상기 제1 체결부재를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재의 하단 외측의 형성된 나사선에 결합되는 너트; 내부가 빈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단에 오링의 일부가 인입되는 오링 홈부가 형성되며, 외측에 형성된 나사선에 의해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내부로 인입되는 제2 체결부재; 상기 제2 체결부재의 내부로 인입되며, 내부가 빈 기둥 형상을 가지며, 원뿔 형상을 갖는 상단은 적어도 두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하단은 개방된 파쇄부재; 및 상기 파쇄부재의 하단이 인입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는 원뿔 형상으로 된 파쇄 부재를 이용하여 음료용기의 마개를 간편하게 파쇄할 수 있으며, 제2 체결부재와 음료의 마개가 밀착됨으로써 음료에 포함된 에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톱밸브를 이용하여 필요한 경우 음료용기에 포함된 음료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2 체결부재의 종단이 마개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는 반원 형상의 고리, 제1 체결부재, 너트, 제2 체결부재, 파쇄부재, 가압부재 및 스톱밸브로 구성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반원 형상의 고리(102)는 일정 두께를 갖는 반원형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반원 형상의 고리(102)는 원형 형태의 고리를 절반으로 절단한 형상을 갖는다. 물론 반원 형상의 고리 이외에 다른 형상의 고리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고리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104)는 내부가 빈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술한 반원 형상의 고리(102)와 동일하게 원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된다. 즉, 제1 체결부재(104)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절단된다.
제1 체결부재(10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원기둥을 형상을 가지며, 빈 내부의 직경은 동일한 것이 아니라 상이한 직경을 갖는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1 체결부재(104)의 내부 직경은 하단에 비해 상단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다.
제1 체결부재(104)의 하단 외측과 내측은 나사선이 형성된다.
제1 체결부재(104)의 상단 내측은 반원 형상의 고리(102)의 일부가 인입되는 홈부가 형성된다. 도 1에 의하면, 고리(102)의 일부는 제1 체결부재(104)의 홈부에 인입되며, 나머지 일부는 음료용기 상단에 형성된 돌출된 부분에 밀착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된 제1 체결부재(104)의 홈부에 고리(102)를 인입한 상태에서 고리(102)의 나머지 일부가 음료용기 상단에 형성된 돌출 부분에 밀착되도록 분리된 제1 체결부재(104)를 밀착시킨다.
너트(106)는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밀착된 제1 체결부재(104)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체결부재(108)는 내측이 빈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외측은 나사선이 형성된다. 제2 체결부재(108)의 상단은 오링 홈부가 형성되며, 형성된 오링 홈부에는 오링(108a)의 일부가 인입된다.
제2 체결부재(108)는 내부가 빈 원기둥 형상의 제1 체결부재(104)의 내부에 인입되며, 형성된 나사선에 의해 제1 체결부재(104)와 제2 체결부재(108)는 고정된다. 또한, 형성된 나사선을 이용하여 제2 체결부재(108)를 제1 체결부재(104) 내부로 인입하면, 제2 체결부재(108)의 상단은 마개(12)의 상단에 밀착된다. 이외에도 제2 체결부재(108)의 상단은 오링(108a)의 일부가 인입되어 있으므로, 오링(108a)에 의해 제2 체결부재(108)의 상단과 마개(12)의 상단은 밀착된다.
도 2에 의하면, 제2 체결부재(108)의 상단이 마개(12)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체결부재(108)는 나사선을 이용한 회전을 위해 하단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손잡이부(108b)를 형성하며, 손잡이부(108b)를 회전시켜 제2 체결부재(108)를 제1 체결부재(104) 내부로 인입시킨다.
파쇄부재(110)는 내부가 빈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종단은 마개(12)의 파쇄가 가능하도록 원뿔 형상을 갖는다. 원뿔 형상을 갖는 파쇄부재(110)의 종단은 다수 개의 관통홀(110a)이 형성되며, 형성된 관통홀(110a)은 파쇄부재(110)의 내부 빈 공간과 연결된다.
파쇄부재(110)의 길이는 제2 체결부재(108)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며, 따라서 파쇄부재(110)는 제2 체결부재(108)에 인입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 외부로 돌출된다.
파쇄부재(110)의 종단은 파쇄부재(1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가압부재(114)가 형성된다. 가압부재(114)는 상단 내측은 파쇄부재(110)가 타측 종단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 홈(114a)이 형성된다. 파쇄부재(110)가 인입된 상태에서 가압부재(114)를 하단에서 상단으로 가압하면, 파쇄부재(110) 역시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한다.
스톱밸브(112)는 파쇄부재(110)와 연결되며, 파쇄부재(11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빈 공간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내부 공간으로 음료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마개 자동 개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마개 자동 개폐 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가압부재(114)를 가압하면, 인입되어 있던 파쇄부재(110)가 상단으로 이동한다. 파쇄부재(110)가 상단으로 이동하면, 종단에 형성된 원뿔이 마개의 파쇄하게 된다. 마개가 파쇄되면, 용기 내부에 있던 음료가 원뿔에 형성된 관통홀(110a)을 통해 파쇄부재(110) 내부로 이동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사용자는 스톱밸브(112)를 이용하여 파쇄부재(110) 내부를 이동하여 음료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제2 체결부재(108) 상단에 형성된 오링(108a)과 제1 체결부재(104)의 홈부에 인입된 고리(102)에 의해 제2 체결부재(108)가 마개에 밀착됨으로써 에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스톱밸브(112)를 이용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으며,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톱밸브(112)를 회전시켜 파쇄부재(110) 내부에 흐르는 음료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2: 고리 104: 제1 체결부재
106: 너트 108: 제2 체결부재
110: 파쇄부재 112: 스톱밸브
114: 가압부재 108a: 오링

Claims (3)

  1. 일정 두께를 가지며,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되는 고리;
    내부가 빈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리의 일부가 인입되는 상단 내측에 홈부가 형성되며, 하단의 외측과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되는 제1 체결부재;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된 상기 제1 체결부재를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재의 하단 외측의 형성된 나사선에 결합되는 너트;
    내부가 빈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단에 오링의 일부가 인입되는 오링 홈부가 형성되며, 외측에 형성된 나사선에 의해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내부로 인입되는 제2 체결부재;
    상기 제2 체결부재의 내부로 인입되며, 내부가 빈 기둥 형상을 가지며, 원뿔 형상을 갖는 상단은 적어도 두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하단은 개방된 파쇄부재; 및 상기 파쇄부재의 하단이 인입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2 체결부재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며,
    상기 파쇄부재 상에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하단으로 이동하는 음료의 이동을 차단하는 스톱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의 나머지 일부는 용기의 마개의 하단에 밀착되며,
    상기 오링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마개의 상단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
KR1020170057164A 2017-05-08 2017-05-08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 KR101773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164A KR101773397B1 (ko) 2017-05-08 2017-05-08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
JP2020513474A JP2020519546A (ja) 2017-05-08 2018-05-08 容器内のガス漏れ防止装置
US16/611,816 US20200062576A1 (en) 2017-05-08 2018-05-08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of gas within container
PCT/KR2018/005271 WO2018208060A1 (ko) 2017-05-08 2018-05-08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
CN201880030684.6A CN110636976A (zh) 2017-05-08 2018-05-08 防止容器中的气体泄漏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164A KR101773397B1 (ko) 2017-05-08 2017-05-08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397B1 true KR101773397B1 (ko) 2017-08-31

Family

ID=5976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164A KR101773397B1 (ko) 2017-05-08 2017-05-08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062576A1 (ko)
JP (1) JP2020519546A (ko)
KR (1) KR101773397B1 (ko)
CN (1) CN110636976A (ko)
WO (1) WO201820806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877Y1 (ko) 1999-12-30 2000-05-15 김종기 유체용 밀폐용기의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6599A (en) * 1963-10-15 1965-06-01 Evelyn S Levinson Dispenser for liquid in upright container with controlled atmosphere
US3270919A (en) * 1964-04-16 1966-09-06 Revlon Aerosol dispensing apparatus
US4778081A (en) * 1987-02-24 1988-10-18 Vaughan Donald R Dispenser for pressurized containers
US4984711A (en) * 1989-10-23 1991-01-15 Ellis Charles V Wine dispenser
US6283331B1 (en) * 2000-04-21 2001-09-04 Nathaniel Lucas Contact opening cap for bottles
KR100388845B1 (ko) * 2000-05-25 2003-07-04 김영권 음료용기
EP1606173A4 (en) * 2003-03-03 2006-08-09 Jung-Min Lee SPOUT SET WITH FLOW GUIDING ELEMENT THAT CAN BE VERTICALLY MOVED
KR20040039228A (ko) * 2004-04-02 2004-05-10 이정민 배출대를 갖는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MXPA06006228A (es) * 2003-11-05 2007-03-15 Jeong Min Lee Metodo y estructura para mezclar diferentes materiales.
KR100613226B1 (ko) * 2004-07-16 2006-08-21 조영국 소다수용기의 마개
KR20060028365A (ko) * 2004-09-24 2006-03-29 강석동 음료용기의 뚜껑구조
WO2007085040A1 (en) * 2006-01-25 2007-08-02 Brett Shellcot Removal of sediment from a container holding liquid
US8939324B2 (en) * 2006-07-05 2015-01-27 Kazem Azodi Fizz retaining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s
CN201280270Y (zh) * 2008-09-10 2009-07-29 申晓亮 塑料组合式瓶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877Y1 (ko) 1999-12-30 2000-05-15 김종기 유체용 밀폐용기의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19546A (ja) 2020-07-02
CN110636976A (zh) 2019-12-31
WO2018208060A1 (ko) 2018-11-15
US20200062576A1 (en)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12532A1 (en) Container closure having a spout and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US8322547B2 (en) Removal of sediment from a container holding liquid
US9604747B2 (en) Compartmented beverage bottle
US20070164058A1 (en) Pouring apparatus for carbonated beverages in bottles
KR101515423B1 (ko) 첨가물 투입 병마개
KR101773397B1 (ko)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
KR101793837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CA2534280A1 (en) Foam throttle
KR102084333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마개
US20050247662A1 (en) Closable containers
US20170240407A1 (en) Device for dispensing a gas-containing liquid, with a valve for introducing co2
KR100418409B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UA119177C2 (uk) Одноразова сифонна пробка для пляшок з газованими напоями
KR101627417B1 (ko)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KR101331508B1 (ko) 알콜 및 탄산음료병 마개
KR200344567Y1 (ko) 음료 용기
KR200359480Y1 (ko) 음료용기
KR200273100Y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US10189696B2 (en) Bottled bag fluid dispenser
RU224392U1 (ru) Емкость для двухкомпонентного напитка
WO2021225566A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тылок с газированными напитками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KR200318788Y1 (ko) 탄산가스누출방지용마개
KR200208790Y1 (ko) 음료병의 가스방출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