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342B1 -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 - Google Patents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342B1
KR102398342B1 KR1020200118020A KR20200118020A KR102398342B1 KR 102398342 B1 KR102398342 B1 KR 102398342B1 KR 1020200118020 A KR1020200118020 A KR 1020200118020A KR 20200118020 A KR20200118020 A KR 20200118020A KR 102398342 B1 KR102398342 B1 KR 102398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opening
bottle
hous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5999A (ko
Inventor
양정필
Original Assignee
양정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정필 filed Critical 양정필
Priority to KR102020011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342B1/ko
Publication of KR20220035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stopper-type element
    • B65D47/24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stopper-type element moving linearly, i.e. without rotation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52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39/00Details relating to 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2539/001Details of 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 방지마개에 관한 것으로, 병뚜껑의 닫힘없이 음료병으로의 공기 유입을 확실하게 차단 및 밀폐유지시킬 수 있으면서 병뚜껑과의 결속시에도 더욱 확실하게 밀폐 결속될 수 있어, 내용물 음용을 멈추고 장기간 보관 또는 다시 음용할 때에도 음료병을 처음 개봉했을 때처럼 내용물의 탄산 가스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어 탄산 특유의 향과 맛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병에서 분리시키고자 인출시킬 때에도 그 인출 조작에 있어 별다른 어려움없이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음료병의 개방상측에 끼움 결속된 상태에서 수직 절첩동작되는 인출손잡이가 구성된 하우징덮개와 작동무게추가 밀폐 내장된 개폐작동구 상측의 작동구덮개 사이에 탄발수단인 밀폐유지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개폐작동구 하측인 하우징개폐돌부가 본체하우징 하측의 개방된 음료유출단부에 대해 확실하게 밀폐작동되는 한편, 반대로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 음료병을 거꾸로 기울였을때 작동무게추의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밀폐유지스프링이 수축되면서 개폐작동구의 하우징개폐돌부가 본체하우징의 음료유출단부로부터 이격되면서 음료가 상기 개방된 음료유출단부를 거쳐 인출손잡이가 옆의 개방통로인 하우징덮개의 인출손잡이 옆의 개방통로인 유체통과공을 통해 자연스럽게 외부 유출동작될 수 있는 작동원리가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 {Beverage bottle with improved airtight drawability to prevent caron dioxide gas leakage}
본 발명은 음료를 따라 마실때 자연스럽게 개방동작되면서 음료를 마시지 않을 때는 병뚜껑을 닫지 않아도 음료병으로의 공기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 밀폐시켜 음료인 내용물에 포함된 탄산가스의 누출을 구조적으로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는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뚜껑의 닫힘없이 음료병으로의 공기 유입을 확실하게 차단 및 밀폐유지시킬 수 있으면서 병뚜껑과의 결속시에도 더욱 확실하게 밀폐 결속될 수 있어, 내용물 음용을 멈추고 장기간 보관 또는 다시 음용할 때에도 음료병을 처음 개봉했을 때처럼 내용물의 탄산 가스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어 탄산 특유의 향과 맛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병에서 분리시키고자 인출시킬 때에도 그 인출 조작에 있어 별다른 어려움없이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음료병의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음료병에 담겨진 맥주나 콜라 등의 음료(탄산음료)는 음료병에서 병뚜껑을 열고 한꺼번에 내용물인 음료를 다 마실 수가 없어서 수차례에 걸쳐 잔존 내용물을 마시는데, 이때 열고 닫는 사이에 음료병에 있는 내용물로부터 탄산이 다 빠져나가고 그 자리를 좋지 않은 공기가 자리를 대신하기 때문에, 음료병의 개봉 이후에 시간이 가면 갈수록 내용물의 맛과 향이 없어지면서 소위 김빠진 맥주나 소주, 콜라가 된다.
우리가 잘 알듯이, 각종 주류나 음료(탄산음료)는 탄산이 없어지면 내용물 특유의 맛과 향이 없어지게 되며, 기타 생수나 음용수의 경우에도 뚜껑(마개)을 열어서 일단 장시간 사용을 하면 세균의 증,번식이 당연히 발생하기 마련이다. 특히 탄산이 들어가는 맥주나 콜라, 사이다 및 소주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밀폐상태가 요구되는 음료병에 저장된 모든 탄산음료는 가능한 한 뚜껑을 열면, 빨리 다 마셔 버리거나 재빨리 뚜껑을 닫아 밀폐시킬 수밖에 별다른 방법이 없는 보통이다.
그러나 현존하는 모든 대용량 음료병(밀폐용기, 페트병 등)의 내용물인 맥주와 탄산음료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별수 없이 사용자가 뚜껑을 일일이 열고 닫을 수밖에 없다. 이 과정을 수차례 걸치면서 내용물로부터 탄산과 향은 다 없어지고 내용물에 산패까지 일어나서 결국에는 버리게 된다. 이런 문제를 메이커에서는 잘 알고 있으나, 이를 해결할 기술이 없어서 생산하는 제조사 입장에서도 어쩔 수 없이 방치한 것이 현실이다.
이는 결국, 내용물의 탄산이 없어지면 급속한 산패화로 탄산음료 특유의 톡쏘는 맛과 향이 없어져서 잔류 내용물을 버려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는 불편과 문제가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물론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의 예시처럼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수단들이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으나, 내용물인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탄산가스 유출방지수단 자체를 제거 분리시켜야만 하는 불편이 있거나, 또는 음료병에 결속된 상태의 선행기술들 역시 음용시나 보관시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음료병 내부로 침투될 수 있는 구조적인 기능 한계가 확실하게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로 이와 같은 음료병의 탄산가스가 유출됨을 방지하기 위한 매개수단으로 소개된 관련 선행기술들을 살펴보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92087호(맥주캔) 등을 포함하여,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공개 및 등록결정된 제20-0280803호(맥주캔용 개봉장치), 특허등록 제10-1793837호(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특허공개 제10-2016-064863호(탄산 음료병의 자동 공기공급 개폐기능을 갖는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실용신안등록 제20-045864호(억제기능을 갖는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 방지장치), 특허등록 제10-2084333호(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마개) 등이 가장 유사기술이며, 당연히 본 발명은 상기 나열한 선행기술에서 해결되지 못한 제반 불편한 점들을 구조적으로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는 구성원리이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에 개시된 선행기술들에서 해소하지 못한 제반 단점을 구조적으로 해소하여 사용시 및 보관시 모두 확실한 밀폐성은 물론 분리시 편리한 인출성도 향상된 작용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즉 음료병을 기울여 음료를 따라 마실때 자연스럽게 개방동작되면서 음료병을 기울이지 않고 음료를 마시지 않을 때는 병뚜껑을 닫지 않아도 음료병으로의 공기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 밀폐시켜 음료인 내용물에 포함된 탄산가스의 누출은 구조적으로 확실하게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는 기술수준의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병뚜껑의 닫힘없이 음료병으로의 공기 유입을 구조적으로 보다 확실하게 차단 및 밀폐유지시킬 수 있으면서 병뚜껑과의 결속시에도 더욱 확실하게 밀폐 결속될 수 있어, 내용물 음용을 멈추고 장기간 보관 또는 다시 음용할 때에도 음료병을 처음 개봉했을 때처럼 내용물의 탄산 가스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면서 탄산 특유의 향과 맛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음료병에서 필요에 따라 인출시킬 경우에도 그 인출동작에 있어 별다른 어려움없이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시킨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발된 본 발명의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 방지마개는, 기본적으로 음료병의 개방 상측에 끼워져 밀폐결속될 수 있도록 상측돌부가 절곡 돌출되면서 상기 상측돌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 통과될 수 있도록 절첩되는 인출손잡이와 주변으로 유체통과공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덮개가 삽입 결속되고, 내용물(음료) 음용시 밀봉상태가 개방되면서 외부 공기의 유입이 허용되어 음료병의 내용물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 중앙부위가 음료유출단부로 관통 형성된 본체하우징과; 내부 공간에는 작동무게추가 삽입되고 개방된 개방상측에는 작동구덮개가 밀폐 결속되고, 하측부위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방된 음료유출단부에 대해 삽입 밀착되어 밀폐시키거나 분리 이격되어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개폐돌부가 돌출 형성된 개폐작동구와; 음료병에 끼움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음료병 내부의 탄산가스 압력에 의해 상기 본체하우징의 음료유출단부로부터 상기 개폐작동구의 하우징개폐돌부가 이격동작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구덮개와 하우징덮개 사이에 일정 텐션으로 형태 유지되는 밀폐유지스프링이 설치 구성된다.
특히, 상기 밀폐유지스프링은 상측과 하측이 각각 일정길이의 결속절부로 수직절곡되면서 이들 양쪽의 결속절부에는 각각 돌기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아래쪽 작동구덮개의 상향 돌출된 스프링결속돌기와 위쪽 하우징덮개의 하향 돌출된 스플링결속돌기에 대해 끼움 결속되고, 음료 음용시 음료병을 기울이면 자연스럽게 개폐작동구의 작동무게추에 의해 수축 동작되면서 상기 개폐작동구의 하우징개폐돌부가 본체하우징의 음료유출단부로부터 이격 분리되어 개방동작될 수 있도록 절첩부위 및 중간부위의 굵기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덮개는 스프링결속돌기 반대쪽인 외부쪽으로 양측 단부가 테두리부위에서 절단된 형태인 인출손잡이를 힘들이지 않고 간단하게 잡아당겨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양쪽 상기 인출손잡이의 단부는 T자형으로 돌출되고, 테두리부위에는 병뚜껑이 체결될 때 확실하게 밀폐동작될 수 있도록 마개밀폐돌기가 돌출되면서 상기 T자형의 인출손잡이가 병뚜껑의 체결동작시 자연스럽게 테두리부위 높이로 눕혀질 수 있도록 그 돌출높이가 형성된 구성원리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기밀 인출성을 높힌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 방지마개는, 병뚜껑의 닫힘없이 음료병으로의 공기 유입을 구조적으로 보다 확실하게 차단 및 밀폐유지시킬 수 있으면서 병뚜껑과의 결속시에도 더욱 확실하게 밀폐 결속될 수 있어 내용물 음용을 멈추고 장기간 보관 또는 다시 음용할 때에도 음료병을 처음 개봉했을 때처럼 내용물의 탄산 가스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어 탄산 특유의 향과 맛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병에서 필요에 따라 인출시킬 경우에도 별다른 그 인출동작을 별다른 어려움없이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병뚜껑의 닫힘없이 음료병으로의 공기 유입을 개폐작동구의 작동무게추 하중와 함께 밀폐유지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확실하게 차단 및 밀폐유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병뚜껑과의 결속시에도 하우징덮개에 상기 병뚜껑의 최종 결속부위 나사피치만큼 돌출된 마개밀폐돌기에 의해 구조적으로 보다 확실하게 밀폐 결속될 수 있어, 내용물 음용을 멈추고 장기간 보관 또는 다시 음용할 때에도 음료병을 처음 개봉했을 때처럼 내용물의 탄산 가스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어 탄산 특유의 향과 맛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음료병에서 본 발명을 분리시키고자 인출시킬 때에도 그 인출 조작에 있어 하우징덮개의 절첩동작될 수 있는 T자형의 인출손잡이를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별다른 어려움없이 간단하게 잡아당겨 분리시킬 수 있는 편리한 인출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많은 차별화된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의 내부 단면구조로서 음료병에서 본 발명을 인출하고자 할때 본체하우징 상측에 결속된 하우징덮개의 인출손잡이를 간단하게 손가락으로 잡아올려 편리한 인출동작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구성원리의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가 끼움 결속된 음료병의 개방상측에 병뚜껑이 결속 닫혀지면서 하우징덮개의 개방상측에 돌출된 마개밀폐돌기에 의해 병뚜껑이 내부 상측이 확실하게 밀착 결속되어 밀폐 유지된 단면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가 음료병의 개방상측에 끼움 결속된 상태에서 수직 절첩동작되는 인출손잡이가 구성된 하우징덮개와 작동무게추가 밀폐 내장된 개폐작동구 상측의 작동구덮개 사이에 탄발수단인 밀폐유지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개폐작동구 하측인 하우징개폐돌부가 본체하우징 하측의 개방된 음료유출단부에 대해 확실하게 밀폐작동되는 상태와, 반대로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 음료병을 거꾸로 기울였을때 작동무게추의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밀폐유지스프링이 수축되면서 개폐작동구의 하우징개폐돌부가 본체하우징의 음료유출단부로부터 이격되면서 음료가 상기 개방된 음료유출단부를 거쳐 하우징덮개의 인출손잡이 옆의 개방통로인 유체통과공을 통해 자연스럽게 외부 유출동작될 수 있는 상태의 전후 작동원리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의 기밀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유출 방지마개가 도 5의 작동원리를 통해 기울려진 음료병 내부의 음료가 개방된 하우징덮개의 음료유출단부를 거쳐 배출동작되어 하우징덮개의 유체통과공을 통해 외부의 음료컵으로 내용물인 음료가 배출동작되는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가 구현되는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작동원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본 발명은 음료를 따라 마실때 자연스럽게 개방동작되면서 음료를 마시지 않을 때는 병뚜껑을 닫지 않아도 음료병으로의 공기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 밀폐시켜 음료인 내용물에 포함된 탄산가스의 누출을 구조적으로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어, 음료병에 대한 기밀성 및 음료병으로부터의 인출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는 작동원리가 발휘될 수 있는 구성관계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도 5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는, 음료병(70)의 개방상측에 끼움 결속된 상태에서 수직 절첩동작되는 인출손잡이(52)가 구성된 하우징덮개(50)와 내부에 작동무게추(30)가 밀폐 내장된 개폐작동구(20) 상측의 작동구덮개(40) 사이에 탄발수단인 일정 텐션의 밀폐유지스프링(60)이 설치되어 상기 개폐작동구(20) 하측의 돌출부위인 하우징개폐돌부(24)가 본체하우징(10) 하측의 개방된 음료유출단부(16)에 대해 확실하게 밀폐작동되는 한편, 반대로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 음료병(70)을 거꾸로 기울였을때 작동무게추(30)의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밀폐유지스프링(60)이 수축되면서 개폐작동구(20)의 하우징개폐돌부(24)가 본체하우징(10)의 음료유출단부(16)로부터 이격되면서 음료가 상기 개방된 음료유출단부(16)를 거쳐 하우징덮개(50)의 인출손잡이(52) 옆의 개방통로인 유체통과공(56)을 통해 자연스럽게 외부 유출동작될 수 있는 구성원리를 기본으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의해 선출원 등록된 등록특허 제10-2084333호의 기본적인 작동원리를 참고로 본 발명의 개선된 구성관계 및 그에 따른 차별화된 구성관계로서 상기 등록특허에서 기대할 수 없었던 차별화된 작용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도면은, 기본적으로는 본체하우징(10)의 하측부위인 관통된 음료유출단부(16)에 대해 작동무게추(30)가 내장되고 밀폐유지스프링(60)으로 일정 텐션이 작동되는 개폐작동구(20)의 돌출부위인 하우징개폐돌부(24)가 확실하게 밀폐 유지될 수 있어, 음료에 포함된 탄산가스의 누출을 차단 또는 최소화하거나 최대한 억제시켜 음료병(70)의 개봉 후에도 장기간 내용물(음료)에 포함된 탄산가스의 이탈됨을 획기적으로 줄여, 탄산음료 특유의 톡쏘는 향미를 그대로 유지시켜 맛있는 음용 조건의 내용물 상태를 기능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체하우징(10) 내부의 개폐작동구(20) 및 밀폐유지스프링(60)이 구조적으로 보다 확실하게 작동되면서 안정되게 결속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하우징(10)의 개방된 상측돌부(12)에 대해 끼움 결속되는 하우징덮개(50)는, 다수의 관통된 유체통과공(56)과 별도로 서로 마주보는 중심쪽은 상기 하우징덮개(500의 하부에 일체구조이면서 각각 반대편 단부는 절단 분리된 인출손잡이(52)가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양쪽의 인출손잡이(52)를 간단하게 수직으로 세워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파지동작하여 위쪽으로 잡아당기는 정도로 본체하우징(10)으로부터의 하우징덮개(50)를 쉽게 분리동작시킬 수 있다.
즉, 하우징덮개(50)는 스프링결속돌기(58) 반대쪽인 외부쪽으로 양측 단부가 테두리부위에서 절단된 형태인 인출손잡이(52)를 힘들이지 않고 간단하게 잡아당겨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양쪽 상기 인출손잡이(52)의 단부는 T자형으로 돌출되고, 테두리부위에는 병뚜껑(72)이 체결될 때 확실하게 밀폐동작될 수 있도록 병뚜껑(72)의 마지막 나사피치 간격정도의 높이만큼 마개밀폐돌기(54)가 돌출됨에도 본 발명의 구조적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T자형의 인출손잡이(52)는 병뚜껑(72)의 체결동작시 자연스럽게 테두리부위나 그 하측부위 높이로 눕혀질 수 있도록 그 돌출높이가 형성됨에도 본 발명의 구조적인 특징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적용된 본체하우징(10)은 기본적으로 음료병(70)의 개방 상측에 끼워져 밀폐결속될 수 있도록 상측돌부(12)가 절곡 돌출되면서 상기 상측돌부(12)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 통과될 수 있도록 절첩되는 인출손잡이(52)와 주변으로 유체통과공(56)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덮개(50)가 삽입 결속된다. 또한 내용물(음료) 음용시 밀봉상태가 개방되면서 외부 공기의 유입이 허용되어 음료병의 내용물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 중앙부위가 음료유출단부(16)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개폐작동구(20)는 내부 공간에 작동무게추(30)가 삽입되면서 개방된 개방상측(22)에는 작동구덮개(40)가 밀폐 결속되고, 하측부위는 상기 본체하우징(10)의 개방된 음료유출단부(16)에 대해 삽입 밀착되어 밀폐시키거나 분리 이격되어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개폐돌부(2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개폐작동구(20)의 상측과 작동구덮개(40)의 하측에는 각각 돌기나 요홈에 의한 강제 끼움결속 정도로 확실하게 결속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폐유지스프링(60)은 음료병(70)에 끼움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음료병(70) 내부의 탄산가스 압력에 의해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음료유출단부(16)로부터 상기 개폐작동구(20)의 하우징개폐돌부(24)가 이격동작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구덮개(40)와 하우징덮개(50) 사이에 일정 텐션으로 형태 유지되는데, 상측과 하측이 각각 일정길이의 결속절부(62)로 수직절곡되면서 이들 양쪽의 결속절부(62)에는 각각 돌기체결공(64)이 관통 형성된다.
아울러 밀폐유지스프링(60)은 아래쪽 작동구덮개(40)의 상향 돌출된 스프링결속돌기(42)와 위쪽 하우징덮개(50)의 하향 돌출된 스플링결속돌기(58)에 대해 끼움 결속되고, 음료 음용시 음료병(70)을 기울이면 자연스럽게 개폐작동구(20)의 작동무게추(30)에 의해 수축 동작되면서 상기 개폐작동구(20)의 하우징개폐돌부(24)가 본체하우징(10)의 음료유출단부(16)로부터 이격 분리되어 개방동작될 수 있도록 절첩부위 및 중간부위의 굵기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원리의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병뚜껑(72)의 닫힘없이 음료병(70)으로의 공기 유입을 개폐작동구(20)의 작동무게추(30) 하중와 함께 밀폐유지스프링(60)의 탄발력에 의해 확실하게 차단 및 밀폐유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병뚜껑(72)과의 결속시에도 하우징덮개(50)에 상기 병뚜껑(72)의 최종 결속부위 나사피치만큼 돌출된 마개밀폐돌기(54)에 의해 구조적으로 보다 확실하게 밀폐 결속될 수 있어, 내용물 음용을 멈추고 장기간 보관 또는 다시 음용할 때에도 음료병을 처음 개봉했을 때처럼 내용물의 탄산 가스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어 탄산 특유의 향과 맛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음료병(70)에서 본 발명을 분리시키고자 인출시킬 때에도 그 인출 조작에 있어 하우징덮개(50)의 절첩동작될 수 있는 T자형의 인출손잡이(52)를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별다른 어려움없이 간단하게 잡아당겨 분리시킬 수 있는 편리한 인출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참고로 미설명한 도면부호 18의 밀폐링은 기본적으로 음료병(70)과의 밀폐수준이 확보되도록 본체하우징(10) 상부 외측에 구성되며,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음료유출단부(16)와 개폐작동구(20)의 하우지개폐돌부(24)와의 밀폐수준이 더욱 확보되도록 설치 구성됨을 기본으로 한다. 도면부호 80은 본 발명은 통해 배출되는 사용상태에서의 음료컵을 도시한 것이다.
10 : 본체하우징 12 : 상측돌부
14 : 링체결홈 16 : 음료유출단부
18 : 밀폐오링 20 : 개폐작동구
22 : 개방상측 24 : 하우징개폐돌부
30 : 작동무게추 40 : 작동구덮개
42 : 스프링결속돌기 50 : 하우징덮개
52 : 인출손잡이 54 : 마개밀폐돌기
56 : 유체통과공 60 : 밀폐유지스프링
62 : 결속돌부 64 : 돌기체결공
70 : 음료병 72 : 병뚜껑
80 : 음료컵

Claims (3)

  1. 음료병(70)의 개방 상측에 끼워져 밀폐결속될 수 있도록 상측돌부(12)가 절곡 돌출되면서 상기 상측돌부(12)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 통과될 수 있도록 절첩되는 인출손잡이(52)와 주변으로 유체통과공(56)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덮개(50)가 삽입 결속되고, 내용물(음료) 음용시 밀봉상태가 개방되면서 외부 공기의 유입이 허용되어 음료병의 내용물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 중앙부위가 음료유출단부(16)로 관통 형성된 본체하우징(10)과;
    내부 공간에는 작동무게추(30)가 삽입되고 개방된 개방상측(22)에는 작동구덮개(40)가 밀폐 결속되고, 하측부위는 상기 본체하우징(10)의 개방된 음료유출단부(16)에 대해 삽입 밀착되어 밀폐시키거나 분리 이격되어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개폐돌부(24)가 돌출 형성된 개폐작동구(20)와;
    음료병(70)에 끼움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음료병(70) 내부의 탄산가스 압력에 의해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음료유출단부(16)로부터 상기 개폐작동구(20)의 하우징개폐돌부(24)가 이격동작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구덮개(40)와 하우징덮개(50) 사이에 일정 텐션으로 형태 유지되는 밀폐유지스프링(60)을 포함하여 설치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덮개(50)는 스프링결속돌기(58) 반대쪽인 외부쪽으로 양측 단부가 테두리부위에서 절단된 형태인 인출손잡이(52)를 힘들이지 않고 간단하게 잡아당겨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양쪽 상기 인출손잡이(52)의 단부는 T자형으로 돌출되고, 테두리부위에는 병뚜껑(72)이 체결될 때 확실하게 밀폐동작될 수 있도록 마개밀폐돌기(54)가 돌출되면서 상기 T자형의 인출손잡이(52)가 병뚜껑(72)의 체결동작시 자연스럽게 테두리부위 높이로 눕혀질 수 있도록 그 돌출높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유지스프링(60)은 상측과 하측이 각각 일정길이의 결속절부(62)로 수직절곡되면서 이들 양쪽의 결속절부(62)에는 각각 돌기체결공(64)이 관통 형성되어 아래쪽 작동구덮개(40)의 상향 돌출된 스프링결속돌기(42)와 위쪽 하우징덮개(50)의 하향 돌출된 스플링결속돌기(58)에 대해 끼움 결속되고, 음료 음용시 음료병(70)을 기울이면 자연스럽게 개폐작동구(20)의 작동무게추(30)에 의해 수축 동작되면서 상기 개폐작동구(20)의 하우징개폐돌부(24)가 본체하우징(10)의 음료유출단부(16)로부터 이격 분리되어 개방동작될 수 있도록 절첩부위 및 중간부위의 굵기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
  3. 삭제
KR1020200118020A 2020-09-15 2020-09-15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 KR102398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020A KR102398342B1 (ko) 2020-09-15 2020-09-15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020A KR102398342B1 (ko) 2020-09-15 2020-09-15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999A KR20220035999A (ko) 2022-03-22
KR102398342B1 true KR102398342B1 (ko) 2022-05-13

Family

ID=80992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020A KR102398342B1 (ko) 2020-09-15 2020-09-15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3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088Y1 (ko) 2001-12-17 2002-03-18 송영찬 탄산 음료수병의 압력조절용 병마개
KR200279695Y1 (ko) 2002-03-18 2002-06-26 김선호 용기의 가스배출 방지구
KR100740374B1 (ko) 2000-02-28 2007-07-16 구알라 클로쥬어스 에스.피.에이. 술병을 위한 안전병마개
KR102084333B1 (ko) * 2018-12-13 2020-03-03 양정필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마개
JP2020063058A (ja) * 2018-10-15 2020-04-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弁及びこれを備える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087Y1 (ko) 2002-07-19 2002-10-18 이동호 맥주캔
KR20060054365A (ko) * 2003-07-28 2006-05-22 에스아이지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포일 물질로 밀봉된 콤비팩이나 용기를 위한 관통 엣지설비가 구비된 주입 마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374B1 (ko) 2000-02-28 2007-07-16 구알라 클로쥬어스 에스.피.에이. 술병을 위한 안전병마개
KR200269088Y1 (ko) 2001-12-17 2002-03-18 송영찬 탄산 음료수병의 압력조절용 병마개
KR200279695Y1 (ko) 2002-03-18 2002-06-26 김선호 용기의 가스배출 방지구
JP2020063058A (ja) * 2018-10-15 2020-04-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弁及びこれを備える包装体
KR102084333B1 (ko) * 2018-12-13 2020-03-03 양정필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999A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177Y1 (ko)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
US4892230A (en) Carbonated beverage bottle
KR100786962B1 (ko) 흡입관을 갖는 탄산 음료 용기를 위한 유출 방지 유량 제어부재
JP3780944B2 (ja) 部分的に満たされた飲料ボトルの中身を保存するための器具ならびに該器具用のストッパ
JPH03124569A (ja) 容器のためのポンプ
US20190084704A1 (en) Carbonation Preservation Device
KR20160064863A (ko) 주류 및 탄산 음료병의 자동 공기공급 개폐기능을 갖는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KR101793837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US6053366A (en) Closable pouring cap
KR102398342B1 (ko)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
KR102528132B1 (ko)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
KR20170020126A (ko) 탄산 유출 방지되는 자동 공기 개폐기능을 갖는 용기 덮개
KR102084333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마개
EP0833789B1 (en) A closure containing a fluid for mixture with a beverage
WO2021004596A2 (ru) Пробка-дозатор сосуда для хранения и раздачи газированного напитка
KR200485864Y1 (ko) 가스 압력 억제기능을 갖는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 방지장치
MX2009002599A (es) Tapon de envase para bebidas y dispositivo de suministro.
KR101627417B1 (ko)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KR200319828Y1 (ko) 캔용기용 마개
KR200318788Y1 (ko) 탄산가스누출방지용마개
KR200350849Y1 (ko) 누수 방지용 캔뚜껑
RU30340U1 (ru) Пробка-клапан для хранения и раздачи газированного напитка из емкости
KR101773397B1 (ko)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KR20230040492A (ko) 탄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