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132B1 -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 - Google Patents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132B1
KR102528132B1 KR1020200125125A KR20200125125A KR102528132B1 KR 102528132 B1 KR102528132 B1 KR 102528132B1 KR 1020200125125 A KR1020200125125 A KR 1020200125125A KR 20200125125 A KR20200125125 A KR 20200125125A KR 102528132 B1 KR102528132 B1 KR 102528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air inlet
space
t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625A (ko
Inventor
양정필
Original Assignee
양정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정필 filed Critical 양정필
Priority to KR102020012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132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에 관한 것으로, 음료용기의 개방 상측에 결속된 음용 전의 세워진 상태에서는 밀폐무게추에 의한 음료유출통로의 개폐작동으로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자동 차단하는 동시에 음료의 배출라인도 밀폐시켜 내부에 보관된 탄산음료의 향이나 맛의 이탈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는 한편, 음용시 입에 대고 음료용기를 기울이면 자동으로 외부 공기가 내부 유입되는 동시에 음료의 배출라인이 개방되면서 내용물인 음료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어, 시원한 탄산의 톡쏘는 향이나 맛이 유지되어야 하는 맥주 등을 음용시 별도의 밀폐마개를 수시로 결속 또는 결속 해지시키지 않고도 편리하게 내용물인 해당 음료의 맛과 향을 오랫동안 보존시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 관계가 발휘되는 구성원리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 {Container cover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for carbonated drinks}
본 발명은 생맥주 등 탄산가스를 함유한 탄산음료의 음료용기(잔 또는 컵)의 개방 상측에 결속시켜 내부에 보관된 탄산음료의 향이나 맛의 이탈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는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기의 개방 상측에 결속된 음용 전의 세워진 상태에서는 밀폐무게추에 의한 음료유출통로의 개폐작동으로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자동 차단하는 동시에 음료의 배출라인도 밀폐시켜 내부에 보관된 탄산음료의 향이나 맛의 이탈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는 한편, 음용시 입에 대고 음료용기를 기울이면 자동으로 외부 공기가 내부 유입되는 동시에 음료의 배출라인이 개방되면서 내용물인 음료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어, 시원한 탄산의 톡쏘는 향이나 맛이 유지되어야 하는 맥주 등을 음용시 별도의 밀폐마개를 수시로 결속 또는 결속 해지시키지 않고도 편리하게 내용물인 해당 음료의 맛과 향을 오랫동안 보존시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에 관한 것이다.
잘 알다시피 맥주나 생맥주 등과 같이 시원한 주류 또는 탄산음료의 향이나 맛은 음용시 해당 탄산용기(캔이나 병)가 개방되어 상온에서 공기와 접촉이 오래되면 자연적으로 산패현상이 발생되면서 탄산음료 특유의 맛과 향이 없어진 소위 김빠진 맥주가 된다.
즉, 맥주나 소주 및 탄산음료를 마시려고 자체 용기뚜껑(Cap)을 여는 순간 함께 저장용기(음료용기) 내부에 있는 맛과 향이 순식간에 다 날아가 버리게 되며, 그리고 또 마시는 동안에 보통은 번거롭게 용기뚜껑을 저장용기에 다시 닫지 않고 그냥 열어 놓고 마시는 것이 보통이다.
이런 상태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음료의 맛과 향(탄산)이 없어지면서 급속히 산패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결국 탄산음료의 맛이 변하고 급속한 산패현상이 발생하여 위생적으로도 문제가 있으며, 어쩔수 없이 불편하지만 되도록 빨리 남은 음료의 잔량을 마셔 버리든가 아니면 남은 음료 전부를 버려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 이유는 맥주나 탄산음료는 뚜껑(마개)을 열고 한꺼번에 전량을 다 마실 수가 없어서 수차례에 걸쳐 잔존 내용물을 마시는데, 그 열고 닫는 사이에 저장용기에 있는 맛과 향(탄산)이 다 빠져나가고 그 자리를 좋지 않은 공기가 자리를 대신하기 때문에, 시간이 가면 갈수록 맛이 없어지며 김빠진 맥주, 소주가 되는 것이다.
우리가 잘 알듯이 각종 주류나 음료 특히, 탄산음료는 맛이나 향(탄산)이 없어지면 내용물 특유의 맛이 없어지며, 기타 생수나 음용수의 경우에도 뚜껑(마개)을 열어서 일단 장시간 사용을 하면 세균의 증,번식이 당연히 발생하기 마련이다. 특히 탄산이 들어가는 맥주,콜라,사이다 및 소주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밀폐용기인 음료용기에 저장된 모든 탄산음료는 가능한 한 용기뚜껑을 열면 최대한 빨리 다 마셔 버리거나 재빨리 뚜껑을 닫아 밀폐시킬 수밖에 별다른 방법이 없다.
참고로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92087호(맥주캔)이나 제20-0280803호(맥주캔용 개봉장치) 등의 수많은 참고 문헌에서 보는 것처럼, 대부분의 업체에서 개발된 음료용 저장용기의 일례로서 대용량 맥주 캔의 경우에는 수동으로 사용자가 공기 개폐수단을 개방시켜 저장용기인 맥주 캔 용기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이 되도록 하여 개방된 상태로 마시는데, 이는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상층부에 수동으로 작동하는 음료유입구를 만들어 놓고 마실 때만 수동으로 개방시켜, 공기가 유입이 되게 하고 하층부에는 내용물이 나오는 코크를 설치하여 코크를 열어 놓고 내용물을 마시는 방식이다.
마신 후에는 다시 상층부의 수동 음료유입구를 닫아야 된다. 대부분의 대용량 탄산 음료용기들이 이런 방식으로 되어 있다. 만약 잊어버리고 음료유입구를 계속 열어 놓으면 그 내용물의 탄산이 다 없어지고 급속한 산패화로 탄산음료 특유의 맛이 없어져서 잔류 내용물을 버려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아울러 뜨거운 향이나 맛이 유지되어야 제맛이 나는 테이크아웃 커피의 경우에도 어쩔수 없이 음용시에 별도의 뚜껑(캡)을 개방시키거나 또는 뚜껑에 빨대 등을 꽂아 마시더라도,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의 내용물인 음료로 침투되어 맛과 향이 변질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확실하게 막기는 곤란한 실정이다.
참고로 참고로 이와 같은 음료용기(음료병)의 탄산가스가 유출됨을 방지하기 위한 매개수단으로 소개된 관련 선행기술들을 살펴보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92087호(맥주캔) 등을 포함하여,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공개 및 등록결정된 제20-0280803호(맥주캔용 개봉장치), 특허등록 제10-1793837호(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특허공개 제10-2016-064863호(탄산 음료병의 자동 공기공급 개폐기능을 갖는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실용신안등록 제20-045864호(억제기능을 갖는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 방지장치), 특허등록 제10-2084333호(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마개) 등이 가장 유사기술이며, 특히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했던 특허출원 제10-2015-0114914호(탄산 유출 방지되는 자동 공기 개폐기능을 갖는 용기 덮개)를 포함하여 상기 나열한 선행기술에서 해결되지 못한 제반 불편한 점들을 구조적으로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는 구성원리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시원한 탄산의 톡쏘는 향이나 맛이 유지되어야 하는 맥주(병맥주 및 생맥주 포함)와 같은 탄산음료 뿐만 아니라 뜨거운 향이나 맛이 유지되어야 제맛이 나는 커피나 차 종류까지도 포함하여 수용하는 상측이 개방된 모든 종류의 음료용기에 대해 간단하게 결속시킴으로서, 음용시 별도의 밀폐마개를 수시로 결속 또는 결속 해지시키지 않고도 음료용기에 부착시킨 본 발명에 따른 용기덮개를 입을 대고 그대로 간단하게 음용함에 있어, 편리하게 내용물의 배출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내용물인 탄산음료(주류 포함)의 맛과 향이 없어지지 않고 오랫동안 확실하게 보존될 수 있도록 한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발된 본 발명의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는, 기본적으로 맥주를 포함한 탄산음료가 수용되는 음료용기의 개방된 상측에 끼움 결속시킬 수 있도록 덮개본체상측의 아래쪽 테두리 돌출부위인 용기끼움외측 안쪽으로 용기끼움내측이 돌출되어 용기끼움구 공간이 형성되고, 음료용기를 기울이면 공간 내부의 내용물이 공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본체상측의 한쪽에 돌출된 입술접지돌기 방향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지게 관통된 음료유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음료유출통로 옆으로는 수직방향으로 무게추작동공간이 형성되면서 상기 무게추작동공간 하측은 경사방향의 상기 음료유출통로가 연통되는 음료유출공이 관통되고, 상기 관통된 음료유출통로 및 음료유출공에 대해 음료용기가 기울여진 상태에서는 이격되어 개방동작되다가 음료용기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이들 경사방향의 음료유출통로 및 음료유출공과 함께 수직방향의 무게추작동공간에 대해 모두 밀착되어 밀폐동작되도록 밀폐무게추가 상기 무게추작동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덮개본체상측의 다른 한쪽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음료유입구가 관통되면서 상기 음료유입구 위쪽으로는 외부 공기의 유입에 따라 자동으로 공기출입공을 개폐동작시키는 연질의 자동개폐밸브가 장착된 공기유입마개가 결속 설치되는 구성관계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자동개폐밸브가 장착된 공기유입마개 위쪽으로는 상기 자동개폐밸브의 오염 및 훼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공기유입마개의 공기출입공과 함께 외부 공기가 아래쪽 상기 음료유입구를 통해 음료용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출입공이 관통된 개폐밸브마개가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는, 음료용기의 개방 상측에 결속된 음용 전의 세워진 상태에서는 밀폐무게추에 의한 음료유출통로의 개폐작동으로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자동 차단하는 동시에 음료의 배출라인도 밀폐시켜 내부에 보관된 탄산음료의 향이나 맛의 이탈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는 한편, 음용시 입에 대고 음료용기를 기울이면 자동으로 외부 공기가 내부 유입되는 동시에 음료의 배출라인이 개방되면서 내용물인 음료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어, 시원한 탄산의 톡쏘는 향이나 맛이 유지되어야 하는 맥주 등을 음용시 별도의 밀폐마개를 수시로 결속 또는 결속 해지시키지 않고도 편리하게 내용물인 해당 음료의 맛과 향을 오랫동안 보존시켜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시원한 탄산의 톡쏘는 향이나 맛이 유지되어야 하는 맥주 뿐만 아니라 뜨거운 향이나 맛이 유지되어야 제맛이 나는 커피 등 다양한 음료를 음용시 별도의 밀폐마개를 수시로 결속 또는 결속 해지시키지 않고도 편리하게 내용물인 해당 음료의 맛과 향을 오랫동안 보존시켜 음용할 수 있는 탁월한 작용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를 해당 음료용기에서 분리시켜 해당 내용물을 직접 마실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을 통한 음료용기의 탄산음료 음용 후에 다시 내용물을 채워넣고자 할 경우에 당연히 음료용기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용기덮개를 분리시킬 수 있으나, 결속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구성수단인 덮개본체상측의 음료유입구에서 공기유입마개 및 개배밸브마개 등을 분리시켜 상기 음료유입구를 통해 편리하게 내용물을 음료용기 내부로 채워넣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를 구성하는 용기덮개의 덮개상측에서 개폐밸브마개가 분리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를 구성하는 용기덮개의 덮개상측에서 개폐밸브마개와 함께 공기유입마개 및 자동개폐밸브가 분리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에 상세 구조를 보인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를 탄산용기에 결속시킨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가 결속된 상태에서 그대로 탄산용기를 기울여 편리하게 탄산음료를 마시는 음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를 통해 음용시에 내용물인 음료에 포함된 향이나 맛의 이탈됨을 무게추작동공간의 밀폐무게추가 음료용기의 음용전 세워진 상태 및 음용시 기울려진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음료유출통로를 밀폐 및 개방시켜, 음료용기의 내용물 고유의 맛과 향(탄산)을 보존시켜 맛있게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작동원리를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의 일부 구성요소 분리상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10)는, 무게추작동공간(19)의 밀폐무게추(20)가 음료용기(60)의 음용전 세워진 상태 및 음용시 기울여진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음료유출공(18)이 관통된 경사진 음료유출통로(13)를 밀폐 및 개방되면서 음료용기(60)의 내용물 고유의 맛과 향(탄산)을 보존시켜 맛있게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덮개본체상측(12)의 한쪽에는 사용자의 입술이 직접 맞닿는 상기 음료유출통로(13)와 연결된 입술접지돌기(11)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음료용기(60)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도록 내용물의 외부 유출동작에 따른 음료용기(60)의 압력 차이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밸브마개(50) 및 공기유입마개(30)의 해당 공기출입공(52)(32)을 개방 동작시키는 자동개폐밸브(40)가 설치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도 3의 상세한 내부 단면구조 및 도 4의 음료용기에 결속된 상태에서의 상세 단면구조를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듯이, 맥주를 포함한 탄산음료가 수용되는 음료용기(60)의 개방된 상측에 끼움 결속시킬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용기덮개(10)가 구성되는데, 우선 덮개본체상측(12)의 아래쪽 테두리 돌출부위인 용기끼움외측(17) 안쪽으로 용기끼움내측(15)이 돌출되어 음료용기(60)의 개방 상측부위가 끼움 결속될 수 있는 삽입공간인 용기끼움구(16) 공간이 형성된다.
특히, 안쪽의 상기 용기끼움내측(15)은 바깥쪽의 상기 용기끼움외측(17)이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는데, 이는 음료용기(60)의 안정된 결속상태를 유지시킴은 물론 내구 구성인 경사진 음료유출통로(13) 및 수직의 무게추작동공간(19)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실제 제품에서는 이들 음료유출통로(13) 및 무게추작동공간(19) 그리고 용기끼움내측(15)이 세트화되어 덮개본체상측(12) 저부에 결합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무게추작동공간(19) 내부에는 밀폐작동추(20)가 수용되어 설치됨은 당연하다.
좀더 상세 설명하면, 음료용기(60)를 기울이면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본체상측(12)의 한쪽에 돌출된 입술접지돌기(11) 방향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음료유출통로(13)가 형성되며, 상기 음료유출통로(13) 옆으로는 수직방향으로 무게추작동공간(19)이 형성되면서 상기 무게추작동공간(19) 하측은 상기 음료유출통로(13)가 연통되는 음료유출공(18)이 관통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5의 음용시의 사용상태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관통된 음료유출통로(13) 및 음료유출공(18)에 대해 음료용기(60)가 기울여진 상태에서는 이격되어 개방동작되다가 음료용기(60)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경사방향의 상기 음료유출통로(13) 및 공간 내부로 관통된 음료유출공(18)은 물론 수직방향의 무게추작동공간(19)에 대해 모두 확실하게 밀착되어 밀폐동작되도록 밀폐무게추(20)가 상기 무게추작동공간(19)에 수용되는데, 이는 경사진 음료유출통로(13) 및 그 옆의 수직의 무게추작동공간(19)의 하나의 연결된 공간으로서 아래쪽 연결공간 저부가 구조적으로 내용물의 외부 유출동작에 따른 음료용기(60)의 압력 차이가 발생될 수 있도록 경사진 음료유출공(18)으로 관통되며, 관통된 상기 음료유출공(18)은 살짝 안쪽으로 돌출되어 밀폐무게추(20) 하측인 경사진 돌출부위가 구조적으로 보다 확실하면서 안정되게 상기 음료유출공(18)에 대해 밀착 밀폐동작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본체상측(12)의 다른 한쪽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음료유입구(14)가 관통되고, 기본적으로는 실리콘 연질의 자동개폐밸브(40)가 중앙에 결속되면서 상기 자동개폐밸브(40)에 의해 관통부위가 밀폐될 수 있는 위치에 다수의 공기출입공(32)이 관통된 공기유입마개(30)가 상기 음료유입구 (14) 개방 상측에 결속 설치된다. 물론 상기 공기유입마개(30)의 구성 설치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가 작동 구현됨에는 별다른 불편이나 문제는 없다.
다만, 본 발명은 공기유입마개(30)에 설치된 자동개폐밸브(40)가 외부 노출될 때 오염 및 훼손됨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유입마개(30)의 공기출입공(32)과 함께 외부 공기가 아래쪽 상기 음료유입구(14)를 통해 음료용기(60)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사한 공기출입공(52)이 관통된 개폐밸브마개(50)가 결속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작동원리가 구현되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관계를 살펴보면, 음료용기(60)의 개방 상측에 결속된 음용 전의 세워진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인 수직의 무게추작동간(19)에 수용된 밀폐무게추(20)의 이동에 의한 경사진 음료유출통로(13)의 개폐작동으로, 외부로부터 음료용기(60)로의 공기 유입을 자동 차단하는 동시에 음료의 배출라인도 밀폐시켜 내부에 보관된 탄산음료의 향이나 맛의 이탈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음용시 입에 대고 음료용기(60)를 기울이면 구조적으로 자연스럽게 음료용기(60)의 압력 차이가 발생되면서 자동으로 공기유입마개(30)의 자동개폐밸브(40)에 의한 상기 공기유입마개(30)의 공기출입공(32)의 밀폐상태가 위쪽의 개폐밸브마개(50)의 공기출입공(52)과 함께 개방되면서 자연스럽게 외부 공기가 내부 유입되며, 동시에 음료의 배출라인인 음료유출통로(13)의 밀폐무게추(20)에 의한 밀폐상태가 개방되면서 내용물인 음료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어, 시원한 탄산의 톡쏘는 향이나 맛이 유지되어야 하는 맥주 등을 음용시 별도의 밀폐마개인 본 발명의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10)를 수시로 결속 또는 결속 해지시키지 않고도 편리하게 내용물인 해당 음료의 맛과 향을 오랫동안 보존시켜 음용할 수 있는 작동원리가 구현 발휘하게 된다.
10 :용기덮개 11 :입술접지돌부
12 : 덮개본체상측 13 : 음료유출통로
14 : 음료유입구 15 : 용기끼움내측
16 : 용기끼움구 17 : 용기끼움외측
18 : 음료유출공 19 : 무게추작동공간
20 : 밀폐무게추 30 : 공기유입마개
31 : 결속외측돌기 32 : 공기출입공
40 : 자동개폐밸브 50 : 개폐밸브마개
51 : 결속외측돌기 52 : 공기출입공
60 : 음료용기

Claims (2)

  1. 맥주를 포함한 탄산음료가 수용되는 음료용기(60)의 개방된 상측에 끼움 결속시킬 수 있도록 덮개본체상측(12)의 아래쪽 테두리 돌출부위인 용기끼움외측(17) 안쪽으로 용기끼움내측(15)이 돌출되어 용기끼움구(16) 공간이 형성되고,
    음료용기(60)를 기울이면 구조적으로 자연스럽게 공간 내부의 내용물이 공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본체상측(12)의 한쪽에 돌출된 입술접지돌기(11) 방향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음료유출통로(13)가 형성되며,
    경사방향의 상기 음료유출통로(13) 옆으로는 수직방향으로 무게추작동공간(19)이 형성되면서 상기 무게추작동공간(19) 하측은 상기 음료유출통로(13)가 연통되는 음료유출공(18)이 관통되고,
    관통된 상기 음료유출통로(13) 및 음료유출공(18)에 대해 음료용기(60)가 비스듬하게 기울여진 상태에서는 이격되어 개방동작되다가 음료용기(60)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이들 음료유출통로 및 음료유출공(18)과 함께 무게추작동공간(19)에 대해 모두 밀착되어 밀폐동작되도록 밀폐무게추(20)가 상기 무게추작동공간(19)에 수용되며,
    상기 덮개본체상측(12)의 다른 한쪽에는 외부 공기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음료유입구(14)가 관통되고, 상기 음료유입구(14) 위쪽으로는 외부 공기의 유입에 따라 자동으로 공기출입공(32)을 개폐동작시키는 연질의 자동개폐밸브(40)가 장착된 공기유입마개(30)가 결속 설치되어 구성되되,
    상기 자동개폐밸브(40)가 장착된 공기유입마개(30) 위쪽으로는 상기 자동개폐밸브(40)의 오염 및 훼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공기유입마개(30)의 공기출입공(32)과 함께 외부 공기가 아래쪽 상기 음료유입구(14)를 통해 음료용기(60)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출입공(52)이 관통된 개폐밸브마개(50)가 결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
  2. 삭제
KR1020200125125A 2020-09-25 2020-09-25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 KR102528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125A KR102528132B1 (ko) 2020-09-25 2020-09-25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125A KR102528132B1 (ko) 2020-09-25 2020-09-25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625A KR20220041625A (ko) 2022-04-01
KR102528132B1 true KR102528132B1 (ko) 2023-05-02

Family

ID=81183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125A KR102528132B1 (ko) 2020-09-25 2020-09-25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1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2260A (en) * 2022-09-09 2024-03-13 Selden Res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amper-proof or tamper-evident liquid supp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411B1 (ko) 2012-11-20 2014-05-27 이병주 포장용기의 가스 배출 장치
KR101616828B1 (ko) 2015-01-14 2016-05-25 (주)와이케이내쇼날 음식물 보관용 원터치 방식 진공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087Y1 (ko) 2002-07-19 2002-10-18 이동호 맥주캔
JP3165689U (ja) * 2010-06-14 2011-02-03 義博 戸村 コロピタキャップ
KR101627417B1 (ko) * 2014-08-19 2016-06-03 양정필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KR20160064863A (ko) * 2014-11-28 2016-06-08 양정필 주류 및 탄산 음료병의 자동 공기공급 개폐기능을 갖는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KR20170020126A (ko) * 2015-08-13 2017-02-22 양정필 탄산 유출 방지되는 자동 공기 개폐기능을 갖는 용기 덮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411B1 (ko) 2012-11-20 2014-05-27 이병주 포장용기의 가스 배출 장치
KR101616828B1 (ko) 2015-01-14 2016-05-25 (주)와이케이내쇼날 음식물 보관용 원터치 방식 진공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625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962B1 (ko) 흡입관을 갖는 탄산 음료 용기를 위한 유출 방지 유량 제어부재
US20150321894A1 (en) Method for adsorbing propellant gas for a beer dispensing system
US20030178433A1 (en) Beverage can cap with an ice compartment
US9580225B2 (en) Wine bottle closure apparatus
EA014514B1 (ru) Емкость, ее применение, камера для добавки и способ заполнения емкости
KR20160064863A (ko) 주류 및 탄산 음료병의 자동 공기공급 개폐기능을 갖는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KR102528132B1 (ko)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
KR101793837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KR20170020126A (ko) 탄산 유출 방지되는 자동 공기 개폐기능을 갖는 용기 덮개
US6053366A (en) Closable pouring cap
KR102084333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마개
KR200485864Y1 (ko) 가스 압력 억제기능을 갖는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 방지장치
KR102398342B1 (ko)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
BE1008946A6 (fr) Contenant a liquides, semi-liquides, cremes dispensant son contenu sous pression et se reduisant de volume au fur et a mesure de la consommation de son contenu.
EP2444365A1 (en) Method of filling a pressure generating device
KR101627417B1 (ko)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US581085A (en) ruppert
KR200424670Y1 (ko) 누출방지캡이 장착된 가스 누출 방지용 용기구조
KR20240054731A (ko) 와인병 가스유출방지마개
JP2885720B2 (ja) 飲料容器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KR200255395Y1 (ko) 밀봉성이 뛰어난 포장병용 피티 캡
KR200318788Y1 (ko) 탄산가스누출방지용마개
KR200319828Y1 (ko) 캔용기용 마개
KR200202293Y1 (ko) 탄산음료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