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817A - 진공펌프 - Google Patents

진공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817A
KR20130079817A KR1020120000543A KR20120000543A KR20130079817A KR 20130079817 A KR20130079817 A KR 20130079817A KR 1020120000543 A KR1020120000543 A KR 1020120000543A KR 20120000543 A KR20120000543 A KR 20120000543A KR 20130079817 A KR20130079817 A KR 20130079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ing
vacuum pump
coupl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2264B1 (ko
Inventor
김흥진
구재완
유연우
Original Assignee
김흥진
구재완
유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진, 구재완, 유연우 filed Critical 김흥진
Priority to KR1020120000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2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9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3/00Pumps actuated by muscle power, e.g. for inf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3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4Pistons, piston-rods or piston-rod connections
    • F04B53/143Sealing provided on the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상단이 개구된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은 내측으로 설치홈이 형성되고, 설치홈 하부에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통기공이 관통 형성되되, 설치홈에 통기공을 개폐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한 뚜껑에 사용되는 진공펌프로서,
하단은 개구되고 상단은 막힌 원통 형상이고, 상면에는 중앙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출입공이 형성되며, 하부 측면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배출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몸체;
뚜껑에 접하는 부분으로 몸체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밀폐부 및 밀폐부의 상면에 중앙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내외부를 관통하는 중심관으로 이루어진 공기흡입부;
관 형상이고, 관통공을 통과해 중심관의 외주면에 유격을 가지도록 끼워져서 승강하며, 하부 측면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피스톤축;
중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이고, 중공은 관통공의 하측에서 피스톤축의 하부 외주면에 결합하고, 몸체의 내부에서 승강하여 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
몸체의 내주면과 피스톤의 외주면 사이에 결합하고, 피스톤이 하강하면 피스톤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공간과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공간을 차단하며, 피스톤이 상승하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이 연결되도록 하는 제1오링; 및
피스톤축의 상부에 결합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펌프{VACUUM PUMP}
본 발명은 진공펌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음식물 등을 담는 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는 펌프로서, 적은 힘으로 효과적으로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진공펌프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은 공기와 오랜 시간 동안 접촉하면 산화하여 변질되거나 부패하기 쉽다. 이러한 보관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냉장고에 보관하거나 진공팩 등을 이용하여 보관하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음식물 등을 담는 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했으며,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물을 담는 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5105호인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5105호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에는 「용기 속의 공기를 빼내어 공기에 의한 음식물의 산화나 변질을 지연시켜 신선한 맛과 영양소를 보다 오래 유지 보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공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개구에 결합되고 내부공간과 통기공을 통해 연결되는 챔버(chamber)와 챔버에 관통공을 통해 연결되고 외부로 개방된 홈부를 갖는 실린더, 챔버에 이동 가능케 결합되어 챔버를 제 1챔버와 제 2챔버로 분할하고 운동 방향에 따라 제 1챔버와 제 2챔버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제 1오링을 갖는 피스톤부와, 피스톤부에서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고 제 1챔버를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연결통로를 갖는 중공의 로드부와 로드부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피스톤기구 및 피스톤기구의 운동방향에 따라 피스톤기구의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밸브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5105호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생산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 분해가 어려워 파손시 수리가 난해한 문제점 및 진공화 장치를 사용하여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진공화 장치를 용기에서 분리하지 못한다는 점 다른 장치에 진공화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이 공기와 접촉하여 변질되거나 부패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하고, 음식물의 냄새가 용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둘째, 구조가 단순하여 생산단가가 낮고, 제작이 쉬우며, 파손시 수리가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셋째, 적은 힘으로도 빠른 시간 내에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고자 한다.
넷째, 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에 진공펌프를 분리하여 다른 용기에도 사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다섯째, 필요에 따라서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쉽게 해제하고자 한다.
여섯째, 진공펌프의 손잡이에 지압부를 형성하여 작업시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압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상단이 개구된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은 내측으로 설치홈이 형성되고, 설치홈 하부에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통기공이 관통 형성되되, 설치홈에 통기공을 개폐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한 뚜껑에 사용되는 진공펌프로서,
하단은 개구되고 상단은 막힌 원통 형상이고, 상면에는 중앙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출입공이 형성되며, 하부 측면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배출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뚜껑에 접하는 부분으로 몸체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밀폐부 및 밀폐부의 상면에 중앙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내외부를 관통하는 중심관으로 이루어진 공기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관 형상이고, 관통공을 통과해 중심관의 외주면에 유격을 가지도록 끼워져서 승강하며, 하부 측면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피스톤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중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이고, 중공은 관통공의 하측에서 피스톤축의 하부 외주면에 결합하고, 몸체의 내부에서 승강하여 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몸체의 내주면과 피스톤의 외주면 사이에 결합하고, 피스톤이 하강하면 피스톤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공간과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공간을 차단하며, 피스톤이 상승하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이 연결되도록 하는 제1오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피스톤축의 상부에 결합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뚜껑에는 설치홈 하부에 장착공이 형성되고, 체크밸브의 하부에는 장착부가 형성되어 장착공에 장착부가 결합하며, 체크밸브의 상부에는 용기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진공해제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뚜껑과 용기 사이로 공기가 새지 않도록, 뚜껑의 하측 둘레를 따라서 패킹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몸체는 출입공 하부에 오링장착홈이 형성되고, 오링장착홈에는 피스톤축에 접하는 제2오링이 장착되며, 제2오링을 지지하도록 피스톤축이 통과할 수 있는 제1중공이 형성된 실링커버가 몸체 상측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피스톤은 외주면에 제1오링이 유격을 가지며 설치될 수 있는 피스톤홈이 형성되고, 피스톤홈의 하부에는 하부공간과 연통되는 유출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피스톤축의 하단과 중심관에 접하는 제3오링; 및 제3오링을 지지하도록 중심관이 통과할 수 있는 제2중공이 형성되고, 피스톤의 하부에 결합되는 오링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밀폐부와 뚜껑 사이로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폐부의 하측에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밀착패드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손잡이는 상부에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압할 수 있도록 지압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피스톤과 밀폐부 사이에는 피스톤이 하강하면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오링커버 하면에는 탄성부재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지지홈과 밀폐부 사이에는 피스톤이 하강하면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체크밸브를 구비한 뚜껑, 몸체, 공기흡입부, 피스톤축, 피스톤, 탄성부재, 손잡이 등으로 구성되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이 공기와 접촉하여 변질되거나 부패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하고, 음식물의 냄새가 용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가 단순하여 생산단가가 낮고, 제작이 쉬우며, 파손시 수리가 용이하다.
또한, 적은 힘으로도 빠른 시간 내에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고, 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에 진공펌프를 분리하여 다른 용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쉽게 해제할 수 있다.
아울러 진공펌프의 손잡이에 지압부를 형성하여 작업시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펌프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피스톤축 및 손잡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몸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피스톤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공기흡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체크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진공펌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상단이 개구된 용기(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은 내측으로 설치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220) 하부에 상기 용기(100) 내부로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통기공(240)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설치홈(220)에 상기 통기공(240)을 개폐하는 체크밸브(280)를 구비한 뚜껑(200)에 사용되는 진공펌프로서,
하단은 개구되고 상단은 막힌 원통 형상이고, 상면에는 중앙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출입공(310)이 형성되며, 하부 측면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배출공(320)이 하나 이상 형성된 몸체(300);
상기 뚜껑에 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몸체(300)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몸체(3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밀폐부(440) 및 상기 밀폐부(440)의 상면에 중앙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내외부를 관통하는 중심관(420)으로 이루어진 공기흡입부(400);
관 형상이고, 상기 관통공을 통과해 상기 중심관(420)의 외주면에 유격을 가지도록 끼워져서 승강하며, 하부 측면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피스톤축(500);
중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이고, 상기 중공은 상기 관통공의 하측에서 상기 피스톤축(500)의 하부 외주면에 결합하고, 상기 몸체(300)의 내부에서 승강하여 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
상기 몸체(300)의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 사이에 결합하고,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면 상기 피스톤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공간(360)과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공간(370)을 차단하며,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면 상기 상부공간(360)과 하부공간(370)이 연결되도록 하는 제1오링(700); 및
상기 피스톤축(500)의 상부에 결합하는 손잡이(100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100)는 음식물 등을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상부가 개구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0)은 상기 용기(100)의 개구된 상측에 결합하여 상기 용기(100)의 상단을 밀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100)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흡입부(400)의 밀폐부(440)가 접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0)의 상면 중앙부분은 내측(아래쪽)으로 움푹한 공간인 설치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220)의 하면에는 상기 용기(100) 내부로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홈(220)과 용기(100) 내부가 연통되는 통기공(240)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220)의 하면에는 상기 통기공(240)을 개폐하는 체크밸브(280)가 결합되는 장착공(260)이 형성된다.
아울러, 뚜껑(200)과 용기(100) 사이를 밀폐하여 공기가 새지 않도록, 상기 뚜껑(200)의 하측 둘레를 따라서 패킹(29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패킹(290)은 연질의 고무나 실리콘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크밸브(280)는 상기 설치홈(220)의 하면에 형성된 통기공(240)을 통해 상기 용기(100) 내부 공기의 이동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장착공(26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장착부(282)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260)에 상기 장착부(282)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체크밸브(280)는 연질의 고무나 실리콘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용기(100)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진공해제손잡이(28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280)는 상기 설치홈(220)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뚜껑(200)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며, 상기 통기공(240)의 상측을 덮게 된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00)는 하단은 개구되고 상단은 막힌 원통 형상인 실린더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상면 중심부분에 상기 몸체(30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출입공(310)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축(500)이 왕복하는 통로가 되고, 하부 측면에는 상기 몸체(30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배출공(320)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용기(100) 내부의 공기가 대기 중으로 빠져나가는 통로가 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흡입부(400)는 상기 몸체(300)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몸체(300)의 하부에 결합하는 원판 형상의 밀폐부(440) 및 상기 밀폐부(440)의 중앙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중심관(420)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440)가 상기 몸체(300)의 하측을 밀폐하지만, 상기 중심관(420)이 상기 몸체(300)의 내외부를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440)는 외주면을 테이퍼(taper)가 되게 형성하여서 상기 몸체(300)의 하측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홈(350)에 끼워 결합할 수 있으며, 중심부분에는 상기 중심관(420)과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심관(420)은 상기 용기(1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몸체(300) 내부로 이동하는 통로이고, 동시에 상기 피스톤 및 피스톤축(500)이 왕복 운동하는 기준축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부(400)의 하부는 상기 뚜껑(200)의 상부와 접하여 상기 밀폐부(440)와 뚜껑(200) 사이로 공기가 새지 않아야 한다.
이처럼 상기 밀폐부(440)와 뚜껑(200) 사이로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밀폐부(440)와 뚜껑(200) 사이에 밀착패드(4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착패드(442)는 연질의 고무나 실리콘 등을 사용해 제작할 수 있으며, 중심부분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축(500)은 하부에 상기 피스톤이 결합되어 상기 공기흡입부(400)의 중심축 외부에 유격(공간)을 가지도록 끼워져 승강하고, 하부 측면에 상기 피스톤축(50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축(500)의 하부에는 상기 피스톤과 결합하기 위한 수나사부(5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나사부(540)의 상측에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다.
즉, 상기 피스톤축(500)은 상기 중심축에 끼워져서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피스톤축(500)과 상기 중심축은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끼워지게 되고, 상기 유격은 상기 용기(1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중심관(420)을 통과한 후 상기 몸체(300) 내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며, 상기 유격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서 상기 몸체(30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축(500)의 상부에는 상기 피스톤축(500)을 움직이게 할 수 있는 손잡이(10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000)는 상기 피스톤축(500)을 손쉽게 움직이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 지압부(요철, 압박돌기 등)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000)를 잡고 작업시 지압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축(500)의 하부에 결합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몸체(300) 내부에 압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이고, 상기 중공에는 암나사부(66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피스톤의 암나사부(660)는 상기 피스톤축(500)의 수나사부(540)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축(500)의 승강에 따라서 상기 피스톤도 함께 승강하게 되며, 상기 피스톤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300)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공간(360)과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공간(370)으로 나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은 외주면이 상기 몸체(300)의 내주면과 접하지 않고, 중심부분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에는 상기 암나사부(66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는 중심방향으로 움푹하게 형성된 공간인 피스톤홈(620)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홈(620)에는 제1오링(700)이 끼워진다.
상기 피스톤홈(620)은 상기 제1오링(700)보다 크게 제작하여 유격을 가지도록 끼워지게 되므로, 상기 제1오링(700)은 상기 피스톤홈(620) 내부에서 승강이 가능하며, 피스톤축(500) 방향으로 공간이 생기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홈(620)의 하부에는 상기 피스톤홈(620)과 상기 하부공간(370)이 연통되도록 유출공(640)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제1오링(700)은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면 상기 상부공간(360)과 하부공간(370)을 차단하여 이격시키고,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면 상기 상부공간(360)과 하부공간(370)을 연결하여 연통되도록 한다.
즉,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면 상기 제1오링(700)은 상기 피스톤홈(620)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300)의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면 상기 제1오링(700)은 상기 피스톤홈(620)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300)의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접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상기 몸체(300)는 상기 출입공(310) 하부에 오링장착홈(330)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장착홈(330)에는 상기 피스톤축(500)에 접하는 제2오링(800)이 장착되며, 상기 제2오링(800)을 지지하도록 상기 피스톤축(500)이 통과할 수 있는 제1중공(822)이 형성된 실링커버(820)가 상기 몸체(300) 상측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도 4,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00)의 상부에 형성된 출입공(310)의 하부에는 제2오링(800)이 장착될 수 있는 오링장착홈(330)이 형성된다.
상기 오링장착홈(330)은 상기 몸체(300)의 내부 상면에 상기 출입공(31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오링(800)이 장착되어 상기 출입공(310)과 상기 피스톤축(500) 사이를 막게 된다.
상기 제2오링(800)의 하부에는 실링커버(820)를 장착하여 상기 제2오링(800)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실링커버(820)는 상측을 테이퍼가 되게 형성하여서 상기 몸체(300)의 상측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340)에 끼워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실링커버(820)의 중심부분에는 상기 피스톤축(500)이 통과할 수 있는 제1중공(822)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축(500)의 하단과 상기 중심관(420)에 접하는 제3오링(900); 및 상기 제3오링(900)을 지지하도록 상기 중심관(420)이 통과할 수 있는 제2중공(922)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 결합되는 오링커버(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축(500)의 하단에는 상기 제3오링(900)이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축(500)과 상기 중심관(420) 사이를 막게 된다.
즉, 상기 제3오링(900)은 상기 피스톤축(500)의 하단과 상기 중심관(42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3오링(900)의 하부에는 오링커버(920)를 장착하여 상기 제3오링(900)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오링커버(920)의 중심부분에는 상기 중심관(420)이 통과할 수 있는 제2중공(922)이 형성된다.
상기 오링커버(920)는 상기 피스톤의 하면에 접착제, 볼트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밀폐부(440) 사이에는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면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6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680)는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면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피스톤을 상승시켜서 사용자의 부담을 덜어주는 부분으로서, 상기 오링커버(920)의 하부에는 상기 탄성부재(680)의 상단이 접할 수 있도록 지지홈을 형성하여서 상기 탄성부재(680)가 상기 오링커버(920)의 하부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3오링(90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680)는 나선형 스프링을 사용하여 압축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피스톤이 하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손잡이(1000)를 누르게 되면 피스톤축(500)으로 연결된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고, 제1오링(700)은 압력 차이나 마찰력에 의해 상승하여 몸체(300)와 피스톤 사이를 막게 되어 상부공간(360)은 외부와 차단된다.
상기 피스톤이 계속 하강하게 되면 상기 상부공간(360)의 압력은 급속히 떨어지게 되고, 용기(100) 내부와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용기(100) 내부는 압력이 높고 상부공간(360)은 압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상기 용기(100) 내부에서 상기 상부공간(360)으로 압력 차이에 의한 공기의 이동이 일어나게 되어서, 뚜껑(200)에 구비된 체크밸브(280)가 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뚜껑(200)의 통기공(240), 중심관(420)을 통과한 후에, 상기 피스톤축(500)과 중심관(420)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며, 마지막으로 상기 피스톤축(50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공간(360)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용기(100)의 내부와 상기 상부공간(360)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면 공기의 이동은 멈추게 되고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용기(100)의 내부 압력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280)는 공기의 이동 후에 자체의 복원력에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게 되고, 하부공간(370)의 공기는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면서 배출공(320)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피스톤이 상승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손잡이(1000)를 잡아당기거나 상기 탄성부재(68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면 상기 상부공간(360)이 줄어들게 되어 상기 상부공간(36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고, 상기 제1오링(700)은 하강하게 된다.
즉, 이 경우 상기 상부공간(360)과 용기(100) 내부는 상기 체크밸브(280)로 차단되고, 상기 상부공간(360)과 하부공간(370)은 연통되게 되므로, 상기 상부공간(360)이 상기 하부공간(370)보다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아서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상부공간(360)의 공기는 상기 하부공간(370)으로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오링(700)은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면 압력 차이나 마찰력에 의해 하강하게 되므로, 상기 몸체(300)와 상기 피스톤 상부 외주면(피스톤홈(620) 상측) 사이의 공간과 피스톤홈(620) 내측 및 유출공(640)을 통해서 상기 상부공간(360)과 하부공간(370)이 연결되어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공간(360)의 공기는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면 하부공간(370)으로 압력차이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상기 상부공간(360) 및 하부공간(370)은 대기와 평형상태에 이르게 된다.
결국, 상기 용기(100) 내부의 공기는 대기 중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손잡이(1000)를 1회 누르고 당김으로써, 일정량을 대기 중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용기(100) 내부의 공기는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1000)를 누르고 당기는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용기(10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에는 상기 진공펌프를 분리하여 다른 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200)에 구비된 체크밸브(280)의 진공해제손잡이(284)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용기(100) 내부의 진공상태를 손쉽게 해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뚜껑(200)을 다양한 종류의 용기에 적합하게 제작한다면, 다양한 종류의 용기를 하나의 진공펌프를 이용해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를 실시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용기 200: 뚜껑
220: 설치홈 240: 통기공
260: 장착공 280: 체크밸브
282: 장착부 284: 진공해제손잡이
290: 패킹 300: 몸체
310: 출입공 320: 배출공
330: 오링장착홈 340: 고정돌기
350: 고정홈 360: 상부공간
370: 하부공간 400: 공기흡입부
420: 중심관 440: 밀폐부
442: 밀착패드 500: 피스톤축
520: 관통공 540: 수나사부
600: 피스톤 620: 피스톤홈
640: 유출공 660: 암나사부
680: 탄성부재 700: 제1오링
800: 제2오링 820: 실링커버
822: 제1중공 900: 제3오링
920: 오링커버 922: 제2중공
1000: 손잡이

Claims (10)

  1. 상단이 개구된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은 내측으로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 하부에 상기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통기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설치홈에 상기 통기공을 개폐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한 뚜껑에 사용되는 진공펌프로서,
    하단은 개구되고 상단은 막힌 원통 형상이고, 상면에는 중앙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출입공이 형성되며, 하부 측면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배출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몸체;
    상기 뚜껑에 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몸체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밀폐부 및 상기 밀폐부의 상면에 중앙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내외부를 관통하는 중심관으로 이루어진 공기흡입부;
    관 형상이고, 상기 관통공을 통과해 상기 중심관의 외주면에 유격을 가지도록 끼워져서 승강하며, 하부 측면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피스톤축;
    중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이고, 상기 중공은 상기 관통공의 하측에서 상기 피스톤축의 하부 외주면에 결합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승강하여 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
    상기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 사이에 결합하고,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면 상기 피스톤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공간과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공간을 차단하며,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면 상기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이 연결되도록 하는 제1오링; 및
    상기 피스톤축의 상부에 결합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설치홈 하부에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크밸브의 하부에는 장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에 상기 장착부가 결합하며, 상기 체크밸브의 상부에는 용기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진공해제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과 용기 사이로 공기가 새지 않도록, 상기 뚜껑의 하측 둘레를 따라서 패킹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출입공 하부에 오링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장착홈에는 상기 피스톤축에 접하는 제2오링이 장착되며, 상기 제2오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피스톤축이 통과할 수 있는 제1중공이 형성된 실링커버가 상기 몸체 상측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외주면에 상기 제1오링이 유격을 가지며 설치될 수 있는 피스톤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홈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공간과 연통되는 유출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축의 하단과 상기 중심관에 접하는 제3오링; 및
    상기 제3오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중심관이 통과할 수 있는 제2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 결합되는 오링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와 뚜껑 사이로 공기가 새지 않도록, 상기 밀폐부의 하측에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밀착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부에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압할 수 있도록 지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9. 제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밀폐부 사이에는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면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커버 하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과 밀폐부 사이에는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면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KR1020120000543A 2012-01-03 2012-01-03 진공펌프 KR101362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543A KR101362264B1 (ko) 2012-01-03 2012-01-03 진공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543A KR101362264B1 (ko) 2012-01-03 2012-01-03 진공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817A true KR20130079817A (ko) 2013-07-11
KR101362264B1 KR101362264B1 (ko) 2014-02-13

Family

ID=48992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543A KR101362264B1 (ko) 2012-01-03 2012-01-03 진공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26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505B1 (ko) * 2014-10-02 2015-05-04 문제구 밀폐 용기용 누름 펌프
WO2016085309A1 (ko) * 2014-11-28 2016-06-02 김현진 진공펌프
WO2017160001A3 (ko) * 2016-03-17 2018-09-07 안중근 셀프 진공 텀블러
CN110307139A (zh) * 2019-07-19 2019-10-08 深圳市通产丽星股份有限公司 双泵出液容器
WO2023003463A1 (en) * 2021-07-20 2023-01-26 Airtender Works B.V. Air pump with pressure indi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516B1 (ko) * 2016-02-11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탈기장치
KR101974540B1 (ko) * 2017-11-24 2019-05-02 씨티엠(주) 휴대용 진공펌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777Y1 (ko) * 1991-03-07 1993-06-23 주식회사 대성빅스타 진공식품 용기 및 진공용 공기 압출기구
KR100292895B1 (ko) * 1998-10-28 2001-06-15 김창호 진공 상태를 눈으로 확인이 가능한 진공 용기 및 그 표시 방법
KR200445177Y1 (ko) * 2008-06-04 2009-07-07 풍강산업 주식회사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
KR100920184B1 (ko) * 2009-05-25 2009-10-06 주식회사 화진인더스 용기 밀폐용 진공펌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505B1 (ko) * 2014-10-02 2015-05-04 문제구 밀폐 용기용 누름 펌프
WO2016085309A1 (ko) * 2014-11-28 2016-06-02 김현진 진공펌프
WO2017160001A3 (ko) * 2016-03-17 2018-09-07 안중근 셀프 진공 텀블러
CN110307139A (zh) * 2019-07-19 2019-10-08 深圳市通产丽星股份有限公司 双泵出液容器
CN110307139B (zh) * 2019-07-19 2024-01-30 深圳市通产丽星科技集团有限公司 双泵出液容器
WO2023003463A1 (en) * 2021-07-20 2023-01-26 Airtender Works B.V. Air pump with pressure indication
NL2028795B1 (en) * 2021-07-20 2023-01-27 Airtender Works B V Air pump with pressure ind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264B1 (ko)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264B1 (ko) 진공펌프
US6789690B2 (en) Hose direct canister lid
US4909014A (en) Vacuum storage device
JP6166774B2 (ja) 真空化装置
KR20120032135A (ko) 내용물이 정량 토출되는 노즐헤드 하강형 진공밀폐 펌프디스펜서 용기
CN108778981B (zh) 具有内部泵机构的真空可密封容器
KR20120012663A (ko)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KR20150111213A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WO2016159796A1 (en) Universal venting system for vacuum containers
TWM542630U (zh) 便利製造容器負壓以及長時間密封的容器蓋
KR101409575B1 (ko) 식품보관용기용 가압식 밀폐뚜껑
KR101090312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KR100455105B1 (ko)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
KR101616879B1 (ko)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
CN205931771U (zh) 抽真空结构、真空保鲜盖、密封柱芯和真空保鲜容器
CN106043936B (zh) 抽真空结构、真空保鲜盖和真空保鲜容器
KR20110048225A (ko) 공기배출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KR20170094595A (ko) 탈기장치
KR100960306B1 (ko) 진공 펌프용 공기 흡입·배출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진공 펌프
KR101320556B1 (ko) 화장품 용기
CN207497327U (zh) 真空杯
KR102666219B1 (ko) 내부압을 배출하는 진공 밀폐용기
CN220885480U (zh) 真空保鲜盒
KR101819516B1 (ko) 탈기장치
KR200394931Y1 (ko) 감압펌프 기능을 가진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