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595A - 탈기장치 - Google Patents

탈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595A
KR20170094595A KR1020160015520A KR20160015520A KR20170094595A KR 20170094595 A KR20170094595 A KR 20170094595A KR 1020160015520 A KR1020160015520 A KR 1020160015520A KR 20160015520 A KR20160015520 A KR 20160015520A KR 20170094595 A KR20170094595 A KR 20170094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ase
circumferential surface
shaft
cas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0461B1 (ko
Inventor
박현우
김형일
장헌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5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4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94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3/00Pumps actuated by muscle power, e.g. for inf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1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 F04B37/14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to obtain high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4Measures to avoid lubricant contaminating the pumped fluid
    • F04B39/041Measures to avoid lubricant contaminating the pumped fluid sealing for a reciprocating r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0Spiral springs with turns lying substantially in plan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탈기장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의 배기공을 구비하는 상부벽부를 포함하는 펌프케이스, 상부가 상기 펌프케이스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되어 펌프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하단부가 밀폐 용기의 뚜껑에 마련된 체크밸브를 둘러싸도록 뚜껑에 안착되며, 내부에 공기유로를 구비하는 피스톤유닛, 상기 펌프케이스의 개구된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유닛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되는 축공을 가진 하부커버, 상기 펌프케이스와 상기 피스톤유닛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펌프케이스가 하강되었을 때 상기 펌프케이스를 상방으로 밀어주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펌프케이스의 상부벽부에 형성된 복수의 배기공을 덮도록 결합되어 공기가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캡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기장치{A Dega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탈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 용기의 뚜껑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밀폐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탈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야채와 생선 등과 같은 식품류는 외기와의 접촉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이나 산소 등과 같은 기타 유해 물질과의 접촉으로 인해 쉽게 산화되면서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발효식품의 경우에는 미생물의 번식이 더욱 활성화되면서 식품의 발효 및 숙성 속도를 지나치게 빨리 진행시키게 되어 보존성이 좋지 못한 폐단이 있다.
한편, 식품의 발효 및 부패를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내용물이 충진된 용기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켜야만 하고, 차단된 상태에서도 내부는 진공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밀폐 용기에 내부의 공기를 빼낼 수 있는 탈기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한 밀폐 용기의 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144500호에는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화장치는, 내부공간의 중심부에 배치된 안내축을 구비하는 실린더부재, 상기 실린더부재에 대한 이동방향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면서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사이를 개폐하는 제1오링이 설치되어 있는 분할개폐부, 및 상기 분할개폐부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안내축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로드부를 갖는 피스톤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재에는 외부와 연통된 제1통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의 로드부에는 상기 제2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통공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로드부의 외면과 상기 실린더부재의 사이를 차단하는 제2오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공간에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상측 내면과 상기 분할개폐부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의 상부벽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안내축은 상기 분할개폐부의 중공축부 내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안내된다.
상기 안내축의 하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중공축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실린더부재가 최대 하강 위치에서 상승되지 않도록 유지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진공화장치는 상기 안내축의 길이에 따라 피스톤기구의 상하 길이가 정해지고, 상기 중공축부의 지름은 상기 안내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커져야 하므로, 그만큼 한 번의 펌핑으로 탈기할 수 있는 공기의 양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통기공은 상기 실린더부재의 상부벽에 형성되어 있어서 작은 구멍이 막힐 가능성이 크고 사용자가 펌핑하면서 제1통기공을 막을 경우 장치가 작동되지 않을 수 있으며, 용기 내에 냄새가 나는 식품이 보관될 경우 공기가 사용자의 손을 향해 상방으로 배출되므로 사용자에게 좋지 않은 느낌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진공화장치가 조립된 후에는 사용자가 분해하기 어려워서 장치 내부를 청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의 뚜껑에 착탈가능하여 탈기장치의 크기가 제한되지 않고 큰 용량으로 설계할 수 있어 펌핑 횟수를 줄일 수 있으며 용기의 실사용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탈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안내축을 구비하지 않고도 펌프케이스의 최대 하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탈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탈기장치의 배기공이 펌프케이스의 상부벽부에 크게 형성되어 있어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면서도 배출되는 공기가 외측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탈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쉽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어서 수시로 내부 청소를 할 수 있는 탈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탈기장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의 배기공을 구비하는 상부벽부를 포함하는 펌프케이스, 상부가 상기 펌프케이스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되어 펌프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하단부가 밀폐 용기의 뚜껑에 마련된 체크밸브를 둘러싸도록 뚜껑에 안착되며, 내부에 공기유로를 구비하는 피스톤유닛, 상기 펌프케이스의 개구된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유닛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되는 축공을 가진 하부커버, 상기 펌프케이스와 상기 피스톤유닛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펌프케이스가 하강되었을 때 상기 펌프케이스를 상방으로 밀어주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펌프케이스의 상부벽부에 형성된 복수의 배기공을 덮도록 결합되어 공기가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캡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공이 펌프케이스의 상부벽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그 위에 캡커버가 장착되어 공기를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므로, 사용자의 손으로 밀폐 용기 내부의 공기가 직접 토출되어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유닛 하단부 내측에 하부커버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므로, 사용자가 탈기장치를 쉽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유닛은, 상기 체크밸브를 둘러싸도록 뚜껑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실린더부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프트의 플레이트부의 외주면은 피스톤유닛의 내주면에 대해 슬라이딩 지지면을 제공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실린더부 외주면은 하부커버의 내주면에 대해 슬라이딩 지지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의 실린더부 내주면과 상기 샤프트의 축부 외주면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어 공기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탈기장치는, 상기 샤프트의 플레이트부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의 외주면과 상기 펌프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의 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부오링과, 상기 하부커버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실린더부의 외주면과 상기 하부커버의 내주면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하부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오링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는 플레이트부와 펌프케이스 사이를 밀폐할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그 사이의 틈을 개방하여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하부오링은 하부커버와 함께 하부케이스의 실린더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하면서 그 사이의 틈을 항상 밀폐한다.
상기 캡커버는 그 하면 외주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케이스의 상부벽부는 상기 복수의 후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후크삽입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커버의 후크를 후크삽입공에 삽입하기만 하면 후크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결합되므로, 펌프케이스의 상부벽부에 캡커버를 매우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캡커버의 하단과 펌프케이스의 상부벽부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어, 그 틈을 통해 공기가 측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는 상기 복수의 배기공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펌프케이스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공은 후크삽입공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배기공은 탈기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펌프케이스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로 이용되지만, 탈기장치를 보관할 때에는 샤프트의 걸림돌기를 배기공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탈기장치의 높이를 수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펌프케이스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펌프케이스의 하단에 하부커버를 돌려 끼움으로써 매우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펌프케이스의 내주면 하단에는 그 내경이 커져서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의 외주면 하단에 그 외경이 커져서 형성된 돌출리브가 상기 펌프케이스의 단차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커버의 나사산과 펌프케이스의 나사산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공기가 누설될 가능성이 낮지만, 상기 펌프케이스의 단차부에 하부커버의 단차부가 밀착되도록 배치되므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의 축공 하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오링을 지지하는 오링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커버의 내주면에 홈을 형성하여 오링을 삽입하여 장착하는 경우에 비해, 오링홀더를 이용하여 하부오링을 장착할 경우 조립하기가 더 쉽고 하부오링이 밀착되도록 할 수 있어 하부커버와 실린더부 사이의 틈을 더 확실히 밀폐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단차부의 내주면에 장착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오링홀더는 그 외주면에 상기 장착리브가 삽입되는 장착홈을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하부커버의 장착리브와 오링홀더의 장착홈에 의해, 오링홀더가 하부커버에 쉽게 장착되고 하부커버에서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의 축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판에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 결합에 의해 샤프트와 하부 케이스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쉽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실린더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통기홈을 통해 하측에서 올라오는 공기가 플레이트부 아래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축부의 외주면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통기홈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돌기가 통기홈에 삽입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탈기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샤프트가 하부케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나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위로 갈수록 윤곽의 지름이 점점 작아지는 원추형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가 원추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탄성부재가 수축할 때 상측의 단이 그 아래 단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가 매우 작게 수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펌프케이스의 상부벽부의 하면이 샤프트의 플레이트부의 상단에 거의 접촉할 정도까지 하강될 수 있어서 피스톤의 스트로크가 매우 커질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체크밸브를 둘러싸는 공간이 마련된 원통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리브는 사용자가 체크밸브를 둘러싸도록 탈기장치를 뚜껑에 안착시킬 때 그 안착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탈기장치에 의하면, 펌프케이스에 안내축이 없으므로 그만큼 한 번의 펌핑으로 탈기할 수 있는 공기의 양이 많아질 수 있다.
또한, 안내축이 없이도 펌프케이스가 최대로 하강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고 펌프케이스가 상하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탈기장치의 배기공이 펌프케이스의 상부벽부에 크게 형성되어 있어 공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배기공을 덮는 캡커버를 더 구비하여 상기 배기공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외측방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탈기장치를 사용자가 쉽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어서 수시로 내부 청소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탈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탈기장치와 밀폐 용기의 뚜껑에 마련된 체크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탈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캡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a), 정면도(b), 하면도(c)이다.
도 5는 펌프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a), 상면도(b)이다.
도 6은 샤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a), 정면도(b), 단면도(c)와 수축된 상태의 탈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d)이다.
도 7은 펌프케이스의 단면도(a)와 하부커버의 사시도(b)이다.
도 8은 펌프케이스의 단면도(a)와 하부오링 및 오링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b)이다.
도 9는 탈기장치를 누를 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탈기장치가 눌러졌다가 복원될 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탈기장치(100)는, 펌프케이스(180)와 펌프케이스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되는 피스톤유닛을 포함한다. 피스톤유닛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10)와 샤프트(150)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하부케이스(110)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상면에는 캡커버(190)가 장착된다. 탈기장치(100)를 작동할 때 캡커버(190)와 펌프케이스(180) 사이의 틈을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탈기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펌프케이스(180)는 측벽부(181)와, 상기 측벽부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의 배기공(189)을 구비하는 상부벽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펌프케이스(180)는 하면이 개구된 원통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내부 공간은 펌프케이스(180)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되는 피스톤유닛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다.
상기 피스톤유닛은 그 상부가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되어 펌프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하단부가 밀폐 용기의 뚜껑에 마련된 체크밸브(10)를 둘러싸도록 뚜껑에 안착된다. 피스톤유닛의 내부에는 하단부에서 상단부 근처까지 상하로 형성된 공기유로(C)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스톤유닛은 하단부와 중간부 외측면을 구성하는 하부케이스(110)와, 중간부 내측면과 상단부를 구성하는 샤프트(1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체크밸브(10)를 둘러싸도록 뚜껑에 안착되는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실린더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116)는 그 내부에 샤프트(150)의 축부(151)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샤프트(150)는 상기 실린더부(116)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축부(151)와, 상기 축부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플레이트부(155)를 포함한다.
상기 축부(151)의 외경은 상기 실린더부(116)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축부(151)의 외주면과 실린더부(116)의 내주면 사이에 틈(C)이 상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틈(C)은 밀폐 용기 내부로부터 탈기장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50)의 축부(151)는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바닥판(111)에 나사(S)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탈기장치(100) 내부를 밀폐하고 상기 샤프트(150)와 상기 하부케이스(110)를 견고하게 고정하며 사용자가 쉽게 분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50)의 하단부에는 나사체결공(15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나사(S)가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바닥판(111)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부(151)는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다가, 내부에 상기 나사체결공(153)이 형성된 하단 부위에 외주면이 단차지게 형성된 나사체결부(15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151)의 내부에는 중심구멍(154)이 형성되어 있어,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상기 샤프트(150)의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50)의 축부(151)는 그 측벽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축부(151)의 외주면은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줄어들어 약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래도, 상기 축부(151)의 외주면 상단은 상기 실린더부(116)의 내주면 상단에 거의 접촉할 정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축부(151)의 하단부가 나사(S)에 의해 바닥판(111)에 고정될 경우 축부(151)의 상단부도 실린더부(116)의 내주면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부(151)의 나사체결부(152) 부위는 중심구멍(154)이 형성된 부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서, 나사체결부(152)가 나사(S)에 의해 바닥판(111)에 강도 높게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사체결부(152)의 상단부가 단차지게 형성되지 않으면 그 측벽의 두께가 급격히 두꺼워져서 사출성형시 수축되어 변형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체결부(152)는 그 상단부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그 측벽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됨으로써 사출성형 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50)의 플레이트부(155)는 상기 축부(151)의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부(155)의 외주면에 상기 펌프케이스(180)가 슬라이딩되어 승강될 때, 상기 플레이트부(155)는 상기 펌프케이스(180) 내부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한다.
한편, 상기 체크밸브(10)는 밀폐 용기(미도시)의 뚜껑(미도시)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장착축부(12)와 상기 장착축부(12)의 상단부에서 낙하산 형태로 일체로 형성된 밸브본체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축부(12)는 그 중간부가 상기 뚜껑의 관통공 내경에 해당하는 크기로 직경이 줄었다가 다시 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뚜껑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0)는 그 전체가 고무와 같이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관통공보다 큰 상기 장착축부(12)의 하부가 관통공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밸브본체부(14)는 그 외주부가 밀폐 용기의 뚜껑 상면에 밀착되어 있다가,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기 밸브본체부(14) 위쪽의 외부 압력보다 커질 경우 상기 밸브본체부(14)의 외주부 중 적어도 일부가 위로 들리게 되고, 뚜껑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해 밀폐 용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바닥판(111)에는 그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체크밸브(10)를 둘러싸는 공간이 마련된 원통리브(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폐 용기의 뚜껑에는 상기 체크밸브(10)가 장착되는 부위에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원통리브(114)는 뚜껑의 오목부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원통리브(114)는 상기 탈기장치(100)를 밀착시키는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용자가 탈기장치(100)를 사용할 때 뚜껑의 정확한 위치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체크밸브(10)가 원통리브(114) 내측에 배치되도록 원통리브(114)를 뚜껑에 안착시켜야 하는데, 원통리브(114)가 뚜껑의 오목부 내측에 배치되도록 하면, 체크밸브(10)가 원통리브(114)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통리브(114)는 뚜껑의 오목부 깊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원통리브(114)는 뚜껑의 오목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는다.
대신에, 원통리브(114)의 외측에서 바닥판(111)의 하면과 뚜껑의 상면이 서로 면 접촉을 하게 된다.
사용자가 캡커버(190)를 눌러 펌프케이스(180)를 하강시킬 때 체크밸브(10)가 열려서 밀폐 용기 내부의 공기가 탈기장치(100) 내부로 유동하므로, 이때 특히 탈기장치(100)와 뚜껑 사이에 밀폐가 필요하다.
이때, 바닥판(111)의 하면과 뚜껑의 상면이 매끄럽게 형성된다면 서로 눌러져서 두 면이 압착하기 때문에, 바닥판(111)의 하면 또는 원통리브(114)의 하단에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가스켓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바닥판(111)과 뚜껑 사이가 충분히 밀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측벽부(181)의 하단부 내측에는 하부커버(140)가 결합된다. 상기 하부커버(140)는 소정 두께를 가진 원형 플레이트부(141)의 중심에 상기 실린더부(116)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축공(142)을 가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커버(140)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144)이 형성되어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82)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펌프케이스(180)와 상기 하부커버(140)는 그 사이가 밀폐되며 견고하게 체결되고 쉽게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캡커버(190)를 눌러서 상기 펌프케이스(180)를 하강시키면 상기 샤프트(150)의 플레이트부(155)와 상기 하부커버(14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펌프케이스(180)가 더 아래로 하강될수록 상기 공간도 점점 커지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바닥판(111) 중앙부에는 상기 샤프트(150)의 축부(151) 외측에 형성되는 틈(C)과 연통되는 복수의 통기공(112)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통기공(112)은 상기 실린더부(116)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2개 또는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실린더부(116)의 상단부에는 반원 형태로 절개된 복수의 통기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 용기의 뚜껑에 장착된 체크밸브(10)가 열려서 용기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면, 그 공기가 상기 복수의 통기공(112)을 통해 상기 틈(C)을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고, 이어서 상기 통기홈(117)을 통해 상기 샤프트(150)의 플레이트부(155)와 상기 하부커버(14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50)는 상기 축부(151)의 외주면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통기홈(117)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는 걸림돌기(151a)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통기공(112)이 4개 형성되고 걸림돌기(151a)가 2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샤프트(150)를 하부케이스(110)에 나사(S)로 체결할 때 2개의 걸림돌기(151a)가 4개의 통기공(112) 중 2개에 삽입되도록 하여 결합할 수 있다.
그러면, 탈기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샤프트(150)가 하부케이스(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나사(S)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50)의 플레이트부(155)와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상부벽부(183) 사이에는, 상기 펌프케이스(180)가 하강되었을 때 상기 펌프케이스를 상방으로 밀어주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70)가 장착된다.
상기 탄성부재(170)가 수축 또는 팽창할 때 그 장착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상부벽부(183) 하면에는 상기 탄성부재(170)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150)의 플레이트부(155) 상면에는 상기 탄성부재(170)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벽부(183)의 오목부와 플레이트부(155)의 오목부에 의해 탄성부재(170)가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더라도 그 장착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0)는 위로 갈수록 윤곽의 지름이 점점 작아지는 원추형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름이 동일하게 형성된 원통형 스프링의 경우 압축될 때 연속적으로 적층되기 때문에, 최대로 수축되더라도 그 높이가 상당하여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최대 하강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반면에, 원추형 스프링의 경우 압축될 때 위 단이 아래 단의 안쪽에 아래 단과 같은 높이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최대 압축시 스프링의 높이가 매우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70)는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상부벽부(183)가 상기 샤프트(150)의 플레이트부(155)의 상단에 매우 가까워질 때까지 압축될 수 있어서, 펌프케이스(180)의 스트로크(stroke)가 매우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70)가 원추형 스프링이기 때문에, 탄성부재(17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부벽부(183)의 오목부 지름은 탄성부재(17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플레이트부(155)의 오목부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50)의 플레이트부(155)의 외주면에는 상부오링(160)이 장착되어, 상기 플레이트부(155)의 외주면과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내주면 사이의 틈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상부오링(160)은 상기 플레이트부(155)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링홈(157)에 장착되는데, 상기 오링홈(157)의 상하 높이는 상기 상부오링(160)의 상하 높이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오링(160)의 외주면은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내주면에 압착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펌프케이스(80)가 하강하면 상기 상부오링(16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플레이트부(155)의 외주면과 펌프케이스(180)의 내주면 사이의 틈을 막게 된다.
반대로, 상기 펌프케이스(80)가 상승하면 상기 상부오링(160)도 위로 들리게 되어 상기 틈이 열리게 되고, 이 틈을 통해 플레이트부(155)의 하부 공간에 있는 공기가 상부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50)의 플레이트부(155)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플레이트부(155)의 상면과의 사이에 상기 오링홈(157)을 형성하는 상단리브(15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리브(156)는 상기 플레이트부(155)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리브(156)의 상기 수평부에는 복수의 통기공(1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케이스(80)가 상승하면 상부오링(160)이 위로 이동하여 그 위쪽의 틈을 막을 수 있으므로, 아래쪽의 틈을 통해 올라오는 공기가 상기 복수의 통기공(158)을 통해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140)의 내주면에는 하부오링(130)이 장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실린더부(116)의 외주면과 상기 하부커버(140)의 내주면 사이의 틈을 밀폐할 수 있다.
상기 하부오링(130)은 상기 상부오링(160)과 달리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실린더부(116)의 외주면과 상기 하부커버(140)의 내주면 사이의 틈을 항상 막아서 그 틈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부오링(130)은 상기 하부커버(140)의 내주면에 일체로 오링홈을 형성하여 장착할 수도 있으나, 조립의 편의성과 밀폐의 신뢰성을 위해 상기 하부커버(140)에 결합되는 오링홀더(120)에 의해 장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2,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링홀더(120)는 상기 하부커버(140)의 축공(142) 하부에 형성된 단차부(146)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오링(130)을 지지한다.
상기 오링홀더(120)는 전체적으로 상기 실린더부(116)가 통과하는 축공이 중심에 형성된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면이 "ㄴ"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오링홀더(120)는 상기 축공이 형성된 바닥벽부(122)와 상기 바닥벽부(122)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측벽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하부오링(130)은 상기 바닥벽부(122) 및 측벽부(124)와 상기 하부커버(140)의 단차부(146)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압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140)는 상기 단차부(146)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장착리브(147)를 구비하고, 상기 오링홀더(120)는 그 외주면에 상기 장착리브(147)가 삽입되는 장착홈(12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링홀더(120)를 상기 하부커버(140)의 단차부(146)에 장착할 때 상기 장착홈(125)에 상기 장착리브(147)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부커버(140)가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오링홀더(120)가 밑으로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캡커버(190)는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상부벽부(183)에 형성된 복수의 배기공(189)을 덮도록 결합된다.
상기 캡커버(190)를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상부벽부(183)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캡커버(190)는 그 하면 외주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후크(195)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상부벽부(183)는 상기 복수의 후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후크삽입공(185)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195)와 상기 후크삽입공(185)은 각각 4개씩 형성될 수 있으나, 그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상부벽부(183)는 그 중앙부가 테두리부보다 더 높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와 테두리부 사이에 주위보다 높이가 낮게 오목부(18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벽부(183)의 중앙부는 그 하면측이 탄성부재(170)의 상단부가 삽이되는 오목부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한 복수의 배기공(189)과 상기 후크삽입공(185)은 상기 오목부(184)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데, 두 후크삽입공(185)의 사이에 배기공(189)이 배치되는 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후크(195)는 그 하단이 외측방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후크삽입공(185)을 통과한 후 상기 오목부(184)의 하면에 걸리게 된다.
상기 복수의 배기공(189)은 상기 후크삽입공(185)보다 그 길이와 폭이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캡커버(190)는 원형의 디스크부(191)와 상기 디스크부(191)의 하면 테두리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벽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후크(195)는 상기 측벽부(192)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캡커버(190)의 측벽부(192) 하면에는 상기한 복수의 후크(195) 옆에 복수의 지지리브(19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커버(190)가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상부벽부(183)에 장착될 때,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193)는 상기 오목부(184)의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193)는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캡커버(190)의 측벽부(192) 하면이 상기 오목부(184)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리브(193)의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틈이 형성될 수 있고, 이 틈을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캡커버(190)이 복수의 배기공(189)을 덮도록 펌프케이스(180)의 상면에 결합되기 때문에 배기공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더라도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커버(190)는 펌프케이스(180)의 상면에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장착되고, 그 사이의 틈을 통해 공기가 측방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공기가 사용자의 손을 향해 상방으로 배출됨으로써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150)는 상기 플레이트부(155)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159)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159)는 상기 플레이트부(155)의 상단리브(156)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었다가 접선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159)는 일측에 홈이 형성되는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돌기(159)는 상기 배기공(189)의 개수와 동일하게 4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돌기(159)의 개수는 상기 배기공(189)의 개수가 달라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상기 배기공(189)보다 같거나 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159)는 상기 복수의 배기공(189)을 아래에서 위로 통과한 다음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배기공(189)의 일측에 각각 걸리게 되어, 상기 탄성부재(170)가 상기 펌프케이스(180)를 상승시키는 복원력을 가하더라도 펌프케이스(180)가 하강되어 탈기장치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펌프케이스(180)를 끝까지 하강시킬 때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159)가 상기 복수의 배기공(189)에 들어가도록 한 다음, 상기 펌프케이스(180)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159)가 상기 배기공(189)의 일측에 걸리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탈기장치(100)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케이스(180)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으므로, 탈기장치(100)를 보관할 때 그 크기를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탈기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밀폐 용기의 뚜껑에 장착된 체크밸브(10) 위에 탈기장치(100)를 안착시킨다.
도 9(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캡커버(190)를 누르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케이스(180)가 하강하면서 상기 하부케이스(110), 상기 하부커버(140) 및 상기 펌프케이스(18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점점 커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커버(140)의 위에 있는 공간을 제1공간(S1)이라 하고,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커버(140)의 아래에 있는 공간을 제2공간(S1)이라 한다.
상기 펌프케이스(180)가 하강하면 상기 제1공간(S1)은 점점 작아지고 상기 제2공간(S1)은 점점 커지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오링(160)은 상기 펌프케이스(180)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서 그 아래의 틈을 밀폐하게 된다.
상기 제2공간(S1)이 점점 커짐에 따라 그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상기 체크밸브(10)가 열리게 된다.
그러면, 용기 내부의 공기가 나와서 상기 통기공(112), 상기 틈(C) 및 상기 통기홈(117)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상기 제2공간(S2)으로 유입된다.
동시에, 상기 제1공간(S1)은 점점 작아지기 때문에, 그 내부에 있던 공기는 상기 펌프케이스(180)의 배기공(18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펌프케이스(180)가 하사점까지 하강하면 도 10(a)와 같은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캡커버(190)를 누르고 있던 힘을 빼면 상기 탄성부재(170)가 상기 펌프케이스(180)를 위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때,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오링(160)은 상기 펌프케이스(180)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서 그 아래의 틈을 개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펌프케이스(180)가 상승하면서 상기 제1공간(S1)은 점점 커지게 되고 상기 제2공간(S2)은 점점 작아지게 된다.
상기 제2공간(S2)이 점점 작아짐에 따라 그 내부의 압력이 커지므로, 그 내부의 공기가 상기 상부오링(160) 아래의 틈과 상기 통기공(158)을 통해 상기 제1공간(S1)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배기공(189)은 항상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공간(S1) 내부의 공기는 탈기장치 외부와 압력이 같아질 때까지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기장치(100)는 사용자가 누를 때 밀폐 용기 내부의 공기가 탈기장치 내부로 유입되므로,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바닥판(111)과 밀폐 용기의 뚜껑 사이는 누르는 힘에 의해 면과 면이 압착되어 상기 바닥판(111)과 뚜껑 사이의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111)과 뚜껑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가스켓과 같은 별도의 구성이 없어도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충분히 밀폐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체크밸브 100: 탈기장치
110: 하부케이스 111: 바닥판
116: 실린더부 120: 오링홀더
130: 하부오링 140: 하부커버
150: 샤프트 151: 축부
155: 플레이트부 160: 상부오링
170: 탄성부재 180: 펌프케이스
190: 캡커버

Claims (14)

  1.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의 배기공을 구비하는 상부벽부를 포함하는 펌프케이스;
    상부가 상기 펌프케이스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되어 펌프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하단부가 밀폐 용기의 뚜껑에 마련된 체크밸브를 둘러싸도록 뚜껑에 안착되며, 내부에 공기유로를 구비하는 피스톤유닛;
    상기 펌프케이스의 개구된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유닛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되는 축공을 가진 하부커버;
    상기 펌프케이스와 상기 피스톤유닛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펌프케이스가 하강되었을 때 상기 펌프케이스를 상방으로 밀어주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펌프케이스의 상부벽부에 형성된 복수의 배기공을 덮도록 결합되어 공기가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캡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유닛은,
    상기 체크밸브를 둘러싸도록 뚜껑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 및
    상기 실린더부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장치는,
    상기 샤프트의 플레이트부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의 외주면과 상기 펌프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의 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부오링; 및
    상기 하부커버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실린더부의 외주면과 상기 하부커버의 내주면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하부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커버는 그 하면 외주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케이스의 상부벽부는 상기 복수의 후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후크삽입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는 상기 복수의 배기공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펌프케이스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펌프케이스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케이스의 내주면 하단에는 그 내경이 커져서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의 외주면 하단에 그 외경이 커져서 형성된 돌출리브가 상기 펌프케이스의 단차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의 축공 하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오링을 지지하는 오링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단차부의 내주면에 장착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오링홀더는 그 외주면에 상기 장착리브가 삽입되는 장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축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판에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실린더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축부의 외주면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통기홈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위로 갈수록 윤곽의 지름이 점점 작아지는 원추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
  14.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체크밸브를 둘러싸는 공간이 마련된 원통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
KR1020160015520A 2016-02-11 2016-02-11 탈기장치 KR101880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520A KR101880461B1 (ko) 2016-02-11 2016-02-11 탈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520A KR101880461B1 (ko) 2016-02-11 2016-02-11 탈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595A true KR20170094595A (ko) 2017-08-21
KR101880461B1 KR101880461B1 (ko) 2018-07-20

Family

ID=5975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520A KR101880461B1 (ko) 2016-02-11 2016-02-11 탈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4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540B1 (ko) * 2017-11-24 2019-05-02 씨티엠(주) 휴대용 진공펌프
WO2020069532A1 (en) * 2018-09-28 2020-04-02 Auto Cleaning Toilet Seat USA L.L.C Pressure-reducing bottle cov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127A (ko) * 2008-12-23 2011-10-06 캡테크 엘티디. 개선된 펌프 리드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KR101144500B1 (ko) * 2012-03-16 2012-05-11 김상영 진공화 장치
KR20140002773U (ko) * 2012-10-29 2014-05-09 손재봉 용기 캡핑 장치
KR101520077B1 (ko) * 2014-04-07 2015-05-13 임준영 진공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127A (ko) * 2008-12-23 2011-10-06 캡테크 엘티디. 개선된 펌프 리드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KR101144500B1 (ko) * 2012-03-16 2012-05-11 김상영 진공화 장치
KR20140002773U (ko) * 2012-10-29 2014-05-09 손재봉 용기 캡핑 장치
KR101520077B1 (ko) * 2014-04-07 2015-05-13 임준영 진공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540B1 (ko) * 2017-11-24 2019-05-02 씨티엠(주) 휴대용 진공펌프
WO2020069532A1 (en) * 2018-09-28 2020-04-02 Auto Cleaning Toilet Seat USA L.L.C Pressure-reducing bottle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461B1 (ko)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6153B2 (ja) 真空ホース用容器蓋
EP1020371B1 (en) Vacuum airtight container
KR100969703B1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KR101907778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20120032135A (ko) 내용물이 정량 토출되는 노즐헤드 하강형 진공밀폐 펌프디스펜서 용기
KR101362264B1 (ko) 진공펌프
KR101880461B1 (ko) 탈기장치
KR101651452B1 (ko)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
KR101337069B1 (ko) 화장품 용기의 에어리스 펌프
KR101524412B1 (ko) 진공과 밀폐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밀폐용기
KR20180111365A (ko) 디스펜서 펌프
KR101445641B1 (ko) 내부압력 배출과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101400783B1 (ko) 내부압력 배출과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101902268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KR101819516B1 (ko) 탈기장치
CN109661189B (zh) 化妆品容器
KR100455105B1 (ko)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
KR101496238B1 (ko)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20130097621A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JP6468975B2 (ja) 受皿付きポンプ容器
KR102205461B1 (ko) 디스펜서 용기
KR101653318B1 (ko) 밀폐 용기
KR101974540B1 (ko) 휴대용 진공펌프
CN220885480U (zh) 真空保鲜盒
JP3000847U (ja) 真空吸引密閉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