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983A - 음식물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음식물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983A
KR20190011983A KR1020170094783A KR20170094783A KR20190011983A KR 20190011983 A KR20190011983 A KR 20190011983A KR 1020170094783 A KR1020170094783 A KR 1020170094783A KR 20170094783 A KR20170094783 A KR 20170094783A KR 20190011983 A KR20190011983 A KR 20190011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s
protruding
partition
surface portion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지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지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지앤피
Priority to KR1020170094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1983A/ko
Publication of KR20190011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formed by two mating halves joined to opposite edges of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킨 등의 음식물을 음료 및 부식물과 함께 포장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포자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 형상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두 측면부;
상기 바닥부의 전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전면부;
상기 바닥부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후면부;
상기 전면부의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전방상면부;
상기 후면부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단부가 상기 전방상면부의 후단부와 근접하게 배치된 후방상면부;
상기 전방상면부의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전방칸막이부; 및
상기 후방상면부의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방칸막이부와 겹쳐진 후방칸막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포장용 상자는 내부공간이 전방칸막이부와 후방칸막이부에 의해 치킨 등의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과 음료 및 부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전방칸막이부와 후방칸막이부가 상자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자의 제작비가 절감되고,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포장용 상자{Food packaging box}
본 발명은 음식물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킨 등의 음식물을 음료 및 부식물과 함께 포장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포자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포장용 상자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0-2011-0005645호(2011.06.09. 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치킨 배달용 포장상자"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포장상자의 내부공간에 제1 내부 분할판과 제2 내부 분할판을 배치함으로써 포장상자의 내부공간이 2개의 치킨수용부와 부속공간부로 구획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제1 내부 분할판과 제2 내부 분할판이 포장상자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배치됨으로써 이들의 제작을 위한 비용과 조립을 위한 시간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0-2011-0005645호(2011.06.09.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치킨 등의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과 음료 및 부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구획되도록 하되, 이들 두 공간의 구획을 위한 칸막이가 상자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음식물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포장용 상자는,
사각 형상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두 측면부;
상기 바닥부의 전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전면부;
상기 바닥부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후면부;
상기 전면부의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전방상면부;
상기 후면부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단부가 상기 전방상면부의 후단부와 근접하게 배치된 후방상면부;
상기 전방상면부의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전방칸막이부; 및
상기 후방상면부의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방칸막이부와 겹쳐진 후방칸막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포장용 상자는 내부공간이 전방칸막이부와 후방칸막이부에 의해 치킨 등의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과 음료 및 부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전방칸막이부와 후방칸막이부가 상자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자의 제작비가 절감되고,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용 상자의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용 상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후방상면부 측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전방상면부 측과 후방상면부 측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용 상자의 미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방칸막이부가 전방상면부에 포개지고, 후방칸막이부가 후방상면부에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각 구성의 전방 또는 전부, 후방 또는 후부는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가 완성된 상태 즉, 사용 시의 상태를 기준으로 그 방향을 특정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포장용 상자는 크게 바닥부(100), 측면부(200), 전면부(300), 후면부(400), 전방상면부(500), 후방상면부(600), 전방칸막이부(700), 후방칸막이부(800), 전방플랩부(900), 후방플랩부(1000), 전방스커트부(1100), 후방스커트부(1200), 전방결합부(1300) 및 후방결합부(1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판지 등의 원재료를 일정하게 재단하여 전개된 상태로 제작됨으로써 상호 일체로 된 하나의 판지로 제작되고, 이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 형태로 접음으로써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전개된 상태의 상자에는 상기 각 구성을 구획하고 접기 위한 접이선(1500)이 형성된다.
바닥부(100)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치킨 등의 음식물과 캔음료, 부식물 등이 놓이는 자리를 제공한다.
측면부(200)는 바닥부(100)의 양단부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측면부(200)는 두 개가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자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이룬다.
전면부(300)는 바닥부(100)의 전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면부(300)는 상자의 전면(前面)을 이룬다.
후면부(400)는 바닥부(100)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후면부(400)는 전면부(300)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자의 후면(後面)을 이룬다.
측면부(200), 전면부(300) 및 후면부(400)는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전방상면부(500)는 전면부(300)의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전방상면부(500)는 두 측면부(200) 사이의 공간 중 앞부분을 덮어 바닥부(100)와의 사이에 치킨 등의 음식물이 수용될 공간을 형성시키게 된다.
전방상면부(500)에는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기공(510)에 형성된다.
후방상면부(600)는 후면부(400)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후방상면부(600)는 두 측면부(200) 사이의 공간 중 뒷부분을 덮어 바닥부(100)와의 사이에 음료 및 부식물(예: 치킨무, 피클, 소스, 샐러드 등)이 수용될 공간을 형성시키게 된다.
후방상면부(600)는 그 전단부가 전방상면부(500)의 후단부와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전방상면부(500)와 함께 상자의 내부공간 전체를 덮게 된다. 이때 전방상면부(500)와 후방상면부(600)의 비율은 음식물과 음료 및 부식물이 차지하는 면적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음료 및 부식물이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후방상면부(600)의 일측에는 캔음료수납부(610)가 형성되고, 후방상면부(600)의 타측에는 부식물수납부(620)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캔음료수납부(610)는 후방상면부(600)의 일측을 'Н'형상으로 절취하여 두 개의 플랩(611, flap)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두 플랩(611)의 사이를 벌리어 캔음료(10)를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부식물수납부(620)는 후방상면부(600)의 타측을 'X'형상으로 절취하여 네 개의 플랩(621)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네 플랩(621)의 사이를 벌리어 부식물이 담긴 용기(20)를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된다.
전방칸막이부(700)는 전방상면부(500)의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전방칸막이부(700)는 그 하단부가 바닥부(100)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후방칸막이부(800)는 후방상면부(600)의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후방칸막이부(800)는 그 하단부가 바닥부(100)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전방칸막이부(700)와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전방칸막이부(700)와 함께 상자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포장용 상자는 내부공간이 전방칸막이부(700)와 후방칸막이부(800)에 의해 치킨 등의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과 음료 및 부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구획되며, 이때 상기 전방칸막이부(700)와 후방칸막이부(800)가 상자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자의 제작비가 절감되고,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전방플랩부(9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측면부(200)의 전단부에서 각각 상자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방플랩부(900)는 전면부(300)의 내면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후방플랩부(10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측면부(200)의 후단부에서 각각 상자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방플랩부(1000)는 후면부(400)의 내면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결국, 전방플랩부(900)와 후방플랩부(1000)는 두 측면부(20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바닥부(100)와 전방상면부(500) 및 후방상면부(60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두 측면부(20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전방스커트부(1100)는 전방상면부(500)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각각 두 측면부(200)의 외면 전부(前部)를 덮도록 배치된다.
후방스커트부(1200)는 후방상면부(600)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각각 두 측면부(200)의 외면 후부(後部)를 덮도록 배치된다.
결국,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스커트부(1100)와 후방스커트부(1200)는 두 측면부(200)의 외면 상단부를 덮어 두 측면부(200)가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자에 수용된 음식물이 측면부(200)와 전방상면부(500)의 사이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전방결합부(1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칸막이부(700)의 양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각각 두 전방스커트부(1100)의 후부(後部)에 부착된다.
이 전방결합부(1300)가 전방스커트부(1100)에 부착됨으로써 전방상면부(500), 전방칸막이부(700) 및 전방스커트부(1100)가 펼쳐지지 아니하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며 상호 고정될 수 있다.
후방결합부(1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칸막이부(800)의 양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각각 두 후방스커트부(1200)의 전부(前部)에 부착된다.
이 후방결합부(1400)가 후방스커트부(1200)에 부착됨으로써 후방상면부(600), 후방칸막이부(800) 및 후방스커트부(1200)가 펼쳐지지 아니하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며 상호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측면부(200)는 상자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전방칸막이부(700)와 후방칸막이부(800)가 위치하게 되는 부위에 끼움홈(210)이 형성된다.
이 끼움홈(210)은 전방칸막이부(700)와 전방결합부(1300)를 연결하는 모서리, 그리고 후방칸막이부(800)와 후방결합부(1400)를 연결하는 모서리가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됨으로써, 전방칸막이부(700)와 후방칸막이부(800)가 두 측면부(200)의 사이를 가로지르게 배치될 수 있게 하되, 전방스커트부(1100)와 후방스커트부(1200)가 두 측면부(200)의 외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전방스커트부(1100)의 후단부에는 전방모퉁이접이선(1110)이 형성되고, 두 후방스커트부(1200)의 전단부에는 후방모퉁이접이선(1210)이 형성된다.
전방모퉁이접이선(1110)은 전방스커트부(1100) 후단부의 두 모서리 중 전방상면부(500)와 인접한 모서리에서부터 45°의 각도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후방모퉁이접이선(1210)은 후방스커트부(1200) 전단부의 두 모서리 중 후방상면부(600)와 인접한 모서리에서부터 45°의 각도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전방모퉁이접이선(1110)과 후방모퉁이접이선(1210)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전방결합부(1300)가 두 전방스커트부(1100)에 부착된 상태에서 전방칸막이부(700)가 전방상면부(500)에 포개지도록 두 전방스커트부(1100)의 후단부 모퉁이를 접을 수 있으며, 두 후방결합부(1400)가 두 후방스커트부(1200)에 부착된 상태에서 후방칸막이부(800)가 후방상면부(600)에 포개지도록 두 후방스커트(1200)의 후단부 모퉁이를 접을 수 있다.
결국, 전방모퉁이접이선(1110)은 전방결합부(1300)가 전방스커트부(1100)에 부착됨에 따라 전방상면부(500)에서 펼쳐질 수 없는 전방칸막이부(700)와 전방스커트부(1100)가 전방상면부(500)에 포개질 수 있도록 하고, 후방모퉁이접이선(1210)은 후방결합부(1400)가 후방스커트부(1200)에 부착됨에 따라 후방상면부(600)에서 펼쳐질 수 없는 후방칸막이부(800)와 후방스커트부(1200)가 후방상면부(600)에 포개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포장용 상자의 미사용 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모퉁이접이선(1110)과 후방모퉁이접이선(1210)을 따라 전방스커트부(1100)와 후방스커트부(1200)를 접고, 측면부(200), 전면부(300), 후면부(400), 전방상면부(500), 후방상면부(600) 등은 펼쳐놓음으로써 상자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바닥부 200 : 측면부
210 : 끼움홈 300 : 전면부
400 : 후면부 500 : 전방상면부
510 : 통기공 600 : 후방상면부
610 : 캔음료수납부 620 : 부식물수납부
700 : 전방칸막이부 800 : 후방칸막이부
900 : 전방플랩부 1000 : 후방플랩부
1100 : 전방스커트부 1110 : 전방모퉁이접이선
1200 : 후방스커트부 1210 : 후방모퉁이접이선
1300 : 전방결합부 1400 : 후방결합부
1500 : 접이선

Claims (6)

  1. 사각 형상의 바닥부(100);
    상기 바닥부(100)의 양단부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두 측면부(200);
    상기 바닥부(100)의 전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전면부(300);
    상기 바닥부(100)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후면부(400);
    상기 전면부(300)의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전방상면부(500);
    상기 후면부(400)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단부가 상기 전방상면부(500)의 후단부와 근접하게 배치된 후방상면부(600);
    상기 전방상면부(500)의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전방칸막이부(700); 및
    상기 후방상면부(600)의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방칸막이부(700)와 겹쳐진 후방칸막이부(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상면부(600)의 일측에는 캔음료수납부(610)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상면부(600)의 타측에는 부식물수납부(6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측면부(200)의 전단부에서 각각 상자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300)의 내면과 접하는 두 전방플랩부(900); 및
    상기 두 측면부(200)의 후단부에서 각각 상자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후면부(400)의 내면과 접하는 두 후방플랩부(10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상면부(500)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각각 상기 두 측면부(200)의 외면 전부(前部)를 덮는 두 전방스커트부(1100); 및
    상기 후방상면부(600)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각각 상기 두 측면부(200)의 외면 후부(後部)를 덮는 두 후방스커트부(12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칸막이부(700)의 양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각각 상기 두 전방스커트부(1100)의 후부(後部)에 부착되는 두 전방결합부(1300); 및
    상기 후방칸막이부(800)의 양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각각 상기 두 후방스커트부(1200)의 전부(前部)에 부착되는 두 후방결합부(1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두 측면부(200)에는 상기 전방칸막이부(700)와 상기 전방결합부(1300)를 연결하는 모서리, 그리고 상기 후방칸막이부(800)와 상기 후방결합부(1400)를 연결하는 모서리가 삽입되는 끼움홈(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 전방스커트부(1100)에는 상기 두 전방결합부(1300)가 상기 두 전방스커트부(110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칸막이부(700)가 상기 전방상면부(500)에 포개지도록 상기 두 전방스커트부(1100)의 후단부 모퉁이를 접기 위한 전방모퉁이접이선(1110)이 형성되고,
    상기 두 후방스커트부(1200)에는 상기 두 후방결합부(1400)가 상기 두 후방스커트부(120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칸막이부(800)가 상기 후방상면부(600)에 포개지도록 상기 두 후방스커트부(1200)의 전단부 모퉁이를 접기 위한 후방모퉁이접이선(1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
KR1020170094783A 2017-07-26 2017-07-26 음식물 포장용 상자 KR20190011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783A KR20190011983A (ko) 2017-07-26 2017-07-26 음식물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783A KR20190011983A (ko) 2017-07-26 2017-07-26 음식물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983A true KR20190011983A (ko) 2019-02-08

Family

ID=65365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783A KR20190011983A (ko) 2017-07-26 2017-07-26 음식물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19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269B1 (ko) * 2019-03-07 2019-06-17 이주희 기능성 액자포장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269B1 (ko) * 2019-03-07 2019-06-17 이주희 기능성 액자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7860B2 (en) Multi-product container and container blank
US5411204A (en) Reclosable food tray and tray blank
US5875957A (en) Food scoop with condiment compartment
US7004314B2 (en) Multi-product container
US4955528A (en) Container for food and condiments
CN103717506B (zh) 用于容器的包装件
US5553772A (en) Paperboard clamshell carton
US20050051461A1 (en) Folding carton
RU2606573C9 (ru) Коробка и упаковка, содержащая коробку, помещенную между четырьмя стаканчиками
WO2004085267A2 (en) Reclosable food container
CA2924852C (en) Food container with integral condiment cup
US9597851B2 (en) Push folding of carton blanks
KR20190011983A (ko) 음식물 포장용 상자
KR20230031484A (ko) 일회용 식품 포장상자
NZ566699A (en) Fast food or hamburger box
US9873544B1 (en) Beverage carton divider
US20160318650A1 (en) Strong nestable paper food tray
EP1801022B1 (en) Package adapted to receive an opening device
KR20120004177U (ko) 음식물 포장용 박스
SE543091C2 (en) Fast food packaging with Cup-holder
US11912483B1 (en) Multi-functional catering container
KR100825206B1 (ko) 원터치 잠금기능을 갖는 일회용 포장용기
US11618607B2 (en) Leak resistant feature for bliss box
KR200468395Y1 (ko)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KR20190015890A (ko) 음식물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