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269B1 - 기능성 액자포장박스 - Google Patents

기능성 액자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269B1
KR101990269B1 KR1020190026384A KR20190026384A KR101990269B1 KR 101990269 B1 KR101990269 B1 KR 101990269B1 KR 1020190026384 A KR1020190026384 A KR 1020190026384A KR 20190026384 A KR20190026384 A KR 20190026384A KR 101990269 B1 KR101990269 B1 KR 101990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ver
sides
covers
pack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희
Original Assignee
이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희 filed Critical 이주희
Priority to KR1020190026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formed by two mating halves joined to opposite edges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56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made of cord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액자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액자(P)가 배치되는 베이스판(10)과; 베이스판(10)의 상,하부측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액자(P)의 상,하부 측면 및 후방을 덮는 상,하부 덮개(20)(30)와; 베이스판(10)의 좌,우측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액자(P)의 좌,우 측면 및 후방을 덮는 좌,우측 덮개(40)(50)와; 좌,우측 덮개(40)(50)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좌,우측 덮개(40)(50)가 액자 후방을 덮을 때 절곡 및 상호 밀착되면서 액자의 배면(P0)에 지지되는 좌,우측 보강날개(60)(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액자포장박스{PICTURE FRAME PACKING BOX}
본 발명은 기능성 액자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자를 테이핑 작업없이 포장하여 빠른 포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포장 이후에 중앙이 눌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관 및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능성 액자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을 교체하면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장에서 생산된 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판매자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액자는 사각형 프레임에 사진을 지지하는 배면이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이동 및 보관 과정이나 액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장박스에 포장되어 유통된다.
도 1 은 종래의 액자포장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액자포장박스가 테이프에 의하여 테이핑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자포장박스는, 액자(P)가 배치되는 베이스판(1)의 상,하부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하부 덮개(2)(3)와, 베이스판(1)의 좌,우측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 덮개(4)(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액자포장박스는, 좌,우측 덮개(4)(5)가 액자(P)의 후방을 덮고, 상,하 덮개(2)(3)가 좌,우측 덮개(4)(5) 및 액자 후방을 덮은 상태에서, 마주보는 상,하부 덮개(2)(3)를 접착 테이프(6)가 테이핑함으로써 포장이 완료되었다. 이때 테이프(6)는 상,하 덮개(2)(3)를 연결하여 열리지 않게 함으로써 포장대상물인 액자(P)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그런데 액자를 포장할 때 접착테이프(6)로 테이핑하는 공정이 요구되어 포장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이는 유통 단가의 상승으로 이어져 제품 가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테이프(6)로 테이핑된 상,하부 덮개(2)(3)와 액자 배면(P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푹 꺼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액자가 파손되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테이프로 테이핑하지 않고 액자를 빠르게 포장할 수 있고, 포장된 후 포장박스가 푹 꺼지지 않게 함으로써 액자가 파손되거나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액자포장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별 이송시 휴대가 간편하도록 할 수 있어 소량 판매가 가능한 기능성 액자포장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액자포장박스는, 액자(P)가 배치되는 베이스판(10); 상기 베이스판(10)의 상,하부측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액자(P)의 상,하부 측면 및 후방을 덮는 상,하부 덮개(20)(30); 상기 베이스판(10)의 좌,우측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액자(P)의 좌,우 측면 및 후방을 덮는 좌,우측 덮개(40)(50); 및 상기 좌,우측 덮개(40)(50)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좌,우측 덮개(40)(50)가 상기 액자 후방을 덮을 때 절곡 및 상호 밀착되면서 상기 액자의 배면(P0)에 지지되는 좌,우측 보강날개(60)(70);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 덮개(20)(30)는, 상기 베이스판(10)의 상,하부측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액자(P)의 상,하부 측면을 덮는 상,하부 측판(21)(31)과, 상기 상,하부 측판(21)(31)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액자 후방을 덮는 상,하부 후방판(22)(32)과, 상기 상,하부 측판(21)(31)의 좌,우측으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액자(P)의 좌,우측 측면에 밀착되는 상,하부 날개(23)(33)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후방판(22)(32)의 중앙에서 일부 절개된 것으로서, 상기 좌,우측 보강날개(60)(70)가 끼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상,하부 끼움절개홈(24)(34)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덮개(40)를 구성하는 좌측 후방판(42)에는 상기 좌측 보강날개(60)에서 분리되는 비절곡돌부(45)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덮개(50)를 구성하는 우측 후방판(52)과 상기 우측 보강날개(70)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비절곡돌부(45)가 끼어지는 돌부끼움공(5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좌측 측판(41)에 형성된 것으로서, 손잡이가 끼어져 결합되는 한쌍의 손잡이 끼움공(8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우측 측판(51)에 형성된 것으로서, 고무줄이 끼어져 결합되는 한쌍의 고무줄 끼움공(9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측 덮개가 액자 후방을 덮을 때 절곡 및 상호 밀착되면서 액자배면(P0)에 지지되는 좌,우측 보강날개를 포함함으로써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액자(P)를 빠르게 포장할 수 있고, 포장된 이후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좌,우측 덮개가 푹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끼움공 및 고무줄 끼움공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손잡이 또는 고무줄을 끼어 결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개별 이송시 휴대가 간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액자포장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액자포장박스가 테이프에 의하여 테이핑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포장박스의 전개도,
도 4는 도 3의 액자포장박스가 액자를 포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액자포장박스의 좌측 및 우측 보강날개가 포개어지면서 끼움절개홈에 끼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액자포장박스가 액자를 완전히 포장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3의 좌측덮개에 비절곡돌부가, 그리고 우측덮개에 비절곡돌부가 끼어지는 돌부끼움공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액자포장박스가 액자를 포장하는 과정에서 비절곡돌부가 돌부끼움공에 끼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6의 액자포장박스에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6의 액자포장박스에 고무줄이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액자포장박스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포장박스의 전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액자포장박스가 액자를 포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액자포장박스의 좌측 및 우측 보강날개가 포개어지면서 끼움절개홈에 끼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액자포장박스가 액자를 완전히 포장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액자포장박스는, 액자(P)가 배치되는 베이스판(10)과; 베이스판(10)의 상,하부측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액자(P)의 상,하부 측면 및 후방을 덮는 상,하부 덮개(20)(30)와; 베이스판(10)의 좌,우측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액자(P)의 좌,우 측면 및 후방을 덮는 좌,우측 덮개(40)(50)와; 좌,우측 덮개(40)(50)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좌,우측 덮개(40)(50)가 액자 후방을 덮을 때 절곡 및 상호 밀착되면서 액자배면(P0)에 지지되는 좌,우측 보강날개(60)(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액자포장박스는, 골판지나 하드보드지를 재단하거나 톰슨 가공함으로써 구현된다.
액자(P)는 사각형 프레임(F)의 내측에 사진을 지지하는 액자배면(P0)이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프레임(F)의 연장면과 액자배면(P0)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빈 공간은, 포장된 박스에 외력이 인가될 때 푹 꺼지게 되는 원인이 되고, 이는 상품성의 저하로 연결되었음은 전술한 바 있다.
상,하부 덮개(20)(3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의 상,하부측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액자(P)의 상,하부 측면을 덮는 상,하부 측판(21)(31)과, 상,하부 측판(21)(31)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액자 후방을 덮는 상,하부 후방판(22)(32)과, 상,하부 측판(21)(31)의 좌,우측으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액자(P)의 좌,우측 측면에 밀착되는 상,하부 날개(23)(33)를 포함한다.
상부 측판(21) 및 상부 후방판(22)은 베이스판(10)의 상부측에 절곡선에 의하여 절곡되며, 상부 날개(23)는 상부 측판(21)의 좌,우측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부 덮개(20)가 액자(P)를 덮을 때, 절곡되는 상부 측판(21)은 액자의 상부 측면에 밀착되고, 상부 후방판(22)은 액자 후방측에 덮여지며, 상부 날개(23)는 액자의 좌,우 측면에 밀착되며,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덮개(20)는 액자의 상부측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완전히 포장할 수 있다.
하부 측판(31) 및 하부 후방판(32)은 베이스판(10)의 하부측에 절곡선에 의하여 절곡되며, 하부 날개(33)는 하부 측판(31)의 좌,우측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하부 덮개(30)가 액자(P)를 덮을 때, 절곡되는 하부 측판(31)은 액자의 하부 측면에 밀착되고, 하부 후방판(32)은 액자 후방측에 덮여지며, 하부 날개(33)는 액자의 좌,우 측면에 밀착되며,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덮개(30)는 액자의 하부측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완전히 포장할 수 있다.
한편, 상부 및 하부 후방판(22)(32)의 중앙에는, 일부 절개된 상,하부 끼움절개홈(24)(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하부 끼움절개홈(24)(34)은 후술할 좌,우측 보강날개(60)(70)가 끼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상,하부 후방판(22)(32)이 열려지지 않게 한다.
좌,우측 덮개(40)(50)는, 베이스판(10)의 좌,우측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액자(P)의 좌,우 측면(P1)을 덮는 좌,우 측판(41)(51)과, 좌,우 측판(41)(51)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상,하부 후방판(22)(32)을 덮은 상태에서 액자 후방을 덮는 좌,우측 후방판(42)(52)을 포함한다.
좌측 측판(41) 및 좌측 후방판(42)은, 베이스판(10)의 좌측에 절곡선에 의하여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좌측 덮개(40)가 액자(P)를 덮을 때, 절곡되는 좌측 측판(41)은 액자의 좌측 측면에 밀착되고, 좌측 후방판(42)은 액자 후방측에 덮여진다.
우측 측판(51) 및 우측 후방판(52)은, 베이스판(10)의 우측에 절곡선에 의하여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우측 덮개(50)가 액자(P)를 덮을 때, 절곡되는 우측 측판(51)은 액자의 우측 측면에 밀착되고, 우측 후방판(52)은 액자 후방측에 덮여진다.
좌,우측 보강날개(60)(70)는 좌,우측 덮개(40)(50), 엄밀하게 말하면 좌,우측 후방판(42)(52)에 절곡선에 의하여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좌,우측 보강날개(60)(70)는 좌,우측 후방판(42)(52)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하부 후방판(22)(32)의 중앙에 형성된 상,하부 끼움절개홈(24)(34)에 끼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좌,우측 보강날개(60)(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덮개(40)(50)가 액자(P)를 완전히 덮을 때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하부 끼움절개홈(24)(34)에 끼어지면서 액자배면(P0)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상,하부 끼움절개홈(24)(34)에 끼어진 좌,우측 보강날개(60)(70)는 좌,우측 덮개(40)(50)가 열리지 않게 지지하고, 또한 액자배면(P0)에 지지됨에 따라 좌,우측 덮개(40)(50)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푹 꺼지지 않게 되어 상품성이 유지된다.
도 8은 도 3의 좌측덮개에 비절곡돌부가, 그리고 우측덮개에 비절곡돌부가 끼어지는 돌부끼움공이 형성되고, 도 9는 도 8의 액자포장박스가 액자를 포장하는 과정에서 비절곡돌부가 돌부끼움공에 끼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덮개(40)를 구성하는 좌측 후방판(42)에는 좌측 보강날개(60)에서 분리되는 비절곡돌부(45)가 형성되고, 우측 덮개(50)를 구성하는 우측 후방판(52)과 우측 보강날개(70)의 모서리 부분에는 비절곡돌부가 끼어지는 돌부끼움공(5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비절곡돌부(4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덮개(40)와 우측 덮개(50)가 액자 후방측에 포개어질 때 돌부끼움공(55)에 끼어진다. 이때 비절곡돌부(45)는 좌측 후방판(42)에서 비절곡되어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비절곡돌부(45)사 돌부끼움공(55)에 끼어지면 좌측 덮개(40)와 우측 덮개(50)는 상호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좌측 덮개(40) 및 우측 덮개(50)가 잘 열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 후방판(22)(32)의 상부면과 좌측 후방판(42) 및 우측 후방판(52)의 배면 사이에는 상호 탈부착되는 제1,2벨크로(V1)(V2)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벨크로(V1)가 좌측 후방판(42) 및 우측 후방판(52)의 배면에 설치되고, 제2벨크로(V2)가 상부 및 하부 후방판(22)(32)의 상부면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2벨크로(V1)(V2)에 의하여, 좌측 덮개(40) 및 우측 덮개(50)가 덮여지면, 좌측 및 우측 후방판(42)(52)의 제1벨크로(V1)가 상부 및 하부 후방판(22)(32)의 벨크로(V2)에 부착되고, 이에 따라 휴대 도중에도 의도되지 않은 상황에서 좌측 및 우측 덮개(40)(50)가 열리지 않게 된다.
도 10은 도 6의 액자포장박스에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좌측 측판(4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손잡이가 끼어져 결합되는 한쌍의 손잡이 끼움공(80)이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 끼움공(80)에 연성 플라스틱이나 종이로 만든 손잡이(H)가 선택적으로 끼어지는데, 손잡이(H)가 끼어져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를 포장한 액자포장박스를 손잡이(H)를 잡고 휴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6의 액자포장박스에 고무줄이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측 측판(5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고무줄이 끼어져 결합되는 한쌍의 고무줄 끼움공(90)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무줄 끼움공(90)에 신축되는 고무줄이 선택적으로 끼어지는데, 고무줄(B)이 끼어져 결합된 상태에서 고무줄(B)을 신장시켜 액자포장박스 둘레에 걸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도중에 좌,우측 덮개(40)(50)가 열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좌,우측 덮개(40)(50)가 액자 후방을 덮을 때 절곡 및 상호 밀착되면서 액자배면(P0)에 지지되는 좌,우측 보강날개(60)(70)를 포함함으로써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액자(P)를 빠르게 포장할 수 있고, 포장된 이후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좌,우측 덮개(40)(50)가 푹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끼움공(80) 및 고무줄 끼움공(90)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손잡이(H) 또는 고무줄(B)을 끼어 결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개별 이송시 휴대가 간편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베이스판 20 ... 상부 덮개
21 ... 상부 측판 22 ... 상부 후방판
23 ... 상부 날개 24 ... 상부 끼움절개홈
30 ... 하부 덮개 31 ... 하부 측판
32 ... 하부 후방판 33 ... 하부 날개
34 ... 하부 끼움절개홈 40 ... 좌측 덮개
41 ... 좌측 측판 42 ... 좌측 후방판
45 ... 비절곡돌부 50 ... 우측 덮개
51 ... 우측 측판 52 ... 우측 후방판
55 ... 돌부끼움공 60 ... 좌측 보강날개
70 ... 우측 보강날개 80 ... 손잡이 끼움공
90 ... 고무줄 끼움공

Claims (6)

  1. 액자(P)가 배치되는 베이스판(10);
    상기 베이스판(10)의 상,하부측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액자(P)의 상,하부 측면 및 후방을 덮는 상,하부 덮개(20)(30);
    상기 베이스판(10)의 좌,우측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액자(P)의 좌,우 측면 및 후방을 덮는 좌,우측 덮개(40)(50); 및
    상기 좌,우측 덮개(40)(50)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좌,우측 덮개(40)(50)가 상기 액자 후방을 덮을 때 절곡 및 상호 밀착되면서 상기 액자의 배면(P0)에 지지되는 좌,우측 보강날개(60)(70);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 덮개(20)(30)는, 상기 베이스판(10)의 상,하부측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액자(P)의 상,하부 측면을 덮는 상,하부 측판(21)(31)과, 상기 상,하부 측판(21)(31)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액자 후방을 덮는 상,하부 후방판(22)(32)과, 상기 상,하부 측판(21)(31)의 좌,우측으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액자(P)의 좌,우측 측면에 밀착되는 상,하부 날개(23)(33)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후방판(22)(32)의 중앙에서 일부 절개된 것으로서, 상기 좌,우측 보강날개(60)(70)가 끼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상,하부 끼움절개홈(24)(34)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덮개(40)를 구성하는 좌측 후방판(42)에는 상기 좌측 보강날개(60)에서 분리되는 비절곡돌부(45)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덮개(50)를 구성하는 우측 후방판(52)과 상기 우측 보강날개(70)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비절곡돌부(45)가 끼어지는 돌부끼움공(5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액자포장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측판(41)에 형성된 것으로서, 손잡이(H)가 끼어져 결합되는 한쌍의 손잡이 끼움공(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액자포장박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측판(51)에 형성된 것으로서, 고무줄(B)이 끼어져 결합되는 한쌍의 고무줄 끼움공(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액자포장박스.
KR1020190026384A 2019-03-07 2019-03-07 기능성 액자포장박스 KR101990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384A KR101990269B1 (ko) 2019-03-07 2019-03-07 기능성 액자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384A KR101990269B1 (ko) 2019-03-07 2019-03-07 기능성 액자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269B1 true KR101990269B1 (ko) 2019-06-17

Family

ID=6706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384A KR101990269B1 (ko) 2019-03-07 2019-03-07 기능성 액자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2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514U (ko) * 1990-07-23 1992-03-25
JPH0595821U (ja) * 1992-06-09 1993-12-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保護パッケージ
KR20010016501A (ko) * 2000-12-15 2001-03-05 안영각 계란 포장용기
KR20110003040U (ko) * 2009-09-18 2011-03-24 다인에프씨 주식회사 닭튀김용 종합포장케이스
KR20190011983A (ko) * 2017-07-26 2019-02-08 주식회사 대원지앤피 음식물 포장용 상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514U (ko) * 1990-07-23 1992-03-25
JPH0595821U (ja) * 1992-06-09 1993-12-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保護パッケージ
KR20010016501A (ko) * 2000-12-15 2001-03-05 안영각 계란 포장용기
KR20110003040U (ko) * 2009-09-18 2011-03-24 다인에프씨 주식회사 닭튀김용 종합포장케이스
KR20190011983A (ko) * 2017-07-26 2019-02-08 주식회사 대원지앤피 음식물 포장용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937B1 (ko) 일체형 모바일 디바이스 운송 용기 및 가상현실 헤드셋
US7946426B2 (en) Package material
KR101990269B1 (ko) 기능성 액자포장박스
JP2003237846A (ja) 二重梱包箱
JP2008050025A (ja) 紙製包装箱
US3101843A (en) Spectacle shipping carton insert
JPH11208726A (ja) 衝撃吸収包装体
US20200307884A1 (en) Packaging structure
US11161669B2 (en) Packaging apparatus and inner box thereof
JP2005145523A (ja) 包装用容器及び包装方法
JP2005280774A (ja) 包装容器
JP2004129763A (ja) かばん
JP2003237771A (ja) ディスプレーカートン
JP7330625B2 (ja) 荷札ケース
JPH11227751A (ja) カメラ製品の包装箱
JP2003034358A (ja) 展示容器
JP3023757B2 (ja) ビデオカセット送付用パッケージ
JPH11258739A (ja) 写真フイルム用カートリッジの包装体
JP2023116103A (ja) 物品支持材および梱包材
JPH09132284A (ja) 包丁包装体
JP2003192009A (ja) 遊技盤梱包装置
JP2004123104A (ja) 手提式容器包装箱
JP2020033069A (ja) 包装箱
JP2002104395A (ja) 梱包箱
JP2004102221A (ja) ロール状感光材料の包装用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