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937B1 - 일체형 모바일 디바이스 운송 용기 및 가상현실 헤드셋 - Google Patents
일체형 모바일 디바이스 운송 용기 및 가상현실 헤드셋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3937B1 KR102043937B1 KR1020177031468A KR20177031468A KR102043937B1 KR 102043937 B1 KR102043937 B1 KR 102043937B1 KR 1020177031468 A KR1020177031468 A KR 1020177031468A KR 20177031468 A KR20177031468 A KR 20177031468A KR 102043937 B1 KR102043937 B1 KR 1020439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portion
- lens
- electronic device
- button mechanism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8—Viewing or read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6—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 G02B23/18—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for binocular arrang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 G02B27/22—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02B2027/013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of stereoscopic typ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yeglass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일반적인 양태에서, 장치는 제1 면에서 개방되는 베이스 부분, 베이스 부분의 제2 면 내에 배치되는 제1 렌즈와 제2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베이스 부분의 내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되는 레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지는 베이스 부분의 제1 면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제1 면에서는 개방되고 제2 면에서는 폐쇄되는 뚜ㄲJd 부분과, 베이스 부분을 뚜껑 부분에 결합시키는 경첩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 뚜껑 부분 및 경첩은,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힌지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패키징(예를 들어, 스마트폰 운송 용기)로, 각각의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일체형 가상현실 헤드셋을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패키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운송 용기가 가상현실 헤드셋으로서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 패키징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2월 24일자에 출원된 "일체형 모바일 장치 패키징 및 가상현실 헤드셋"이라는 명칭의 미국 정규출원 제15/052,43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제15/052,432의 계속출원이며, 제15/052,432호는 2015년 7월 31일자에 출원된 "스마트폰 패키징 및 가상현실 헤드셋"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 제14/815,12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제14/815,124호의 부분 계속 출원이다. 제15/052,432호 및 제14/815,124호는 모두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일반적인 양태에서, 장치는 제1 면에서 개방되는 베이스 부분과, 베이스 부분의 제2 면 내에 배치되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베이스 부분의 내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되는 레지(ledge)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지는 베이스 부분의 제1 면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제1 면에서는 개방되고 제2 면에서는 폐쇄되는 뚜껑 부분과,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을 결합시키는 경첩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 뚜껑 부분 및 경첩은,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힌지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현예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은 대응하는 각진 접합면들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제1 렌즈 개구, 제2 렌즈 개구 및 내측 베이스 부분을 구비하는 외측 베이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와 정렬되는 제1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와 정렬되는 제2 렌즈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을 외측 베이스 부분에 부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 베이스 부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고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 내에 제1 렌즈의 광학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 내에 제2 렌즈의 광학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와 제2 렌즈 각각은,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제1 렌즈와 제2 렌즈를 고정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탭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은,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에 형성되는 절단부(cutout)를 구비할 수 있다. 절단부는 사용자의 코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베이스 부분과 부착되는 버튼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은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버튼 메커니즘과 관련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를 통해 버튼 메커니즘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은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은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고정되게 유치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버튼 메커니즘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베이스 부분은 버튼 메커니즘과 관련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를 통해 버튼 메커니즘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리세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은 리세스 부분에 고정되게 접착되어, 버튼 메커니즘이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고정되게 유치되도록 한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버튼 메커니즘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경첩은 제1 경첩부와 제2 경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첩부는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 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경첩부는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반적인 양태에서, 제조 물품은 제1 면에서 개방되는 베이스 부분과, 베이스 부분의 제2 면 내에 배치되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은 또한, 베이스 부분의 내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되는 레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지는 베이스 부분의 제1 면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품은 또한, 제1 면에서는 개방되고 제2 면에서는 폐쇄되는 뚜껑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물품은 또한,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을 결합시키는 경첩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 뚜껑 부분 및 경첩은,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힌지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품은 또한,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 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은 베이스 부분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트레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와 트레이 사이에 물리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는 전자 디바이스용 액세서리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은 대응하는 각진 접합면들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외측 베이스 부분과 내측 베이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베이스 부분은 제1 렌즈 개구와 제2 렌즈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와 정렬되는 제1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와 정렬되는 제2 렌즈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을 외측 베이스 부분에 부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측 베이스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 베이스 부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와 제2 렌즈는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고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렌즈의 광학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의 광학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은,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에 형성되는 절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절단부는 사용자의 코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품은 베이스 부분에 부착되는 버튼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은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첩은 제1 경첩부와 제2 경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첩부는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 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경첩부는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하의 설명에서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대한 세부 사항이 설명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 그리고 청구항들로부터 다른 특징들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일체형 모바일 디바이스 운송 용기(패키징)와 가상현실(VR) 헤드셋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운송 용기 및 VR 헤드셋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운송 용기 및 VR 헤드셋의 저변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뚜껑 부분이 힌지 방식으로 개방 위치로 이동된 도 1의 일체형 운송 용기와 VR 헤드셋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운송 용기와 VR 헤드셋의 뚜껑 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4a의 뚜껑 부분의 바닥-측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도 4b의 절단선 4C-4C를 따라 취해진 도 4a및 도 4b의 뚜껑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운송 용기와 VR 헤드셋의 버튼 메커니즘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5a의 버튼 메커니즘에 대한 상부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5a의 버튼 메커니즘에 대한 우측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5a의 버튼 메커니즘에 적용될 수 있는 도전성 테이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6a의 도전성 테이프의 우측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운동 용기와 VR 헤드셋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액세서리 트레이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7a의 액세서리 트레이의 저면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c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7a의 액세서리 트레이의 편평하고, 미리-접힌 구성으로 도시되는 제1 부분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d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7a의 액세서리 트레이의 편평하고, 미리-접힌 구성으로 도시되는 제2 부분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운송 용기와 VR 헤드셋의 베이스 부분의 내측 부분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8a의 내측 부분을 절단선 8B-8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8a의 내측 부분을 절단선 8C-8C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d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8a의 내측 부분에 대한 저면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e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8a의 내측 부분에 대한 좌측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f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8a의 내측 부분에 대한 상부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운송 용기와 VR 헤드셋의 베이스 부분의 외측 부분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9a의 외측 부분에 대한 상부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c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9a의 외측 부분에 대한 저면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d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9a의 내측 부분에 대한 좌측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운송 용기와 VR 헤드셋의 한 쌍의 렌즈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구현예에 따른, 도 8a의 내측 부분과 외측 부분(9A)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한다. 일부 유사한 요소들에 대한 참조 번호들은 그러한 모든 요소들에 대해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주어진 한 구현예의 특정 요소들에 대한 일부 참조 부호들은 그 구현예에 대응하는 각 도면에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주어진 한 구현예의 특정 요소들에 대한 일부 참조 부호들은 그 구현예와 대응하는 다른 도면들에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지만, 각각의 대응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특별하게 논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운송 용기 및 VR 헤드셋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운송 용기 및 VR 헤드셋의 저변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뚜껑 부분이 힌지 방식으로 개방 위치로 이동된 도 1의 일체형 운송 용기와 VR 헤드셋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운송 용기와 VR 헤드셋의 뚜껑 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4a의 뚜껑 부분의 바닥-측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도 4b의 절단선 4C-4C를 따라 취해진 도 4a및 도 4b의 뚜껑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운송 용기와 VR 헤드셋의 버튼 메커니즘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5a의 버튼 메커니즘에 대한 상부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5a의 버튼 메커니즘에 대한 우측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5a의 버튼 메커니즘에 적용될 수 있는 도전성 테이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6a의 도전성 테이프의 우측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운동 용기와 VR 헤드셋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액세서리 트레이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7a의 액세서리 트레이의 저면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c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7a의 액세서리 트레이의 편평하고, 미리-접힌 구성으로 도시되는 제1 부분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d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7a의 액세서리 트레이의 편평하고, 미리-접힌 구성으로 도시되는 제2 부분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운송 용기와 VR 헤드셋의 베이스 부분의 내측 부분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8a의 내측 부분을 절단선 8B-8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8a의 내측 부분을 절단선 8C-8C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d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8a의 내측 부분에 대한 저면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e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8a의 내측 부분에 대한 좌측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f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8a의 내측 부분에 대한 상부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운송 용기와 VR 헤드셋의 베이스 부분의 외측 부분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9a의 외측 부분에 대한 상부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c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9a의 외측 부분에 대한 저면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d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9a의 내측 부분에 대한 좌측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운송 용기와 VR 헤드셋의 한 쌍의 렌즈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구현예에 따른, 도 8a의 내측 부분과 외측 부분(9A)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한다. 일부 유사한 요소들에 대한 참조 번호들은 그러한 모든 요소들에 대해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주어진 한 구현예의 특정 요소들에 대한 일부 참조 부호들은 그 구현예에 대응하는 각 도면에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주어진 한 구현예의 특정 요소들에 대한 일부 참조 부호들은 그 구현예와 대응하는 다른 도면들에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지만, 각각의 대응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특별하게 논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는 다른 가상현실(VR) 헤드셋의 구현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가상현실(VR) 헤드셋들(VR 고글이라고도 함)을 대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VR 헤드셋들은, 대응하는 소비자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제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운송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운송 용기(예를 들어, 상업적 패키징)와 일체화될 수 있다. 즉, 소비자는 이러한 운송 용기(소비자는 그 용기 안에 있는 대응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수취함)를 VR 헤드셋으로서 사용하여, 대응하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되거나 재생될 수 있는 VR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츠와 관련된 시각적 이미지들을 경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에 의해, 일체형 운송 용기 및 VR 헤드셋은 일체형 운송 용기, 일체형 패키징, 운송 용기, 패키징, 일체형 VR 헤드셋, 일체형 헤드셋, VR 헤드셋, 헤드셋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이러한 (주어진 소비자 전자 디바이스용) 일체형 운송 용기는 (예를 들어, 일체형 VR 헤드셋이 주어진 전자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도록 특정하게 설계된 경우), (예를 들어, 수취하는 소비자에 의해) VR 헤드셋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VR 헤드셋의 요소들은 특정하게 설계된 운송 용기의 하나 이상의 요소들과 통합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일체형 운송 용기를 사용하여 포장되고 운송된 전자 디바이스를 수취한 후에, 소비자는 일체형 운송 용기로부터 전자 디바이스의 포장을 풀고,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예를 들어, 케이블 등)를 꺼내고,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보호용 포장재를 모두 제거(예를 들어, 폐기 또는 재활용)하고, 일체형 VR 헤드셋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시청하기에 적합한 배향으로 일체형 VR 헤드셋에 전자 디바이스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면 소비자는 VR 어플리케이션들과 관련된 (VR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들 또는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들은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고, 콘텐츠를 가상현실 콘텐츠(예를 들어, 가상의 3차원 뷰)로써 경험할 수 있도록 일체형 VR 헤드셋을 사용하여 시청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일체형 운송 용기 및 VR 헤드셋 구현예들은 예시로서 주어진다. 따라서, 한 구현예의 특징들은 적절한 경우 다른 구현예들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구현예의 특징들은 다른 구현예들에서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현예들의 요소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축척대로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주어진 장치의 특정 요소들의 배치는 특정 구현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본 명세서에 도시 및 기술되는 예시적인 일체형 운송 용기 및 VR 헤드셋 구현예들의 다양한 요소들은 예컨대 상부, 좌측, 우측, 바닥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참조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예시적인 구현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의 방법으로서 사용된다. 다른 구현예들, 또는 다른 배향들에서, 이러한 참조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도면에서 VR 헤드셋의 좌측은 그 VR 헤드셋의 다른 도면에서, 또는 다른 VR 헤드셋 구현예에서 우측으로써 칭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이러한 상대적인 용어들은 한 구현예의 다양한 측면들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의 우측-측면도로써 도시된 도면은 관련된 사시도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구현예의 우측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일체형 운송 용기 및 VR 헤드셋 구현예들의 요소들은, 예를 들어 제1, 제2 등과 같은 열거형 참조를 사용하여 참조될 수 있다. 상대적인 참조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열거형 참조들은 일체형 운송 용기 및 VR 헤드셋의 (주어진 도면에서의) 특정 배향 또는 특정 구현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도면에서 제1 단부 또는 제1 면은 또 다른 도면에서 또는 다른 일체형 VR 헤드셋 구현예를 설명할 때, 제2 단부 또는 제2 면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도면에 도시된 주어진 구현예의 요소들은 그 구현예에 대한 또 다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예를 들어, 운송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자 디바이스 보호용 포장재는, 도 1의 구현예에 관한 각각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들에 특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일체형 운송 용기와 VR 헤드셋의 요소들은 예컨대 뚜껑 부분, 보호 슬리브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 요소 상에 배치 또는 인쇄되는 로고 및/또는 브랜딩(brand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로고들 또는 브랜딩은 특정 구현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일체형 운송 용기(패키징)와 가상현실(VR) 헤드셋(1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일체형 운송 용기와 VR 헤드셋(100)은 일체형 운송 용기와 VR 헤드셋(100)을 운송 용기(예를 들어, 상업용 패키징)으로써 사용할 때 포함될 수 있는 요소들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구현예에서 일체형 운송 용기 및 VR 헤드셋(일체형 VR 헤드셋)(100)은 외측 베이스 부분(110) 및 내부 베이스 부분(114)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체형 VR 헤드셋(100)은 외측 베이스 부분(110)과 내측 베이스 부분(114)을 부착(접착, 고정, 결합 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접착층(11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외측 베이스 부분(110)과 내측 베이스 부분(114)을 부착하는 데에, 예컨대 접착제, 테이프, 에폭시, 후크와 루프, 또는 적절한 접착 재료 또는 연결 재료와 같은 다른 접근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베이스 부분(예를 들어, 접착층(114)으로 외측 베이스 부분(110)에 부착되어, 렌즈들(120)을 하우징하는 내측 베이스 부분(110))는 제1 면이 개방된 섀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베이스 부분은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면, 우측 면, 하부면 및 상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에서, 베이스 부분의 좌측 면, 우측 면, 하부면 및 상부면은 (예를 들어, 도 1의 내측 베이스 부분(112) 및 외측 베이스 부분(110)의 상향인 개방 면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의 개방되는 제1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체형 VR 헤드셋(100)은 또한, 예를 들어 외측 베이스 부분(110)이 내측 베이스 부분(112)과 부착될 때, 외측 베이스 부분(110)과 내측 베이스 부분(112) 사이에 장착(고정, 유지 등)될 수 있는 한 쌍의 렌즈(120)(예를 들어, 제1 비구면 렌즈 및 제2 비구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체형 VR 헤드셋(100) 또한, 뚜껑 부분(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VR 헤드셋(100)에서, 일체형 VR 헤드셋의 뚜껑 부분(130)은 베이스 부분에 힌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실시 예에서는, 도 1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제1 경첩부(140)가 뚜껑 부분(130)에 부착될 수 있고, 제2 경첩부(142)는 외측 베이스 부분(11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경첩부(140)는 제2 경첩부(142)와 (예를 들어, 접착적으로, 기계적으로, 등) 맞물려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제1 경첩부(140) 및 제2 경첩부 모두는 뚜껑 부분과 베이스 부분(예를 들어, 외측 베이스 부분 및/또는 내측 베이스 부분(112)) 모두에 맞물려질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들에서, 일체형 VR 헤드셋(100)은 뚜껑 부분(130)과 베이스 부분을 힌지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단일 경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경첩부들(140, 142)은 예컨대 플라스틱, 직물, 코팅된 종이, 접착제로 코팅된 폴리머 등과 같은 다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경첩부들(140, 142)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경첩부들(140, 142)은 서로 맞물렸을 때 그들의 맞물림 지점(연결 지점 등)에서 힌지 방식으로 이동하는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들에서, 경첩부들(140, 142)은 다수의 적절한 재료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VR 헤드셋(100)은 버튼 메커니즘(150)도 포함할 수 있으며, 버튼 메커니즘은 예컨대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버튼으로부터 전자 디바이스(170)의 터치스크린에 선택 가능한 전도성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사용자가 대응하는 전자 디바이스(17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재생 또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VR 콘텐츠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메커니즘(150)은 내측 베이스 부분(112)과 외측 베이스 부분(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버튼 메커니즘이 외측 베이스 부분(110) 및/또는 내측 베이스 부분(112)에 부착(예를 들어, 접착, 점착, 결합 등)되어, 버튼 메커니즘이 일체형 VR 헤드셋(100) 내에서 고정 정렬(고정 위치, 고정 배열 등)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겠지만, 버튼 메커니즘(150)은 쐐기(151)와 블록(154)을 포함할 수 있다. 쐐기(151)는 내측 베이스 부분(112)을 관통하여 연장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른 베이스 부분(110)의 입력 버튼 개구를 통해 버튼 메커니즘을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170)의 터치스크린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일체형 VR 헤드셋(100)과 같은 구현예들에서, 버튼 메커니즘(150)은 (예를 들어, 내측 베이스 부분(112) 및/또는 외측 베이스 부분(110)과 함께) 탄성(resilient)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언하면, 버튼 메커니즘(150)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려지거나, 외부적인 힘에 노출되지 않고, 쐐기가 전자 디바이스(170)의 터치 스크린과 접촉하지 않도록 버튼 메커니즘(150)이 편향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예를 들어, 쐐기(151)의 외측 표면이 전자 디바이스(170)의 터치 스크린과 접촉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버튼 메커니즘(150)을 누르는 데에 사용된 외부적인 힘이 제거되고 나면, 버튼 메커니즘(150)은 편향된 위치(정상 위치) (예를 들어, 쐐기(151)가 전자 디바이스(170)의 터치 스크린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위치)로 복귀할 것이다.
예컨대, 탄성 발포 재료와 같은 탄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블록(154)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고 난 후에 (예를 들어, 외부적인 힘이 제거되고 나면) 버튼 메커니즘이 편향된 위치(정상위치)로 복귀하도록, 버튼 메커니즘(150)에 대한 스프링 력을 제공할 수 있다. 블록(154)은 또한, 버튼 메커니즘(150)에 대한 정지부(stop)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메커니즘(150)이 눌려지면, 블록(154)은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배면(도 1에서는 보이지는 않음)에 대해 가압되어, 쐐기(151)가 전자 디바이스(170)의 터치 스크린에 과도한 압력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더 이상 눌려지지 않을 때(예를 들어, 외부적인 힘이 제거되고, 버튼 메커니즘이 해제되는 등)에는 버튼 메커니즘 (150)이 블록(154)의 탄성으로 인해 편향된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쐐기(151)는 예컨대 전도성 발포체와 같은 전도성 재료 또는 다른 적절한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쐐기(151)는 비-전도성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전도성 재료로 코팅 또는 피복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메커니즘은, 쐐기(151)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예를 들어, 외측 베이스 부분(110)의 입력 버튼 개구를 통해 노출되도록) 버튼 메커니즘(150)의 배면 주위로 연장하는 도전성 테이프(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외측 베이스 부분(110)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버튼 메커니즘(150)의 일부로부터 쐐기(151)로의 전도성 경로를 생성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 메커니즘을 눌러, 쐐기(151)가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할 때, 사용자로부터 전자 디바이스(170)의 터치스크린까지의 접지 경로(ground path)가 생성되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70)에서 시청되고 있는 VR 콘텐츠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일체형 VR 헤드셋(1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도전성 테이프(152)의 예시적인 구현예가 도 6a 및 도 6b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며, 이하에서 더 설명된다.
도 1에 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체형 VR 헤드셋(100)은 액세서리 트레이(160)와 슬리브(외측 슬리브)(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체형 VR 헤드셋(100)은 (예를 들어, 액세서리 트레이(160)의 상부에 전자 디바이스(170)를 배치한 상태로) 전자 디바이스(170)를 운송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가 소비자에게 운송되는 동안, 전자 디바이스(170)에 대한 모든 대응하는 액세서리들(도시되지 않음)이 액세서리 트레이(16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세서리 트레이(160)는 전자 디바이스가 운송되는 동안, 예컨대 렌즈들(120)을 스크래치하는 것과 같이 액세서리들(120)이 손상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액세서리 트레이(160)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액세서리들은 USB(Universal Serial Bus) 충전 케이블, 전원 어댑터, 헤드셋, 제품 설명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액세서리 트레이(16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것 이외의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구성 요소들과는 다른 구성 요소들을 운송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액세서리 트레이(160)의 예시적인 구현예가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되며,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부분(130)이 베이스 부분에 힌지 방식으로 부착되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슬리브(180)는 뚜껑 부분(130) 및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베이스 부분(외측 베이스 부분(110)과 내측 베이스 부분(112) 포함)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에서, 액세서리 트레이(160), 전자 디바이스(170) 및 모든 대응하는 액세서리들이 뚜껑 부분(130)과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베이스 부분 내에 배치되는 운송(예를 들어, 제조자로부터 소비자로의 운송) 및 취급과정 동안, 슬리브(180)는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렌즈들(120)) 대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들에서, 슬리브(180)는, 슬리브(180)가 일체형 VR 헤드셋 (100)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절단 및/또는 제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접착 디스크 또는 스트립(예를 들어, 테이프)을 사용하여 외측 베이스 부분(110) 및/또는 뚜껑 부분(130)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일체형 VR 헤드셋(100)은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NFC) 태그(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예컨대 RFID 태그와 같은 또 다른 적절한 식별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NFC 태그를 사용하는 구현예에서, NFC 태그는, 예를 들어 일체형 운송 용기와 VR 헤드셋(100)의 뚜껑 부분(130)에 부착되는 배면 접착식 태그 또는 스티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이러한 NFC 태그는 내측 베이스 부분(112)과 외측 베이스 부분(110) 중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70)가 일체형 헤드셋(100)에 삽입될 때 (또는, 일체형 VR 헤드셋(100)과 근접할 때), 일체형 VR 헤드셋(100)을 전자 디바이스(170)에 식별하는 데에 이러한 NFC 태그(또는 다른 식별 메커니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NFC 태그를 사용한 전자 디바이스(170)에 의한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식별은, 전자 디바이스(170)로 하여금, 예를 들어 일체형 VR 헤드셋(100)이 전자 디바이스(170)와 부합하는지 (예를 들어, 일체형 VR 헤드셋(100)이 전자 디바이스(170)를 운송하는 용도 및 전자 디바이스(170) 상의 VR 콘텐츠를 시청하는 용도로 특정하게 설계되었는지)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다른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일체형 VR 헤드셋(100)이 그 디바이스 용으로 특정하게 설계되지 않은 디바이스)가, 예컨대 렌즈들(120)의 초점 거리,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물리적 치수 등과 같은 일체형 VR 헤드셋(100)에 대한 다수의 특성들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러한 NFC 태그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일체형 VR 헤드셋(100)이 그 디바이스 용으로 특정하게 설계되지 않은 디바이스)은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이러한 특성들(예를 들어, NFC 태그로부터 결정되는 특성들)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디바이스들이 시각적인 VR 콘텐츠를 랜더링하는 방법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70)는, 전자 디바이스(170)의 터치 스크린이 위를 향하거나(예를 들어,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170)의 배향), 전자 디바이스(170)의 터치 스크린이 아래를 향하도록(예를 들어,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170)의 배향) 하여 일체형 운송 용기와 VR 헤드셋(100) 내에 (예를 들어, 내측 베이스 부분(112) 내에 그리고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레지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70)는 일체형 VR 헤드셋(100)이 소비자에게 전자 디바이스(170)를 운송하는 데에 사용될 때, 터치 스크린-상향 배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 구현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70)는, 일체형 VR 헤드셋(100)이 VR 헤드셋으로써 사용될 때(예를 들어, VR 어플리케이션들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170) 상의 콘텐츠를 실행 및/또는 재생하는 것과 관련된 VR 이미지들을 시청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170)를 사용할 때)에는 터치스크린-하향 배향(액세서리 트레이(170)와 모든 대응하는 액세서리들은 제거된 상태임)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 따라서는, 외측 베이스 부분(110), 내측 베이스 부분(112), 뚜껑 부분(130), 액세서리 트레이(160) 및 슬리브(180)가 다수의 다양한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 일체형 운송 용기 및 VR 헤드셋(100)의 이러한 구성요소들 각각에 동일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서로 다른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재료들로써, 외측 베이스 부분(110), 내측 베이스 부분(112), 뚜껑 부분(130), 액세서리 트레이(160) 및 슬리브(180)는 판지, 섬유판, 플라스틱, 두꺼운 종이(heavy paper stock) 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외측 베이스 부분(110), 내측 베이스 부분(112), 뚜껑 부분(130), 액세서리 트레이(160) 및 슬리브(180)는 다이-절단(die-cutting)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예를 들어, 레이저 커팅과 같은 다른 커팅 기술(예를 들어, 정밀 커팅 기술)이 다이 절단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들에서, 이 구성 요소들은 다수의 다른 적절한 기술들을 사용하여 스탬핑, 몰딩 또는 형성될 수 있다.
도 2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뿐만 아니라,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VR 헤드셋(100)이 VR 헤드셋으로써의 사용을 위한 배치로 도시되어 있다. 도 2a의 사시도에서, 일체형 VR 헤드셋(100)은 전자 디바이스(170)가 일체형 VR 헤드셋(100)에 삽입되어 있을 때, 전자 디바이스(17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VR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의 얼굴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할 수 있는 면(본 명세서에서는 정면으로 지칭됨)으로 도시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베이스 부분(110)은 절단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절단부(220)는 내측 베이스 부분(112)과 뚜껑 부분(130)의 상호 보완적인 절단부들(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절단부(222) 및 절단부(224))과 정렬될 수 있다. 절단부(220)(그리고 내측 베이스 부분(112) 및 뚜껑 부분(130)의 상호 보완적인 절단부들)는, 절단부(220)(그리고 내측 베이스 부분(112)과 뚜껑 부분(130)의 상호 보완적인 절단부들)이 사용자의 코 위에(주위에, 근처에 등) 놓이도록 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일체형 VR 헤드셋(100)이 배치되기 쉽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a에 더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렌즈들은 베이스 부분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측 베이스 부분(110)과 내측 베이스 부분(112)이 예컨대 접착 층(114)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서로에 대해 부착될 때, 렌즈들(120)은 외측 베이스 부분(110)과 내측 베이스 부분(112)에 의해, 그리고 그 사이에서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렌즈들(120)은 내측 베이스 부분(112)과 외측 베이스 부분(110)에 형성되는 렌즈 개구들과 정렬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베이스 부분(110)은 버튼 개구(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개구(210)를 통해 버튼 메커니즘(150)의 도전성 테이프(152)가 노출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 따라서는, 도전성 테이프(152)의 적어도 일부가 외측 베이스 부분(110)의 내부 표면에 부착(결합 등)되거나, 또는 내측 베이스 부분(112)에 부착(예를 들어, 접착제로 부착)될 수 있는 버튼 메커니즘(150)에 의해 버튼 개구(210) 내에서 제자리에 탄성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a에는 버튼 개구(210)(및 버튼 메커니즘(150))의 위치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버튼 개구(210) 및 버튼 메커니즘(150)이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구현예들에서, 버튼 개구(210)와 버튼 메커니즘(150)은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우측 면 또는 좌측 면에 배치되거나,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상면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첩부(140)는 (뚜껑 부분(130)과 결합되어 있는 동안에)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베이스 부분의 외측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1 경첩부는 제2 경첩부(142), 단일 경첩부이거나, 다른 적절한 배열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저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절단부(222)와 뚜껑 부분(130)의 절단부(224)를 도시하며, 이들은 외측 베이스 부분(110)의 절단부(220)와 상호보완되어, 일체형 VR 헤드셋(100)이 사용자의 코 위에 편리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2b는 내측 베이스 부분(112)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버튼 메커니즘(150)의 쐐기(151)를 도시한다. 이러한 배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 메커니즘(150)이 버튼 개구(210)를 통해 눌려질 때, 쐐기(151)가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 및/또는 디스플레이되는 VR 콘텐츠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또 다른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뚜껑 부분(130)은 베이스 부분에 대해 경첩식-개방 위치(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경첩식-폐쇄 위치와 비교됨)로 이동되어 있다. 일체형 VR 헤드셋(100)이 경첩식-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내측 베이스 부분(112)에 전자 디바이스(18)를 삽입하거나, 내측 베이스 부분(112)으로부터 전자 디바이스(170)를 분리할 수 있다. 뚜껑 부분(130)이 닫혀있을 때, 뚜껑 부분(130)은 내측 베이스 부분(112) 내에서 전자 디바이스(170)를 제자리(예를 들어, 운송할 때는 터치스크린-상향 배향, 또는 VR 콘텐츠를 시청할 때는 터치스크린-하향 배향)에 유지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베이스 부분(110) 및 뚜껑 부분(130)은 각진 접합면들(angled mating surfaces)(에지 등)(310, 320)을 각각 포함한다. 각진 접합면들(310, 320)은 뚜껑 부분(130)과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베이스 부분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뚜껑 부분(130)의 베이스 부분과 힌지 방식으로 결합되는 면을 따라서의 뚜껑 부분(130)의 높이 때문에, 뚜껑 부분(130)이 경첩식 폐쇄 위치 및 경첩식 개방 위치 사이에서 (베이스 부분에 대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되는 특정 경첩 구성에 따라, 경첩부들(140, 142) 중 적어도 하나가 도 3에 도시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및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경첩부(140)는 베이스 부분(예를 들어,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경첩 리세스(840))와 뚜껑 부분(130) 사이에서 제2 경첩부(142)와 맞물려서(결합되어, 부착되어 등), 경첩식 폐쇄 위치(도 2a 및 도 2b)와 경첩식 개방 위치(도 3) 사이에서 뚜껑 부분(130)이 (베이스 부분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선회(경첩) 지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예를 들어, 도 1, 도 2a 및 도 2b와 함께)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뚜껑 부분(130)은 (베이스 부분과 함께) 제1 면에서 개방되는 섀시의 형태를 취하여, 뚜껑 부분(130)을 내측 베이스 부분(112) 위로 배치하기 쉽고, (예를 들어, 각진 접합면(320)을 따라) 뚜껑 부분(130)이 (예를 들어 각진 접합면(310)을 따라) 외측 베이스 부분(110)과 정렬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뚜껑 부분(130)은, 예를 들어 베이스 부분의 형상과 대응하여,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예시에서, 뚜껑 부분(13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되거나,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폐쇄되는 제2 면(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위를 향하고, 도 3에서는 아래로 향하는 면)도 포함할 수 있다.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베이스 부분과 같이, 뚜껑 부분(130)은 좌측면, 우측면, 저면 및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좌측면과 상부면이 보이지 않음). VR 헤드셋(100)에서, 커버 부분(110)의 좌측면, 우측면, 저면 및 상면은 뚜껑 부분(130)의 개방된 제1 면(예를 들어, 도 3에서 위를 향하는 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뚜껑 부분(130)의 개방된 제1 면은 뚜껑 부분(130)이 내측 베이스 부분(112) 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뚜껑 부분(130)의 각진 접합면들(310)과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운송(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70)가 터치스크린-상향 배향됨) 및 전자 디바이스(17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VR 콘텐츠 시청(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70)가 터치스크린-하향 배향됨)을 위해, 뚜껑 부분(130)(예를 들어, 뚜껑 부분(130)의 제2 면의 내측 표면)은 전자 디바이스(170)를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내측 베이스 부분(112)에 유지(예를 들어, 마찰적으로 유지, 기계적으로 유지 등)할 수 있다.
간략하게 전술된 바와 같이,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뚜껑 부분(130)은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적어도 일부 위에서 힌지 방식으로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전자 디바이스(170)가 내측 베이스 부분(112)에 의해 형성되는 레지(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레지(850))와 뚜껑 부분(130)의 내측 표면(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뚜껑 부분(130)의 제2 면의 상향 표면) 사이에 (마찰적으로, 기계적으로 등) 유지되도록,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적어도 일부가 뚜껑 부분(1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뚜껑 부분(130)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부분(130)은 제2 면 (예를 들어, 폐쇄되어 있는 면)에, 중앙 부분(4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앙 부분(410)은 리세스 부분일 수 있으며, 및/또는 예컨대 일체형 VR 헤드셋(100) 내에서 운송되는 전자 디바이스(170)의 제조자와 관련된 로고 또는 브랜드 정보와 같은, 로고 및/또는 브랜드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b는 뚜껑 부분(130)의 저면 평면도이다. 도 4b에는 단면선 4C-4C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도 4c에 도시된 뚜껑 부분(130)의 단면도와 관련된다.
도 4c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410)은 뚜껑 부분(130) 내로 연장하여, 전자 디바이스(170)가 VR 콘텐츠를 시청하는 데에 사용될 때, 전자 디바이스(170)의 안정화 구조물로 작용할 수 있다. 환언하면, 전자 디바이스(170)가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내측 베이스 부분(112)에 배치될 때, 중앙 부분(410)은 전자 디바이스(17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에서, 뚜껑 부분(130)이 경첩식 폐쇄 위치(도 2a에 도시됨)에 있을 때, 중앙 부분(410)은 전자 디바이스(170)를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70)의 배면 커버를) 가압하여, 차례로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레지(850)(예를 들어,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됨)에 대해 전자 디바이스(170)를 가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자 디바이스(17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VR 콘텐츠를 시청 및/또는 콘텐츠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사용 시, 일체형 VR 헤드셋(100) 내에서의 전자 디바이스(17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버튼 메커니즘(150)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메커니즘(150)은 쐐기(151)가 배치되는 사각 베이스 섹션(15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섹션(153)은, 예를 들어, 버튼 메커니즘(150)을 내측 베이스 부분(112)에 부착하거나, 및/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외측 베이스 부분(110)에 부착(접착, 붙이는 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쐐기(151)는 도전성 테이프(152)(도 5a에는 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촉(전기적으로 연결, 결합 등)하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거나, 비-도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전성 테이프(152)는 외측 베이스 부분(110)의 버튼 개구(210)로부터 쐐기(151) 위까지 연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버튼 메커니즘이 눌려질 때, 전자 디바이스(171)의 터치 스크린과 접촉하는 쐐기(151)의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a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54)은 쐐기(151)의 상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적절한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블록(154)은 버튼 메커니즘(150)에 대한 정지부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튼 메커니즘(150)을 편향된 위치(예를 들어, 쐐기(151)가 관련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유지(복귀)시키기 위한 (블록(154)의 탄성에 의한) 스프링 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에서, 도 5b의 블록(154)의 전방 표면은,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버튼 메커니즘이 눌렸을 때, 내측 베이스 부분(112)에 대해 가압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버튼 메커니즘(150)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170)의 터치스크린에 과도한 힘을 가하는 것을 방지 (따라서, 터치 스크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버튼 메커니즘(150)이 더 이상 눌려지지 않게 되면 버튼 메커니즘(150)을 편향된 위치 (정상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5b는 도 5a의 버튼 메커니즘(150)의 상면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c는 일 구현예에 따른, 버튼 메커니즘(150)의 우측 평면도이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뷰는 쐐기(151) 상에서 블록(154)의 배향을 나타낸다. 특정 구현에 따라서, 블록(154)은 쐐기(151) (및 베이스(153))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별개의 파트로서 형성되어,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되는 배치로 쐐기(151) 위에 장착(부착, 접착 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현예에서, 블록(154)은 도전성 테이프(152)에 (위에 등) 장착될 수 있다. 환언하면, 도전성 테이프(152)의 일부가 쐐기(151)와 블록(15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a는 도 5a의 버튼 메커니즘(150)에 적용될 수 있는 (포함될 수 있는, 일부일 수 있는 등) 도 1의 도전성 테이프(152)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도전성 테이프(152)는, 일례로서, 예컨대 접착제가 코팅된 도전성 패브릭과 같은 도전성 재료의 연속적인 피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테이프(152)는 접촉 부분(156)과 쐐기 부분(158)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테이프(152)의 접촉 부분(15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 베이스 부분(110)의 버튼 개구(210)(도 2a 및 도 2b에 도시됨)를 통해, 도 5a에 도시된 버튼 메커니즘(150)의 베이스 섹션(153)의 배면을 따라 (배면에 평행하게) 노출될 수 있다. 도전성 테이프(152)의 쐐기 부분(158)은 버튼 메커니즘(150)의 배면으로부터 쐐기(151) 위 주위로 연장되어, (예를 들어, 버튼 메커니즘이 사용자에 의해 놀렸을 때) 버튼 개구(210)로부터 전자 디바이스(170)의 터치스크린으로의 선택적인 전도성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도전성 테이프(152)의 우측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액세서리 트레이(160)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액세서리 트레이(160)는, (도 7c의 펼쳐진 평면도에 도시되는) 제1 부분과, (도 7d의 펼쳐진 평면도에 도시되는) 제2 부분인, 2개의 분리된 부분(피스, 파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 트레이(160)는 레그들(스탠드 오프 등)(722, 72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구현예에서 레그들은 액세서리 트레이(160)의 제2 부분(720)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액세서리 트레이(160)가 (예를 들어, 운송을 위해)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내측 베이스 부분(112)에 삽입될 때, 레그들(722, 724)은 액세서리 트레이(160)(그리고 그 안에 배치되는 액세서리)가 렌즈들(120)에 접촉하여 렌즈들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 트레이(160)의 제2 피스(720)는, 액세서리 트레이 내에 배치되는 액세서리들이 (예를 들어, 운송되는 동안) 절단부들(220, 222, 224)을 통해 이동하여 렌즈들(120)을 손상시킬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 베이스 부분(110)의 절단부(220),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절단부(222) 및 뚜껑 부분(130)의 절단부(224)와 정렬하는 플랩(flap)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b는 액세서리 트레이(160)의 저면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 트레이(160)는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세서리 트레이(160)의 벽들은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하나 이상의 면들과 함께, 일체형 VR 헤드셋(100)을 사용하여 대응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자에게 운송하는 동안에 액세러리 트레이(160) 내에 배치되는 액세서리들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 7c는 일 구현예에 따른, 편평하고, 미리-접힌 (펼쳐진) 구성으로 도시되는 도 7a의 액세서리 트레이(160)의 제1 부분(710)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사하게, 도 7d는 편평하고, 미리-접힌 (펼쳐진) 구성으로 도시되는 도 7a의 액세서리 트레이(160)의 제2 부분(720)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구현예에서, 제1 피스(710) 및 제2 피스(720)는 도 7c 및 도 7d에 도시된 점선을 따라 적절하게 접힐 수 있으며, 제2 부분(720)의 탭들(726, 728)은 액세서리 트레이(160)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부분(710)의 슬롯들(716, 718)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8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베이스 부분의 내측 베이스 부분(112)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절단선 8B-8B 따라 취한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는 도 8a의 절단선 8B-8B를 따라 취한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베이스 부분(112)은, 도 5a 내지 도 5c의 버튼 메커니즘(150)이 부착되거나,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 버튼 리세스(810)를 포함할 수 있다. 환언하면, 버튼 메커니즘(150)은, 버튼 메커니즘(150)의 쐐기(151)가 버튼 리세스(810)에 형성되는 개구(812)를 관통하여 연장하도록, 버튼 리세스(810)와 외측 베이스 층(110) 사이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베이스 부분(112)은 한 쌍의 렌즈 봉입체(830)(외측 베이스 부분(110)의 렌즈 봉입체에 대응함)를 포함하고, 렌즈들(120)을 위한 렌즈 개구들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뿐만 아니라 도 8d 내지 도 8f)의 구현예에서, 내측 베이스 부분(112)은 (위에서 도 3에 대해 참조된) 경첩 리세스(840)도 포함할 수 있다. 경첩 리세스(840)는 도 1의 제1 경첩부(140) 및 제2 경첩부(142)에 대한 경계 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경첩 구조의 하나 상의 부분들(110)이 경첩 리세스(840)와 결합(경첩 리세스에 부착, 접착 등)되어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뚜껑 부분(130)과 베이스 부분을 힌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베이스 부분(112)은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내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되는 레지(850)를 포함(형성 등)할 수 있다. 레지(850)는 전자 디바이스(170)가 일체형 VR 헤드셋(100)에 삽입되었을 때, 전자 디바이스(170)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도록 (예를 들어,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베이스 부분의 개방된 제1 면 근처에 전자 디바이스(170)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언하면, 전자 디바이스(170)는 레지(850) 상에 두거나, 놓여지거나, 위치되어, 운송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70)가 터치스크린-상향 배향됨) 및 전자 디바이스(170)에 디스플레이되는 VR 콘텐츠를 시청(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70)가 터치스크린-하향 배향됨)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170)가 뚜껑 부분(130)과 함께 (뚜껑 부분의 경첩식 폐쇄 위치에서) 일체형 VR 헤드셋(100)에 전자 디바이스(170)를 위치설정/고정되도록 한다. 이 구현예에서, 레지(850)는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일부로서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레지(850)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d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8a 내지 도 8c의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저면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d는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노즈 절단부(222)에 대한 렌즈 봉입체(850)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8e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8a 내지 도 8c의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좌측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e는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각진 접합면(에지(320))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8f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8a 내지 도 8c의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상면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f는 버튼 리세스(810), (버튼 메커니즘(150)의 쐐기(151)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812) 및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상면 위의 경첩 리세스(840)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9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베이스 부분 중 외측 베이스 부분(110)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절단선 9B-9B를 따라 취해진 외측 베이스 부분(110)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베이스 부분(110)은 버튼 개구(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a 내지 도 5c의 버튼 메커니즘(150)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기 위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베이스 부분(110)은 (예를 들어,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렌즈 봉입체(830)와 대응하는) 한 쌍의 렌즈 봉입체(930)를 포함하고, 렌즈들(120)을 위한 렌즈 개구들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c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9a의 외측 베이스 부분(110)의 저면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c는 노즈 절단부(220)에 대한 렌즈 봉입체들(930)의 배치를 나타내며, 노즈 절단부(220)와 렌즈 봉입체(930)에 대한 버튼 개구(210)의 배치도 나타낸다. 도 9d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9a의 외측 베이스 부분(110)의 좌측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d는 외측 베이스 부분(110)의 각진 접합면(에지)(310)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렌즈들(120)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들(120) 각각은 복수의 유지 탭(1010)과 광학 부분(1020)을 포함한다. 각각의 렌즈(120)는, 내측 베이스 부분(112)과 외측 베이스 부분(110)의 렌즈 봉입체들(830, 930)에 의해 형성되는 렌즈 개구들 중 각각의 렌즈 개구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에서, 렌즈들(120)의 유지 탭들(1010)은 렌즈들(120)의 광학 부분들(1020)을 가리지 않으면서,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베이스 부분의 렌즈 개구들 내에서 고정된 위치에 렌즈들(120)을 유지하기 위해, 렌즈 봉입체들(830, 930) 및/또는 접착증(114)과 맞물릴 수 있다. 환언하면, 이러한 접근에서, 렌즈들이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베이스 부분에서 고정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유지 탭들(1010)이 (예를 들어, 보이지 않는) 렌즈 봉입체들(830, 9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 렌즈들(120)의 광학 부분들(1020)은 렌즈 봉입체들(830, 930)에 의해 형성되는 렌즈 개구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일 구현예에 따라서, 도 1의 일체형 VR 헤드셋(100)의 베이스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도 8a의 내측 베이스 부분(112)과 도 9a의 외측 베이스 부분(110)을 부착시기 위한 접착층(114)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114)은 도 8a 내지 도 8f의 내측 베이스 부분(112)의 버튼 리세스(810)와 대응하는 노치(1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114)은, 외측 베이스 부분(110)의 노즈 절단부(220) 및 내측 베이스 부분(110)의 노즈 절단부(222)뿐만 아니라, 내측 베이스 부분(112)과 외측 베이스 부분의 렌즈 개구들과 대응하는 절단부(1120)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접착층(114)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114)은 접착제가 코팅된 플라스틱 시트, 테이프, 접착제가 코팅된 패브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다른 구현예들에서, 내측 베이스 부분(110)과 외측 베이스 부분을 부착하는 데에 예컨대 접착제, 에폭시, 후크와 루프 등과 같은 다른 접근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장치는 제1 면에서 개방되는 베이스 부분과, 베이스 부분의 제2 면 내에 배치되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베이스 부분의 내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되는 레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지는 베이스 부분의 제1 면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제1 면에서는 개방되고 제2 면에서는 폐쇄되는 뚜껑 부분과,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을 결합시키는 경첩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 뚜껑 부분 및 경첩은,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힌지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현예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은 대응하는 각진 접합면들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제1 렌즈 개구, 제2 렌즈 개구 및 내측 베이스 부분을 구비하는 외측 베이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와 정렬되는 제1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와 정렬되는 제2 렌즈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을 외측 베이스 부분에 부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 베이스 부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고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렌즈의 광학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의 광학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와 제2 렌즈 각각은,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고정되게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탭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은,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에 형성되는 절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절단부는 사용자의 코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베이스 부분에 부착되는 버튼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은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버튼 메커니즘과 관련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를 통해 버튼 메커니즘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은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은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고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버튼 메커니즘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베이스 부분은 버튼 메커니즘과 관련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의 일부가 개구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리세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은, 버튼 메커니즘이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고정되게 유지되도록, 리세스 부분에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버튼 메커니즘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경첩은 제1 경첩부와 제2 경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첩부는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 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경첩부는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제조 물품은 제1 면에서 개방되는 베이스 부분, 베이스 부분의 제2 면 내에 배치되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은 또한, 베이스 부분의 내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되는 레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지는 베이스 부분의 제1 면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품은 또한, 제1 면에서는 개방되고 제2 면에서는 폐쇄되는 뚜껑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용품은 또한,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을 결합시키는 경첩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 뚜껑 부분 및 경첩은, 베이스 부분 및 뚜껑 부분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힌지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품은 또한,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 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는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은 베이스 부분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트레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는, 트레이와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사이의 물리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는 전자 디바이스용 액세서리를 적어도 하나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은 대응하는 각진 접합면들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외측 베이스 부분과 내측 베이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베이스 부분은 제1 렌즈 개구와 제2 렌즈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와 정렬되는 제1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와 정렬되는 제2 렌즈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을 외측 베이스 부분에 부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측 베이스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 베이스 부분 내에 배치된다.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고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렌즈의 광학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의 광학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은,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에 형성되는 절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절단부는 사용자의 코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품은 베이스 부분에 부착되는 버튼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은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첩은 제1 경첩부와 제2 경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첩부는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 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경첩부는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양태에서, 장치는 제1 면에서 개방되는 베이스 부분과, 베이스 부분의 제2 면 내에 배치되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베이스 부분의 내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되는 레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지는 베이스 부분의 제1 면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제1 면에서는 개방되고 제2 면에서는 폐쇄되는 뚜껑 부분과,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을 결합시키는 경첩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 뚜껑 부분 및 경첩은,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힌지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현예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은 대응하는 각진 접합면들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제1 렌즈 개구, 제2 렌즈 개구 및 내측 베이스 부분을 포함하는 외측 베이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와 정렬되는 제1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와 정렬되는 제2 렌즈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을 외측 베이스 부분에 부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 베이스 부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부 사이에 고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렌즈의 광학 부분은 내측 베이스부의 제1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부의 제1 렌즈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의 광학 부분은 내측 베이스부의 제2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부의 제2 렌즈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와 제2 렌즈 각각은,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제1 렌즈와 제2 렌즈를 고정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탭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은,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에 형성되는 절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절단부는 사용자의 코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베이스 부분에 부착되는 버튼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은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버튼 메커니즘과 관련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의 일부가 개구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은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은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고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버튼 메커니즘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베이스 부분은 버튼 메커니즘과 관련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의 일부가 개구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리세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은, 버튼 메커니즘이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고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리세스 부에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버튼 메커니즘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경첩은 제1 경첩부와 제2 경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첩부는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 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경첩부는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반적인 양태에서, 제조 물품은 제1 면에서 개방되는 베이스 부분과, 베이스 부분의 제2 면 내에 배치되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은 또한, 베이스 부분의 내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되는 레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지는 베이스 부분의 제1 면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품은 또한, 제1 면에서 개방되고 제2 면에서 폐쇄되는 뚜껑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물품은 또한,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을 결합시키는 경첩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 뚜껑 부분 및 경첩은,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힌지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품은 또한, 폐쇄 위치에서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 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은 또한, 베이스 부분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트레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사이와 트레이의 물리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는 전자 디바이스용 액세서리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은 대응하는 각진 접합면들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외측 베이스 부분과 내측 베이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베이스 부분은 제1 렌즈 개구와 제2 렌즈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부분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와 정렬되는 제1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와 정렬되는 제2 렌즈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을 외측 베이스 부분에 부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측 베이스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 베이스 부분 내에 배치된다.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고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렌즈의 광학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의 광학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은,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에 형성되는 절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절단부는 사용자의 코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품은 베이스 부분에 부착되는 버튼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메커니즘은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첩은 제1 경첩부와 제2 경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첩부는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 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경첩부는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많은 구현예들이 설명되었다. 하지만, 다음의 청구항들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0)
- 제1 면에서 개방되는 베이스 부분,
제1 면의 반대쪽에 있는, 베이스 부분의 제2 면 내에 배치되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
베이스 부분의 내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되는 레지(ledge)로,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가 베이스 부분의 제1 면으로부터 삽입될 때, 상기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를 베이스 부분의 제2 면으로부터 물리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레지,
제1 면에서는 개방되고, 제2 면에서는 폐쇄되는 뚜껑 부분, 및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을 결합시키는 경첩을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로,
베이스 부분, 뚜껑 부분 및 경첩은,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힌지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는 가상현실 헤드셋으로서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은 대응하는 각진 접합면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분은,
제1 렌즈 개구와 제2 렌즈 개구를 구비하는 외측 베이스 부분과,
내측 베이스 부분으로,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와 정렬되는 제1 렌즈 개구, 및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와 정렬되는 제2 렌즈 개구를 구비하는 내측 베이스 부분, 및
내측 베이스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 베이스 부분 내에 배치되도록, 내측 베이스 부분을 외측 베이스 부분에 부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레지는 내측 베이스 부분의 내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3항에 있어서,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고정되게 유지되고,
내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 내에 제1 렌즈의 광학 부분이 배치되고, 및
내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 내에 제2 렌즈의 광학 부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3항에 있어서,
제1 렌즈 및 제2 렌즈 각각은,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제1 렌즈와 제2 렌즈를 고정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은,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에 형성되는 절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단부는 사용자의 코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장치는 베이스 부분에 부착되는 버튼 메커니즘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버튼 메커니즘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7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분은 버튼 메커니즘과 관련된 개구를 구비하고, 버튼 메커니즘의 일부가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7항에 있어서,
버튼 메커니즘은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7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을 포함하고, 버튼 메커니즘은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고정되게 유지되며, 내측 베이스 부분은 버튼 메커니즘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레지는 내측 베이스 부분의 내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되며, 외측 베이스 부분은 버튼 메커니즘과 관련된 개구를 포함하며, 버튼 메커니즘의 일부가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7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분은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을 포함하고, 내측 베이스 부분은 리세스 부분을 포함하며,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버튼 메커니즘이 고정되게 유지되도록, 버튼 메커니즘이 리세스 부분에 고정되게 접착되며, 내측 베이스 부분은 버튼 메커니즘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하며, 레지는 내측 베이스 부분의 내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경첩은,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 표면과 결합되는 제1 경첩부, 및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과 결합되는 제2 경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1 면에서 개방되는 베이스 부분,
베이스 부분의 제2 면 내에 배치되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
베이스 부분의 내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되는 레지로, 베이스 부분의 제1 면으로부터 삽입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레지,
제1 면에서 개방되고 제2 면에서 폐쇄되는 뚜껑 부분, 및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을 결합시키는 경첩으로, 베이스 부분, 뚜껑 부분 및 경첩은, 베이스 부분과 뚜껑부분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힌지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첩,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 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슬리브, 및
베이스 부분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트레이로, 제1 렌즈 및 제2 렌즈와 트레이 사이의 물리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레그를 포함하는 트레이를 포함하며,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는 가상현실 헤드셋으로서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13항에 있어서,
트레이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액세서리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13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은 대응하는 각진 접합면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13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분은,
제1 렌즈 개구와 제2 렌즈 개구를 구비하는 외측 베이스 부분,
내측 베이스 부분으로,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와 정렬되는 제1 렌즈 개구, 및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와 정렬되는 제2 렌즈 개구를 구비하는 내측 베이스 부분, 및
내측 베이스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 베이스 부분 내에 배치되도록, 외측 베이스 부분에 내측 베이스 부분을 부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레지는 내측 베이스 부분의 내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16항에 있어서,
제1 렌즈와 제2 렌즈는 내측 베이스 부분과 외측 베이스 부분 사이에 고정되게 유치되고,
내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 내에 제1 렌즈의 광학 부분이 배치되고,
내측 베이스 부분의 제1 렌즈 개구와 외측 베이스 부분의 제2 렌즈 개구 내에 제2 렌즈의 광학 부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13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은, 베이스 부분과 뚜껑 부분에 형성되는 절단부를 구비하고, 절단부는 사용자의 코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13항에 있어서,
제조 물품은 베이스 부분에 부착되는 버튼 메커니즘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버튼 메커니즘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 제13항에 있어서,
경첩은,
물품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 표면과 결합되는 제1 경첩부, 및
물품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과 결합되는 제2 경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운송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815,124 US9857595B2 (en) | 2015-07-31 | 2015-07-31 | Integrated mobile device shipping container and virtual reality headset |
US14/815,124 | 2015-07-31 | ||
US15/052,432 US10139637B2 (en) | 2015-07-31 | 2016-02-24 | Integrated mobile device packaging and virtual reality headset |
US15/052,432 | 2016-02-24 | ||
PCT/US2016/043492 WO2017023572A1 (en) | 2015-07-31 | 2016-07-22 | Integrated mobile device packaging and virtual reality heads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0606A KR20170130606A (ko) | 2017-11-28 |
KR102043937B1 true KR102043937B1 (ko) | 2019-11-12 |
Family
ID=5684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31468A KR102043937B1 (ko) | 2015-07-31 | 2016-07-22 | 일체형 모바일 디바이스 운송 용기 및 가상현실 헤드셋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139637B2 (ko) |
EP (1) | EP3329322A1 (ko) |
JP (1) | JP6581211B2 (ko) |
KR (1) | KR102043937B1 (ko) |
CN (1) | CN107533231A (ko) |
WO (1) | WO201702357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04393B1 (en) | 2015-02-09 | 2017-10-31 | Google Inc. | Virtual reality headset |
US10209769B2 (en) | 2015-05-27 | 2019-02-19 | Google Llc | Virtual reality headset |
US9857595B2 (en) | 2015-07-31 | 2018-01-02 | Google Llc | Integrated mobile device shipping container and virtual reality headset |
US10139637B2 (en) | 2015-07-31 | 2018-11-27 | Google Llc | Integrated mobile device packaging and virtual reality headset |
USD792398S1 (en) | 2015-07-31 | 2017-07-18 | Google Inc. | Smartphone packaging and virtual reality headset |
USD853231S1 (en) | 2016-02-24 | 2019-07-09 | Google Llc | Combined smartphone package and virtual reality headset |
USD800113S1 (en) * | 2016-05-02 | 2017-10-17 | Gregory K. Wessman | Virtual reality viewer |
TWI586587B (zh) * | 2016-06-28 | 2017-06-11 | 宏碁股份有限公司 | 包裝結構 |
USD808281S1 (en) | 2016-08-26 | 2018-01-23 | Apple Inc. | Packaging with accessory |
USD818932S1 (en) * | 2016-10-12 | 2018-05-29 | Marcellus Lee Reid | Reinforced covers for storage compartments |
KR102441686B1 (ko) | 2017-04-19 | 2022-09-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머리 착용형 장치 |
US10606084B2 (en) * | 2017-05-10 | 2020-03-31 | Jason Pickersgill | Collapsible viewer for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
EP3682310B1 (en) | 2017-09-11 | 2024-07-17 | Google LLC | Switchable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device |
CN109901252B (zh) * | 2017-12-07 | 2020-04-14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光学透镜、眼镜及显示装置 |
USD949086S1 (en) | 2018-05-24 | 2022-04-19 | Stephen Christopher Swift | Reinforced cover for storage compartments |
US10617566B2 (en) * | 2018-06-14 | 2020-04-14 | Vestibular First, Llc | Modular headset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vestibular disorders |
US10598942B1 (en) * | 2018-10-05 | 2020-03-24 | Facebook Technologies, Llc | Mounting assembly with reworkable active alignment |
CN208813756U (zh) * | 2018-10-19 | 2019-05-03 |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vr组件包装盒 |
CN111602092B (zh) * | 2018-10-29 | 2023-06-06 | 家登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 光掩膜固持系统 |
US11011142B2 (en) | 2019-02-27 | 2021-05-18 | Nintendo Co., Ltd.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goggle apparatus |
USD904901S1 (en) * | 2019-03-25 | 2020-12-15 | Apple Inc. | Case with earphones |
US11822081B2 (en) | 2019-08-29 | 2023-11-21 | Apple Inc. | Optical module for head-mounted device |
US11885965B1 (en) | 2019-09-23 | 2024-01-30 | Apple Inc. | Head-mounted display and display modules thereof |
US11892701B2 (en) * | 2020-04-17 | 2024-02-06 | Apple Inc. | Lens mounting structures for head-mounted devices |
USD1004679S1 (en) * | 2022-01-11 | 2023-11-14 | KanDao Technology Co., Ltd | Camera viewfind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152531A1 (en) * | 2011-12-01 | 2014-06-05 | John T. Murray | Head Mounted Display With Remote Control |
KR101530788B1 (ko) * | 2013-12-31 | 2015-06-22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 폰을 이용한 3d hmd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6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73747A (en) | 1986-04-07 | 1988-09-27 | Innovational Products Co., Inc. | Foldable binocular and blank therefor |
US4846553A (en) | 1987-07-14 | 1989-07-11 | Richard Rice | Foldable viewer |
US5344065A (en) | 1991-06-03 | 1994-09-06 | Moran Charles E C | Reversible containers |
JPH06189227A (ja) * | 1992-12-16 | 1994-07-08 | Nifco Inc | コンパクトケース |
US5701140A (en) | 1993-07-16 | 1997-12-23 | Immersion Human Interface Corp.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ursor control interface with force feedback |
USD374002S (en) | 1994-03-09 | 1996-09-24 | Virtual Research Systems, Inc. | Virtual reality visual display helmet |
EP0708350A1 (en) | 1994-10-19 | 1996-04-24 | Pieter Joannes Hendricus Evers | Viewer,in particular a stereo viewer,as well as a flat sheet therefor,in particular made of easily foldable material |
USD427982S (en) | 1996-01-24 | 2000-07-11 | Sony Corporation | Television monitor |
USD444155S1 (en) | 1997-05-22 | 2001-06-26 | Sony Corporation | Television monitor |
USD415146S (en) | 1997-11-12 | 1999-10-12 | Vista Medical Technologies, Inc. | Head mounted display |
JP2007075300A (ja) * | 2005-09-13 | 2007-03-29 | Konami Digital Entertainment:Kk | 立体視眼鏡 |
USD601641S1 (en) | 2008-09-28 | 2009-10-06 | Eastcolight (Hong Kong) Limited | Toy goggle with speaker phone |
US8957835B2 (en) | 2008-09-30 | 2015-02-17 | Apple Inc. |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for retain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
WO2010127285A2 (en) | 2009-04-30 | 2010-11-04 | Tetracam,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3d image via media device |
US8303123B2 (en) | 2010-01-26 | 2012-11-06 | Michael Kory | Stereoscopic kaleidoscope and 3D viewer |
US8686959B2 (en) | 2010-02-16 | 2014-04-01 | Maurice Payne | Touch screen multi-control emulator |
US8908015B2 (en) | 2010-03-24 | 2014-12-09 | Appcessories Llc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images for stereoscopic viewing |
US9405126B1 (en) | 2010-06-11 | 2016-08-02 | George Margolin | Eye level viewfinder and three dimensional virtual reality viewing device and method |
US10019842B2 (en) | 2010-08-09 | 2018-07-10 | Decopac, Inc. | Decorating system for edible products |
WO2012035174A1 (es) | 2010-09-17 | 2012-03-22 | Alonso Fernandez Angel Victor | Visor estereoscópico desmontable, personalizable y económico para dispositivos personales portátiles. |
USD704704S1 (en) | 2011-08-12 | 2014-05-13 | Seiko Epson Corporation | Head mounted display |
DE212012000181U1 (de) | 2011-10-03 | 2014-05-20 | Man Fong CHU | Wasserdichtes Gehäuse für digitale Geräte mit kapazitivem Touchscreen und dessen Betätigungsmechanismus |
US20130147721A1 (en) | 2011-12-12 | 2013-06-13 | Benjamin McGeever | Device for Operating Touch Screen Devices in a Protective Housing |
JP3176588U (ja) * | 2012-03-28 | 2012-06-28 | 株式会社B.B.スタジオ | リモートタッチ回路およびアタッチメント |
USD687434S1 (en) | 2012-09-05 | 2013-08-06 | Lee Serota | Headset with adjustable display |
CN104718495B (zh) * | 2012-10-11 | 2018-02-27 | 田原博史 | 视频观察系统 |
US20140247246A1 (en) | 2012-11-15 | 2014-09-04 | Daryl D Maus | Tactile to touch input device |
WO2014103006A1 (ja) | 2012-12-28 | 2014-07-03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ヒンジリッドパッケージ |
GB2499102B (en) | 2013-01-11 | 2013-12-25 | Mvr Global Ltd | Head-mounted display device |
USD745517S1 (en) | 2013-02-19 | 2015-12-15 | Sony Corporation | Head mountable display |
US9628783B2 (en) | 2013-03-15 | 2017-04-18 |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 Method for interacting with virtual environment using stereoscope attached to computing device and modifying view of virtual environment based on user input in order to be displayed on portion of display |
CN104216118A (zh) * | 2013-06-03 | 2014-12-17 | 约翰·T·默里 | 具有远程控制件的头部安装式显示器 |
USD701206S1 (en) | 2013-06-04 | 2014-03-18 | Oculus VR, Inc. | Virtual reality headset |
GB2516242A (en) | 2013-07-15 | 2015-01-21 | Martin Leonardo Moreno Ten | Head mounted display |
US9490859B2 (en) | 2013-10-18 | 2016-11-08 | Douglas Peel | Dual holding case for computing devices |
USD738374S1 (en) | 2013-11-15 | 2015-09-08 | Oculus Vr, Llc | Virtual reality headset |
US9529194B2 (en) | 2013-11-21 | 2016-1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
EP3108287A4 (en) | 2014-02-18 | 2017-11-08 | Merge Labs, Inc. | Head mounted display goggles for use with mobile computing devices |
USD751072S1 (en) | 2014-02-18 | 2016-03-08 | Merge Labs, Inc. | Mobile head mounted display |
WO2015138266A1 (en) | 2014-03-10 | 2015-09-17 | Ion Virtual Technology Corporation | Modular and convertible virtual reality headset system |
AU357831S (en) | 2014-03-14 | 2014-09-26 |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 Head mounted display |
USD727318S1 (en) | 2014-05-16 | 2015-04-21 | ImmersiON-VReila, Inc. | Stereographic virtual head adapter for mobile graphical devices |
ES1115455Y (es) | 2014-05-16 | 2014-10-01 | Vrelia Virtual Reality S L | Visor adaptador de dispositivos gráficos móviles para visión virtual estereoscópica |
US9420075B2 (en) | 2014-07-16 | 2016-08-16 | DODOcase, Inc. | Virtual reality viewer and input mechanism |
TWM491843U (zh) | 2014-07-24 | 2014-12-11 | Shou-Lan Zhang | 可攜式虛擬實境眼鏡 |
USD732028S1 (en) | 2014-12-09 | 2015-06-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ead-mounted display device |
US10261579B2 (en) | 2014-09-01 | 2019-04-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
US9791924B2 (en) | 2014-12-23 | 2017-10-17 | Mediatek Inc. | Eye tracking with mobile device in a head-mounted display |
US10120199B2 (en) | 2015-01-14 | 2018-11-06 | Ginger W. Kong | Foldable virtual reality viewer structure integrated in mailer and/or product packaging |
US9659411B2 (en) | 2015-01-14 | 2017-05-23 | Oculus Vr, Llc | Passive locators for a virtual reality headset |
USD740810S1 (en) | 2015-01-20 | 2015-10-13 | Microsoft Corporation | Headset visor enclosure |
USD740814S1 (en) | 2015-01-20 | 2015-10-13 | Microsoft Corporation | Visor for headset |
USD741323S1 (en) | 2015-01-20 | 2015-10-20 | Microsoft Corporation | Headset with transparent visor |
USD739855S1 (en) | 2015-01-20 | 2015-09-29 | Microsoft Corporation | Headset with visor |
USD750074S1 (en) | 2015-02-09 | 2016-02-23 | Google Inc. | Virtual reality headset |
US20160232715A1 (en) | 2015-02-10 | 2016-08-11 | Fangwei Lee |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control with mobile devices |
USD755789S1 (en) | 2015-02-20 | 2016-05-10 | Merge Labs, Inc. | Mobile head mounted display |
USD753111S1 (en) | 2015-03-02 | 2016-04-05 | Usens, Inc. | Headset |
USD741327S1 (en) | 2015-04-16 | 2015-10-20 | Vladimir Reznik | Head mounted display |
USD757003S1 (en) | 2015-05-27 | 2016-05-24 | Google Inc. | Virtual reality headset |
US10209769B2 (en) | 2015-05-27 | 2019-02-19 | Google Llc | Virtual reality headset |
US9857595B2 (en) | 2015-07-31 | 2018-01-02 | Google Llc | Integrated mobile device shipping container and virtual reality headset |
US10139637B2 (en) | 2015-07-31 | 2018-11-27 | Google Llc | Integrated mobile device packaging and virtual reality headset |
USD792398S1 (en) | 2015-07-31 | 2017-07-18 | Google Inc. | Smartphone packaging and virtual reality headset |
USD766896S1 (en) | 2015-11-16 | 2016-09-20 | Paralo Llc | Hand-held virtual reality headset |
USD765658S1 (en) | 2016-03-06 | 2016-09-06 | Mary A Spio |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foldable headset |
-
2016
- 2016-02-24 US US15/052,432 patent/US10139637B2/en active Active
- 2016-07-22 KR KR1020177031468A patent/KR10204393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7-22 JP JP2017555338A patent/JP658121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7-22 WO PCT/US2016/043492 patent/WO2017023572A1/en unknown
- 2016-07-22 EP EP16757995.2A patent/EP3329322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6-07-22 CN CN201680024820.1A patent/CN107533231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152531A1 (en) * | 2011-12-01 | 2014-06-05 | John T. Murray | Head Mounted Display With Remote Control |
KR101530788B1 (ko) * | 2013-12-31 | 2015-06-22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 폰을 이용한 3d hmd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533231A (zh) | 2018-01-02 |
EP3329322A1 (en) | 2018-06-06 |
WO2017023572A1 (en) | 2017-02-09 |
JP2018528628A (ja) | 2018-09-27 |
JP6581211B2 (ja) | 2019-09-25 |
US10139637B2 (en) | 2018-11-27 |
KR20170130606A (ko) | 2017-11-28 |
US20170031165A1 (en) | 2017-0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43937B1 (ko) | 일체형 모바일 디바이스 운송 용기 및 가상현실 헤드셋 | |
KR102015556B1 (ko) | 스마트폰 패키징 및 가상 현실 헤드셋 | |
JP6564876B2 (ja) | バーチャルリアリティヘッドセット | |
KR101422194B1 (ko) |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 |
US10930085B2 (en) | Packing structure | |
US8807338B2 (en) | Mailing package for a light-weight product | |
US20210276787A1 (en) | Mobile phone packaging box | |
KR102123046B1 (ko) | 개인용 전자 기기 및 카드를 넣기 위한 케이스 | |
KR20130007270U (ko) |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 |
KR20150041300A (ko) | 디스플레이 장치용 트레이 | |
KR101620780B1 (ko) | 이중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 | |
KR101506572B1 (ko) | 휴대단말기 케이스 조립체 | |
KR101225067B1 (ko) | 태블릿 피씨용 케이스 | |
US20240353898A1 (en) | Electronic device packaging system built of usable components complemen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
KR200468570Y1 (ko) |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 |
KR101783169B1 (ko) | 카드수납이 가능한 절첩식 패키지 | |
KR20210030032A (ko) | 부착 편의성이 개선된 스마트기기 보호용 필름 | |
KR20200001649U (ko) | 접이식 가상현실 카드보드 | |
CN203911999U (zh) | 便捷式手机套 | |
KR20130005525U (ko) |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 |
KR20160003319U (ko) | 먼지제거패드 겸용 휴대단말기 스탠드 | |
KR20140107007A (ko) | 화장품 케이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