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339U - 일회용 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339U
KR20070000339U KR2020070003362U KR20070003362U KR20070000339U KR 20070000339 U KR20070000339 U KR 20070000339U KR 2020070003362 U KR2020070003362 U KR 2020070003362U KR 20070003362 U KR20070003362 U KR 20070003362U KR 20070000339 U KR20070000339 U KR 200700003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food storage
cover
partition plate
storag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39639Y1 (ko
Inventor
강대중
강석호
Original Assignee
강대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중 filed Critical 강대중
Priority to KR2020070003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639Y1/ko
Publication of KR200700003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3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6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라스틱 박판을 압착금형으로 압착성형하여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식품 보관부와 상기 식품 보관부의 개구된 상부면을 덮는 덮개부가 형성된 일회용 식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식품보관부의 상면 둘레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부의 하부의 내측 둘레면은 상기 요철부를 긴밀하게 감싸면서 식품 보관부의 상면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의 외측면 일부에는 탄성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덮개부를 개폐할 때에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없이 간편하게 밀폐할 수 있음은 물론 개방하는 것도 용이하며, 식품보관부와 덮개부가 일체연결되는 힌지부는 자바라형으로 되어 있어 덮개부를 개방하였을 때 덮개부가 완전히 펼쳐지도록 하여 식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펼쳐진 덮개부를 접시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식품 보관부의 구획판재의 높이는 표면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재의 상측으로 별도의 구별판을 얹을 수 있도록 하여 2단으로 식품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식품 보관부, 덮개부, 힌지부, 요철부

Description

일회용 식품 용기{A food vessel throwaway}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실시예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실시예 사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식품 보관부 2 : 덮개부
3 : 힌지부 4 : 좌측 홈
5 : 우측 홈 6 : 중앙판
7 : 요철부 8 : 탄성돌기
9 : 수직 구획판재 10 : 수평 구획판재
본 고안은 플라스틱 박판을 압착금형으로 압착성형하여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식품 보관부와 상기 식품 보관부의 개구된 상부면을 덮는 덮개부가 형성된 일회용 식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식품보관부의 상면 둘레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부의 하부의 내측 둘레면은 상기 요철부를 긴밀하게 감싸면서 식품 보관부의 상면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의 외측면 일부에는 탄성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덮개부를 개폐할 때에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없이 간편하게 밀폐할 수 있음은 물론 개방하는 것도 용이하며, 식품보관부와 덮개부가 일체연결되는 힌지부는 자바라형으로 되어 있어 덮개부를 개방하였을 때 덮개부가 완전히 펼쳐지도록 하여 식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펼쳐진 덮개부를 접시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식품 보관부의 구획판재의 높이는 표면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재의 상측으로 별도의 구별판을 얹을 수 있도록 하여 2단으로 식품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박판으로 형성된 일회용 식품 용기는 압착금형으로 압착성형하여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일정한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식품 용기는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식품 보관부와 상기 식품 보관부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상기 식품 보관부는 일정 깊이로 형성하되, 그 상면은 개방되어 있어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일정 부피의 식품을 보관하고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식품 보관부의 상면에는 상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된 덮개부로 덮을 수 있게 되어 있는데, 상기 덮개부는 별도로 형성이 가능하나, 본 고안에서의 다루고자 하는 종래 기술은 식품 보관부와 덮개부가 분리되지 아니하고 힌지부에 의해 일체 연결되어 덮개부를 식품보관부의 상면으로부터 분리시켜 상품 보관부의 상면을 개방하여도 덮개부는 떨어지지 아니하고 힌지부에 의해 식품 보관부에 매달 리는 구성으로, 상기 힌지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식품 보관부의 상면 테두리 일측과 덮개부의 하면 테두리 일측이 일체연결되어 접히도록 형성된 부분으로서, 덮개부를 식품 보관부의 상면에 덮게 되면 힌지부 또한 접히게 되고, 덮개부를 이탈시켜 상면을 개방하게 되면 힌지부 또한 수평으로 펼쳐지는 구조이다.
상기 식품 용기에 보관되어 있는 식품을 꺼내고자 할 때에는 덮개부를 식품 보관부의 상면에서 분리이탈시켜 힌지부가 수평에 이르도록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게 한 다음, 내부의 식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되는데, 본 고안에 사용되는 일회용 식품 용기는 대부분 탄성이 좋으면서도 일정 이상 힘을 가하여 접은 후 그 상태를 오래도록 유지하게 되면 그 형태로 유지될려는 성질도 지니고 있으므로 용기의 힌지부가 오래도록 접혀있는 상태로 유지되면 식품을 꺼내기 위해 덮개부를 열었을 때 상기 힌지부는 수평으로 용이하게 펴지지 않고 식품을 꺼낼 때에 덮개부에 손이나 젓가락이 걸리게 되어 덮개부에 무거운 물건을 올려놓음으로써 억지로 수평으로 펴지도록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식품 보관부에 식품을 넣은 다음, 식품 보관부의 상면에 덮개부를 덮고자 할 때에, 덮개부의 하면 테두리는 식품 보관부의 상면 테두리에 접하게 되어 용기의 내부에 담긴 식품을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에 식품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의 이물질이 식품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나, 종래에는 이러한 밀폐상태를 오래도록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무줄이나 별도의 체결끈으로 묶어서 그 체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였고, 이를 해제하게 되면 내부의 식품을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밀폐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체결하는 데에 불편함 이 있을 뿐 아니라 사용 후 약간의 식품이 남았을 경우에도 또한 체결하여야 하는 데에도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일회용 식품 용기의 식품 보관부의 내부에는 아무런 구획판재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여 여러 가지 식품이 구비될 경우에는 혼합되어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식품 보관부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를 열었을 때에 수평으로 용이하게 펼쳐지도록 하고, 덮개부를 덮었을 때, 별도의 체결수단없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개방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식품 보관부에 구비되는 식품이 섞이지 않고 깔끔하게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식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다음란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실시예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실시예 사용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일회용 식품 용기의 실시예는 평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식품 보관부(1)와 덮개부(2)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식품보관부(1)와 덮개부(2)는 힌지부(3)로 일체연결되는데 상기 힌지부(3)는 다름 아니라 플라스틱 박판에 압축금형으로 식품 보관부(1)와 덮개부(2)를 형성할 때에 동일한 플라스틱 박판에 함께 성형하여 연결된 부분을 접어서 힌지부(3)로 형성함으로써 덮개부(2)는 식품 보관부(1)의 상면을 덮거나 열리게 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인데, 본 고안은 상기 힌지부(3)를 자바라형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한해서 식품 보관부(1)의 상면 테두리 일측과 덮개부(2)의 하면 테두리 일측을 연결하는 힌지부(3)의 구조를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좌측와 우측에는 하향돌출된 홈(4)(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좌측 홈(4)과 우측 홈(5)을 연결하여 주는 중앙판(5)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보관부(1)의 상면 둘레에는 요철부(7)가 상면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요철부(7)의 모서리 측면에는 탄성돌기(8)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식품 보관부(1)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있되, 그 둘레의 내측면은 상기 요철부(7)의 외측면과 접하면서 요철부(7)의 외측면을 긴밀하게 감싸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바, 여기서, 요철부(7)의 외측면에 형성된 탄성돌기(8)로 인해 덮개부(2)는 더욱 더 탄성있고 긴밀하게 덮게 됨으로써 덮개부(2)는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반대로, 덮개부(2)를 식품 보관부(1)의 상면에서 벗길 때에도 간편하게 열 수 있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식품 보관부(1)의 내부에는 수직 구획판재(9)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수직 구획판재(9)의 높이는 식품 보관부(1)에 보관되는 식품이 섞이지 아니하고 구분될 정도로 형성하면서도 식품 보관부(1)의 상면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있는데, 도 3을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수직 구획판재(9)의 상측에는 식품 보관부(1)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수평 구획판재(10)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구획판재(10)는 그 깊이가 수직 구획판재(9)의 상단과 식품 보관부(1)의 상면과의 차이에 해당하는 높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는 식품 보관부(1)의 상면에 덮개부(2)를 덮게 되면, 자바라형으로 형성된 힌지부(3)를 축으로 회전하여 덮개부(2)는 식품 보관부(1)의 상면을 덮게 되며 상기 덮개부(2)의 하부 내측면은 요철부(7)의 외측면을 긴밀하게 감싸게 되면서 덮개부(2)는 식품 보관부(1)의 상면을 덮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요철부(7)의 각 모서리의 외측면에는 탄성돌기(8)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므로 덮개부(2)의 내측면이 요철부(7)의 외측면을 감싸게 될 때에 탄성돌기(8)에 의해 일순간 걸리게 되나, 조금 더 힘을 주어 덮개부(2)를 누르게 되면 덮개부(2)의 내측면은 탄성돌기(8)에 의해 늘어나면서 더욱 긴밀하게 끼워지게 되어 그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식품 보관부(1)의 내부에 보관된 식품을 꺼내고자 할 때 덮개부(2)를 열게 되면, 상기 덮개부(2)는 자바라형으로 형성된 힌지부(3)를 축으로 하여 열리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힌지부(3)는 자바라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덮개부(2)를 수평으로 펼치기가 용이하게 되는데,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에 식품 보관부(1)와 덮개부(2)를 연결하는 힌지부(3)는 단순하게 접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덮개부(2)가 식품 보관부(1)의 상면을 덮고 있을 때에 그 각도는 0도이나, 완전히 펼치게 되면 180도로 펼쳐져야 한다. 이러한 각도 변화는 플라스틱 박판의 성질로 인해 잘 펼쳐지지 않으나, 자바라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식품 보관부(1)의 상면 테두리와 좌측 홈(4)의 접힘각도가 90도의 회전범위 내에서 회동하고, 덮개부(2)의 하면 테두리와 우측 홈(5)의 접힘각도는 90도의 회전범위 내에서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덮개부(2)는 충분하게 수평으로 형성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종래의 힌지부(3)의 각도를 180도로 완전하게 펴지는 것은 불가능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힌지부(3)를 자라바형으로 형성하여 실질적으로 접혀지는 부분이 90도로 회동되는 것만으로도 덮개부(2)가 수평으로 충분하게 펴지도록 함으로써, 덮개부(2)를 용이하게 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식품 보관부(1)의 내부에는 수직 구획판재(9)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수직 구획판재(9)의 하면은 식품 보관부(1)의 내부 저면에 일체형성되고, 수직 구획부재(9)의 측면은 식품 보관부(1)의 내부 측면에 일체형성되는 구성으로서, 그 높이는 식품 보관부(1)에 보관되는 식품이 섞이지 아니하고 구분될 정도로 형성하면서도 식품 보관부(1)의 상면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있는데, 상기 수직 구획판재(9)의 상측에는 식품 보관부(1)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수평 구분판 재(10)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구분판재(10)는 수직 구획판재(9)와 식품 보관부(1)의 상면과의 차이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식품 보관부(1)의 내부에 구비되는 식품은 섞이지 아니하고 깔끔하게 구분될 뿐 아니라, 상기 수직 구획판재(9)의 상측에는 식품 보관부(1)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수평 구획판재(1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평 구획판재(10)와 덮개부(2) 사이에는 별도의 다른 식품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수평 구획판재(10)의 하부에 구비된 식품과 섞일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두 개의 용기에 따로 담을 필요없이 하나의 용기에 여러 식품을 담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한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가진 본 고안은 덮개부를 열어 개방하였을 때, 완전하게 수평으로 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식품 보관부에서 식품을 꺼낼 대에 덮개부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고 고무줄 등의 별도 체결수단이 필요없이 간편하게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것도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수직 구획판재와 수평 구획판재를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식품을 구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완전히 펼쳐진 덮개부에 별도의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등 매우 다대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플라스틱 박판을 압착금형으로 압착성형하여 상면은 개방되고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소정 부피의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식품 보관부와 상기 식품 보관부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덮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식품 보관부와 덮개부는 힌지부로 일체연결형성된 일회용 식품용기에 있어서, 식품 보관부와 덮개부를 연결하는 자바라형 힌지부와, 상기 식품 보관부의 상면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요철부의 외측면에는 탄성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요철부의 외측면을 긴밀하게 감싸면서 탄성돌기에 의해 체결상태를 유지 혹은 해제할 수 있는 덮개부, 식품 보관부의 내부에는 식품 보관부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의 수직 구획판재, 상기 수직 구획판재의 상단에 얹혀져 식품을 이단으로 보관할 수 있는 수평 구획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식품 용기.
KR2020070003362U 2007-02-28 2007-02-28 일회용 식품 용기 KR200439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362U KR200439639Y1 (ko) 2007-02-28 2007-02-28 일회용 식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362U KR200439639Y1 (ko) 2007-02-28 2007-02-28 일회용 식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339U true KR20070000339U (ko) 2007-03-20
KR200439639Y1 KR200439639Y1 (ko) 2008-04-25

Family

ID=4134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362U KR200439639Y1 (ko) 2007-02-28 2007-02-28 일회용 식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6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95Y1 (ko) * 2012-03-14 2013-08-09 동진기업 주식회사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95Y1 (ko) * 2012-03-14 2013-08-09 동진기업 주식회사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639Y1 (ko) 200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6131C (en) Lid for snuffbox
RU2516839C2 (ru) Крышечная часть для емкости
WO2010054226A3 (en) Flexible, stackable container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same
JP3451051B2 (ja) 食品保存容器
KR200439639Y1 (ko) 일회용 식품 용기
US9587879B1 (en) Plastic bag drying device
JPH0519161U (ja) 詰め替え容器
US20130153586A1 (en) Package for ice cream
KR101528420B1 (ko) 용기 내부 누름장치
JP2004338764A (ja) 汁物密閉容器
CN211392161U (zh) 一种防潮型酒瓶包装盒
JPH043967Y2 (ko)
CN213110702U (zh) 一种压片糖果包装盒
KR200448323Y1 (ko) 하나의 용기에 뚜껑이 이중으로 부착된 물티슈 케이스
JP3232679U (ja) 乾燥剤分離型容器
KR200319758Y1 (ko) 접시의 손잡이겸용 밀착고정식뚜껑
CN212333422U (zh) 一种粉末包装容器
KR101130031B1 (ko) 보관용기
CN205257014U (zh) 一种防潮食品包装盒
KR950010560Y1 (ko) 냉장고 보관용 찬통
KR200449162Y1 (ko) 화장품 케이스
DK201901191A1 (en) Cover for a wet wipes package with a flip-top plastic lid
CN111483692A (zh) 一种粉末包装容器
KR200216454Y1 (ko) 다기능 반찬 통
JP3162091U (ja) 加工食品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