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303A -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303A
KR20060104303A KR1020050026346A KR20050026346A KR20060104303A KR 20060104303 A KR20060104303 A KR 20060104303A KR 1020050026346 A KR1020050026346 A KR 1020050026346A KR 20050026346 A KR20050026346 A KR 20050026346A KR 20060104303 A KR20060104303 A KR 20060104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container body
cover
inner cover
pocke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6565B1 (ko
Inventor
박재범
Original Assignee
박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범 filed Critical 박재범
Priority to KR1020050026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565B1/ko
Publication of KR20060104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314Combination, e.g. laminates, several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 몸체에 형성된 포켓들에 담긴 내용물들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면에서 안쪽으로 내용물을 담을 수 있으며, 포켓벽으로 구분된 다수개의 포켓이 형성된 용기 몸체와; 상기 포켓을 개별적으로 밀폐시키면서 상기 용기 몸체의 가장자리 둘레에 끼움 결합되는 이중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 덮개는, 각각의 상기 포켓을 구분하는 상기 포켓벽에 결합되어 상기 포켓을 개별적으로 밀폐하는 내부 덮개와; 상기 내부 덮개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덮개를 눌러 상기 포켓을 밀폐시키며, 가장자리 부분이 용기 몸체의 가장자리 둘레에 끼움 결합되는 외부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를 제공한다.
이중 덮개, 밀폐, 용기, 밀봉, 포켓

Description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An airtight container comprising double cov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 덮개를 갖는 밀페 용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 몸체에 이중 덮개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뚜껑이 체결된 상태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단일 포켓을 갖는 밀폐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수개의 포켓을 갖는 밀폐 용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용기 몸체에 이중 덮개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20, 220, 320 : 밀폐 용기 121, 221, 321 : 용기 몸체
123, 223, 323 : 포켓벽 128, 228, 328 : 포켓
130, 230, 330 : 이중 덮개 131, 231, 331 : 내부 덮개
133, 233, 333 : 요부 135, 235, 335 : 철부
137 : 외부 덮개 329 : 요홈
339 : 돌기
본 발명은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포켓에 내용물을 밀폐된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 용기는 음식물과 같은 내용물을 밀폐된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내용물이 상하지 않게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하고, 그 내용물 특유의 냄새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플라스틱 사출에 의하여 제조되는 밀폐 용기는 금형기술과 사출원료에 따라 다양한 제품이 현재 나와 있으며, 그 기능과 구조가 개선된 다양한 제품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밀폐 용기가 있으나, 밀폐 용기는 대체로 상면이 개방된 용기 몸체와, 그 상면을 덮는 덮개 및 그 덮개에 부착되어 그 덮개과 그 용 기 몸체사이의 기밀(氣密)을 유지시키는 패킹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종래의 밀폐 용기(1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밀폐 용기(10)는 용기 몸체(11), 덮개(13), 힌지부(14), 잠금날개(15) 및 패킹(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 몸체(11)는 상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포켓(18)이 형성된 상자 형상의 구조체로서, 걸림리브(12) 및 걸림홈(12a)을 포함한다. 걸림리브(12)는 용기 몸체(11) 외벽의 상부 둘레에 돌출 형성되며, 걸림홈(12a)은 걸림리브(12)의 저면(底面)에서 상방향으로 형성된다.
덮개(13)는 용기 몸체(11)의 포켓(18)을 덮도록 용기 몸체(11)의 상면보다 약간 넓은 면적을 가지는 판상 구조체이고, 패킹(19)을 수용하는 패킹수용홈(13a)을 포함한다.
힌지부(14)는 덮개(13)의 가장자리에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잠금날개(15)가 회동 가능하도록 잠금날개(15)를 지지한다.
잠금날개(15)는 걸림턱(16)과 후크(17)를 포함하며, 덮개(13)와 용기 몸체(11)를 결착시킨다. 걸림턱(16)은 잠금날개(15)의 저면(底面)에서 돌출 형성된다. 후크(17)는 걸림턱(16)에서 돌출 형성되어, 잠금날개(15)가 A방향으로 회동하면 용기 몸체(11)의 걸림홈(12a)에 잠금 결합된다.
패킹(19)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단면은 사각형 형태이다. 패킹(19)은 로드(rod)상태에서 일정한 길이로 잘린 양 단면이 접착제로 연결된다. 또한, 패킹(19)은 덮개(13)의 패킹수용홈(13a)에 수용되어 잠금날개(15)의 잠금결합 시 덮개(13)와 용기 몸체(11) 사이의 기밀(氣密)을 유지시킨다.
따라서 밀폐 용기(10)는 덮개(13)가 용기 몸체(11)의 가장자리 둘레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용기 몸체(11)의 포켓(18)을 밀폐하기 때문에, 포켓(18)에 담긴 내용물이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밀폐 용기(1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11)에 하나의 포켓(18)이 형성된 것 이외에,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21)에 다수개의 포켓(28)이 형성된 밀폐 용기(20)도 사용되고 있다.
밀폐 용기(20)는 다수개의 포켓(28)이 형성된 용기 몸체(21)를 밀폐하는 덮개(30)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사한 구조의 덮개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다수개의 포켓(28)을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밀폐 용기(20)는 덮개(30)로 용기 몸체(21)의 가장자리 둘레를 안정적으로 밀폐할 수 있기 때문에, 포켓들(28)에 담긴 내용물이 밖으로 새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용기 몸체의 포켓들(28) 사이의 밀폐는 단순히 덮개(30)의 내측면과 포켓벽(23)의 상면 사이의 면 접촉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밀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덮개(30)의 내측면과 포켓벽(23)의 계면을 타고 포켓들(28)에 담겨진 내용물이 서로 섞이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불량은 포켓들(28)에 액상의 내용물이 담긴 경우에 심하게 발생된다.
또한, 단일의 포켓을 가진 용기의 경우에도 액상 물질이 충진된 경우 내용물이 밖으로 새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몸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포켓을 개별적인 각기 밀폐시켜 포켓들에 담겨진 내용물이 서로 섞이거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탈이 용이한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용기는, 상면에서 안쪽으로 내용물을 담을 수 있으며, 포켓벽으로 구분된 하나 이상의 포켓이 형성된 용기 몸체와, 상기 포켓을 개별적으로 밀폐시키면서 상기 용기 몸체의 가장자리 둘레에 끼움 결합되는 내부 덮개를 포함한 이중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중 덮개는, 각각의 상기 포켓을 구분하는 상기 포켓벽에 밀착되며 상기 포켓에 삽입되어 상기 포켓을 개별적으로 밀폐하는 내부 덮개와;
상기 내부 덮개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덮개를 눌러 상기 포켓을 밀폐시키며, 가장자리 부분이 용기 몸체의 가장자리 둘레에 끼움 결합되는 외부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 덮개의 하부면에는 상기 용기 몸체의 상기 포켓에 소정의 깊이로 밀착 삽입되도록 상기 포켓벽에 그 측면이 밀착되는 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포켓벽에 밀착되며 상기 포켓에 삽입되도록 상기 포켓벽에 맞닿는 상기 내부 덮개의 철부의 외측면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켓을 형성하는 상기 포켓벽의 상부는 사다리꼴 형태이며, 상기 포켓벽의 상부에 대응되게 상기 내부 덮개의 요부도 사다리꼴 형태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 철부의 외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 몸체에는 상기 용기 몸체와 상기 내부 덮개를 결합할 때 상기 돌기가 끼움 결합 되도록 그 대응되는 위치에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켓벽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홈에 상기 돌기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요홈은 돌기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홈과 돌기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내부 덮개를 성형으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철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철부의 외측면에 고무 소재를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 덮개(130)를 갖는 밀페 용기(120)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 몸체(121)에 이중 덮개 (130)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120)는 상면에서 안쪽으로 내용물을 담을 수 있으며 포켓벽(123)으로 구분된 다수개의 포켓(128)이 형성된 용기 몸체(121)와, 포켓(128)을 개별적으로 밀폐시키면서 용기 몸체(121)의 가장자리 둘레에 끼움 결합되는 이중 덮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120)는 용기 몸체(121)에 형성된 포켓들(128)을 이중 덮개(130)가 계별적으로 밀폐시키기 때문에, 포켓들(128)에 담긴 내용물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12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기 몸체(121)는 상부에서 안쪽으로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포켓들(128)이 형성된 격자형의 구조체로서, 포켓들(128)은 포켓벽(123)에 의해 서로 구분된다.
그리고 이중 덮개(130)는 용기 몸체(121)의 포켓들(128)을 덮도록 용기 몸체(121)의 상면보다 약간 넓은 면적을 가지는 판상 구조체로서, 내부 덮개(131)와 외부 덮개(137)로 구성된다. 내부 덮개(131)는 각각의 포켓(128)을 구분하는 포켓벽(123)에 결합되어 포켓들(128)을 개별적으로 밀폐시킨다. 외부 덮개(137)는 내부 덮개(131)의 상부에 연결되어 내부 덮개(131)를 눌러 포켓(128)을 밀폐시키며, 가장자리 부분이 용기 몸체(121)의 가장자리 둘레에 끼움 결합되는 부분을 갖는다.
이때 내부 덮개(131)가 안정적으로 포켓들(128)을 밀폐할 수 있도록, 용기 몸체(121)와 마주보는 하부면에 포켓(128)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어 포켓벽(123)에 밀착되는 요철부(133, 135)가 형성되어 있다. 즉 요철부(133, 135)는 포켓들 (128)을 구분하는 포켓벽(123)에 대응되게 형성된 요부(133)와, 요부(133)에 구분되어 포켓(128) 안으로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는 철부(135)로 구성된다. 예컨대, 제1 실시예에서는 포켓(128)을 형성하는 포켓벽(123)의 단면은 직사각형이며, 포켓벽(123)에 밀착되어 포켓(128)을 밀봉하는 철부(135)의 외측면은 볼록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용기 몸체(121)에 이중 덮개(130)를 결합하게 되면, 볼록하게 형성된 철부(135)의 외측면(136)이 포켓벽(123)에 밀착되면서 포켓(128)을 밀폐하게 된다.
한편 외부 덮개(137)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덮개(137)를 용기 몸체(121)의 상단의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할 수 있는 잠금날개와 같은 고정 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 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에서는 내부 덮개(131)의 상부면에 외부 덮개(137)의 하부면이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내부 덮개(131)의 상부에 외부 덮개(137)를 설치할 수 있다면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거나 개별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한편 제 1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포켓벽에 내부 덮개가 결합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용기 몸체에 이중 덮개가 좀 더 정확하게 정렬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벽(223)의 전체 단면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220)는 다수개의 포켓(228) 이 형성된 용기 몸체(221)에 이중 덮개(230)가 결합된 구성을 갖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포켓벽(223)과 포켓벽(223)에 대응되는 내부 덮개(231)의 요철부(233, 235)의 구조가 상이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용기 몸체의 포켓벽(223)과, 포켓벽(223)에 대응되는 내부 덮개의 요철부(233, 235)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포켓(228)을 형성하는 포켓벽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며, 포켓벽(228)의 상부에 대응되게 내부 덮개의 요부(233)도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다. 물론 포켓벽의 상면(226)은 좁게 형성되고 내려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된다. 반대로 내부 덮개의 요부(233)는 하단이 넓게 형성되고 요부(233)의 바닥면이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포켓벽의 상면(226)에 비해서 내부 덮개의 요부(233)의 하단이 더 넓기 때문에, 포켓벽(223)에서 약간 내부 덮개의 요부(233)의 위치가 틀어져 위치하더라도 삽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포켓벽(223)에 삽입된 내부 덮개의 요부(233)는 사다리꼴 형태의 포켓벽 상부의 안내를 받으며 삽입되기 때문에, 용기 몸체(221)에 이중 덮개(230)가 정확하게 정렬되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용기 몸체(221)에서 이중 덮개(230)를 분리할 때도 사다리꼴 형태의 포켓벽(223)과 요부(233)로 인해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제 3 실시예
한편 제 2 실시예에서는 포켓벽의 전체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벽(323) 상부의 일부분만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320)는 다수개의 포켓(328)이 형성된 용기 몸체(321)에 이중 덮개(330)가 결합된 구성을 갖는 점에서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포켓벽(323)과 포켓벽(323)에 대응되는 내부 덮개의 요철부(333, 335)의 구조가 상이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용기 몸체의 포켓벽(323)과, 포켓벽(323)에 대응되는 내부 덮개의 요철부(333, 335)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포켓(328)을 형성하는 포켓벽의 상부(324)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며, 포켓벽의 상부(324)에 대응되게 내부 덮개의 요부(333)도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다. 물론 포켓벽의 상면(326)은 좁게 형성되고 내려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며, 사다리꼴 형태의 상부(324) 아래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반대로 내부 덮개의 요부(333)는 하단이 넓게 형성되고 요부(333)의 바닥면이 좁게 형성된다.
즉 포켓(328)을 형성하는 포켓벽 상부(324)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포켓벽(323)의 상부의 사다리꼴 형태에 대응되게 내부 덮개의 요부(333)도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포켓벽(323) 및 요부(333)를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제 3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320) 또한 제 2 실시예의 밀폐 용기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함은 물론이다.
그 외 포켓(328)의 밀폐 효과를 향상시키고, 용기 몸체(321)에 내부 덮개(331)가 정확하게 닫혔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요부(333)에 위치하는 철부(335)의 외측면(336)에 돌기(339)가 형성되고, 용기 몸체(321)에 내부 덮개(331)를 결합할 때 돌기(339)가 위치할 포켓벽(323) 안쪽으로 돌기(339)가 끼움 결합되는 요홈(329)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돌기(339)가 요홈(329)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요홈(329)은 돌기(339)보다는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339)와 요홈(329)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339)는 내부 덮개(331)를 성형으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철부(335)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거나, 요부(333)에 위치하는 철부의 외측면(336)에 고무 소재를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요홈(329)은 용기 몸체(321)를 성형으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포켓벽(328)의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 3 실시예에 따른 요홈(324)와 돌기(339)를 제 2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요홈(324)은 포켓벽(323)에 철부(339)는 내부 덮개의 철부(235)에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반대로 요홈을 내부 덮개의 철부에 형성하고 철부를 포켓벽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는 용기 몸체가 사각 구조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용기 몸체가 원형, 타원형 등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 이며, 덮개는 용기 몸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를 따르면 하나 이싱의 포켓이 형성된 용기 몸체에 이중 덮개가 결함됨으로써, 이중 덮개의 외부 덮개가 내부 덮개를 눌러 내부 덮개로 하여금 포켓들을 개별적으로 밀폐시키기 때문에, 포켓들에 담긴 내용물들이 서로 섞이거나 포켓에 담긴 내용물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포켓을 구분하는 포켓벽의 적어도 상부를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하고, 사다리꼴 형태의 포켓벽에 대응되게 내부 덮개의 요부를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포켓벽에 삽입된 내부 덮개의 요부는 사다리꼴 형태의 포켓벽 상부의 안내를 받으며 삽입되기 때문에, 용기 몸체에 이중 덮개가 정확하게 정렬되어 결합되므로, 더욱 완전하게 물질들이 상호 섞이지 않게 되고, 아울러 용기 몸체에서 이중 덮개를 분리할 때도 사다리꼴 형태의 포켓벽과 요부로 인해서 쉽게 분리 및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요부에 위치하는 철부의 외측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용기 몸체에 내부 덮개를 결합할 때 돌기가 위치할 포켓벽 안쪽으로 돌기가 끼움될 요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켓의 밀폐 효과를 향상시키고, 용기 몸체에 내부 덮개가 정확하게 닫혔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상면에서 안쪽으로 내용물을 담을 수 있으며, 포켓벽으로 구분된 하나 이상의 포켓이 형성된 용기 몸체와;
    상기 포켓을 개별적으로 밀폐시키면서 상기 용기 몸체의 가장자리 둘레에 끼움 결합되는 내부 덮개를 포함한 이중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덮개는,
    각각의 상기 포켓을 구분하는 상기 포켓벽에 밀착되며 상기 포켓에 삽입되어 상기 포켓을 개별적으로 밀폐하는 내부 덮개와;
    상기 내부 덮개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덮개를 눌러 상기 포켓을 밀폐시키며, 가장자리 부분이 용기 몸체의 가장자리 둘레에 끼움 결합되는 외부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의 하부면에는 상기 용기 몸체의 상기 포켓에 소정의 깊이로 밀착 삽입되도록 상기 포켓벽에 그 측면이 밀착되는 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벽에 밀착되며 상기 포켓에 삽입되도록 상기 포 켓벽에 맞닿는 상기 내부 덮개의 철부의 외측면은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을 형성하는 상기 포켓벽의 상부는 사다리꼴 형태이며,
    상기 포켓벽의 상부에 대응되게 상기 내부 덮개의 요부도 사다리꼴 형태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 철부의 외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 몸체에는 상기 용기 몸체와 상기 내부 덮개를 결합할 때 상기 돌기가 끼움 결합 되도록 그 대응되는 위치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KR1020050026346A 2005-03-30 2005-03-30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KR100656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346A KR100656565B1 (ko) 2005-03-30 2005-03-30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346A KR100656565B1 (ko) 2005-03-30 2005-03-30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303A true KR20060104303A (ko) 2006-10-09
KR100656565B1 KR100656565B1 (ko) 2006-12-11

Family

ID=37634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346A KR100656565B1 (ko) 2005-03-30 2005-03-30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5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95Y1 (ko) * 2012-03-14 2013-08-09 동진기업 주식회사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KR20200043831A (ko) * 2018-10-18 2020-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659Y1 (ko) * 2010-08-20 2013-01-14 윤준희 김치보관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548A (ja) 1998-10-19 2000-04-25 Uchiyama:Kk 容 器
JP2001055271A (ja) 1999-08-11 2001-02-27 Aibikkusu Kk 配送用ケー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95Y1 (ko) * 2012-03-14 2013-08-09 동진기업 주식회사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KR20200043831A (ko) * 2018-10-18 2020-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565B1 (ko) 2006-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6294C2 (ru) Контейнер с двойными крышками
KR100830370B1 (ko) 밀폐용기의 뚜껑
JP3818919B2 (ja) スナップ蓋付きプラスチック容器
US20180002075A1 (en) Sealed container
KR101186260B1 (ko) 밀폐용기용 뚜껑 조립체
RU2673619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крышки для контейнера
KR102108973B1 (ko) 화장품 용기
KR101252567B1 (ko) 밀폐 용기
US8387822B2 (en) Sealing lid for a container
KR100656565B1 (ko)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KR20070120007A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102539851B1 (ko) 잠금날개를 갖춘 밀폐용기용 뚜껑
KR100673997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0673992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1795448B1 (ko) 독립적으로 개방되는 다중진공커버가 구비된 화장품케이스
KR102640652B1 (ko) 밀폐용기 뚜껑
KR200334768Y1 (ko) 밀폐 뚜껑을 갖춘 용기
KR20130001718A (ko) 밀폐용기용 뚜껑 조립체
KR200271291Y1 (ko) 식품용기뚜껑의밀폐구조
JP7054175B2 (ja) 包装用内嵌合容器
KR20200121091A (ko) 밀폐용기
KR102136191B1 (ko) 밀폐력이 증대된 포장용기
JP2006341905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KR200327600Y1 (ko) 음식물 보관용기의 사각커버
KR100345491B1 (ko) 냉장고용 식품용기의 기밀유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